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위』에 나타나는 하도‧낙서의 수리체계와 대연지수

        석미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mathematical system of Hetu(河圖) and Luoshu(洛書) in 『Yiwei(易緯)』. In Han Dynasty, 『Hetu』‧『Luoshu』 for the books of prediction included numerical theory and it was connected to ten number theory of Hetu and nine number theory of Luoshu through 『Yiwei』, so they became theoretical base forming Hetu‧Luoshu of Song Dynasty. Furthermore, the number of Dayan 50 i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Hetu‧Luoshu’s mathematical system in 『Yiwei』. First, nine number theory of Luoshu of 『Yiwei』 is shown in 「Tongguayan」 and 「Qianzaodu」 and has grounds of the nine rooms of Mingtang and Fuyang shuanggudui Ruyin Hou tomb’s Taiyi Jiugong zhanpan. From an angle of nine number theory of Luoshu, the number of Dayan 50 was considered as Ten Heavenly Stems‧twelve earthly branches‧twenty-eight lunar mansions and they are components of Liurenshipan excavated with Taiyi Jiugong zhanpan in Fuyang shuanggudui Ruyin Hou tomb. Second, ten number theory of Hetu of 『Yiwei』 interpreted number of heaven and earth of 「Xicizhuan」 from an angle of yinyang wuxing. Therefore it was changed to the angle, the number of Dayan is also originated from number of heaven and earth, so was explained by “using 49 and unusing 6”. 본고의 연구목적은 『역위』에 나타나는 하도‧낙서의 수리체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한대에는 『하도』‧『낙서』가 예언서인 참서로 구분되었으며, 송대의 하도‧낙서와 차이가 크다. 하지만 참서로서의 『하도』‧『낙서』에도 숫자이론이 내포되어 있었고, 이것이 『역위』를 통해 하도십수설과 낙서구수설로 이어짐으로써, 송대의 하도‧낙서가 형성되는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게다가 『역위』에서는 하도‧낙서의 수리체계에 따라, 대연지수 50에 대한 해석도 달라진다. 첫째, 『역위』의 낙서구수설은 「통괘험」과 「건착도」에서 나타나며, 명당구실설과 부양쌍고퇴여음후묘의 태을구궁점반을 근거로 한다. 낙서구수설의 관점에서는 대연지수 50을 10간‧12지‧28수라고 보았으며, 이는 부양쌍고퇴여음후묘에서 태을구궁점반과 함께 출토된 육임식반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역위』의 낙서구수설과 대연지수 50에 대한 해석은 경방의 역학사상과 평양 석암리 205호 식반의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역위』의 하도십수설은 「계사전」의 천지지수를 음양오행의 관념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에 대연지수도 천지지수 55에 근원한다는 관점으로 바뀌어, “사용하는 49와 사용하지 않는 6”으로 설명했다. 「건곤착도」의 대연지수 관점은 정현을 통해 북송의 정이와 주희에게로 계승되었다. 이렇듯 『역위』에서 참서의 수리체계를 흡수하여 『주역』의 역수와 함께 발전시키게 된 것은 수리학적‧상수역적 관점에서 「계사전」의 “삼오이변, 착종기수”의 구절을 근거로 충분히 사고한 결과이며, “숫자가 만물의 근원”이라는 명제를 통해, 공통의 수 15를 도(道)라고 규정한 『역위』의 수리학적 우주론이 체계화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북송 진단 역학의 본원론 고찰: 『정역심법』을 중심으로

        이대승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40

        This study investigates Chen Tuan’s discussion of the fundamental and origin of the universe based on the Zhengyi Xinfa. There is no professional discussion of the fundamental and origin of the universe in the Zhengyi Xinfa. However, Chen Tuan reveals a view of the fundamental and origin of the universe by discussing topics related to “The number of the Great Expansion” and “There is Supreme Polarity in Yi.” He presents ‘Non-being (無)’ as the fundamental and origin of the universe, saying that the first number subtracted from the “The number of the Great Expansion” 50 is ‘Non-being’, the first number subtracted from 49 is ‘Supreme Polarity,’ the other 48 is a divination number. In addition, Chen Tuan refers to the content related to “There is Supreme Polarity in Yi,” and ‘Yi (易)’ does not mean ‘Changes-Yi (bianyi 變易)’, but ‘Supreme-Yi (dayi 大易)’, which means ‘Non-being’, and it is considered that ‘Supreme-Yi’ changes to become ‘Supreme Polarity.’ The Chen Tuan’s idea is that it inherited the view of “Yi apocrypha” (Yiwei 易緯) and follows the thought of Taoism that Being (有) comes from Non-being. It can be said that Chen Tuan is in the position of Taoism in terms of thinking about the fundamental and origin of the universe. 이 글은 진단 역학 탐구의 일환으로 정역심법 에 나타난 진단 역학의 본원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역심법 에는 우주의 본원과 관련된 전문적인 논설은 없다. 하지만 진단은 ‘대연지수’와 ‘역유태극’과 관련된 내용을 말하면서 우주 본원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진단은 대연지수 50에서 처음 빼는 하나(1)는 ‘무(無)’, 49에서 손에 거는 하나(1)는 ‘태극(太極)’, 그리고 나머지 48은 점치는 수라고 말하면서, ‘무’를 우주의 본원으로 제시한다. 더불어 진단은 ‘역유태극’ 관련 내용을 말하면서, ‘역’은 ‘변역(變易)’이 아니라 ‘무’에 해당하는 ‘대역(大易)’으로, ‘대역’이 변화하여 ‘태극’이 된다고 본다. 진단의 본원론은 역위 의 역로학의 시각을 계승한 것이자, ‘무’로부터 ‘유’가 나온다는 도가의 시각을 따른 것이다. 본원론의 측면에서 진단 역학은 유목·소옹·주돈이의 역학과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우주 본원에 대한 유가와 도가의 시각차를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朱子『易學啓蒙』의 體系的 理解

        徐根植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3 No.-

        본 논문은 朱子의 『易學啓蒙』에 관한 것이다. 朱子易學의 형성과정에 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易學啓蒙』은 그 이후 30종의 연구서가 나 온 것에 비하면 연구성과를 4편으로 매우 적다. 이 글은 朱子의 『易學啓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가 되고자 한다. 朱子는 「河圖」와 「洛書」를 수용함으로써 『周易』 해석에 있어 象數易 學의 의미를 다시 드러낸다. 『周易』에 있어 義理易學은 王弼의 ‘得意忘 象論’으로 해서 새로운 힘을 얻었듯이 朱子는 『易學啓蒙』을 통해 象數 易學의 의미를 되새기려고 노력으로 『周易』을 해석하는 방법은 나날이 발전하게 된다. This paper is about Zhuzi(朱子) writings entitled Yixueqimeng(『易學啓蒙』). There are only four research articles on Yixueqimeng(『易學啓蒙』), although it had take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Zhuzi(朱子) study of changes, comparing with 30 different kinds of research on his works after this Yixueqimeng(『易學啓蒙』). In line with this, the author intends to make this paper as a full-scale research article on Zhuzi(朱子) work - Yixueqimeng(『易學啓蒙』). Zhuzi(朱子) exposes the meaning of the Xiangshuyixue(象數易學), to wit, the emblem and numerology of Emblem and Numerology in interpreting Zhouyi(『周易』) again by accepting Hetu(「河圖」) and Luoshu(「洛書」). When discussing the Zhouyi(『周易』), Yiliyixue(義理易學) had drawn supports from Wangbi(王弼) Deyiwangxianglun(得意忘象論). Likewise, Zhuzi(朱子) tried to ruminate upon the meaning of the Hetu(「河圖」) and Luoshu(「洛書」) through the Yixueqimeng(『易學啓蒙』). As he interprets all things through Hetu(「河圖」) and Luoshu(「洛書」), these two systems of emblem have become essential. Even in Shifa(筮法), he elicited Dayanzhishu(大衍之數) from Hetu(「河圖」) and Luoshu(「洛書」) so that he related the divination rule to Hetu(「河圖」) and Luoshu(「洛書」). By doing so, Zhuzi(朱子) concatenates Dayanzhishu(大衍之數) to Hetu(「河圖」) and Luoshu(「洛書」) too. Furthermore, by interpreting Yongjiu(用九) and Yongliu(用六), which belong to Qiangua(乾卦) and Kungua(坤卦) as prognostication that will be referred to when all six-line symbols are changed, he ha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Zhouyi(『周易』) study. Zhuzi(朱子) is responsible for a sizable part of the history of Zhouyi(『周易』) study as much as Wangbi(王弼) and Chengyi(程頤). Of course, there are some parts where efforts were made in vain, however, the method to interpret the Zhouyi(『周易』) have developed day by day owing to the efforts of Zhuzi(朱子).

      • KCI등재
      • KCI등재

        正祖 활쏘기와 古風

        장을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1 No.-

        조선 제22대 왕 정조의 활쏘기 기록은, 그 규모의 방대함과 내용의 상세함이라는 측면에서 역대 왕들과 비교가 무색할 정도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 기록을 종합정리하려는 시도가 없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정조 활쏘기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실록 등의 관찬사료는 물론이고 각 처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정조 활쏘기의 전체적인 면모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정조의 활쏘기 기록은 12개 년(1787~1798)에 걸쳐 262건에 달하는데, 많은 건수가 ‘古風紙’라는 낱장문서이다. 고풍지는 ‘古風’이라는 왕의 활쏘기 풍습에서 생산된 문서로, 정조대에 성행하다가 급격히 사라졌다. 고풍지는 활쏘기 내역 외에도 정조가 신하에게 주는 하사품과 이를 지급한 관청의 인장, 정조의 手決(sign)이 포함된 활쏘기 현장의 생생한 현장자료이다. 이 외에도 비석이나 현판, 이를 인출한 탁본첩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다. 본고에서 시도한 정조 활쏘기 기록의 정리․분석과 문헌학적 측면의 고찰은 군사학이나 체육학 등 타 학문분야 관점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새로운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