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호동 천제단(天祭壇) 제사의 전승실태와 민속적 의의(意義)

        김태수(Tae-Soo Ki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7 江原民俗學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동해시에서 유일하게 전승되고 있는 동호동 천제단 제사의 특징과 민속적 의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동호동 천제단 제사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실시했고, 그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천제 및 태백산 천제문화권의 천제(天祭)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동호동 천제단 제사의 특징과 민속적 의의를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제단이 있는 마을의 동제(洞祭)형식 측면에서 검토할 때 동호동 천제단 제사는 천제문화권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른다는 점이다. 천제문화권의 세시풍속으로서의 천제 형식은 ‘천제를 올린 다음 서낭제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인데 동호동 천제단 제사도 6-7년 전까지만 해도 그러한 절차를 따랐던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주요 제물의 진설 측면에서도 태백산 천제문화권의 전형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천제의 주요 제물은 ‘소(牛)’이고, 이것을 천제단 곁의 도살터에서 잡아 피(국)제사를 지내거나, 고기를 부위별로 갈라 제단 주위에 걸어 놓는 방법이 보다 고전적이고 일반화되었던 것으로 조사 보고 되었는데 글쓴이가 참여ㆍ관찰한 동호동의 천제단 제사도 처음에는 소를 제물로 썼고, 현장에서 살아 있는 제물을 잡아 피국제사를 올린 다음 부위별로 잘라 제단 곁에 걸어두었다가 제물로 바치는 형식이었다. 세 번째, 제단이 놓인 방향을 주목할 때 천제문화권의 망제형식을 따르고 있는 점이다. 동호동의 천제단이 놓인 방향은 남서쪽이며, 그 방향은 삼척의 근산(近山)과 일치한다. 근산은 삼척지역의 대표적인 망제산(望祭山)이다. 그런 맥락에서 동호동 천제는 태백산을 향한 망제(望祭)로 추정된다. 이러한 조사ㆍ연구 결과로 볼 때 동호동 천제단 제사는 태백산 천제문화권의 ‘천제(天祭)’가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그 변화양상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되는 민속학적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ethical significance of the ritual at Dongho-dong Cheonjedan which has been solely transmitted in Donghae City, Gangwon Province. I conducted a research on the ritual at Dongho-dong Cheonjedan in a systematic manner in order to implement the study, and would expose, based on th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ethical significance of the foregoing ritual through cross-checking with Korea’s Cheonje especially the one belongs to the Cheonje cultural sphere of Mr. Taebaek. The research finding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itual at Dongho-dong Cheonjedan follows the general forms of the above-mentioned Cheonje cultural sphere of as it is examined in terms of a form of Dongje observed in the villages in which Cheonjedan is situated. Since it is identified that the ritual at Dongho-dong Cheonjedan had been following, until six to seven years ago, a form of “observing Seonangje after Cheonje is performed” of which is general for Cheonje as seasonal customs in the Cheonje cultural sphere. Second, it also imitates the general manners of the Cheonje cultural sphere of Mt. Taebaek with regard to the setting-up sacrificial offerings. It is reported that the main sacrificial offering is a ‘cow’ and that the classical and generalized method is observing the ritual with blood (soup) of the cow just slaughtered at the nearby slaughtering ground or hanging its pieces of meat cut in part around the altar. In fact, the ritual at Dongho-dong Cheonjedan in which the writer was on participating in as well as surveying used a cow as the initial sacrificial offering, then observed the ritual with the blood soup offered the pieces of meats just after slaughtering a live pig on the ground. Third, in respect of the desired direction of the altar set up in, it is made after the patterns of Mangje within the Cheonje cultural sphere. Dongho-dong Cheonjedan set out toward southwest and this coincides with the facing direction to Mt. Geun in Samcheok City, and Mt. Guen is a typical Mangjesan among the regions in Samcheok City. In regard of the foregoing, Dongho-dong Cheonje is presumed to be Mangje. The findings of the above-referenced research indicate that Dongho-dong Cheonje is an appropriate example to inquire into that “Cheonje” in its cultural sphere has been modified through Chosun Dynasty up to the present, and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connection with folkloristics therefore. 1) an altar for observing Cheonje located in Dongbo-dong, Donhae City, Gangwon Province. 2) a ritual for heaven. 3) a ritual observed on the day before Full Moons Day in January by residents of a village for Dongsin (village guardian spirit) praying for good harvest, safety and health of the village. 4) a ritual for local god. 5) ceremonial acts that are repeated regularly during the year based on the lunar calendar. 6) a ritual observed for an ancestor looking toward and away from such ancestor’s tomb. 7) a mountain in which Mangje is observed. 8) a altar for observing Mangje.

      • 한계산성 天祭壇의 형태와 성격

        김도현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3 No.-

        寒溪山城の中にある天祭壇は城郭内に位置した祭祀の遺蹟であったと推定することができる。その理由として, 他の地域山城内の祭祀遺蹟を綜合的に檢討してみた結果、祭祀遺蹟が位置した所は山城の內部、特に建物址がある所と近くにありながら、內部をよく見ることができ、山城外部の河川や主要な交通路などを一目で見渡すことができる所に位置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寒溪山城内の天祭壇と近い所の大闕垈と呼ばれる所に住居遺蹟が發見された点と、その周邊で發見された土器片は山城を維持していた高麗時代と朝鮮時代に祭壇の役割として機能した可能性を高めてくれる。そして、寒溪山城が關防遺蹟としての機能を廢した後、祭壇も放置され、ここを據點に仙思想と道敎、佛敎が習合された新宗敎を作った人がここを天に祭祀を執り行う祭壇として活用した可能性が高い。なぜなら、一般的に共同體のための祭壇を設置する所が村落や周邊の景觀をよく眺望できるところに設置された事例が多いので、太白山の天祭壇や三陟にある可谷山烽燧·陽野山烽燧の民間信仰の處所化の事例などを通じて過去に國家の祭場だったり、關防の遺蹟だった所がその本來の機能を廢した後、新宗敎や民間信仰の處所として活用された事例が多く發見される。これとともに以前の宗敎機能を廢しても以後に作られる宗敎祭場は以前に宗敎祭場だったところに彼らの祭場を設置した事例が多いからである。 寒溪山城내 天祭壇은 城郭내에 위치한 祭祀遺蹟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른 지역 산성 내 제사 유적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제사 유적이 위치한 곳은 산성 내부, 특히 建物址가 있는 곳과 가까우면서 내부를 잘 볼 수 있으며, 산성외부의 하천이나 주요 교통로 등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寒溪山城내 天祭壇과 가까운 곳에 대궐터라 불리우는 곳에 주거 유적이 발견되었다는 점과 그 주변에서 발견된 土器片은 山城을 유지하였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祭壇으로 기능하였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한계산성 내 천제단의 명문을 보면 仙○○, 道君子, 上帝, 佛者등 仙思想과 道敎, 佛敎思想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제단에 새겨진 명문 내 인물들이 고려시대에 활동한 인물이라면 당시 이와 같은 사상 경향을 국가나 민간 차원에서 수용하여, 祭儀를 행하였음은 醮祭나 八聖堂을 설치한 사례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을 고려시대에 주로 사용하였다는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종합해 보면 고려시대에 한계산성 내에서 하늘에 제사지내기 위해 설치하였던 天祭壇이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계산성이 관방유적으로서의 기능을 廢한 후 祭壇또한 방치되었다가 이곳을 거점으로 仙思想과 道敎, 佛敎가 習合된 新宗敎를 만든 사람들이 이곳을 하늘에 제사지내는 제단으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공동체를 위한 제단을 설치하는 곳이 마을이나 주변 경관을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 사례가 많으며, 太白山天祭壇이나 삼척 가곡산 봉수·양야산 봉수의 民間信仰處所化사례 등을 통해 과거에 국가 제장이었거나, 관방 유적이었던 곳이 그 본래의 기능을 廢한 후 新宗敎나 民間信仰의 처소로 활용된 사례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이전의 종교 기능을 廢하더라도 이후에 만들어지는 종교 제장은 이전에 종교 제장이었던 곳에 그들의 祭場을 설치한 사례 또한 많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 천제단이 지닌 가치는 하늘에 제사를 지낸 聖所였다는 점과 산성 유적 내에 제사를 지낸 장소의 위치적 특징이 산성 내부와 외부를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이면서 주변에 건물 유적이 있는 곳에 위치한다는 점을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 KCI등재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김도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3

        이 논문은 신라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태백산에서 행한 祭儀와 고려・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마니산 참성단에서 행해지는 祭天禮에 대하여 연혁과 의례 현황을 비교・분석한 글이다. 하늘에 제사지낸다는 점에서는 태백산 천제단이나 마니산 참성단은 유사한 성격을 지닌 제의 장소이다. 그러나 그 역사적 연혁이나, 의례 과정, 주변 지역으로의 확산 등에서는 구분되는 점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태백산 천제단과 마니산 참성단에서의 儀禮 현황을 비교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백산에서의 제의 과정에 모신 신령은 신라대에 천신 또는 산신, 고려시대에 태백산신을 모셨으며, 조선시대에 天王을 모셨고, 임진왜란 이후 좀 더 명확하게 하늘[天神]에 제사지낸 사례를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제의 과정에서 강화도 참성단에서는 도교의 신들을 제사의 대상으로 받들어 紙榜 형태로 모셨으나, 태백산 천제단에서는 하늘을 상징하는 해・달・북두칠성과 28수기를 깃발로 만들어 모셨다. 둘째, 태백산에서 제의를 주관한 제관은 고려시대까지 왕이나 국가에서 파견된 관리가 주도하였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국가제장 선정에서 탈락됨으로써 향리나 민간인이 제의를 주도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관리를 파견하여 제의를 주관하게 하였다. 현재 태백산 천제단과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서의 천제를 주관하는 이는 해당 지역 자치단체장을 비롯한 지역 인사들이다. 셋째, 조선시대까지 태백산에서의 제의에 올린 제수를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지만, 소를 헌공한 사례는 많다, 1987년부터 태백산천제위원회에서 주관하여 지낸 천제에 올린 제수는 조선시대에 소와 삼베를 헌공한 전통을 살려 소머리와 삼베를 올리며, 백설기와 소머리를 제외한 모든 제수는 생으로 올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비해 마니산 참성단에서는 조선시대에 도교식 제사에서와 같이 차・탕・술과 떡을 준비하여 올렸으며, 국가에서 제수 등을 준비하기 위한 별도의 祭田을 내려주었다는 점은 태백산지역과 다른 점이다. 넷째, 의례를 행하는 시간은 두 지역 모두 子時에 지냈으나, 지금은 낮에 지낸다. 조선시대에 마니산 참성단에서 행한 의례 과정은 각종 기록을 통해 그 대략을 알 수 있다. 특히 1511년 유숭조에 의해 雲馬樂을 벌였다는 점은 태백산과 비교되는 점이다.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동안 태백산은 구국의 성지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동학을 만든 최제우 死後 동학교도들이 태백산 권역에 모여들면서 태백산은 민족의 종산으로 그 가치가 더욱 부각되었다. 신흥종교 중에서는 1937년의 태극교도[천지중앙 명류도]들의 활동이 주목된다. 이들은 조선의 독립을 기원하기 위해 태백산 정상에 구령탑을 쌓고 독립 기원제를 지냈다. 이러한 활동은 태백산이 지닌 민족의 영산이라는 관념 속에서 救國의 성지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구국을 위한 의례가 행해지면서 태백산에서의 제의는 天祭의 형식을 갖추게 된다. 이와 함께 태백산에서 천제를 지내거나 민간 치성을 드리던 전통은 태백산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도교에 기반을 두면서 국가 제사로 행해진 마니산에서의 제천의례와 구분되는 점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The ritual traditions performed in Mt. Taebaek have been continued to this day since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Silla dynasty, Mt. Taebaek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lace for the national rituals called Jungsa. As well, it was used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expanding and controlling the territories and those tradition had been continued to the Goryeo dynasty. During Joseon dynasty, although the ritual was not performed as the event of national importance, it had received the national attention until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references from various sources, Taebaeksansa and Taebaeksa were assumed to be Cheonwangdang and Cheonwangsa respectively. There is a altar calle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in Kanghwa Island. This altar is known as a place of ritual to sky held by Tangun[檀君], the founder of Ancient Chosun[古朝鮮] and national ancestor of Koreans. The first record touch on altar Chamsungdan appeared in 1264. So we can infer that the altar Chamsungdan was constructed before 1264. Since the Taebaeksanje received nation-wide attention, one could assume that the ritual itself was a real burden to the people. However, a number of evidences found in the areas around Mt. Taebaek and even remote areas from the mountain, show that people who were unable to worship in Mt Taebaek because of various reasons built Cheonjedan (superior shrine) and practiced the ritual. Rituals of the altar Chamsungdan was state rituals, so these were performed by officials of the state. There were two kinds of ritual ; one is periodical rituals held at spring and autumn(2 times per year), the other one is occasional rituals. And gods worshiped in these rituals were Taoist divinities, so that rituals of the altar Chamsungdan were Taoist rituals.

      • KCI등재후보

        고대 제천문화의 제의양상과 공동체신앙의 존재양식

        임재해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3 유라시아문화 Vol.8 No.-

        기존 제천문화 연구를 극복하려면 새 자료를 개척하고 해석 방법을 혁신해야 한다. 현재의 공동체신앙을 자료로 고대 제천문화를 재구성하고, 천제의 유형을 연역적으로 확대 추론하여 고인돌과 장수왕릉을 천제단 시설로 해석하는 방법을 개척한다. 방형적석총과 환구단 형태의 천제단이 고인돌 구조로 합일되면서 발전한 과정을 통시적으로 해석하면서, ‘왕의 죽음과 천제’, ‘왕의 무덤과 천제단’이 둘이면서 하나라는 것을 포착했다. 따라서 왕의 죽음과 함께 천제권 변동을 알리는 새 왕의 고유형 천제가 ‘왕의 무덤과 천제단’을 합일시키는 구조로 발전한 사실을 밝혔다. 상고시대의 방형적석총과 천제단이 고인돌 구조로 발전하고 고인돌이 장수왕릉으로 확대 재생산된 과정을 통시적으로 밝힌 결과, 고인돌이 왕의 죽음과 장례에 이어서 새 왕의 등극과 고유 천제를 올리는 공간으로 해석하는 새 전망이 열렸다. 고인돌 구조가 무덤 기능뿐만 아니라 천제단 기능을 발휘한 사실이 하늘을 상징하는 덮개돌을 통해 입증하고, 무덤에 치중했던 기존 해석과 달리, 새 왕의 등극을 위한 고인돌 구조의 쓰임새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게 되었다. 석실에서 새 왕이 출현하는 통과의례를 하고, 덮개돌 위에서 고유 천제로 천인합일을 이루며 천제권을 확보한 뒤에, 지상으로 내려오면 천손강림의 천왕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농공시필기의 국중대회형 천제 외에 선왕의 죽음과 새 왕의 등극을 알리는 고유형 천제가 고인돌과 장수왕릉의 천제단에서 이루어진 사실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천제의 전통은 조선 초기에 이르러 쇠퇴해 버렸으나, 천제의 양식은 세간에서 동제나 산신제 등의 공동체신앙으로 전승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전승되는 동제 절차를 자료로 고대 천제의 구체적 과정과 기능을 재구성할 수 있다. 천제의 국중대회가 동제의 동중대회(洞中大會)와 짝을 이루는 것처럼, 동제의 5단계 과정을 근거로 천제의 제의과정도 5단계로 포착할 수 있다. 천제의 요소도 제의 외에 여러 요소들이 있다는 사실을 동제의 요소들로 추론 가능하다. 먼저 1) 제의를 의논하는 회의 요소에 이어서 2) 제의 경비를 마련하는 걸립 요소, 3) 제의를 준비하는 노동 요소, 4) 천제단에 제관들이 제사를 올리는 제의 요소, 5) 제의를 마치고 회의를 열어 중대사를 결정하는 정치 요소, 6) 옥에 갇혀 있는 죄수를 처리하는 재판 요소, 7) 제의 과정의 현상을 근거로 한 점복 요소, 8) 마지막 뒤풀이를 하는 놀이 요소 등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특별한 상황의 천제에서는 몇 가지 요소가 더 보태진다. 9) 전쟁 출전을 앞둔 천제에서는 승리를 기원하는 군사 요소, 10) 가뭄을 극복하기 위한 천제에서는 기우 요소 등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근거로 천제의 유형을 정리하면 가) 국중대회형 천제 외에 나) 천제권자의 변동을 알리는 고유형 천제, 다) 국가적 위기에 천신의 가호를 비는 호국형 천제, 라) 천손으로서 왕권 강화를 위한 왕권강화형 천제, 마) 가뭄을 극복하기 위한 기우형 천제로 집약된다.

      • KCI등재

        무등산 숭사(崇祀)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현전하는 단편적인 문헌자료를 토대로 무등산 숭사(崇祀)의 역사적 전통과오늘날 현대인들이 무등산 천제단에서 제 모시는 여러 양상을 역사적 상호성 속에 해석하고 이에 대한 민속문화적 의의와 가치를 계승과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무등산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소사(小祀), 혹은 국제(國祭), 읍치제(邑致祭)의 대상이 되어 지역에 파견된 중앙관리 내지는 수령의 주관 아래 정기적으로 제의가 거행되었다. 비록 간략한 기록이지만 당시 전남지역에서 무등산이 신성한 산으로서 그 제의적 기능을 담당하였고, 제의를 통해 무등산이 지역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고대부터 형성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산악숭배사상, 배천사상이 원류가 되어 국가 체제에 따라 확대, 축소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제 무렵까지 명맥을 이어왔을 것이다. 현재 무등산에는 광주광역시 동구 학운동 관할 운림동에 ‘천제단’이라는 제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렇게 현재의 제단이 마련되기까지는 의재 허백련의 역할을 주요했다. 이 제단에서는 1965년 이래 지금까지 매년 10월 3일이면 광주의 뜻있는 인사들과 민간단체들이 개천절 제전을 집전해오고 있다. 제의는 단군성조님에게 감축의례로서의 성격과 함께 국태민안, 국운번성 등의 국가적인 염원을 담아제를 모시고 있는데, 과거에는 무등산 산신에게 올리던 제의가 현대사의 흐름 속에서단군성조님에게 올리는 제의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천제 외에 소규모 동호회나기업, 회사 차원에서 시산제를 모시거나 산제를 모시고 있다. 비록 이합집산의 형태로다양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현상은 현대문화 속에서 자발적으로 형성, 발전한 ‘문화접변’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현재적 일회성, 즉흥적인 제의가 아닌, 그 기저에는 역사적으로 무등산에서 숭사하였던 제의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무등산 제의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은 변화하는 문화과정에서 보면무등산이 산신, 성산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기본적으로 작용하면서 시대를 거쳐 오늘날에는 현대인들의 문화에 맞게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변화된 문화환경 속에서무등산 천제단을 통해 전형적인 민속문화가 소멸되지 않고 현대적 문화요소와 상호 결합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합 속에는 무등산이 현대사회의 새로운 문화적소통과 교섭의 코드를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vers Mudeungsan ancestral rite’s historical tradition; interpretes the Cheonjaedan ceremony regarding historical reciprocality and look upon its folk cultural meaning and value, based on bibliographic data. Mudeungsan -historically perceived as a holy mountain- was in charge of ancestral ceremony, and has been an important place both regionally and culturally. Such phenomenon is based on our people’s traditiona of moutain and heaven worship. Today, ‘Cheonjaedan’ on Mudeungsan, is the place where commemorative rituals are held every National Foundation Day, and other individuals and groups hold memorial services - these can be explained as continuation of historical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on Mudeungsan. Times may change and culture may change along, but Mudeungsan keeps on its role as a holy, sacred mountain by means of historical records and ancestral rites. In addition, this study comprehends that the ancestral rites held nowadays on Mudeungsan contains a code of new cultural communication and exchange.

      • KCI등재

        太白山 天祭의 歷史와 儀禮

        김도현(Kim, Do Hye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31

        태백산의 제사는 신라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 차원이든 개인 차원이든 꾸준히 이어져왔는데, 祭儀를 주관한 주체나 형식은 시대에 따라 달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신라대에는 국토 방위를 위하여 5곳에 中祀를 설치하였다. 이 중 태백산이 中祀에 속하였음은 『삼국사기』를 비롯한 각종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김방경의 아들 김순을 太白山祭를 지내기 위한 外山祭告使로 파견하였다는 기록과 함께 도심역 관련 내용을 분석해보면, 고려의 사전에 태백산제가 공식적으로 등재되지 않았지만 태백산제를 지속적으로 설행하였음을 보여주며, 이는 고려시대에도 태백산을 국가제사를 위한 祭場으로 여겼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서 고려시대 태백산의 국가 제사는 신라대의 중사에 이어 태백산신에게 제사지낸 형태였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세조대에 집현전 직제학 양성지가 태백산을 동진으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후 태백산에서 비록 국가 제사를 지내지 않았지만 민간에서 태백산제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컸고, 이에 지방 관청과 무당들이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성현의 『허백당집』등을 보았을 때 조선시대 태백산 제사는 일정 부분을 향리들이 주도하면서, 백성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한 형태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조선시대 태백산에 설치되었던 제당을 ‘太伯天王堂?天王堂?天王祠’라 하였다는 것은 天王神을 모신 제의가 행해졌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각종 기록을 종합해 보면 ‘太白山祠 = 天王堂’이고, ‘太白祠= 天王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太白山祠나 太白祠 등으로 불리는 제당에서도 天王神을 모셨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天王은 지역이나 제당에 따라 山神이나 天神으로 비정될 수 있다. 신라와 고려시대에 모신 신령을 山神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18세기부터 단종이 死後 태백산신으로 좌정하였다는 믿음이 태백산 주변 및 영월지역 주민들과 무당들 사이에 뿌리 내렸으며, 단종대왕을 천왕으로 여기는 사례가 없다는 사실은 太白山神과 天王을 별개로 여겨야 함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1735~1737년 사이에 기록된 李麟祥의 ?遊太白山記?에 天王神이 등장한다는 사실은 당시 태백산 천왕당[태백당]에서 모셨던 天王을 天神으로 여겨야할 가능성을 좀 더 높여준다. 조선후기에서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시기에 의병 운동을 하거나 동학을 비롯한 신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태백산에 와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거나, 수련 활동, 또는 독립을 기원하기 위해 태백산에 제단을 차리거나, 탑을 쌓은 후 하늘에 제사를 지낸 예를 많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태백산에서 국가 제사를 지냈던 전통과 함께 민간인들이 많이 찾은 종교적 성소이면서, 의병 운동과 신종교 활동을 한 단체들의 주요 활동무대였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태백산에서 행해진 제의 과정과 관련하여 1938년과 1949년 기록에 의하면 28宿旗를 비롯한 각종 깃발과 제단을 준비하여 천제를 지낸 사례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태백산에서 천제를 지내거나 태백산신을 모신 전통은 태백산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어, 거리 등의 문제로 인해 태백산에서 제사를 올리지 못하는 사람들은 태백산 줄기가 내려온 산봉우리나 능선 아래에 상당으로 여기는 천제단[천제당 또는 천지단]을 마을 단위로 만들어 천제를 지내는 사례를 많이 확인할 수 있다. 즉, 많은 마을에서 태백산과 관련한 당신화가 만들어져 단군을 모시거나 천제를 지내는 예를 발견할 수 있으며, 태백산신령을 마을 제당의 主神으로 모셔서 마을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마을 또한 많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rite of Cheonje[天祭] in Mt. Taebaek The ritual traditions performed in Mt. Taebaek have continued to this day since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Silla dynasty, Mt. Taebaek wa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place for the national rituals called Jungsa. As well, it was used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expanding and controlling the territories and those tradition had continued to the Goryeo dynasty. Although during Joseon dynasty, the ritual was not performed as the event of national importance, it had received the national attention until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ccording to the references from various sources, Taebaeksansa and Taebaeksa were assumed to be Cheonwangdang and Cheonwangsa respectively. Since the Taebaeksanje received nation-wide attention, one could assume that the ritual itself was a real burden to the people. However, a number of evidence found in the areas around Mt. Taebaek, and even remote areas from the mountain, showed that people who were unable to worship in Mt Taebaek built Cheonjedan (superior shrine) and practiced the ritual. During the rituals performed for Cheonshin, the villagers prayed for the success of important events, such as rain, good harvest and made a resolution for their country.

      • KCI등재후보

        고인돌과 적석총의 구조적 양식으로 본 제천문화 기능

        임재해(Lim, Jae Hae)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2 유라시아문화 Vol.7 No.-

        한국은 고인돌 중심지인데도 정작 고인돌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크게 진전되지 않았다. 고인돌의 발전된 양식이 후대의 방형적석총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적석총의 기능과 함께 고인돌의 기능도 추론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적석총도 고인돌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새롭게 포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인돌과 적석총의 상호관계 속에서 제천문화 기능을 추론한다. 적석총 가운데 대표적 유적이 장수왕릉이다. 장수왕릉 상부에 건축된 구조물이 향당이나 신전이 아니라 천제당이라는 사실을, 별자리가 그려져 있는 고인돌의 덮개돌과, 천정이 하늘로 묘사되어 있는 고구려 고분 벽화의 천정, 그리고 장수왕릉의 세계관을 통해서 밝힐 수 있다. 장수왕릉은 천지인 원방각(○□△)의 세계관을 이루고 있는 까닭에 상단의 구조물은 하늘에 천제를 올리는 천제당일 수밖에 없다. 적석총과 고인돌은 무덤이자 즉위 공간이라는 사실을 함께 포착해야 한다. 왕의 장례에 이어지는 것이 새 왕의 즉위이다. 왕이 즉위하려면 일정한 통과의례를 거쳐야 한다. 통과의례의 구조에 따라 세상으로부터 격리되는 어둠의 시련을 겪고 새 왕으로 거듭 나게 되는 것이다. 분리기의 격리 공간이 장수왕릉의 묘실 공간이자 탁자형 고인돌의 석실이다. 이 공간에서 분리기를 통과함으로써 새 왕으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당시에 왕은 천손이자 천왕으로 인식되었을 뿐 아니라 천제권을 행사하는 제사장이었다. 새 왕은 적석총 위의 천제당 또는 하늘을 상징하는 고인돌의 덮개돌에 올라 천제를 올림으로써 천인합일의 신성한 천제권을 확립하고, 하늘에서 내려옴으로써 천손강림 의례를 재현하여 천왕의 신성한 권위를 확보한다. 따라서 고인돌과 적석총은 왕의 즉위를 알리는 천제 뿐만 아니라, 농공시필기의 정기적 천제를 올리는 구조물이었다. 이 구조물은 다수 군중이 동참할 수 있는 구릉에 입지하여 국중대회와 같은 축제도 가능했다. 천제 공간의 발전은 곧 천제의 발전과정이었다. 지표의 원형 천제단에서 발전한 것이 하늘과 땅이 상하 분리된 입체적 천제단형 고인돌이다. 고인돌의 천지 구조가 더 확대되고 발전된 것이 천지인 구조의 대형 피라미드형 적석총이다. 천제공간이 지속되면서 발전된 것은 민족시조가 천왕이며 천손족이라는 역사의식이 공유된 까닭이다. 그러므로 한국은 최다 고인돌 보유국이자 대형 적석총 보유국이며 국중대회 규모의 축제적 제천문화를 지속적으로 누렸던 문화주권 국가라 할 수 있다. Although Korea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center of dolmens, there has not been much progress in research on the function of dolmens. The fact that Jeokseokchong or stone mound tombs built later are the developed form of dolmens suggests the way to infer the function of dolmens along with the functions of stone mound tombs. In addition, new aspects of the stone mound tombs can be found a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dolmen is examined. Therefore, the function of harvest ceremony is inferred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olmens and stone mound tombs. The tomb of King Jangsu is the best-known relic among stone mound tombs. The cover stone of the dolmen with the constellations drawn on it, the ceiling of the Goguryeo tomb murals depicting the ceiling as the sky, and the world view represented in the tomb of King Jangsu reveal the fact that the structure built on the top of the tomb of King Jangsu is Cheonjedang, not Hyangdang or a shrine. As the tomb of King Jangsu represents the worldview of Heaven-Earth-Human in the form of circle, square, and triangle, the structure at the top is surely Cheonjedang, which is a place for holding a ritual for the worship of the heavenly gods. It should be noted that dolmens and stone mound tombs are both a tomb and a space for enthronement. The king’s funeral is followed by the accession of the new king. In order for a king to ascend the throne, he must go through a certain rite of passage. By passing through the rite of passage, he goes through the ordeal of being isolated from the world and is reborn as a new king. The isolation space of the separator is both the burial chamber of the tomb of King Jangsu and the stone chamber of the table-type dolmens. A new king is born by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in this space. At that time, the king was not only recognized as a heavenly son and a heavenly king, but also a priest who exercised the power of heaven. The new king establishes the divine power of heaven unifying man and heaven by holding a ritual for the worship of the heavenly gods standing on either Cheonjedang on stone mound tombs, or the cover stone of dolmens, which represent the heaven. When the king descends from the heaven, he reproduces the ritual for the son coming down from the heaven to secure the divine authority of the heavenly king. Therefore, dolmen and stone mound tombs were structures not only for holding rituals for the heavenly gods for announcing the king’s ascension, but also regularly performing the ritual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gricultural work. This structure was located in Gunung, where a large crowd could participate, making it possible to hold festivals such as national competitions. The development of the heavenly space indicate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heavenly world. Developed from the original Cheonjedan of the earth’s surface is a three-dimensional altar-type dolmen, in which the heaven and the earth are separated up and down. The dolmen’s heaven and earth form became more expanded and developed, which lead to the creation of a large pyramid-type Jeokseokchong. The heavenly space developed and continued to be succeeded due to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the heavenly king is the nation’s ancestor, and the nation is the son of the heavenly k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orea is a country with the largest number of dolmens and Jeokseokchong in a large size, and a cultural sovereign country that continued to enjoy the festive heavenly culture on a national scale.

      • KCI등재

        홍산문화로 읽는 고조선 시대의 제천의식 전통

        임재해(Lim, Jae-Hae) 고조선단군학회 2014 고조선단군학 Vol.30 No.-

        When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historic period of the Hongsan culture is interpreted ecologically in the mutual relation and when its cultural relic and remain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ritual, Sinsigoguk (神市古國) harvest ritual culture tradition of Gojoseon is found. Hwanwoongcheonwang, the leader of Sinsigoguk was the son of the heaven having the harvest ritual right(天祭權) and worshipped the sun as the heavenly go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humanitarianism . The harvest ritual relics include Stone Mound Tomb, Harvest Ritual Altar and Jade Bowl relics in Uharyang area among Hongsan cultural heritage in the 35th century BC. The top of Stone Mound Tomb consists of the altar. It is the tobm of the military leader having the harvest ritual right where his descendants had a harvest ritual at the altar. The round altar with triple concentric circles is the harvest ritual altar symbolizing the sun, where the comm unity had a ritual. A huge circle shape ritual altar also has the shape of sun which is located at the peak of the hill of the southern part of Uharayng. That is the highest place to serve the heaven. It is the place where people could see the altar from any side and is a huge space for large convention for the people. Thus, the national assembly was made possible. Therefore, different from Stone Mound Tomb ritual altar which mainly had the function of tomb, the circle shape altar had satisfied a geographical condition for large size national assembly for the harvest ritual. The jade bowl relics of the Hongsan culture are various with diverse kinds of animal shapes. They have two symbolic meanings. One is that all humanbeing was equal in the organic rel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hum anitarianism. Secondly, jade bowls was a ritual bowl that linked between the heaven and the earth as godly objects.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jade bowls were excavated from the stone mount tomb, the tomb of the military leader. Therefore, if the relics and remains of the Hongsan culture are interpreted from the ritual point of view, it demonstrates the harvest ritual culture of the godly city in Gojoseon.

      • KCI등재
      • 진천 금한동 천제의 구조와 성격

        김도현 ( Do Hyeon Kim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15 宗敎學硏究 Vol.33 No.-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the village rituals for heavenly deity in Geumhandong, Jincheon, Looking into the text of written prayer descended in Geumhandong, the purpose of rituals in Cheonjedan is to protect villagers against small pox by offering a devout prayer to heavenly deity. Like Geumgok, the biggest village that has Cheonjedan, the village which belongs to Geumhan-yi consists of WitMal (uptown), AhraetMal (downtown), BeolTe, SaeTeo. Each village performed town-unit rituals annually, and every three years they got together for rituals to heavenly deity in Cheonjedan. From this, we can figure out the structure of Geumhandong belief which can be organized as ``Cheonjedan-subordinate village shrine``. We also can see that each Geumhangdong family welcomed heavenly deity performing ``rituals for heavenly deity-MajoongShiru`` and that the villagers joined all together with 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