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갑오개혁기-병합 초기(1910년대) 사립법률학교에 관한 연구

        김자중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istorical significance of Private Law Schools by considering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management status of them in 1894-191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troduction of the modern judicial system and the closing of National Law School influenced establishment of Private Law Schools during the Gabo Reform of 1894. In other words, Private Law Schools established to train judges and prosecutors in place of National Law School. Actually, several Minister of Justice established Private Law Schools. For example, Jang Bak, the Minister of Justice established ‘Private Law School’, and Gwon Jae Hyeong, the Minister of Justice established department of law in Gwangheung School after he was appointed as principal. Secondly, reform of judges and prosecutors employment system influenced establishment of Private Law Schools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In other words, Korean Empire government made employment system that appointed law school graduates as judges and prosecutors. Also, Hanseong Law School, Daedong College, Bosung College, Yangchung College tried to grow to college by raising entrance conditions and revising c​urriculum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Thirdly, several Private Law Schools was closed down by deprivation of jurisdiction and suppression of private school in 1910s. For example, Yangchung College was changed to Yangchung High School in 1913, and Daedong College was closed down in the late 1910s. In conclusion, Private Law Schools in Korea tried to grow to college, but they couldn't become college because of the Japanese Empire. 본 논문은 갑오개혁기부터 병합 초기까지 사립법률학교의 설립 배경과 운영 경과를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근대고등교육사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갑오개혁기에 사립법률학교는 근대적 사법제도의 도입, 나아가 법관양성소의 휴소(休所)라는 배경 하에서 그 사법관 양성이라는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설립됐다. 이는 현직 법부대신이 사립법률학교의 설립주체였거나 또는 법부가 사립법률학교의 운영을 조력했다는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법부대신 장박은 ‘사립법률학교’를 설립했으며 마찬가지로 법부대신 권재형은 광흥학교 교장 부임 후 동교 내에 법률전문과를 설치했다. 또한 법부는 「주판임관시험과 임명규칙」에 의거하여 광흥학교 법률전문과를 허가함으로써 그 졸업자에게 사법관시험 응시자격을 부여했다. 둘째 통감부기에 사립법률학교는 사법관 임용제도의 정비라는 배경 하에서 재차 설립됐다. 즉 이 시기에 대한제국 정부는 법률학교 졸업자를 사법관으로 임용하는 제도를 재차 제정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이를 실행했다. 기타 사립법률학교 졸업자는 변호사시험 응시자격을 부여받았으며 일반문관의 임용에도 준비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 설립된 한성법학교・대동전문학교・보성전문학교・양정의숙은 입학자격을 격상하고 이미 전문학교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었던 법관양성소를 표준으로 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함으로써 점차 전문학교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있었다. 셋째 병합 초기에 몇몇 사립법률학교는 일제의 사법권 박탈과 사립학교 탄압에 의해 폐교됐다. 즉 이 시기에 양정의숙은 양정고등보통학교로 개편됐으며 대동법률학교는 폐교됐다. 그 결과 조선에서 사립법률학교는 갑오개혁기에 근대적 사법제도의 도입이라는 하에서 설립되고 통감부기에 점차 전문학교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있었으나 병합 초기에 일제에 의해 폐교됨에 따라 전문학교로의 발전이 억제됐다. 이는 한국근대고등교육사에서 사학 특히 일반계 사학이 성장・발전하는 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인이 법학지식을 습득하는 데에도 장애요인으로서 작용했다.

      • KCI등재

        大東學會 漢文敎育 활동과 그 의도

        신재식(Jae-Sik Sh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大東學會 임원진의 대다수는 일제강점기 보수유림을 친일화하는 부역에 종사하게 된다. 그런데 그 조짐이 이미 대한제국 말기에 시작되며, 이를 파악할 단서가 그 한문교육 활동에 있다. 대동학회 임원진은 근대 법학 전문지식인 양성 사립학교인 大東專門學校를 개설 운영한다. 특기할 점은 ‘한문’을 필수 교과로 특설하고 유림 자제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는 데 있다. 대동전문학교 초대 한문강사가 작성한 한문교육 관련 작품의 모음이 바로 「學校試士雜文」이다. 이는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학교시사잡문」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한문 교과를 통해 유림 자제의 유교 이념을 강화하는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유교문화권으로 대변되는 동아시아 연대를 위한 지도층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 대동학회 임원진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뉜다. 하나는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이고, 또 하나는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이다.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의 경우 한문 중심의 교육 정책의 기반, 이른바 文以載道의 이념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漢文이라는 언어를 곧 儒道 실현의 단서’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의 경우 전통 道學의 진리 구현, 이른바 修己治人의 방식을 내면화ㆍ현실화하는 유교적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지도자의 도덕 수양을 통한 사회 교화를 곧 통치 체제 확립의 관건’으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즉 ‘유교 통치의 정당화가 곧 유림 계층의 정당화’로 귀결되는바 결국 유교 체제의 존속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보수성은 대한제국기 시대적 변화로 인한 보수유림의 위기감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학교시사잡문」의 사례는 친일 보수유림의 견해가 당대 한치유ㆍ장지연ㆍ박은식ㆍ신채호 등 개신유학자의 견해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조명할 수 있는 사례라는 점에서 근대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Great Eastern College is one of the significant activities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Curriculum Guide」, included in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Magazine』, was written by Budangnoin, an instructor at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material that can show specific facts. It will examine the details of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become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view of the ruling class and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which had a tremendous political influence at the time on education, talent, world, and politics. 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Guide」, most of it incorporated traditional education (Chinese Classics and Taoism) into the modern school system,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astern Ideas Policy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This includes formal, writing, and content education, such as ethic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beginner courses and advanced courses. This is closely related to traditional education. The beginner’s course is about learning the basics, such as improving writing and reading and learning how to study. Its goal is to secure the imperativeness in educating Chinese classics and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advanced course. The advanced course is divided into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inciples it is about Confucian proprie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ethics. It is like the stage of ascetic practice in Taoism, which intends to secure the personal ethical view of the ruling class. For applications, it is about historical lessons and social reformation. It is like the stage of practicing Taoist ideas, which intends to establish social leadership for the ruling class. Such Eastern ideas-centered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the crisis awareness of the established class, the Confucian scholars who wished to foster talented people to defend the Confucian system, the base of power.

      • KCI등재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 · 졸업생들의 국내 항일운동 - 3.1운동 참여 학생들의 이후 활동을 중심으로 -

        김상태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동국사학 Vol.67 No.-

        민족자결주의, 파리강화회의의 개최, 2.8독립선언 등에 영향을 받은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들은 3.1운동 당시 서울의 1차, 2차 시위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런데헌병, 경찰의 경계가 강화되고 학교들이 휴교에 들어가면서 3차 시위는 불가능해졌다. 이때 경성의전 학생 김범수는 전남 장성과 광주에서, 양봉근은 부산 구포에서 만세시위에 관여하였다. 이들의 활약은 3.1운동을 전국적인 독립운동, 거족적인 독립운동으로 폭발시킨 동력이 되었다. 또한 허정묵과 김상우는 일제의 식민통치의 실상과 본질, 해외 독립운동 소식 등을 담은 ‘지하신문’의 배포활동을 벌였다. 3.1운동 직후 국내에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연계된 비밀 독립운동단체들이 결성되었는데, 3.1운동에 참여하였던 경성의전 학생들도 이들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이의경은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의 편집부장을 맡아 언론활동을 벌였고, 김영철은 대동단의 인쇄물 배포를 시도하였다. 나창헌은 대한민국청년외교단과 대동단에 모두 참여하여 이강공 국외 탈출 계획에 가담하였다. 3.1운동 직후 국내에서 의열투쟁도 활발하였다. 이때 재학생 오태영은 강우규 의사의 은신과 비밀연락을 지원하였고, 졸업생 허영조는 부산에서 개원 중 의열단 단원의 요청을 받고 독립운동자금 모금활동을 벌였다. 1920년대 초반 서울에서는 학생단체 ‘조선학생대회’가 창립되었다. 경성의전 학생인 이필근, 장세구, 이강은 제2기 지도부에 참여하였고, 특히 3.1운동에 참여하였던 장세구, 이강, 이동영, 양봉근, 허정묵 등은 하기 지방순회강연단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그들은 강연에서 식민지 현실의 전반을 다루었으며, 민족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편 1921년 경성의전 학내에서 일본인 교수의 망언으로 인해 항일 학생운동이 일어났다. 이때 양봉근, 장세구, 전진극, 이동영 등 3.1운동 참여 경력의 소유자들이 동맹휴업을 주도하였다. 이 사건은 경성의전 학생들의 민족문제에 대한 고민과 사상이 심화되고, 졸업 후 의사 신분으로 민족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1920년대 후반 3.1운동 참여 경력이 있는 경성의전 졸업생, 중퇴생들은 신간회 본부 또는 지회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조선공산당의 핵심인물이 된 한위건은 신간회 창립준비위원, 신간회 간사로 활동하였다. 김탁원은 신간회 경성지회, 최경하는 목포지회, 정인철은 재령지회, 이강은 북청지회의 간부가 되어 민족연합전선을 위해, 지역사회의 현안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양봉근은 신간회 울산지회장과 신간회 본부의 검사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1931년 5월 신간회 해체 후 만보산사건과 일제의 만주침략으로 만주동포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었다. 이때 김탁원은 1932년 1월 특사로서 만주의 수용소들을 방문하여 동포들을 치료하고, 서울에 돌아와 현지의 실정을 보고하였다. 1931년 12월 의료인들과 각계각층의 지도층 인사들이 ‘보건운동사’를 설립하고 주로 농민, 노동자, 빈민들을 대상으로 보건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때 양봉근을 필두로 김탁원, 유상규 등 경성의전 졸업생들이 보건운동을 주도하였다. 결국 3.1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던 경성의전 학생들은 1919년부터 193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국내에서 전개되었던 모든 유형의 항일운동에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fluenced by nationalism, the hosting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Kyungsung Medical School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demonstrations in Seoul during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third demonstration became impossible as police and military police were on heightened alert and schools closed down. Kim Beom-soo was involved in the demonstrations in Jangseong and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and Yang Bong-geun in Gupo, Busan. Their performance contributed to the explosion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s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Some students, such as Huh Jung-mook and Kim Sang-woo, distributed “Jihangmun,” which contains the facts of Japan’s colonial rule, the essence of the 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broad. Soon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 group of secret independence activists link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formed in Korea, and students of Gyeongseongjeon joined the group. Lee Eui-kyung was the editor-in-chief of the Korean Youth Diplomatic Corps, and Kim Young-chul attempted to distribute the printed materials of the Daedongdan. Na Chang-hun joined both the Korean Youth Diplomatic Corps and the Daedongdan to participate in Lee Kang-gong’s escape plan. Right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re were also intense protests at home and abroad. Oh Tae-young supported Kang Woo-kyu’s hideout and secret contacts, and Heo Young-jo raised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request of Kang Hong-ryeol, a member of the medical troupe, while opening in Busan. In the early 1920s, a student organization called ‘Chosun Students’ was founded in Seoul. Kyungsungjeon students Lee Pil-geun, Jang Se-gu and Lee Kang participated in the second leadership, while Jang Se-gu, Lee Kang, Lee Dong-young, Yang Bong-geun and Huh Jung-mook played a great part in the local lecture group. Their lecture covered the whole of colonial reality and gave directions for our people. Meanwhile, the student movement against Japan was launched in 1921 by a Japanese professor, Gu Bo, at the Kyungsungjeon School. Yang Bong-geun, Jang Se-gu, Jun Jin-geuk and Lee Dong-young led the strike. The incident served as a chance for Gyeongseongjeon students to express their deep concern and thoughts about national issues,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national movement as doctors after graduation. Graduates of Kyungsungjeon in the late 1920s, dropouts served as new association headquarters or executive branch officials. Han Yu-gun, who became a key figure of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served as a founding preparatory committee member of the new association and a secretary of the new association. Kim Tak-won became an official of the Gyeongseong branch of the new association, Choi Kyung-ha of Mokpo branch, Jeong In-chol of the second branch of the Joseon Dynasty, and Lee Kang, a senior official of the Bukcheong branch, made efforts to resolve pending issues in the community for the national united front. Yang Bong-geun also headed the Ulsan branch of the association and the inspection committee of the new headquarters.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new association in May 1931, the Manbo Mountain incident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Manchuria made the issue of Manchuria an issue. In January 1932, Kim Tak-won visited the concentration camps in Manchuria to treat his compatriots, and returned to Seoul to report on the situation there. In December 1931, medical workers and leaders from all walks of life established ‘health activists’ and conducted health campaigns mainly for farmers, workers and the poor. With Yang Bong-geun at the center, graduates of Kyungsungjeon, including Kim Tak-won and Yoo Sang-gyu, led the health movement. Eventually, Gyeongseongjeon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y ...

      • 소창 신성모 연구:광복 전후 활동과 평가 문제 고찰을 중심으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19 대종교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역사 속에 묻힌 독립운동가이자 제1공화국기 국방장관 신성모에 대해 처음 시도한 조사 성과다. 논자는 신성모의 생애를 정확히 알기 위해 유족과의 인터뷰를 통해 잘못된 신상 정보부터 바로 잡았고, 고향 의령과 중국, 영국 행적지를 답사했다. 첫째, 신성모는 1891년 5월 26일 경남 의령에서 태어나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고, 고학을 하면서 측량학을 배워 측량기수로 활동했다. 1909년 서울 보성전문학교에 입학했고, 손병희를 통해 천도교에 입교했다. 일제강점기에 신성모의 민족 운동 행적을 살펴보면 일제의 천도교와 교육에 대한 탄압을 목격하고 1912년에 자퇴하고서 조선 해군 창설의 뜻을 품고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그는 신규식의 학비 지원을 받아 1913년 우쑹상선학교에 입학했고 난징해군군관학교로 전학 가서 졸업한 뒤 중국 해군제독을 지낸 사젠빙(薩鎭氷) 휘하의 중국 해군 소위로서 군함 승무원, 그리고 무선전신국에서 활동했다. 신성모는 1919년에 베이징에 정착했고, 1920년 12월에 안희제의 자금을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중 안동현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21년 4월 신채호가 기초한 「이승만 성토문」에 연서했고, 5월 베이징 군사통일주비회 임시정부 및 임시의정원불승인 「선언서」에 서명하고 2가지 문건을 임정에 전달하는 임무를 완수했다. 1923년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킹에드워드 7세 항해대학을 졸업했다. 일본은 재유럽한인학생들에 대해 주소를 조사했고 신성모의 거주지도 첩보자에 의해 탐지되었다. 그는 졸업 후 영국과 인도를 오가는 상선에서 선장으로서 활동했다. 신성모는 비밀결사 대동청년단에서 임시정부에 자금을 전달하는 임무, 그리고 군사통일주비회에서 활약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았고, 1993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둘째, 광복이 되어 1948년 허정(당시 교통부장관)의 추천으로 이승만의 재가를 받아 11월 2일에 인도에서 귀국한 뒤 대한청년단 단장, 내무부장관, 2대 국방부장관을 역임했다. 1951년 한국전쟁이 발발하는 와중에 국민방위군사건, 거창사건으로 인해 지휘관으로서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곧바로 주일대사로 임명되어 일본에 갔다가 다시 귀국해서 해사위원회 위원장(1952), 대한조선공사 사장(1952~1953), 해양대학교 학장(1956)에 부임해 교육에 매진했다. 그러나 신성모는 거창사건과 김구암살사건이 언론에 불거지면서 충격 끝에 1960년 5월 29일 뇌일혈로 타계했다. 그는 배척 관계에 있던 정치인과 군·경 출신자, 언론인들에 의해 매도되었다. 특히 거창사건에 대한 서민호(1903∼1974) 의원의 규탄이 실린 동아일보 기사(1951/1960), 그리고 장흥 전 헌병사령관의 김구 암살 지령자라는 유고가 실린 월간 조선 보도(1984)가 신성모의 위상에 결정적인 타격을 준 것으로 고찰되었다. 국방부장관 시절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이전까지 한미 관계에 대한 신성모의 노력과 북한·일본의 국지적 침범에 대응한 행적 역시 한번도 조명된 적이 없다. 심지어 생몰연도에 대한 기본적인 신상조사조차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향후 신성모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선입견을 배제하고 실증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근현대사와 해양사에서의 위상, 그리고 전쟁사에 있어서 다각도의 학술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he first scientific research of Shin Sung-Mo(1891~1960), who was a fighter fo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s well as the 2nd defense minister(1949~1951) in the First Republic(1948~1960) in Korea. To gather accurate information on Shin Sung-Mo, the author interviewed his bereaved family members, and made a field study to Uiryeong, his birthplace and cities in China and England that Shin lived, thus correcting inaccurate records on Shin. First, Shin Sung-Mo was born in Uiryeong-gun, Gyeongsangnam-do on May 26, 1891, brought up by his widowed mother. In this early years, He learned surveying studying and worked as a surveyor. Shin got into Boseong College in 1909 and joined Cheondogyo on the invitation of Son Byeong-heui, the founder of the religious ideology established in early 20th century. The study of Shin’s nationalistic movement for independenc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found that after witness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suppressed Cheondogyo and education for Koreans he dropped out of college in 1912 and moved to Shanghai, China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Korean Navy. Shin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Shin Gyu-sik(1879~1922), a leading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in Shanghai, a leading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and entered Wusong Merchant Marine School of China in 1913. He later transferred to Nanjing Naval Academy. After graduating, Shin became an ensign in China’s Navy under Admiral Sa Zhenbing(1859~1952) and served as a warship crew. He worked in the wireless telegraph office. Shin settled in Beijing in 1919. In December 1920, he was arrested in Antung province by the Japanese police while he delivered war chest upon request of Ahn Hee-Je(1885~1943, born in Uiryeong, Independence activist)'s funds. Afterward, he was brough into Korea and set free. In April 1921, Shin Sung-Mo cosigned the declaration of denouncement of Syngman Rhee, which Shin Chae-Ho had drafted. In Armed Force Unification Council held in Beijing in May 17, 1921, he signed the declaration to oppos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established in Shanghai, and completed the mission of delivering it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1923, Shin Sung-Mo went to London, England, and graduated from King Edward Ⅶ Nautical Colleg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collected addresses of Korean students in Europe. They found address of Shin's residence with help of spies. After graduation, he worked as a captain in a merchant ship shuttling between England and India. Shin Sung-Mo, was posthumously awarded with the National Medal of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for his contribution to the missions in 1963 based on acknolegement for his roles in delivering funds to the Korea’s Provisional Government located in China as a member of the secret society of Dae-dong Young Men’s Party and had taken an active role in the Beijing Armed Force Unification Council he was buried in Daejeon National Cemetery in 1993. Second,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s rule, he returned home from India on November 2, 1948 and was appointed as the leader of Taehan Youth Corps, Minister of Interior, and 2nd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respectively by President Syngman Rhee based on recommendation of Huh Chung(1896~1988, a Constituent Assembly legislator). In 1951, at the early stage of Korean War, as the commander, he stepped down after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National Defense Corps Incident and the Geochang Massacre. However, it was not long before he was appointed to the Korean ambassador to Japan. After returning home from Japan, he again was appointed to the high commissioner of Maritime Commission(1952), CEO of the Korea Ship building Corporation(1952~1953), and the dean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1956). Unexpectedly, Korean media revisited the Geochang Massacre and the assassination of Kim Koo and his alleged involvement to the events in 1960. Shin got shocked by wrongly placed defamation and allegation and as a result, died of cerebral hemorrhage on May 29, 1960. Shin was strongly criticized by his rivals and opponents in politics, military, police and media for his involvement to the tragic incidents in Korean history before and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a Donga Daily’s column written by Assemblyman Seo Min-ho(1903∼1974) claimed that Shin Sung-Mo was accountable for the Geochang Massacre(1951/1960) and the Monthly Chosun claimed that Shin was mastermind to order Chang heung, a former provost marshal to assassin Kim Gu(1984) A series of medial revelation dealt a blow to Shin. Until recently, no studies have never shed light on the fact that from the years when Shin served as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to before the Korean War, he made an effort to promot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 US and played leading roles in fight against North Koreans and Japanese local military provocations. Furthermore, even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f the primary information on Shin such as his birth and death date. From now on, in order to make a fair evaluation on Shin Sung-Mo, it is necessary to exclude preconceived opinions, and evaluate his standing in terms of Korean modern and comtemporary history, Korean maritime development, and Korean war on the basis of accurate facts and references from various angles.

      • KCI등재

        박한영의 독립운동가 서훈 문제

        김순석 대각사상연구원 2023 大覺思想 Vol.39 No.-

        박한영은 한말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세월 을 살다 간 불교계의 고승이다. 그는 민족사가 수난을 당하던 시기에 항일 의식이 투철하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투신하였으며, 불교계 현실을 개 혁하고자 하였던 개혁론자였으며 평생을 후학 지도에 헌신한 교육자였다. 박한영의 행적은 크게 세 가지 면으로 요약할 수 있는 데 첫째 불교계 개혁을 통한 유신운동, 둘째 교육을 통한 구국운동, 셋째 한성임시정부 참 여와 대동단 활동을 통한 항일운동 등이다. 그의 개혁운동은 한국 불교계 의 주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이었는데 이러한 노력은 임제종 설립운동과 사찰령철폐운동, 대중교화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력은 식민지 치하 에서 항일운동과 맞닿아 있었다. 박한영의 불교계 유신운동은 한말부터 일 제강점기에 반봉건·반외세를 지향하면서 일제의 종교 침략으로부터 한국 불교계의 주체성 회복을 위한 노력이었다. 박한영의 독립운동은 한성임시 정부, 대동단 활동, 「韓國人民致太平洋會議書」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모두 주체적이고 독자적인 근대 민족국가건설을 지향한 힘든 노력이었다. 박한영의 지도와 영향을 받은 후학들은 그의 독립운동 행적을 기리고자 2010년 국가보훈처에 독립유공자로 선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국가보훈 처에서는 박한영의 항일운동 행적을 심사한 결과 보류 판정을 내렸다. 그 까닭은 중일전쟁 이후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이 전개될 무렵 박한영이 중앙 앙불교전문학교 교장으로서 근로보국대장을 지냈다는 것이 결격 사유가 되었다고 한다. 국가보훈처의 이러한 결정은 나무를 보되 숲을 보지 못한 단편적인 시각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는 일제의 침략이 시작 되었던 초기부터 해방이 되는 그 순간까지 수많은 항일운동가를 키워냈으 며 그 자신이 직접 그 선봉에 섰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명하고 박한영 행적의 불교계 개혁운동과 교 육사업 그리고 독립운동을 밝히고 그 의의를 찾아봄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이 논문이 박한영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한 계 기가 되어 근현대 불교계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Park Han-young is a high priest in the Buddhist world who lived through turbulent times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modern society. He devo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a strong anti-Japanese consciousness at a time of hardship in the history of the nation. Park Han-young's career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first, the Reform movement through Buddhist group, second, the national salvation movement through education, and third, the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Hanseong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Daedongdan activities. It can be said that his Buddhist reform movement was an effor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ese efforts appeared in the form of the movement to establish the Imje Order, the movement to abolish temple ordinances, and to educate the public, which were part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Park Han-young's Buddhist Restoration Movement was an effort to restore the subjectivity of Korean Buddhist circles due to the religious agg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aiming for an anti-feudal and anti-foreign power from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Park Han-young's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Hanseong Provisional Government, the activities of the Daedongdan, and submission of the Korean People's Pacific ocean Peace Conference. All these activities were laborious efforts aimed at constructing an independent and independent modern nation-state. Park Han-young's disciples aske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o select him as a meritorious person for independence in 2010 to commemorate Park Han-young's deeds. It is said that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made a suspended decision after examining Park Han-young's anti-Japanese movements. It is said that the problem was that Park Han-young served as the head of the Central Buddhist College as the head of the labor patriotism at the time of the National Spiritual Mobilization Movem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is thesis attempts to elucidate these problems, reveal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education project, and independence movement of Park Han-young, and suggest a new alternative by finding its significance. Furthermore,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italize the research of Han-Young Park and open a new horiz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