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우재욱,변우혁,김학범,박원경,김민수,노슈하다,Woo, Jae-Wook,Byun, Woo-Hyuk,Kim, Hak-Beom,Park, Won-Kyoung,Kim, Min-Su,Norsyuhada, Norsyuhada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the issues related to converting the graveyards within forests into spaces intended for tree burials by means of planting, given the situation that the graveyards have encroached on land and damaged the environment. For the reason,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width, length, and distance to the nearest tree of 205 graveyards in the capital area.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domestic lands damaged by graveyards amounted to $862km^2$, including the areas that were deforested to manage the graves. This only confirms that land encroachment by graveyards is a serious issue. The methods for making tree burial sites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meet public demands given the graveyard's spatial distinctivenes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different methods to establish tree burial si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ransformation and the term of its formation. This study also classified the graveyards into three types, and identified the planting methods that harmonized the safe growth of trees and the scenic beauty of memorial places based on the standard. This is in order to plant trees that are shade-tolerant and suitable to the forest line, along with which other tree line was and also, to plant aesthetic trees around the empty space. Through applying the developed methods, this study established and monitored two exemplary sites in Yongin and Boryeng. Aesthetic trees were planted in Yongin site which was located in an open area, aod the shade-tolerant trees were planted in Boryeong, which was located in a forest area. As a result, the image of a garden appeared at Yongin site and the image of a tree colony harmonized with the near forest emerged at Boryeong sit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planting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status of neighboring trees was effective. As a result of monitoring, mulching wood chips were suitable for sites that were small or easy to approach. This is because the weeds were controlled in Yongin site by mulching. Furthermore, by monitoring the growth of 11 species of veget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low and cover-type vegetations were suitable for tree burial sites. In Boryeong site, the wild cherry trees, which were planted as adult trees, all died, and the tilling of snake's beard, which were planted as cover vegetation, was slow.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seedlings were more suitable to plant in forest graveyards than adult trees, which were large and difficult to approach, and it was effective to use the remaining lawn and form a low vegetation after the crown of trees had expanded to such places. 본 논문은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과 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황에서 산지묘지에 수목을 식재하여 수목장지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묘지 훼손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 9개 지역 205기의 묘지를 답사하여 묘지의 평균 가로, 세로 길이와 인접수목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묘지 관리를 위해, 수목을 제거한 면적을 포함한 전국의 묘지 훼손지 면적이 약 $862km^2$에 달해 묘지로 인한 국토 훼손 문제가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수목장지 조성방법은 국민수요 요인을 묘지 공간의 특수성에서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를 관점으로 고찰하여 전환 정도, 조성 기간에 따른 조성기법을 제시하고, 인접수목 분포에 따라 묘지 유형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인접 수목이 있는 면은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고, 인접수목이 없는 면은 경관성 위주의 수종을 식재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수목의 안정적 생장과 추모지 경관을 조화하는 식재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조성방법을 적용하여 용인과 보령에 2개소의 시범지를 조성하였다. 개활지에 위치한 용인 수목장지는 경관성 위주로 수종을 식재하였고, 숲 내부에 있는 보령 수목장지는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여 용인 수목장지는 정원과 같은 이미지를 보이고, 보령 수목장지는 숲과 조화된 수목군의 이미지를 보여 인접수목의 분포에 따른 식재기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시범지에 대한 모니터링에서는 용인 수목장지에서 목재칩 멀칭에 의해 잡초류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모습을 보여, 접근이 용이하고 면적이 작은 묘지는 멀칭을 통해 효과적으로 잡초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재된 11개 초종의 생장과정을 통해 키가 낮고 토양피복도가 높은 종이 수목장지의 지표경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령 수목장지에서는 성목 식재한 산벚나무가 모두 고사하고, 지피식생으로 식재한 맥문동의 분얼도 활발하지 못하여 접근이 어렵고, 면적이 넓은 산지묘지는 성목식재보다는 유묘식재를 하고, 잔디를 존치하고 수관이 확장한 후에 내음성 지피식생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량대(梁代) 봉칙찬묘지(奉勅撰墓誌)를 통해 본 묘지명(墓誌銘)의 정형화(定型化)-묘지(墓誌)에 등장하는 왕언문서(王言文書) 운영방식(運營方式)의 분석(分析)을 겸(兼)하여-

        양진성 중국사학회 2016 中國史硏究 Vol.105 No.-

        現存的南朝時期墓誌中, 標注爲“奉勅撰”的共有3個. 具體來說就是《梁天監元年(502)蕭融墓誌》ㆍ《梁普通元年(520)蕭敷墓誌》和《梁普通元年(520)蕭敷妻王氏墓誌》等. 通過墓誌中標注的“奉勅撰”這個詞語可了解到這些文章也就是墓誌銘是受皇帝之命而制作的. 但“奉勅撰”中的“勅”字幷非代表皇帝命令的常用的說法. 也就是說, “勅”幷非“詔勅”的簡略語. 這裏的“勅”是與“詔”所不同系統和用途的?一種王言文書. 在南朝時期, 皇帝的文書行政方面作爲體現自身的意志的手段使用了詔與勅這兩個系統的王言文書. 詔就是詔書, ?是在中書書寫原案後經門下的審核後再傳達到尙書來執行, 而其使用在全國性公告以及需要執行的“大事”方面. 而與此相反, 勅是用於面向臣僚的皇帝個人私下的囑托或意見的交換, 器物的賜與以及詩文的撰述等這些“小事”中. 此外, 其傳送過程也是不經過門下的審核或尙書的執行, 而是由中書書寫後直接被執行. 因墓誌銘的制作也屬於詩文的撰述範疇, 皇帝通過勅來命令制作墓誌銘應符合當時勅的用途. 同時, 本稿中探討的3篇墓誌銘中詔與勅是嚴格區分開來的. 因而從以上事實來看, 墓誌銘中標注的“奉勅撰”的“勅”幷非對皇帝命令的總稱, 而指的是當時行政中使用的被稱爲飭的王言文書. 也就是說“奉勅撰”指的就是皇帝通過被稱爲“勅”的王言來發出制作墓誌銘的命令. 但皇帝發出飭來命令制作墓誌銘這件事從當時墓誌銘的制作慣例方面來看是相當破格的事情. 因爲, 一般此前的墓誌銘是由與亡者有著直接或間接關系的人們自發性制作的. 更何況本稿中列擧的蕭敷夫婦的墓誌銘雖均通過飭來制作, 但蕭融夫婦中只有丈夫蕭融獨自通過勅來制作墓誌銘, 而起妻子的《王纂韶墓誌銘》却幷非如此. 蕭敷與蕭融均在死後得到王的追封, 同時蕭敷的妻王氏與蕭融的妻王氏均在生前被冊封爲太妃, 從而?們二人的地位相同. 盡管如此, 從只有蕭敷夫妻與蕭融的墓誌銘通過勅制作來看, 可知勅撰的墓誌銘幷非因規定的制度而制作, 而是根據皇帝的本意來制作的. 換而言之, 勅撰的墓誌銘是需要皇帝特別的關心和關照才可以的. 從而可知, 墓主的家人正是爲了强調這一點而在墓誌銘中添加“奉勅撰”這個詞語. 而這一處理方式自然而然地使墓誌銘形式與此前的方式有所不同. 在“奉勅撰”這個詞語前列擧了撰者的官職和姓名. 這是在此前的墓誌銘中未得到確認的敍述方式. 記錄制作墓誌銘的人的官職和姓名, 幷標注其制作是經皇帝的飭所爲是在梁代首次得以確認的. 因此, 梁的奉勅撰墓誌從起制作經過與形式來看, ?在當時是屬於想到特殊的情況. 盡管如此, 也需要關注這一類型的墓誌銘幷未隨著梁的消失一同消失. 在墓誌銘的冒頭標注文章撰寫者的方式在此後陳的墓誌銘中也得到確認. 而唐的奉勅撰墓誌的形式與用途方面也與梁的奉勅撰墓誌類似. 墓誌銘的主人公主要局限於皇室的成員, “`奉勅撰”這個詞語的標注方式(標注撰寫者的官職及姓名以後, 按奉勅撰的順序列擧)等方面梁與唐是一致的. 因而, 可推斷出梁的奉勅撰墓誌是延續到唐朝, 給唐的奉勅撰墓誌的形成帶來了一定的影響. 從這一點來看, 可認爲梁的奉勅撰墓誌對中國墓誌銘的定型化起到了重要的作用. 與此相反, 至今未發現北朝的奉勅撰墓誌. 而且也未發現在北朝時期有皇帝命令朝臣制作墓誌銘的事例, 幷且在現存的宗室諸王的墓誌中幷無與奉勅撰墓誌形式類似的墓誌. 從而, 根據至今可確認的文物和記錄可知在梁首次出現的奉勅撰墓誌是越過北朝在唐再現的. 因此, 探究南朝奉勅撰墓誌是否對北朝有直接影響以及從北朝到唐的具體繼承關系將是今後的課題.

      • KCI등재

        禰軍 묘지 연구

        李成市,정동준(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0 No.-

        2011년에 王連龍이 소개한 ?軍墓誌에 따르면, ?軍은 백제 멸망 때에 唐에 투항한 백제 고관이고, 묘지에는 그의 일족의 유래나 백제에서의 역대 활약, 唐에서의 신하로서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묘지의 발견은 도굴에 의하기 때문에 상세한 출토 경위나 소재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고, 최근에 이르기까지 묘지 자체의 실재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였다. 최신의 정보에 따르면, 묘지의 소재가 확인되었지만 현재에 이르기까지 미공개이다. 그래서 이 글은 王連龍이 논문 속에 소개한 지석 및 탁본사진에 기초하여, 묘지에 기록된 전문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역주를 전제로, ?軍의 외교활동을 중심으로 묘지에 기록된 사적을 고증하였다. ?軍墓誌는 고전적을 구사하여 작성된 난삽한 문장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軍墓誌에 관한 연구는 자의적으로 묘지의 일부를 추려내어 논의하는 경향이 있어서, ?軍의 사적이나 시대배경은 분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묘지 전문의 이해를 전제로 하면,『日本書紀』·『三國史記』등의 편찬사료에서 알려져 있었던 ?軍의 倭나 신라에의 외교활동을 뒷받침할 뿐만 아니라, ?軍의 활동시기에 唐人의 동아시아 정세 인식을 알 수 있는 귀중한 동시대자료임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묘지에 기록된 ‘日本’이어서, 지금까지 일본 국호의 최초 사례로서 주목을 모아 왔다. 그러나 ‘日本’은 ?軍墓誌속에서 ‘扶桑’?‘風谷’?‘盤桃’ 등 동방을 의미하는 어구와 함께 사용되고 있어, 그 문맥상 ‘日本’이 백제를 지칭하고 있음은 틀림없다. 일본은 동방을 지칭하는 어구와 함께 사용되고 있는 것이고, 묘지에는 동시대에 사용된 국호는 하나도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에서 묘지가 제작된 678년에 ‘日本’이 국호로서 성립되지 않았음이 판명되었다. 종래, 일본 국호의 유래를 아마테라스라는 태양신을 조상신으로 제사하는 천황가와 밀접하게 관계된다고 하는 설이 유력하였지만, 일본 국호는 그러한 고대 일본신화와는 직접적 관계가 없고, 중국의 동방을 가리키는 보통명사가 7세기 말에 국호로 전화하였음이 밝혀졌다. 묘지 속에 기록된 ?軍의 활동시기에 唐人의 동아시아 인식으로서 중요한 것은 묘지 속에 ‘백제의 잔당은 倭에 의거하여 주벌을 피하고 있었지만, 고구려의 잔당은 신라를 거점으로 하여 막는 모습이 견고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이고, 이것은『日本書紀』나『三國史記』등이 전하는 백제?고구려 멸망 후 각각의 왕족이 倭國이나 신라의 왕권에 의해 책봉된 사실과 부합하고 있어서, 말하자면 제3자인 唐側의 동시대인식이 묘지에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서 주목된다.

      • KCI등재

        정약용의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에 대한 문학치료적 고찰

        이주영 ( Lee Joo-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4 No.-

        이 연구는 다산 정약용의 `자찬묘지명` 두 편을 중심으로, 서사적 정체성의 복원을 통한 문학치료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산문인 지(誌)와 운문인 명(銘)으로 구성되는 묘지명은 죽은 자의 일생과 행적을 전하는 한문 양식으로, 동아시아 자전 문학으로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다. 그 중에서 자찬묘지명은 자신의 묘지명을 생전에 직접 쓴 경우를 가리킨다. 본고는 `나를 말하는 글쓰기`로서 자찬묘지명이 지니는 속성과 정약용의 `자찬묘지명` 두 편이 보이는 특수성에 주목하여, 자기 스스로 자신의 묘지명을 서술하는 행위가 지니는 문학치료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정약용은 무덤에 함께 매장하기 위한 광중본(壙中本)과 문집에 수록하기 위한 집중본(集中本), 도합 두 편의 자찬묘지명을 지었다. 이 중 집중본은 양적 방대함, 군왕인 정조와의 일화가 차지하는 비중, 정약용 자신의 저작을 정리한 부분의 비중, 천주교와의 관계에 대한 서술의 변화 면에서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들은 결국 자신에 대한 기억으로서 영원히 고정될 자신의 이미지를 구성하려는 저자의 의도와 관련된다고 여겨진다. 즉, 정약용은 자찬묘지명의 방대한 서사와 요약적인 명(銘)을 통해, `성실한 유자(儒者), 군왕의 총신(寵臣), 정치적 모함의 피해자`라는 정체성 혹은 에토스 (ethos)를 구성하려 한 것이다. 정약용의 자찬묘지명은 자기 역사의 재구성, 사회적 에토스의 구성, 공감의 시간성 확보를 통해 자신의 서사적 정체성을 복원함으로써 침해당하고 손상된 자신의 생애를 스스로 치유하려는 노력이라는 관점에서 고찰될 수 있다. `나를 말하는 글쓰기`로서 자찬묘지명은 외적으로는 언어를 통해 구성한 자신의 에토스를 타인에게 전개하고 내적으로는 자기 반성과 더불어 자기 치유를 꾀한다. 이렇게 볼 때 정약용의 자찬묘지명은 `나를 말하는 글쓰기`의 치유 효과, 특히 자기 에토스 구성하기가 지니는 문학치료적 효용의 관점에서 고찰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through restoration of narrative identity,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wo `self-written epitaphs`. The epitaph consisting of descriptions(Ji, 誌) as proses and carvings(Myong, 銘) as verses is written in Chinese and conveys the entire life and courses of the dead. This has a long tradition a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East Asia. Especially, the self-written epitaph is written by him or her during lifetime.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literary therapeutic meaning of the act to describe the epitaphs on his own, by putting stress on the attributes of the self-written epitaph as `writing talking about myself`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Jeong Yak-yong`s two `self-written epitaphs`. Jeong Yak-yong made two self-written epitaphs; Gwangjoongbon(壙中本) to bury in his grave together and Jipjoongbon(集中本) to include in his collection of works. Here, Jipjoongbon is quantitatively massive and shows unusual aspects in the context of the proportion of anecdotes about King Jeongjo, the proportion of the collection of his own writings and the change of descriptio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Catholic Church. It is consider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the writer`s intention to create his own image to remain forever, as a memory about himself. In other words, Jeong Yak-yong attempted to reveal identity or ethos, as a `sincere scholar(儒者), favorite(寵臣) of the king and victim of political slander`, based on the massive descriptions and condensed carvings of the self-written epitaphs. In conclusion, Jeong Yak-yong`s self-written epitaphs can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ort to restore his narrative identity and heal his violated and damaged life himself by reorganizing his history, creating social ethos and acquiring temporality of sympathy. As `writing talking about myself`, self-written epitaph conveys ethos, which was created through language, to others, externally and promotes self-reflection and self-healing, internally. In this respect, Jeong Yak-yong`s self-written epitaphs need to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healing effect of `writing talking about myself`, especially, the literary therapeutic effect of ethos constructing.

      • KCI등재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김병인,이현정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8 No.-

        Existing studies related to Koryo women have quoted partly descriptions in epitaphs. This study is to compile and analyze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in detail to understand the social view of womanhood and women's practical life at that time. Chapter Ⅱ consists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epitaphs on men and women. Epitaphs on men tend to emphasize their personal contributions during their life, with less mentioning their wife, while those of women tend to deal with women's dedicated effort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centering around household affair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records on their husband in women's epitaphs are much more than those in men's, accordingly which indicates that the epitaphs in the Kyoro Dynasty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men in comparison with women. The contents of women in epitaphs can be classified as four types; Fidelity, Filial duty, Assisting husband and Education of children. Fidelity was understood differently in the concep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Fidelity in Buddhism means that during women's life, but fidelity in Confucianism includes that after women's death.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pitaphs on women emphasized the fidelity after death, which means that they reflected Confucian idea on the view of womanhood rather than Buddhistic one. Such a fact clearly shows that the Koryo Dynasty promoted Confucian idea in its national policy for women and the epitaphs on women are also a proof of the Confucian background. Chapter Ⅲ studies daily life of women in the Koryo Dynasty in the respect of "women's labour" and "womanly virtu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women who had epitaphs supported their household economy by weaving by hand, respected parents-in-law, and sacrificed themselves to their husband and children. This study on epitaphs in the Koryo Dynasty has meaningful value as a historic material in that it shows social conditions in a certain area at that time. This analysis of epitaphs related to women indicates that the cases studied have Confucian idea, which can surely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women in the Koryo Dynasty. 기존의 고려시대 여성관련 연구에서 묘지명의 내용은 단편적으로 인용되는 정도에 머물러 왔다. 이에 필자는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묘지명의 형식과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보고, 그러한 관념 하에서 살아간 여성의 구체적 삶의 양상을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남성과 여성 묘지명의 구성과 내용을 비교·검토하여 묘지명에 드러난 여성관을 살펴본 결과, 남성 묘지명의 경우 남성 개인의 공적을 강조하고 있으며, 부인에 대한 내용은 비중이 크지 않았다. 반면 여성 묘지명에는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남편이나 자식들을 출세시키는데 헌신한 모습 등이 주로 기술되었다. 그리고 남성 묘지명에 기술된 부인 관련 내용보다 여성 묘지명에 기술된 남편 관련 기록의 비중이 더 컸다. 이는 고려시대 묘지명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존재를 더 부각시켜 기술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성 묘지명의 기술 내용은 주로 정절, 효, 남편내조, 자녀교육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정절의 경우 불교에서는 생전의 정절을 이야기하는 반면, 유교는 사후의 정절까지도 강조하는 등 개념의 차이를 보였다. 고려시대 여성 묘지명에서 상당수가 사후의 정절까지 강조한 것으로 보아 불교보다는 유교적 여성관이 강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Ⅲ장에서는 ‘女工’과 ‘婦德’을 통해 여성의 생활모습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묘지명을 갖고 있는 여성들은 길쌈을 통해 경제적인 기반을 갖추어 가정 살림을 꾸렸으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편과 자식의 출세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묘지명 분석을 통하여 얻은 특이한 점은 고려시대 여성들이 불교보다는 유교적 지향 속에서 생활하였으며 그 범주 내에서 평가받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중국 묘지명의 변천과 문체 확립

        남종진 ( Nam Jongjin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8 동방학 Vol.38 No.-

        이 글은 중국에서 묘지명(墓誌銘)이 언제 어떻게 생겨났으며 또 그 문체적 안정성을 갖추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묘지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송나라 이래로 여러 기록이 있지만 대개 사실관계를 고증할 수 없고 또 그대로 신뢰하기도 어렵다. 오히려 묘전(墓磚), 와편(瓦片), 신좌(神坐), 곽명(槨銘), 묘기(墓記) 등의 부장품에 대상 인물의 신원기록이 있는 자료를 활용하면 묘지명의 성립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여러 견해가 있으나 현존 자료 가운데는 후한 때의 <가무중처마강묘기(賈武仲妻馬姜墓記)>가 후대 묘지명의 격식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 이후 묘지명이 확산되고 정착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위(魏), 진(晉) 시기에 몇 차례 묘비(墓碑) 사용을 금지하고 또 사회 혼란에 편승한 잦은 도굴 때문에 사람들이 묘비 대신 묘지를 사용하면서 묘지명의 사용이 늘어났다. 하지만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묘지명의 명칭, 묘지석의 형태, 기술의 범위, 행문의 격식은 여전히 불안정하였는데, 남북조시대에 이르자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특히 북조의 후위, 북제, 북주에 이르러 묘지명 사용이 확산되면서 괄목할만한 변화가 생겼다. 5세기 중반에는 ‘묘지’ 또는 ‘묘지명’이라는 말이 제목에 널리 사용되었고, 또 기본적으로 정방형의 묘지석을 사용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아울러 묘지명에 기술하는 내용도 확대되어 신원 사항, 이력 사항, 상장(喪葬) 관계를 두루 기록하게 되었고, 또 ‘지(誌)’와 ‘명(銘)’을 나란히 운용하여 인물의 신원과 행적을 기록하는 한편 인물에 대한 송찬을 말미에 덧붙임으로써 명실상부한 묘지명의 행문 격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This paper was reviewed two issues; One is the origin of Chinese traditional buried epitaph, and the other one is the stylistic establishment of buried epitaph. About the origin of Chinese traditional buried epitaph, we already have many old records, but we can not ascertain historical facts. However, if based on archaeological remains is to find a more clear evidence. Looking based on archaeological remains, the Chinese traditional buried epitaph had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mid period of Eastern Han dynasty, and it was beginning from < Ma Jang, the wife of Jia Wuzhong's buried epitaph > written in A.D.205. Therefore, Chinese buried epitaph has a history of two thousand years. But it thereafter took a lot of time to settled. In the Wei-Jin dynasty, owing to prohibit the establishment of a gravestone, more and more people were used a tombstone inscription instead of an buried epitaph. But the title, type, scope and the extent and type of record were still not stable. At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situation was changed. Especially, at the Later Wei, Northern Ji and Northern Zhou dynasty, the buried epitaph became widely used, and was recorded all the problem of dead person's identity, history and funeral.

      • KCI등재

        漢代 墓地 祠堂과 墓室 圖像의 關係 硏究

        신리샹(信立祥),소현숙(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7 美術史論壇 Vol.- No.24

        한대의 지하 묘실과 여기에 소속된 묘지 사당은 서로 표리를 이루는 한 쌍의 상장건축이다. 두 건축물은 모두 '前堂後寢'의 원칙에 의해 건립된 현실의 주택을 모방하여 축조됐다. 그러므로 대형의 다실묘기 그 안에 비록 '堂'이라는 공간을 가지고 있었지만, 묘지 사당이야말로 전체적인 묘역의 '堂'에 해당한다. 이처럼 '堂寢'관계를 가진 두 건축물의 관계는 두 건축물에 표현된 도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즉 묘지 사당과 지하 묘실은 각각 자신만의 특징을 기진 도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나아가 도상을 통해 그들의 '堂寢'관계를 드러내기도 한 것이다. 묘지 사당에 출현하는 도상은 종묘 벽화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묘지 사당의 도상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祠堂의 주인[祠主]이 제사를 받는 장면으로서, 후벽의 중장에 배치된다. 그리고 신들의 세계를 표현한 천상세계, 선인세계, 현실의 인간세계의 도상은 각각 사당의 천장, 양 측벽 상부와 중부에 표현된다. 귀신들이 거주하는 지하세계에서 사주가 출행하는 모습을 표현한 거마출행도는 세 벽의 가장 하단에 묘사되어, 후벽 중앙의 사주가 제사를 받는 그림과 함께 사당의 중심화면을 형성한다. 지하 묘실의 도상은 목곽묘의 帛畵와 漆棺畵에서 유래하며, 또한 종묘와 사당에 출현하는 도상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후실 도상은 묘주가 지하에서 생활하는 내용을 주로 표현했으며, 중실과 전실의 도상은 묘지 사당의 도상과 아주 유사하다. 즉 천장에는 천상세계를 표현한 도상을, 문기둥과 중실 등에 세워진 단독 기둥의 상부에는 선인세계를 묘사한 도상을, 그리고 벽면에는 현실의 인간세계를 표현한 도상이 배치됐다. 묘주가 묘지 사당에 이르러 자손들의 제사를 받는 장면을 그린 묘주의 거마출행도는 수평들보와 묘문의 문액처럼 높은 위치에 그려졌다. 지하 묘실 도상과 묘지 사당 도상의 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사주의 거마출행도와 묘주의 출행도이다. 두 도상 모두 사자가 자손들의 제사를 받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나아가는 것을 표현한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그 도상이 표현되는 위치는 두 건축물이 가지는 상징성에 따라 달라졌다. 즉 전자는 사주가 낮은 곳에 위치한 지하세계로부터 나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당 세 벽의 가장 하단에 묘사했으며, 후자는 묘주가 지하 묘실보다 한층 높은 곳에 위치한 묘지 사당에 가는 것을 묘사하기 위해 지하 묘실의 중실과 전실의 상부 공간, 즉 수평들보와 묘문의 문액에 표현했다. 그러나 우리가 두 상장건축 도상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 즉 제사와 관련된 거마출행도 이외에도 두 공간에는 死者가 생전에 역임한 관직경력을 나열한 거마출행도가 출현하는데, 이는 전자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양자를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Han-dynasty underground burial chambers and shrines attached to them are paired structures that are coordinat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style. Both structures follow the classical layout of residential buildings, whereby social spaces are on the front, and private spaces in retreat, at the rear. Meanwhile, the shrine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social space of the overall structure, even if the multi-room tomb comes with its own hall. This public versus priv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ructures also had an influence on the images decorating their walls. Images painted on the walls of the shrine and the underground burial chamber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a manner which expresses the public-private dichotomy constituted by the two structures. Images found on tomb shrines are primarily influenced by murals in ancestral shrines of royal familie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fs in tomb shrine murals is the image of the owner of the shrine depicted as presiding over the memorial service in his or her honor. This scene is generally placed at the center of the rear wall. Then. there are scenes representing divine realms like the heavens and the sages' world, and the mundane world, which occupy the ceiling and the upper and middle section of the side walls, respectively. The image depicting the scene of the shrine's owner leaving for the underworld in a horse carriage, to join the spirits, is usually placed across the three walls, running through their bottom sections. This scene, along with that of the dead presiding over his or her own memorial service, makes up the focal point of me mural presentation at a tomb shrine. Images found on the walls of Han-dynasty underground burial chambers, while mostly originating from silk-cloth paintings and coffin paintings of wood chamber tombs, are also influenced by mural paintings of royal ancestral shrines as well as general shrines. Paintings on the walls of the rear room most often depict the scenes from the life of the dead in the underworld, whereas images on the walls of the middle and front rooms are very similar to those found at the tomb shrine. In other words, heavenly scenes cover the ceiling, and the images of sages adorn the door frames and the upper section of the single column at the middle room. Finally, the walls of the middle room show scenes from the human world. The scene of the arrival of the tomb's owner riding on a horse carriage to attend the memorial service by his descendants is placed high on the wail, either on a horizontal beam below the ceiling or above the door frame of the entrance to the tomb. The details that are most indica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of the underground burial chamber and those at the tomb shrine are the positions of the scenes of the arrival of the deceased. while these two paintings are similar in that both depict the dead arriving at the memorial service site, their locations assign different symbolic values to them. While one is placed at the bottom sections of the three walls of the shrine, thus suggesting that the departed one is emerging from the underworld, the other is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walls of the front and middle rooms of the burial chamber, namely, on the horizontal beam and above the door frame, to indicate that the deceased is now heading toward the shrine, which is located at a level above the burial chamber. One important distinction needs to be made, however, when examining m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s in these two paired structures. Not all scenes featuring the deceased on a horse carriage relate to his arrival at the memorial service. Both burial chambers and attached shrines contain mural paintings related to public offices held by me deceased during his lifetime, frequently depicting him riding on a horse carriage. These paintings do not have the same symbolical meanings as those related to the arrival of the deceased at me memorial service, on which this

      • KCI등재

        墓誌銘 자료를 통해 본 고려후기 官人의 생애 : 金?(1248~1301)의 사례

        李益柱(Lee Ik-joo)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3

        묘지명이란 사람이 죽었을 때, 그의 이름과 가족관계, 경력 등을 기록하여 함께 매장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까지 고려시대의 묘지명은 모두 322개가 발견되었으며, 이것들은 역사 연구에서 귀중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수가 너무 적어 아직까지는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묘지명의 기록을 이용하여 고려시대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나 평균 결혼연령 등을 통계적으로 조사한 연구도 있지만, 표본의 수가 너무 적기 때문에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 지금으로서는 각각의 묘지명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주인공 개개인의 생애를 구체적으로 복원하는 사례 연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서로 관계가 있는 사람들의 묘지명을 연결하여 자료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개별 묘지명을 분석할 때보다 더 많은 자료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시대 묘지명 가운데 金?의 墓誌銘과 그의 처 허씨의 묘지명, 김변의 아들 金倫의 墓誌銘과 그의 처 최씨의 묘지명, 김륜의 딸 김씨의 묘지명과 그녀의 남편인 閔思平의 墓誌銘 등 6개 묘지명이 주목된다. 김변과 김륜, 그리고 민사평 처 김씨 등 3대의 부부 묘지명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의 묘지명이 이처럼 집중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드물다. 이 논문은 이 6개의 묘지명을 이용하여 김변의 일상적인 생애를 복원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김변이 살아가는 동안 관계를 맺고 있었던 친인척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려시대의 친족관계망이 兩側的 親屬(bilateral kindred)으로 구성되었던 점에 주목하여, 당시 양측적 친속관계를 법제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相避制의 규정을 기준으로 김변의 친인척을 조사한 결과 本族 40명(納足 36명, 外族 4명), 妻族 30명 등 모두 70명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과의 관계에 유의하면서 김변의 생애를 (1) 出生과 成長, (2) 出仕와 結婚, (3) 出産과 出世 등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4) 자녀들의 혼인 상황과 사망 당시의 家勢를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족재구성(Family Reconstruction)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김변과 관련된 각종 자료들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미시사의 방법론을 이용하여 고려 후기의 평범한 관인이었던 김변의 일상적인 생활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친인척 이외에 일상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친구들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했고, 김변의 외형적인 삶을 재구성하였을 뿐 내면의 의식시계에는 접근하지 못하였다. 이는 묘지명 자료의 한계 때문으로, 앞으로는 개인 문집을 남기고 있는 고려 말의 인물들에 대해서 친인척관계와 교우관계를 모두 포함하는 인간 관계망(human network)을 구축하고, 그 안에서 개인의 일상적인 삶과 생각을 복원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공동묘지(共同墓地)로의 산책-심연수, 유치환의 시에 재현된 하얼빈 소재 외국인 공동묘지 이미지를 중심으로-

        조은주 만주학회 2014 만주연구 Vol.- No.18

        This paper examines two works of poem, Shim Yeonsu’s ‘Roin-gongdongmyoji(a cemetery for Russians)’ and Yu Chihwan’s ‘Ukraine Temple’, analyzes why the poets chose the theme of a park-like cemetery, and explores the literary essence of the poem and its meaning. These two works portray a cemetery for Russians and a Ukraine temple within a cemetery for Ukraine located in Nangang District of Harbin in China, and have received attention for reproduction of a cemetery. During the 1920s and 30s, cities grew rapidly in Japan and Chosun, and efforts were made to beautify graveyards to look like a park. In ‘Myoji-hwajang-maejanggup-hwajang-chuichegyuchik(墓地火葬埋葬及火葬取締規則)’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12, cemeteries were described as filthy and dangerous. However, soon after, new discourses were formed to view them as a scenic place. Not surprisingly, cemeteries were included in the itinerary of Manchuria tour which became very popular in the 1930s. Still, official tour routes of Chosun and Manchuria, travel guides, and the itinerary of school excursions in Manchuria show that only a limited part of park-like cemeteries were visited during the tour. As a tour destination, most of the cemeteries were empty graves, that is, a war memorial or a place to commemorate war veterans. In this context, the two poem that described cemeteries in Manchuria that are not related to war or battlefield are noteworthy. These cemeteries were not seen as a ‘tour site’ from the perspective of an empire, but portrayed from a viewpoint of an ‘intellectual’ of the colonized country, keeping a distance from the object. The dark side of the splendid metropolis, Harbin, is revealed in cemeteries for Russians(Shim Yeonsu) and Ukraine(Yu Chihwan). A White Russian beggar that pays respect at a tour site of an empire, and Ukraine people who are sacrificed in a foreign country expose the folly of the Manchuria ideology. These are people of minority repressed under colonial capitalism, who were deprived of their home country and ruined. The two poets portray cemeteries at the center of Harbin and invite readers to think about how to truly rebuild a community, and what is the genuine meaning of a ‘country’ as a resting place for the soul. 이 글은 ‘공동묘지’를 중심제재로 삼은 심연수의 시 「露人共同墓地」, 유치환의 시 「우크라이나 寺院」에 내재된 문학적 정신과 의미를 구명한 것이다.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하얼빈 남강구(南崗區)에 위치한 러인공동묘지와 우크라이나 사원(우크라이나인 공동묘지 內)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공동묘지’의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되었다. 1920-30년대 일본과 조선에서는 도시의 급속한 팽창으로 공동묘지의 공원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의 <墓地火葬埋葬及火葬取締規則>에서 더럽고 위험한 공간으로 규정되었던 묘지는 아름다운 공간으로 담론화되기 시작했다. 1930년대 붐을 이루었던 만주 관광 코스에 ‘묘지’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공원묘지’로서의 ‘묘지’는 매우 제한적 코스였다. 관광의 대상으로서의 ‘묘지’는 대부분 빈 무덤들, 즉 전쟁 유적지와 전사자를 위한 참배지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만주 관광에서 전적지의 묘지가 아닌 공동묘지를 재현한 장면에서는 특별한 시선이 읽힌다. 공동묘지를 바라볼 때 제국의 시선을 내면화한 ‘관광자’로서가 주체가 아닌,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피식민지 지식인 주체로서의 시선을 보여준 것이다. 화려한 국제도시로 부상되었던 도시 하얼빈(哈爾賓)의 어두운 이면은 러인공동묘지(심연수)와 우크라이나인 공동묘지(유치환)에서 폭로된다. 거지로 전락해 제국의 관광자에서 경예를 표하는 백계러인(白系露人), 타국에서 온갖 박해를 받으며 희생된 우크라이나인 등은 민족협화(民族協和), 왕도주의(王道主義)라는 만주국 지배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정확히 진단한다. 두 민족은 제국주의와 식민 자본주의의 타자이자 나라를 잃고 몰락한 소수민족을 표상한다. 심연수와 유치환은 하얼빈 중심가에 위치한 두 민족의 공동묘지를 형상화함으로써 “정신의 안주지”로서의 진정한 공동체 재건의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 KCI등재

        고구려 유민 高慈 墓誌에 대한 몇 가지 문제

        권덕영(Kwon, Deok-Young)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2

        高慈墓誌는 1917년 洛陽 邙山에서 출토되었다. 그후 언제인가 羅振玉이 그것을 求得하여 그가 죽은 1940년까지 요령성 旅順의 大雲書庫에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5년 8월 일본의 패망으로 소련군이 여순에 진주하여 대운서고를 징발함으로써 고자묘지를 비롯한 그곳의 유물과 전적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망실되었다. 그후 중국 인민정부는 일부 온전하게 남은 자료와 앞서 반출된 유물을 회수하여 요령성도서관, 요령성박물관, 대련도서관, 여순박물관 등에 넘겼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이들 기관에 소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고자묘지에는 지문의 지은이와 글쓴이가 누구인지 밝히지 않았다. 고자는 아버지인 高質과 함께 만세통천 2년(697)에 磨米城에서 전사하여 성력 3년 같은 달 같은 날에 洛州 合宮縣 平樂鄕에 나란히 묻혔다. 그런데 고자묘지의 글씨는 고질묘지의 글씨와 매우 흡사하다. 특히 글쓴이의 글자 사용성향을 잘 보여주는 異體字를 비교해보면, 두 묘지는 최소 98.2% 최대 100%가 겹칠 뿐더러 글씨체도 완전히 일치한다. 따라서 두 묘지는 동일인이 쓴 것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고자묘지는 고질묘지를 쓴 劉從一이 썼다고 하겠다. 고자는 성력 3년 臘月 17일 洛州 合宮縣 平樂鄕에 묻혔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이즈음 제작되었을 터인데, 종전에는 모두 “성력 3년 臘月 17일”을 서기 700년 12월 17일로 이해하였다. 성력은 697년 11월 1일부터 700년 5월 4일까지 사용된 측천무후 치세의 연호이다. 측천무후는 載初 원년(690)부터 역법을 周曆으로 바꾸어, 11월을 正月로 하고 12월을 臘月, 종전의 정월을 1월이라 하였다. 성력은 바로 주력을 사용하던 시기였으므로 성력 3년 臘月은 699년 12월에 해당한다. 따라서 고자묘지는 서기 699년 12월경에 만들어졌다고 하겠다. The Epitaph of Goja(高慈墓誌) was excavated from Luoyang(洛陽) Mangshan Mountain in 1917. After that, Luozhenyu(羅振玉) collected and kept it his study in Lushun(旅順) Liaoning Province(遼寧 省) until his death in 1940. However, after the defeat of Japan in August 1945, the Soviet army captured Lushun and requisitioned his study, leaving the Epitaph of Goja and other relics and records scattered and lost. Afterwards, the Chinese People’s Government collected some intact materials and previously taken out artifacts and handed them over to Liaoning Province library, Liaoning Province museum, Lushun museum, and Daren library. Therefore, the possibility cannot be ruled out that the Epitaph of Goja is housed in these institutions. It did not reveal who the author and writer of the Epitaph of Goja were. Goja and his father Gojil(高質) were killed in the battle of Mamisung(磨米城) in 697 and buried in the same place on the same day. However, the handwriting of Epitaph of Goja is very similar to that of Epitaph of Gojil. In particular, when comparing the different styles that show the writer’s tendency to use letters, the two epitaphs not only overlap at least 98.2% but also completely match the handwriting. Then Liucongyi(劉從一), who wrote the Epitaph of Gojil, wrote the Epitaph of Goja. Goja was buried in Luoyang Mangshan Mountain in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성력), so his epitaph must have been built around this time. However, it was previously understood that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 were December 700 AD. However, December the third year of Sungreok was December 699 A.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pitaph of Goja was made around December 699 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