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몽주(鄭夢周)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하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4 No.-

        한국의 한시사에서 고려후기는 당시풍(唐詩風)과 송시풍(宋詩風)이 공존하던 시기였다. 대부분의 시인들은 당풍(唐風)과 송풍(宋風)을 넘나들며 시를 지었다. 당시풍의 경우에는 신라 하대(新羅下代) 이후로 이미 국초(國初)부터 이어져온 만당풍(晩唐風)의 유미적(唯美的)인 시풍에 더하여 이백(李白)과 두보(杜甫)를 중심으로 하는 성당시(盛唐詩)와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같은 자연시 계열의 시풍도 혼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당시풍 경향을 보인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정포(鄭誧), 정몽주(鄭夢周), 이숭인(李崇仁), 김구용(金九容) 등을 꼽을 수 있다. 역대 시화집에서는 대체로 포은시의 주요한 특징으로 당풍(唐風)을 언급하고 있다. 당시는 시인의 감정과 감수성을 강조하기에 시가 매우 감각적이며 문학성이 뛰어난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포은시 역시 이같은 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포은시에 나타난 당풍적 요소를 (1) 인생의 절망적 상처와 아픔을 노래한 애수(哀愁)에 찬 시, (2)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감각을 사용하여 시인의 섬세한 감정을 다룬 시, (3) 변방(邊方)과 전장(戰場)의 고즈넉함과 쓸쓸함을 다룬 변새시(邊塞詩)풍의 시, (4) 여인의 아름다움을 제재로 하여 읊은 염정풍(艶情風)의 시, (5) 음악성을 강조한 악부체(樂府體) 시 등의 다섯 가지로 나눠서 그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호방(豪放)’하다고 평가되는 포은시의 품격(品格)도 그 내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당풍적인 면모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포은과 동시대를 살았던 시인들 중에 도은(陶隱) 이숭인과 척약재(惕若齋) 김구용의 시에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 나타난다. 특히 이들이 포은과 밀접한 교유관계를 맺고 서로 많은 시를 주고받았음을 생각할 때, 이들의 시에서 나타나는 당풍적 성격은 단순한 개인적 취향이 아니라 문단의 하나의 흐름이요 유행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14세기 고려 시단에서 포은, 도은, 척약재가 주도했던 당시풍 시의 창작 경향은 그 후 조선조의 시인들에게 계승되었고, 결과적으로 우리 한시사에서 당풍 한시 창작의 전개와 흐름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is the time when there were both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So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Most of poets of the time wrote poems under the influence of both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Song’s poetical style The Tang’s poetical style includes different kinds of poetical styles such as aesthetic poems written in the Late Tang`s Poetical style, Sungdang-poem(盛唐詩) most written by Li Po(李白), Tu Fu(杜甫) and poems about nature most written by Wang Wei(王維)· Meng Haojan(孟浩然). The representative poets writing poems in the Tang’s poetical style are Jung Po(鄭誧), Jeong Mong-ju(鄭夢周), Lee Sung-in(李崇仁), Kim Gu-young(金九容). The anthologies of all time refer to the characteristic of Poeun’s poetry as the Tang’s poetical style. Poeun’s poetry is so sensuous and excellent in literary valu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ang’s poetical style. The Tang’s poetical style appeared in Poeun’s poetry is divided into five requisites ; (1) poems about the pathos of sorrows of life (2) poems about his own delicate feelings of poet expressed through aural and visual images (3) poems about the lonely and quiet life on the border area and battlefield (4) poems about the longing for woman’s beauty (5) poems emphasizing musicality. In this thesis, I look at those five requisites. It turns out that the dignity of Poeun’s poetry appraised as ‘grandeur(豪放)’ is relevant to the Tang’s poetical style. In Korean traditional literary history, the poems of the age written by Lee Sung-in and Kim Ku-yong have a similar style. These three poets had mutual close exchange of opinions. That is why the Tang’s poetical style appeared in their poetry was the trend of the literary world in 14th century. This tendency of creation passed down to the poets of the Chosun Dynasty. Finally it greatly influenced creation of Chinese poetry written in the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nese poetry.

      • KCI등재

        청련(靑蓮) 이후백(李後白)의 당시풍(唐詩風) 수용(受容) 양상(樣相) 고찰(考察) -절구(絶句)의 시어(詩語)와 소재분석(素材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Soung Hyung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9 No.1

        本稿는 靑蓮李後白(1520~1578)의 絶句에 활용된 詩語와 素材分析을 중심으로 唐詩風의 受容樣相에 대하여 考察하였다. 청련 唐詩風의 외적 특징을 살펴보면 대우의 美感에 관심과 特長이 있어, 17수의 절구에서 대우가 활용되었고, 詩語의 경우 抒情과 敍景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 빈도가 높았다. 특히 ‘淸’한 풍격의 작품 구성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빈도가 높았다. 청련은 매화 같은 경물도 고향의 표상으로 제한하여 인식하였고, 풍경시는 淸新한 시어와 색감의 대조를 통해서 ‘淸奇’한 풍격의 작품세계를 구현했다. 또한 ‘閨怨’이나, 조선의 전설 및 지명도 과감하게 작품화하였다. 청련의 당시풍은 절구시에 잘 구현되었고, 당시풍의 서정적 意境을 구현하였지만, 지나친 대우의 활용이나 唐詩의 模擬에 머문 한계가 있다. 그러나 思庵朴淳과 더불어 學唐의 선구자로서 청련의 위상은 재조명 받아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cceptance of Tang(唐) poetical styl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oetic diction and materials that were used in Jeolgu(絶句) of Cheonglyeon(靑蓮) Lee Hu-Baek(李後白, 1520~1578). On external characteristics of Cheonglyeon(靑蓮) Tang(唐) poetical style, he had an interest in an aesthetic sense of contraposition and showed a strong feature in it. Therefore, contraposition was used in 17 Su(首) of Jeolgu(絶句), and poetic diction suitable for lyrics and scenery were frequently used. In particular, poetic diction proper for ‘clear[淸]’ style of work composition was frequently used. Cheonglyeon(靑蓮) perceived the scenery of the season such as Japanese apricot flower as a representation of home. In a scenery poem, he realized a ‘clear and unique[淸奇]’ style of literary world by making a contrast between clear and fresh poetic diction and the impression of colors. Moreover, ‘Gyuwon(閨怨)’, or legends and names of location of Joseon were boldly made into works. Tang(唐) poetical style of Cheonglyeon(靑蓮) was greatly realized in Jeolgu(絶句), and lyrical mood and view of Tang(唐) poetical style was realized as well. However, contrastposition was overly used and his poems remained as a simulation of Tang(唐) poems. Nevertheless, status of Cheonglyeon(靑蓮) needs to be shed new light on as a pioneer in learning Tang(唐) along with Saam(思庵) Park Soon(朴淳).

      • KCI등재

        靑蓮 李後白의 唐詩風 受容 樣相 考察 - 絶句의 詩語와 素材 分析을 中心으로

        이성형 한국한문고전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9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cceptance of Tang(唐) poetical styl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oetic diction and materials that were used in Jeolgu(絶句) of Cheonglyeon(靑蓮) Lee Hu-Baek(李後白, 1520~1578). On external characteristics of Cheonglyeon(靑蓮) Tang(唐) poetical style, he had an interest in an aesthetic sense of contraposition and showed a strong feature in it. Therefore, contraposition was used in 17 Su(首) of Jeolgu(絶句), and poetic diction suitable for lyrics and scenery were frequently used. In particular, poetic diction proper for ‘clear[淸]’ style of work composition was frequently used. Cheonglyeon(靑蓮) perceived the scenery of the season such as Japanese apricot flower as a representation of home. In a scenery poem, he realized a ‘clear and unique[淸奇]’ style of literary world by making a contrast between clear and fresh poetic diction and the impression of colors. Moreover, ‘Gyuwon(閨怨)’, or legends and names of location of Joseon were boldly made into works. Tang(唐) poetical style of Cheonglyeon(靑蓮) was greatly realized in Jeolgu(絶句), and lyrical mood and view of Tang(唐) poetical style was realized as well. However, contrastposition was overly used and his poems remained as a simulation of Tang(唐) poems. Nevertheless, status of Cheonglyeon(靑蓮) needs to be shed new light on as a pioneer in learning Tang(唐) along with Saam(思庵) Park Soon(朴淳). 本稿는 靑蓮 李後白(1520~1578)의 絶句에 활용된 詩語와 素材 分析을 중심으로 唐詩風의 受容 樣相에 대하여 考察하였다. 청련 唐詩風의 외적 특징을 살펴보면 대우의 美感에 관심과 特長이 있어, 17수의 절구에서 대우가 활용되었고, 詩語의 경우 抒情과 敍景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 빈도가 높았다. 특히 ‘淸’한 풍격의 작품 구성에 적합한 시어의 활용 빈도가 높았다. 청련은 매화 같은 경물도 고향의 표상으로 제한하여 인식하였고, 풍경시는 淸新한 시어와 색감의 대조를 통해서 ‘淸奇’한 풍격의 작품세계를 구현했다. 또한 ‘閨怨’이나, 조선의 전설 및 지명도 과감하게 작품화하였다. 청련의 당시풍은 절구시에 잘 구현되었고, 당시풍의 서정적 意境을 구현하였지만, 지나친 대우의 활용이나 唐詩의 模擬에 머문 한계가 있다. 그러나 思庵 朴淳과 더불어 學唐의 선구자로서 청련의 위상은 재조명 받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叢桂堂 鄭之升의 詩 硏究

        박병익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6 한국문학연구 Vol.0 No.30

        A Study on Chonggaetang Jung, Zi-sung's poetryPark, Byung-ikJung Zisung's(1550-1589) whole life was living in retirement all the time and he was not interested in entering public life, but by writing poetry was famed. Especially as Ku Soohun (1685-1757) wrote Tang poetic style in his poems, Jung Zisung took Baek Kwanghong's place, regulated one of three Tang poets. So I want to discuss Jung Zisung's poetic style and evaluation as three Tang poet briefly.The consciousness of subject appeared Jung Zisung's poems was the main current made up of the wandering of inner conflict and the pursuit of the world of an unworthy person. This background was greatly taken action by his family influence. And the use of poem usually was borrowed by the poetic words used China then. The skill of expression was shown the emphasis of poetic suggestiveness through a metaphorical expression and description, but the modification were poetic skills negatively. Integrated in this respect, the poems of Jung Zisung were received the usage handed down the poems of Tang intactly. Thus his poetic style was similar to that of the poems of Tang poetic style appeared in the 16C.The viewpoint regulated about three Tang poet by Ku Soohun was regarded as the subjective judge caused by Jung Zisung's relative. This poetic world of three Tang poet regulated by Lim Sangwon is Koreaned caused by the positive change. But the poems of Jung Zisung is only accepted the beginning step of Tang poetic style in those days. 鄭之升(1550-1589)은 평생 은거생활로 일관했고, 출사에 관심이 없었으나 시로써 세상에 명성을 날렸다. 특히 唐詩風 시를 창작한 시인으로 具樹勳(1685∼1757)은 白光勳 대신 鄭之升을 三唐詩人의 한 사람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따라서 필자는 정지승의 시풍과 삼당시인으로서 평가에 대해 간략히 논의를 전개하였다.정지승의 시에 나타난 주제의식은 내적갈등으로 인한 방랑과 仙趣的 세계 추구가 주조를 이루었다. 이러한 배경은 그의 가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시어의 사용은 주로 중국의 당시에서 엿볼 수 있는 시어를 차용하였다. 표현기교는 비유와 묘사를 통한 시적 여운을 강조하는 면도 엿보이지만, 소극적 換骨奪胎의 기법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면을 종합해 보면, 정지승의 시는 唐詩의 유풍을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16세기에 발흥한 당시풍의 시와 유사한 시풍을 가졌다.구수훈이 규정한 삼당시인에 대한 견해는 정지승과 인척관계로 인한 주관적 판단으로 생각된다. 이는 임상원이 규정한 삼당시인의 시세계가 보다 적극적인 조선화에 있다면, 정지승의 시는 당시풍의 초보적 단계인 당시의 기교수용에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체소재(體素齋) 이춘영(李春英)의 문학적 위상

        이종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4

        This paper is a introduction to Chesojae (體素齊) Lee Chun-young (李春英: 1563∼1606)'s collection Chesojaejip (體素集) and study on the his literary status. He was a writer who was active during King Sunjo (宣祖) called Moklung Prosper Period (穆陵盛世), also Songgang (松江) Jung Chul (鄭澈)'s pupil. I think, he is worthy of such evaluation and status as are similar to them of Kwon Pil (權韠), Heo Gyun (許筠), Lee, An-nul (李安訥). He was interested in the Tang's Poetical Style (唐詩風), Especially He has a deep knowledge of Dufu (杜甫)'s poetry. And His literature has materials such as Imjinwaeran (壬辰倭亂) and Love poems in “Sinsun Jeon (神仙傳)”. He's short lifetime and little of work, He is not only indeed an excellent writer, but showed the literary ideals of the this time. 이 글은 체소재(體素齋) 이춘영(李春英, 1563~1606)의 시문집인 『체소집(體素集)』을 해제하여 그의 문학적 위상을 자리매김하고자 한 것이다. 이춘영은 우리의 한문학이 절정에 이르렀던 조선 중기인 목릉성제(穆陵盛際)를 살았던 시인이었다. 그는 당대의 문인인 송강 정철과 돈독한 사제 관계를 맺었는데, 그의 시에 보이는 호방한 기상의 시풍은 스승 정철과 기질적으로 잘 맞았음을 보여준다. 한편 그는 당대의 시인이라 할 수 있는 허균, 권필, 이안눌이 그를 윗자리에 둘만큼 시에 대한 높은 비평적 안목과 뛰어난 작가적 역량을 가진 시인이었다. 허균, 권필, 이안눌 등의 시적 성향을 한 글자로 평하여 핵심을 짚었던 비평 능력은 그의 비평적 안목의 높이를 보여주며, 대구(對句)를 통해 수사적 묘를 살린 많은 시들은 시인으로서 그의 뛰어난 작가적 능력을 나타내는 증표라 하겠다. 한편, 그는 작시에 있어 당시풍(唐詩風)에 경도되었는데, 특히 두보시(杜甫詩)에 정통하여 두보의 고사를 인용하거나 두보시를 원용한 시작을 많이 남겼다. 그리고, 시의 소재면에서도 그가 살았던 임진왜란과 그 후의 사회적 상황을 여실히 알 수 있게 하는 시편도 독자를 주목케 한다. 또 한편으로 신선전(神仙傳)을 활용한 연정(戀情)의 시편도 시인으로서 순수한 면모를 드러낸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그가 비록 비교적 짧은 생애로 마감하여 많은 시편을 남기지는 못하였지만, 그의 사우관계나 당시풍을 잘 구사했던 시인적 역량에 따른 시적 성과를 볼 때, 그는 목릉성제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던 시인으로 자리매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李冑의 唐風 志向과 그 文學史的 意味

        유호진 동양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Lee Ju, a poet of the late 15th century, largely created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His pursuit for Tang poetry can be understood as resistance against Gangseo poetry style which had become concentrated on matters of rhetoric, discipline and the rule of the tone of Chinese characters. Lee Ju believed that the essence of poetry lies in the revelation of feelings and that poetry should imply various meanings through such revelation. Lee Ju expressed his frustration over the dismal world and sorrow over all withering things through poems. Furthermore, he showed willingness to restore the vitality of the universe and the essence of the pure mind by resisting the harsh world. That is, Lee Ju wanted to express true feelings that originated from the essence of the mind by creating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Lee Ju's poems began with the thorough denial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n gradually included the observation of lives in the universe and the cultivation of the mind. 이 논문은 鮮初 唐詩風 作家로 명성을 떨쳤던 李冑의 詩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주가 당시풍 시를 창작한 것은 15세기 후반 시단에 유행하였던 江西詩風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당대 시인들은 수사와 단련, 성률의 문제에 경도되어 시의 의미와 정감을 반복 재생산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있었다. 이주는 스승 김종직의 시론을 계승하여 풍부한 의미와 정서를 담은 시를 창작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 끝에 唐詩風의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다. 이주의 시 창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세계와 인생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감성과 인식을 노래하였다는 점이다. 이점이 그를 盛唐詩人이라고 부르는 연유이다. 이주는 어두움과 차가움, 축축함의 이미지로써 陰濕한 세계를 주조해냈고 아울러 凋落의 이미지를 통해 소멸해 가는 만물을 형상화하였다. 그뿐 아니라 미소한 밝음, 따뜻함의 이미지를 통해 이 음습한 세계에 미약하게 남아 있는 생명의 기운을 암시하기도 하고, 소나무처럼 강인한 사물의 이미지로써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력, 즉 도덕적인 생명력에 대한 지향을 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살펴보면 그가 혹독한 肅殺의 세계에 굳세게 저항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생명력을 보존하려는 시인의 의식은 마음의 본체를 지키고자 하는 의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주 시에서는 맑게 정화된 마음과 여기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표출한 시들이 하나의 작품군을 형성한다. 특히 부모형제, 친구와 지인들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드러낸 많은 작품들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작품들에 절실한 정서가 유로되어 있다는 점은 그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주로 묘사하려 하였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를 통해 이후 사림 계열의 문인들이 관각문인들보다 당시풍 창작에 열의를 지녔던 까닭을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당시풍의 시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진실한 정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시 형식임을 발견했던 것이다.

      • KCI등재

        李冑의 唐風志向과 그 文學史的意味

        柳浩珍(Ryu Ho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鮮初唐詩風作家로 명성을 떨쳤던 李冑의 詩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주가 당시풍 시를 창작한 것은 15세기 후반 시단에 유행하였던 江西詩風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당대 시인들은 수사와 단련, 성률의 문제에 경도되어 시의 의미와 정감을 반복 재생산하는 매너리즘에 빠져 있었다. 이주는 스승 김종직의 시론을 계승하여 풍부한 의미와 정서를 담은 시를 창작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 끝에 唐詩風의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다. 이주의 시 창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그가 세계와 인생에 대한 자신의 독특한 감성과 인식을 노래하였다는 점이다. 이점이 그를 盛唐詩人이라고 부르는 연유이다. 이주는 어두움과 차가움, 축축함의 이미지로써 陰濕한 세계를 주조해냈고 아울러 凋落의 이미지를 통해 소멸해 가는 만물을 형상화하였다. 그뿐 아니라 미소한 밝음, 따뜻함의 이미지를 통해 이 음습한 세계에 미약하게 남아 있는 생명의 기운을 암시하기도 하고, 소나무처럼 강인한 사물의 이미지로써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력, 즉 도덕적인 생명력에 대한 지향을 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살펴보면 그가 혹독한 肅殺의 세계에 굳세게 저항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생명력을 보존하려는 시인의 의식은 마음의 본체를 지키고자 하는 의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주 시에서는 맑게 정화된 마음과 여기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표출한 시들이 하나의 작품군을 형성한다. 특히 부모형제, 친구와 지인들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을 드러낸 많은 작품들은 주목할만하다. 이러한 작품들에 절실한 정서가 유로되어 있다는 점은 그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순수한 정감을 주로 묘사하려 하였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를 통해 이후 사림 계열의 문인들이 관각문인들보다 당시풍 창작에 열의를 지녔던 까닭을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은 당시풍의 시가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진실한 정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시 형식임을 발견했던 것이다. Lee Ju, a poet of the late 15th century, largely created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His pursuit for Tang poetry can be understood as resistance against Gangseo poetry style which had become concentrated on matters of rhetoric, discipline and the rule of the tone of Chinese characters. Lee Ju believed that the essence of poetry lies in the revelation of feelings and that poetry should imply various meanings through such revelation. Lee Ju expressed his frustration over the dismal world and sorrow over all withering things through poems. Furthermore, he showed willingness to restore the vitality of the universe and the essence of the pure mind by resisting the harsh world. That is, Lee Ju wanted to express true feelings that originated from the essence of the mind by creating poems whose style is similar to that of Tang poetr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Lee Ju's poems began with the thorough denial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n gradually included the observation of lives in the universe and the cultivation of the mind.

      • KCI등재

        鹿門 洪慶臣의 詩世界 연구

        김영주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 No.99

        본 논문의 목적은 녹문 홍경신의 생애와 교유관계 그리고 시세계의 특징에 대한 고찰이다. 16~17세기 조선의 시단에서 홍경신은 당대의 저명한 문인들과 枕流臺詩社를 중심으로 활발히 교유하였다. 홍경신은 ‘慕古爲學’의 창작 정신을 기반으로 ‘尙友’와 ‘獨得’을 창작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 제시하며 이것을 ‘妙法’이자 ‘玄旨’라고 평하였다. 창작 논리에서 확인되는 홍경신의 好古的 경향은 그의 시작에도 반영되어 송시풍과 당시풍이 혼효된 상황에서 점차 당시풍의 우세로 변모되어 가는 당대 시단의 구체적인 모습을 반영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 예가 서곤체와 의산체 시의 창작이며, 이백의 작풍을 주로 추숭하는 경향을 나타낸 ‘청련체’ 시의 창작과 현실을 벗어난 선계에 대한 동경이 감지되는 탈속적인 시세계이다. 그 외에 그의 창작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한 영사시의 창작이나, 작시 능력을 보여주는 잡체시의 창작, 초사풍의 장편시, 다수의 악부체 시가 창작 등을 거론할 수 있다. 홍경신의 시세계는 16세기 시단의 중심을 이룬 강서시풍의 퇴조와 함께 등장한 당시풍의 유행 그리고 명나라 의고파의 영향으로 인한 의고적 특징을 아울러 나타낸다는 점에서 16~17세기에 이르는 조선 시단의 변화를 작품으로 체현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한시사에서 그 위상과 의미가 중요하다고 평할 수 있다.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of Joseon, Hong Gyeong-shin actively engaged with prominent writers of the time and members of the Chimryudae group(枕流臺詩社). Based on the creative spirit of "‘MoGo-Wihak(慕古爲學)," Hong Kyung-shin presented "Sang-woo(尙友)" and "Dok-dek(獨得)" as concrete methods of creation, calling them "Myo-beob(妙法)" and "Hyeon-ji(玄旨)." Hong Kyung-shin's tendency to admire the old creative tendencies confirmed in his creative logic was also reflected in his work, reflecting the specific aspects of contemporary literature that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dominance of Dangsi-style(唐詩風) in a mixture of Songsi-style(宋詩風) and Dangsi-style. An example is the creation of Soegon-style(西崑體) and Yuisan-style(義山體) poems, a poetry creation style that shows a tendency to mainly follow Libaek's creative tendency, and a poem in which admiration for the world of Taoism beyond reality is detected. In addition, his creative ability can be confirmed by creating projections based on historical figures, creating prototypes of various styles that show his creative ability, Chosa-style long poems, and a number of musical poems. Hong, Gyeong-sin’s poems exemplify the trend of Dangsi-style, which emerged with the decline of the Gang-Seo poetry style, which was th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6th century. His poetry also show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 of the Dangsi-style of the Ming Dynasty. In this respect, his poetry can be evaluated as important in that it is a concrete example of realizing the changes in the Joseon poetry stag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 KCI등재

        16세기 湖南詩壇 詩의 自然스러움

        김종서(Kim Jong-Se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金宗直 이후 성리학을 삶의 기본으로 삼았던 士林派 가운데 성리학을 긍정하면서도 사장詞章을 부정시하지 않고 생활의 여기로 받아들여 자연스런 정감을 울려내어 시화하려던 부류가 湖南詩壇을 이루었다. 朴祥은 士林派의 선비이지만 실재의 시문 창작에 밝았던 시인이었다. 이러한 사장에 대한 긍정과 서정적인 당시풍을 지향했던 박상에 의해 호남시단에 전파되었고, 그의 제자였던 林億齡과 조카 朴淳에게 전해졌으며, 이어 16세기 朝鮮 시단을 풍미했던 학당의 새 풍조는 마침내 崔慶昌, 白光勳, 李達이라는 삼당시인에 와서 문풍을 변화시키기에 이르렀다.   자연스런 시란 정교하게 조탁하여 이 가해졌음을 느끼면서도 그 수식을 잡아낼 수 없는 것을 뜻한다. 작품의 내밀화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조탁을 하되 작품 속에 조탁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경지가 자연이란 언어예술풍격이다. 湖南詩人 시인들은 시인으로서 천재적 재능이 있고, 또 한 전공하고 연마하여 자연스런 시를 창조해내었다. 그들은 호남의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唐詩를 수용하여 시 창작에 있어서 까다로운 수사와 난해한 典故의 사용을 배제하고, 자신의 삶에서 우러나온 솔직한 정서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였다.   그들의 시는 산수?전원간의 풍류와 이에 대한 희구를 그리는 내용이 많다. 이러한 내용의 시를 통하여 불우한 자신들의 현실을 超克하고, 나아가 雅麗한 자연미와 淸澄한 전원생활의 멋을 담박하게 그려냄으로써 고결한 시 세계를 이룰 수가 있었다. 그들은 온후하고 古雅한 인간미와 섬세한 정감을 가진 시인들이었다. 그들은 자신이 느낀 정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탁월한 詩才를 바탕으로 같은 詩材일지라도 분위기나 상황에 따라 適宜한 시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의 미를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그들의 시는 관념적이라기보다 실제 생활에서 느낀 구체적이며 개인적인 情緖를 솔직하게 표현하여 생활의 정감을 詩로 형상화하였다.   Honam poetical circle was mainly composed of scholars of Shi-lin(士林) who acknowledged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at the same time did not deny Ci-zhang(詞章). Pak Sang(朴祥) was one of the scholars of Shi-lin(士林) and he was talented in creative writing. His acceptance of Ci-zhang(詞章) and lyrical poeti style influenced Lim Eyok-Lyeong(林億齡), his student, and Pak Soon(朴淳), his cousin and finally Choi Kyeong-Chang(崔慶昌), Baek Kwang-Hoon(白光勳), and Lee Dal(李達), Samdang School poets.   Honam poetical circlel poets were not only gifted as poets but also exerted themselves to create unartificial poems. They incorporated Tang poetry amidst the cultural ambience of the Honam(湖南) area. With the exception of there fastidious rhetoric and abstruse use of authentic precedents(典故), they expressed there honest arising from there own life expriences in a language that were easily comprehensible. There poetry abound with the picturesque scenery of nature and are filled with a longing for rural life. Composing there kind of poetry helped them overcome the adverse realities of there life. Furthermore, by depiciting the elegant beauty of nature and the charm of rural life in a frank, open-hearted manner, they achieved a lofty poetic style.   They had a gentle pernogality and a humaneness endowed with a classical grace and refined sensibility. They possessed a superb talent for versifying there emotions freely, and even when they wrote about the same subject, they expressed the beauty of nature in the context of the atmosphere and situation at hand and chose the most suitable poetic diction accordingly. There poetry are far from being purely idealistic or metaphysical; by honestly expressing the very personal and concrete feeling derived from there own life they shaped the emotions of everyday life into poetry.

      • KCI등재

        논문(論文) : 옥봉(玉峯)의 시세계(詩世界)

        천부성 ( Boo Sung Chu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본 논고는 16世紀 韓國 漢詩史上 宋詩風이 주류를 형성하던 詩風이 唐詩風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그 중심에 있던 三唐詩人 중 湖南 제일의 시인으로 꼽히며 五言絶句의 風格이 千年 속에 가장 위대하다고 定評이 나 있는 玉峯 白光勳의 詩世界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서론에서는 三唐詩人의 정의와 玉峯 白光勳의 詩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 본 논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玉峯의 시세계에서는 作品의 槪觀 및 內容別 作品을 통하여 玉峯의 시세계를 分析하였다. 作品의 內容에서는 객지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것이나,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孤獨의 情恨, 그리고 역사적 현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연상하면서 느끼는 감회를 읊은 無常의 懷古, 산수를 벗하며 자연에 심취 또는 계절의 정취를 읊은 自然의 景物, 마지막으로 世俗을 떠나 山寺에서 짓거나 여러 승려들과 주고받으며 느낀 것을 표현한 交遊의 脫俗으로 분류하여 作品을 분석해 보았다. 玉峯詩의 特徵에서는 修辭的 측면과 內容的 측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修辭的 特徵에서는 經史 및 故人古事·名人名句에서 詩意와 詩語를 통하여 표현하는 用事性, 자연의 뛰어난 景物을 통해 얻은 시인의 정감을 눈앞에서 그림을 보고 있는 듯 묘사하는 繪·性, 觀念化한 사물을 詩를 통하여 단순한 자연물이 아닌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삶을 나타내는 象徵性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또한 內容的 特徵에서는 淸新한 內容과 古淡한 內容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이상과 같이 玉峯의 詩는 기존의 詩가 까다로운 修辭와 난해한 典故를 사용하며, 文學을 과시 혹은 心性修養의 도구로 생각하던 主理的 성향에서 탈피하여 聲律의 생동감 및 자연스러움이 넘치는 언어로 표현하는 主情的 성향의 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玉峯詩가 관념적이지 않고 개인의 情緖를 솔직하게 표현하며, 生活的 情感을 詩化하여 文學의 獨自性을 확립한 점과, 唐詩의 詩法을 수용하면서도 우리의 풍토에 맞는 개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던 自主性은 특히 玉峯詩를 韓國 漢詩史的 측면에서 조명해 볼 때, 그 位相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A poetical style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was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Song dynasty`s poetic style including Su Dongpo. From a year of King Seongjong, especially the Gangseo poetical style dominated momentarily even out of Song dynasty`s poetic style. Tang Poetry, which had been intermittently followed from the early foundation of a country with entering the 16th century, was finally in full blossom with entering the period of Mokneungseongse(穆陵盛世). In the meantime, the poetic style faced a turning point in the age of Korea`s Hansi(Chinese poetry) history. There were three tang-style poets in the center of Learning Dang`s Poem.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poetic world of Okbong Baek Gwang-hun, who published collection of poems for the first time among three tang-style poets, whose number of works are extraordinarily many, too, who is selected as the best poet in Honam, and who is publicly acknowledged to have greatest refinement of Five-word Poems in a thousand year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Ⅰ, it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and inquired into research objective and research method. In Okbong`s poetic world of ChapterⅡ, it performed the formal classification and the content-based classification in works first through a general survey of works. It examined by segmenting the contents of works in the world of work into what feels homesick in a strange land, what expressed the yearning heart with having a friend far away, the sorrow of solitude, which feels regrettable for separation from a friend, the reminiscence of uncertainty, which recited sentiments of being felt while associating with historical fact on the historical field, the scenery of the season in nature with the aim of discovering the matter-based ego in the subject amid nature, the uneasiness about life that is felt in government-post life of the chaotic world, and the unworldliness in friendship of being felt while giving and receiving poems with several Buddhist monks. Next, in the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of ChapterⅢ, it proceeded with approach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by exploring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based characteristics. Okbong accepted Tang Poetic Style, but maintained individuality. He completed individual and intuitive poetry that is excellent in creativity, thereby having obtained a name as a poet of Tang poetical style by changing himself in the middle of poem with leading a peaceful living, and allowed even internal conflict to be sublimed artistically. He can be said to be great in the significance of poetic-literary history in a sense that individualized literature by freely poetizing the specific and individual living emotion and by recovering independent world in poem with escaping from the trend of regarding poem as a means of cultivating culture or nature in life of Sadaebu(scholar-officials of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