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선쌍학록」 보조인물의 특징과 그 의미

        최수현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5 No.-

        이 글은 19세기 국문장편소설로 추정되는 유선쌍학록 의 보조인물의 특징을 살피고 그 기능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유선쌍학록 에는 다수의 보조인 물이 등장하며, 특히 상당수의 인물은 신분이 낮은 이들로 중심 가문 밖에서 주변 부적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다. 이들은 서사에서 지속적으로 그리고 활발히 등장해 스스로 사건을 판단하고 주도함으로써 중심인물들을 조력하는 행위를 보여준다. 또한 이들을 제시함에 있어 서사는 중심인물을 돕는 행위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인물들의 삶의 정황과 순간순간 그들의 감정을 함께 제시해주는 특징을 보인다. 이 같은 유선쌍학록 의 보조인물 설정과 활용의 특징은 이 작품의 서사를 보다 다채롭고 개연성 높게 만들어주며, 사건들과 중심 가문의 상황을 현실적으로 드러내게 하는 데 기여한다. 이와 함께 보조인물들을 기능적 인물로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삶의 국면과 내면을 함께 그려냄으로써 살아있는 인물로 보이도록 하며, 특히 주변부의 삶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 작품이 인간에 대한 보다 확대된 이해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게 한다. This research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istant characters appearing in <Yuseon-ssang-hwa-rok> assumed as a long-length novel in the Korean language of 19th century, and to examine the functions and meanings. In <Yuseon-ssang-hwa-rok>, numerous assistant characters appear. Especially, most of them are people of the low positions conducting an auxiliary life out of the main household. Those assistant characters steadily and frequently appear in this narrative, playing the assistant roles of central characters by spontaneously taking initiative to judge any event.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ose people, this narrative assumes a characteristic that not only emphasizes their behaviors that assist central character but also describes the situations of their lives and emotions they feel every moment. The features of <Yuseon-ssang-hwa-rok> presenting and using assistant characters makes a contribution to making the narrative of this work become more diverse and offer a high probability as well as to reflecting the situations of events and main households practically. In addition, this work evidences that it has a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for human beings in the sense that it shows a concern for the lives of the assistant characters, above all, by not just describing those characters as functional ones but also portraying their external and internal lives so that they could be seen as the real existing characters.

      • KCI등재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

        김월덕(Kim, Wol-Duk)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북지역 구비설화 중 자연전설과 인물전설을 대상으로 하여 설화 향유층의 심층적 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전북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를 그려보는 것이다. 한국설화가 한국인의 초역사적이고 초지역적인 보편심성을 투사한다면, 특정 지역의 구비설화에는 그 지역에서 펼쳐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이 역동적으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전북지역의 구비설화를 통해서 설화 향유층의 현실인식과 문화적 사유의 지형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과 자연으로 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자연전설로서 홍수설화와 산(山)설화를 대상으로 ‘홍수설화를 통해서 본 생활공간의 생성에 대한 사유’와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을 살펴보았다. 전북지역의 홍수설화는 서해안과 도서지역의 〈칠산바다〉, 중간 내륙지대의 〈행주형(行舟形) 전설〉, 동부 산악권의 〈고리봉 전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래 육지 또는 섬이었던 고을이 천지개벽으로 바다가 되었다고 하는 〈칠산바다〉는 바다의 생성과 재생을 이야기하는 해양설화로서 땅과 바다를 둘로 분리해서 보지않는 서해안 사람들의 자연인식이 투사되어 있다. 서해안 홍수설화의 사유와는 반대로, 먼 옛날의 바다가 오늘의 육지로 변했다고 하는 〈행주형 전설〉은 농경문화권과 해양문화권이 만나는 중간지점인 평야지대에서 농경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물에 대한 근원적 의식을 보여준다. 주로 지명유래담으로 전해지는 동부 산간지역의 〈고리봉 전설〉은 산간지역이 천지개벽 또는 홍수라는 정화 과정을 거쳐 삶의 터전으로 재생된 이야기로서, 이를 통해 치유적 또는 재생적 힘을 가진 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산간지역 사람들의 사유를 엿볼 수 있다.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에서는 귀양지와 오지의 상징이 된 지리산과 덕유산 무주구천동이 이상향 십승지지 지역과 겹치는 것은, 모순적이고 배타적인 지배 권력에 대한 설화 향유자들의 비판적 의식과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땅을 추구하는 주체적 의식이 자연스럽게 결합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왕권 창출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인식’,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 ‘비범한 인물들의 상호유사성과 향유층의 현실적 지향’을 제시하였다. 옛 후백제 지역은 견훤설화의 중심부로서 견훤 왕의 신이한 탄생과 성장에 초점을 두고 권위와 위상의 신성성을 드러내는 데 집중한 반면, 그 주변부에서는 견훤의 죽음에 집중하였다. 견훤 전승의 중심부에서도 왕권의 신성성이 약화되거나 훼손되어 전해지는 까닭은 후백제의 짧은 역사와 견훤의 비극적 최후를 의식하고 이를 완전히 부정하는 대신 견훤의 신성성을 불완전한 것으로 조율하여 표현했기 때문일 것이다. 전북지역에는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왕권 창출에 대한 긍지를 표출하는 중심부의 설화와 조선 건국을 심정적으로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주변부의 설화가 병존하고 있다. 특히 전주의 이성계 설화는 후백제의 멸망에 대한 기억을 불식하고 조선 왕조의 발상지로서 전주를 재인식해 나가는 정치적 과정에 일조하고 있다.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에서는 정여립과 전봉준을 변혁적 저항인으로, 진묵과 같은 인물을 변혁적 주변인으로 보고, 백성들이 변혁을 갈망하던 시대에 출현하여 모순적 현실을 비판하거나 폭로함으로써 세상을 개혁하고자 시도한 이러한 인물들에 대한 전북지역 설화 향유자들의 지지와 옹호를 확인하였다. ‘비범한 인물들의 상호 유사성과 향유층의 현실적 지향’에서는 이서구, 박상의, 홍성문 등 전북에서 전승되는 비범한 인물들이 신분과 계급이 다름에도 서로 닮은 형상을 갖게 된 것은 설화 향유층이 지향하는 공통의 의식이 이 인물들에게 투사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설화 속 이서구는 초월적 이인이나 도인, 때로 풍수의 모습으로 나타나 실제 유학자들이 하지 못한 백성의 구원자 구실을 한다. 백성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을 갖고 파격적 행보를 보여준 점은 이서구를 진묵의 후신으로 보는 근거가 된다. 신분의 한계 때문에 장돌뱅이 풍수가 된 홍성문은 세상에 대한 야유와 조롱을 통해서 기존 질서체계를 전복시키려했다는 점에서 정평구와 닮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ketch a mental map of the oral folktales in Jeonbuk Province by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local storytellers. Folktales in Jeonbuk reflect the spirit of the people of Jeonbuk?a region where history and culture have been zealously guarded. In this paper, a cultural and spatial mental map is postulated. Jeonbuk people live in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experience they have had overcoming and adjusting to their given environment, as shown in their flood narratives. By mapping flood narratives, this paper argues that flood narratives correlat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gion where the storytellers live, and fall into three general patterns. First, flood narratives near the West sea and the coastal area assert that the sea was derived from land. These people who live in coastal areas do not think sea and land are separate. Second, flood narratives of the agricultural hinterland insist that the land used to be sea in origin. The existence of flood narratives everywhere in the Jeonbuk region shows that farming people are deeply conscious of water. Third, flood narratives in the mountainous area in eastern Jeonbuk have a lot to do with the names of places where was regenerated as a result of flood. The people of the mountainous area believe in the regenerative and healing power of the flood or water. By mapping of historical figures, this paper emphasizes three points : (1) In the transmission of folktales of Gyonhwon the King of Hubaekje and Yi Sunggye the King of Joseon, the center and periphery focus on different points. The central area emphasizes the holy birth of the king and expresses the sanctity of royal authority, and the margins put stress on the story of death of the king. (2) Storytellers of Jeonbuk support and back revolutionary figures such as Jeong Yerip, Jeon Bongjun and the Great Buddhist Master Jinmuk. These figures criticized or disclosed the reality of the contradictory and unequal society of the time, and tried to reform the country. (3) The common consciousness that the local storytellers shared was also present in folktales about remarkable figures. Even though these figures, Confucian scholar Yi Seogu, Pungsu Bark Sangyui, and Hong Sungmun, have different status and come from different classes, the figures have similarity to each other because the storytellers share the same realistic aim.

      • KCI등재

        주인공 없는 소설 세계의 리얼리티 -한국 소설에 나타난 인물 관계의 수평성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손정수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5

        This paper aims at surveying the relation between protagonist and minor characters by comparing Seo, Jeong-In’s “Gang(River)”(1968) and Choi, Eun-Young’s “Go-Baek(Confession)”(2018). In “Gang”, the proportion among three male characters seem to be equal, but from the aspect of direction and intensity in the relation one of them is superior to the others. On the contrary, in “Go-Baek” the characters have functional equivalence and the character system is constituted by thematic consideration. The difference in equality among characters exerts influence on the way of reader’s response to the text, and this latest trend is thought to be connected to the transition of concern in narrative from the writer to the reader. 이 논문은 한국 소설의 흐름에서 주인공과 주변인물의 관계의 변화 양상을 서정인의 「강」(1968)과 최은영의 「고백」(2016) 두 소설을 비교하면서 살펴본 것이다. 소설 속 인물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담론의 차원에서 인물들이 차지하는 공간적 비중을 의미하는 ‘인물 공간’과 인물들 사이의 관계의 연결, 방향과 강도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인물 시스템’을 분석 도구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강」의 경우 인물 공간의 비중에서 세 명의 남성 인물은 균등한 편이지만,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나 관심의 방향이나 강도에서 대학생 김씨가 다른남성인물들에 비해 중심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름 없이술집의 작부로 등장하는 여성 인물은 전반적으로 남성 인물들에 비해 소외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후반부에서 자신의 인물 공간의 비중과 역할을 확장시키고 있었다. 반면 「고백」에서는 인물 공간의 비중보다 문제를 둘러싸고 인물들이 분담하고 있는 역할의 측면에서 균등에 대한 고려가 더 의식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작가의 페르소나에 해당되는 인물보다 오히려 소설이 담고 있는 주제와 관련한 인물이 관계의 중심에 놓여 있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인물 관계의 수평성에서그 정도와 성격의 차이는 독자들이 텍스트 내에 자신을 이입하는 방식에 결정적인차이를 가져오고 있으며, 그와 같은 차이가 발생하는 과정에는 인물(주인공) 중심으로부터 문제 중심으로의 이행, 표현자 중심으로부터 수용자 중심으로의 이행이라는 소설의 성격 변화가 가로놓여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청대 《홍루몽》 속서의 주변인물 서사 연구 : 묘옥 서사를 중심으로

        趙旻祐(Cho, Min-Woo)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1 No.-

        지금까지 청대 《홍루몽》 속서의 유형은 주인공 임대옥 서사를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현 유형에서는 《홍루몽》 속서의 관계성 혹은 통시적인 흐름을 관찰하기 어렵다. 원서와 속서의 관계를 고려할 때 속서의 특징은 주인공보다 주변인물 서사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변인물 중 하나인 묘옥을 중심으로 청대 《홍루몽》 속서에서 묘옥 서사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청대 11종 속서의 묘옥 서사를 분석하여 크게 세 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음을 논했다. A유형은 묘옥이 등장하지 않으며 B유형은 묘옥이 선녀가 되고 C유형은 묘옥이 환속하여 결혼하는 서사를 보인다. 본고는 묘옥 서사를 통해 후대 속서에서 기존 속서의 주변인물 서사를 참고하여 주변인물 서사를 완성해나가는 특징을 발견하였고, 속서의 주변인물 서사 연구는 홍루몽의 각 속서 서사의 시대적 관계성과 저술과정을 살필 수 있기에 효과적인 분류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y and categorize the narrative of MiaoYu, which is a minor character in the sequels of The Dream of the Red Chamber(HongLouMeng). Traditionally, the sequels were supposed to continue the story of the previous masterpiece, so they were often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ain characters of The Dream of the Red Chamber, such as LinDaiyu or JiaBaoyu, and their plotline. However, this classification was not effective to show the patterns of the sequels’ own development. By analyzing a minor character called MiaoYu(妙玉) in different narratives of the sequels , this paper aimed to rethink and re-classify the types of The Dream of the Red Chamber’s sequels in Qing Dynasty. Taking 11 The Dream of the Red Chamber sequels published in the Qing dynasty as examples, this paper categorized the narrative of MiaoYu as three types. Type A, which contains four sequels, MiaoYu was almost absent or only mentioned by other characters insignificantly; Type B, MiaoYu became a female celestial in nearly all the four sequels; Type C, which contains three sequels, authors tried to rewrite and reverse the MiaoYu narrative by depicting her returning to secular life and marriage. The literary value and the narrative skill of the The Dream of the Red Chamber sequels had long been doubted. However, by analyzing the three types of MiaoYu’s narrative, which represented the different reactions and attitudes toward a beautiful woman captured by muggers, it is clear that these subsequent works have shown a chronologically change which may partial reflect the history of mentalities in Qing dynasty. Therefore, I argue that the classify the types of The Dream of the Red Chamber’s sequels by minor characters is a useful standard.

      • KCI등재

        『三代』의 조의관과 周邊人物 硏究

        김정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pheral characters around the main characters of the “three generations” is analyzed and their contents are made meaningful. The ironic desire of Cho Eui-gwan was evaluated as an ambivalent personality. This duality was shaped by the egoism that Cho Eui-gwan converged to the outside world. His selfish desire has transformed the peripheral characters who are subordinate to him, and as a result they are in a mediator, aiding, and even murdering him. In the end, the characters were passive by the actions of Cho Eui-gwan, but gradually their roles were transformed. The character changes its function in the text through the mutual network. The root cause is triggered by the ambivalence of Cho Eui-gwan. When Cho Eui-gwan is the actor, Cho, Chang-hoon, Suwon-zip, Choi, cham-bong, and Ji zu-sa act as their mobility. The ambivalence of the assistant counselor who does not make enough rewards for those who are most trusting in the others has transformed the peripheral people from passive to transformative. In addition, Cho Chang-hoon, Choi cham-bong and Suwon-zip were involved in the case of arsenic poisoning death of Cho, who is a mysterious factor. However, Ji zu-sa was formed as a person who was subject to the guardian and protected him. 김정진, 2018. 『삼대』의 조의관과 주변인물 연구, 어문연구, 180 : 233~256 이 논문에서는 『三代』의 조의관의 양가성(兩價性)을 중심으로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성과 역할변화의 내용을 분석했다. 조의관의 아이러니한 욕망실천은 작품분석 결과 양가적 성격으로 평가되었다. 그의 근대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금전욕망과 봉건적 수구욕망이 상충하기 때문에 그는 양가적 상황에 봉착한다. 그리고 조의관의 이중적 욕망의 실천은 주변인들의 배신과 대립 등의 갈등을 발생시켰다. 그 결과 그들은 조의관을 속이거나 방조하고 심지어 그를 살해하게 된다. 결국 주변 인물들은 조의관의 행동에 의해 수동적이었다가 점차 그 역할이 변모된다. 인물은 상호 관계망을 통해 작중에서 변화되는데 근본적인 원인은 조의관의 양가성에 의해 촉발되었다. 조의관이 행동자일 때 수동자로서의 조창훈, 수원집, 최참봉 그리고 지주사는 서사의 흐름에 따라 그 역할이 변화된다. 결국 『三代』를 이끌어가는 서사 전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조의관과 주변인들의 관계망에 의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소현성록>에 나타난 주변인물 설정과 서사전략 -몰락가문 출신 인물들을 중심으로-

        이나라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2 No.-

        This study that the actions of the protagonist and the minor characters in show a pattern of rebuilding a family that has fallen apart. The characters from the fallen clan are rescued by So Hyeon-seong at the beginning of the story, paving the way for rebuilding the family, rising in status as the So clan grows into a powerful force, and in subsequent stories, their descendants marry So Hyeon-seong's children to form an even stronger family name. By setting up impoverished male characters in the fallen family and female characters whose chastity is in doubt, this novel convincingly represents the challenge of restoring the family and why women need a family. The marriage of descendants after attaining a stable position meant that the narrative was designed to have characters from the fallen family contribute to expanding the power of So's family. The stories were summarized as "absence of a caregiver (hardship) - encounter with So Hyeon-seong (relief) - departure or marriage (family restoration) - narrative of childbirth (family expansi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of So Hyeon-seong and Korean Classical Full-length Novels. This narrative strategy piqued readers' interest and touched their minds in terms of 'growth' and created a sense of beauty unique to in that accepting the characters is relatively realistic. 본고는 <소현성록>의 주인공과 주변인물들의 행보가 몰락해가는 가문을 재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몰락가문 출신 인물들은 작품 초반에 소현성에게 구제되면서 가문재건의 기틀을 마련하고, 소부가 벌열세력으로 성장하는 동안 함께 지위가 높아지며, 별전에서 후손들을 소현성의 자녀들과 혼인시켜 더욱 공교한 집단을 형성하였다. 성우경‧임수보와 같은 남성인물들의 경우 구체적인 직급이 명시되어 사회에서의 입지가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그중 임수보는 주인공의 서사를 매끄럽게 연결하고 연쇄적인 사건의 초석을 마련하는 역할도 하였다. 반면 윤부인과 같은 여성인물은 남편‧자녀를 통해 지위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진출이 불가능했던 당대 여성들의 입장을 현실적으로 반영하였다. 윤부인은 소교영을 대체하는 인물로, 질부(姪婦)들을 보호하는 등 실질적인 고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몰락가문 출신의 후손인 성씨와 임씨는 유사한 시기에 소부에 편입‧대비되어 소부의 모범적 여성상을 확인시켰다. 또한 윤부인의 딸은 장헌황후로, 외손은 인종으로 설정되어 소부의 세력 확장과 보호에 기여하였고, <소현성록>의 간행동기를 인종의 명으로 설정하여 작품의 가치를 드높였다. 한편 작품은 가문의 몰락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남성인물들과 정절을 의심받는 여성인물을 배치하여 가문재건의 어려움과 가문의 필요성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였다. 안정적인 지위에 오른 후 후손들의 혼인이 성사된다는 설정은 몰락가문 출신 인물들이 소부의 세력 확장에 기여하도록 서사가 설계되었음을 뜻했다. 이들의 서사는 ‘양육자의 부재(고난)-소현성과의 만남(구제)-출사 혹은 혼인(가문재건)-자녀 서사(가문확대)’로 요약되어, 소현성 및 국문장편소설의 기본 서사구성과도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서사전략은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독자들의 흥미와 감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인물들의 포섭 과정이 비교적 현실적이라는 점은 <소현성록>만의 미감을 발생시켰다.

      • KCI등재

        설화에 나타난 실존 인물의 의미화와 전승주체의 의식 - 김제 정평구 설화를 대상으로

        한정훈 한국구비문학회 2013 口碑文學硏究 Vol.0 No.36

        The Jeong Pyeong-gu folktale is included in the type of legend of a scamp-like person, which were formed in the late Joseon and early modern period. However,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a universal scamp-like person and Jeong Pyeong-gu in their life days. Jeong Pyeong is said in informal discourses to be a person who developed Bicha ‘flying car’ at the time of the Korea-Japan War. He was referred to by some newspapers publish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national cultural hero who developed Bicha. On the other hand, a story transmitted in areas around Gimje, Jeonbuk, he is depicted as a character who is accustomed with lying and cheating. We cannot see the cultural hero Jeong Pyeong-gu in stories transmitted in local area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Yujae Song Gi-myeon, a Confucian scholar in the Gimje area, authored Jeong Pyeong-gu Jeon ‘The Story of Jeong Pyeong-gu.’ From Jeong Pyeong-gu Jeon, we can conjecture the substantial aspects of the Jeong Pyeong-gu folktale, though just a little, which was transmitted in the area at that time. In Jeong Pyeong-gu Jeon, Yujae Song Gi-myeon depicted him as an unfortunate character who was not able to contact with the times though he was well accustomed with lying and cheating. In orally transmitted folktales, Jeong Pyeong-gu strongly shows features of a scamp-like person. Jeong Pyeong-gu, a person of lying and cheating who strongly has migratory nature rather than sedentariness, makes trouble for the world with his abnormal behavior, and infringes the world with his laughter and humor. Also, he absorbs legends of scamp-like people from other areas to make them his stories. However, this paper does not interpret the Jeong Pyeong-gu folktale in the sense of a universal legend of a scamp-like person, but does analyze its meanings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ness of the areas where the tale has been transmitted. The story transmitter does not require Jeong Pyeong-gu to be a cultural or popular hero, or a superman. Admitting his or her own deficit, the story transmitter faces the world, and through the course, wants Jeong Pyeong-gu as a scamp-like person who can take the victory. Though Jeong Pyeong-gu cannot reform the world in the folktale, the transmitter meets his or her own deficit and recognized a potentially contradictory world through literary play. 정평구 설화는 조선 후기와 근대에 형성됐던 건달형 인물전설의 유형에 포함된다. 하지만 보편적인 건달형 인물과 정평구의 생존 시기는 상당히 큰 격차를 보인다. 정평구는 비공식적 담론에서 임진왜란 당시 비차를 개발한 인물로 이야기된다. 정평구는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신문에서 비차를 개발한 민족의 문화영웅으로 언급되었다. 반면 전북 김제를 중심으로 전승된 이야기에서 정평구는 거짓말과 사기를 잘하는 인물로 형상화되었다. 지역에서전승되는 이야기 속에는 문화영웅으로서 정평구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김제 지역의 유학자 유재 송기면은 「정평구전」을 저술하였다. 「정평구전」을 통해서 당시 지역에서 전승된 정평구 설화의 실체를 조금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유재 송기면은 「정평구전」에서 거짓말과 사기를 일삼는 정평구를 시대와 접속하지 못한 비운의 인물로 형상화하였다. 구비 전승되는 설화에서 정평구는 건달형 인물이 지닌 특질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거짓말과 사기, 정주성을 탈피한 이주성을 강하게 지닌 정평구는 어긋난 행위를 통해서 세상과 갈등을 빚고, 웃음과 해학으로 세상을 유린하기도 한다. 또한 정평구는 다른 지역의 건달형 인물전설을 흡수하여 자기의 이야기로 만들기까지 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정평구 설화를 보편적인 건달형 인물전설이 지닌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가 전승되는 지역의 특이성과 맥락을 지어서 의미를 분석했다. 이야기 전승주체는 정평구에게 문화영웅이나 민중적 영웅, 이인으로서 모습을 요구하지 않았다. 과거부터 지닌 지역의 특이성에서 이야기 전승주체는 자신의 결핍을 수용하면서 세계와 대면하고, 그 과정에서 승리할 수 있는 건달형 인물로서 정평구를 원했다. 이야기 속에서 정평구가 세계를 변혁하지는 못하지만, 전승주체는 문학적 유희를 통해서 자신의 결핍을 충족하고 모순을 잠재한 세상을 인식했던 것이다.

      • KCI등재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

        김월덕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ketch a mental map of the oral folktales in Jeonbuk Province by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local storytellers. Folktales in Jeonbuk reflect the spirit of the people of Jeonbuk—a region where history and culture have been zealously guarded. In this paper, a cultural and spatial mental map is postulated. Jeonbuk people live in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experience they have had overcoming and adjusting to their given environment, as shown in their flood narratives. By mapping flood narratives, this paper argues that flood narratives correlat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gion where the storytellers live, and fall into three general patterns. First, flood narratives near the West sea and the coastal area assert that the sea was derived from land. These people who live in coastal areas do not think sea and land are separate. Second, flood narratives of the agricultural hinterland insist that the land used to be sea in origin. The existence of flood narratives everywhere in the Jeonbuk region shows that farming people are deeply conscious of water. Third, flood narratives in the mountainous area in eastern Jeonbuk have a lot to do with the names of places where was regenerated as a result of flood. The people of the mountainous area believe in the regenerative and healing power of the flood or water. By mapping of historical figures, this paper emphasizes three points:(1) In the transmission of folktales of Gyonhwon the King of Hubaekje and Yi Sunggye the King of Joseon, the center and periphery focus on different points. The central area emphasizes the holy birth of the king and expresses the sanctity of royal authority, and the margins put stress on the story of death of the king. (2) Storytellers of Jeonbuk support and back revolutionary figures such as Jeong Yerip, Jeon Bongjun and the Great Buddhist Master Jinmuk. These figures criticized or disclosed the reality of the contradictory and unequal society of the time, and tried to reform the country. (3) The common consciousness that the local storytellers shared was also present in folktales about remarkable figures. Even though these figures, Confucian scholar Yi Seogu, Pungsu Bark Sangyui, and Hong Sungmun, have different status and come from different classes, the figures have similarity to each other because the storytellers share the same realistic aim.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북지역 구비설화 중 자연전설과 인물전설을 대상으로 하여 설화 향유층의 심층적 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전북 구비설화의 문화지형도를 그려보는 것이다. 한국 설화가 한국인의 초역사적이고 초지역적인 보편심성을 투사한다면, 특정 지역의 구비설화에는 그 지역에서 펼쳐진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이 역동적으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전북지역의 구비설화를 통해서 설화 향유층의 현실인식과 문화적 사유의 지형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과 자연으로 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자연전설로서 홍수설화와 산(山)설화를 대상으로 ‘홍수설화를 통해서 본 생활공간의 생성에 대한 사유’와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을 살펴보았다. 전북지역의 홍수설화는 서해안과 도서지역의 <칠산바다>, 중간 내륙지대의 <행주형(行舟形) 전설>, 동부 산악권의 <고리봉 전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래 육지 또는 섬이었던 고을이 천지개벽으로 바다가 되었다고 하는 <칠산바다>는 바다의 생성과 재생을 이야기하는 해양설화로서 땅과 바다를 둘로 분리해서 보지 않는 서해안 사람들의 자연인식이 투사되어 있다. 서해안 홍수설화의 사유와는 반대로, 먼 옛날의 바다가 오늘의 육지로 변했다고 하는 <행주형 전설>은 농경문화권과 해양문화권이 만나는 중간지점인 평야지대에서 농경을 생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물에 대한 근원적 의식을 보여준다. 주로 지명유래담으로 전해지는 동부 산간지역의 <고리봉 전설>은 산간지역이 천지개벽 또는 홍수라는 정화 과정을 거쳐 삶의 터전으로 재생된 이야기로서, 이를 통해 치유적 또는 재생적 힘을 가진 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산간지역 사람들의 사유를 엿볼 수 있다. ‘귀양지와 이상향으로서 산에 대한 이중인식’에서는 귀양지와 오지의 상징이 된 지리산과 덕유산 무주구천동이 이상향 십승지지 지역과 겹치는 것은, 모순적이고 배타적인 지배 권력에 대한 설화 향유자들의 비판적 의식과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땅을 추구하는 주체적 의식이 자연스럽게 결합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인물과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본 전북지역 구비설화의 문화지형에서는 ‘왕권 창출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인식’,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 ‘비범한 인물들의 상호 유사성과 향유층의 현실적 지향’을 제시하였다. 옛 후백제 지역은 견훤설화의 중심부로서 견훤 왕의 신이한 탄생과 성장에 초점을 두고 권위와 위상의 신성성을 드러내는 데 집중한 반면, 그 주변부에서는 견훤의 죽음에 집중하였다. 견훤 전승의 중심부에서도 왕권의 신성성이 약화되거나 훼손되어 전해지는 까닭은 후백제의 짧은 역사와 견훤의 비극적 최후를 의식하고 이를 완전히 부정하는 대신 견훤의 신성성을 불완전한 것으로 조율하여 표현했기 때문일 것이다. 전북지역에는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왕권 창출에 대한 긍지를 표출하는 중심부의 설화와 조선 건국을 심정적으로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주변부의 설화가 병존하고 있다. 특히 전주의 이성계 설화는 후백제의 멸망에 대한 기억을 불식하고 조선 왕조의 발상지로서 전주를 재인식해 나가는 정치적 과정에 일조하고 있다. ‘변혁적 저항인과 주변인에 대한 지지와 옹호’에서는 정여립과 전봉준을 변혁적 저항인으로, 진묵과 같은 인물을 변혁적 주변인으로 보고, 백 ...

      • KCI등재

        '춘향전' 전승에서 방자 삽화의 변이 양상과 의미

        서보영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n the minor characters in alternative versions of Pansori stories. Because, unlike the variations in the main characters, the changes in the minor characters seemed to clearly reveal the specific reasons to the enjoyers of Pansori literature. Bangja in Chunhyang-jeon serves as a narrator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haracters and events, and enlivens the text by satirizing and ridiculing the feudalism class. He appears in certain narrative unit of Chunhyang-jeon and further expands in the order of encounter unit, farewell unit, and reunion unit. At the encounter unit, he helps the bachelor Lee and Chunhyang meet And in the farewell unit, he urges their separation and goes to Han Yang with his master Lee. At the reunion unit, Chunhyang's letter is delivered to the bachelor Lee. The following can be seen from the information above discussion. First of all, the 'Bangja' acquires the better occupation of stories. The enjoyers have changed that he regards as a important figure. Next, in Chunhyang-jeon,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Bangja was done in the direction of converging the few characters such as Mabu, Tongin, and the farmer. Especially, the increase of his proportion in the Pansori works can be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theatricality. Finally, Bangja’s frequency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whole narrative, but it can not be seen as an increase that his role or function has increased. Because his function as a guide expands, but his function as a critic has diminished. 이 연구는 주인공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서사적 비중이 작은 주변 인물의 이본 전승 과정에서의 변이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찾는 데 목적을 둔다. 주인공들의 변이와 달리 주변 인물의 변화에는 향유층의 특정한 의도가 자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판소리(계 소설)의 방자는 작품의 주변 인물이기는 하지만, 작중 인물과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사의 안내자 역할을 하고, 이 도령과 같은 양반 계급의 봉건적 관념과 행동에 대하여 풍자하고 조롱함으로써 희극미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인물로 평가 받아 왔다. 이에 <춘향전>의 이본을 통해 방자가 어떠한 모습으로 향유자들에게 인식되어 왔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춘향전> 이본들에서 방자가 등장하고 있는 단위담은 만남담, 이별담, 재회담으로 초기 이본에서는 대체로 만남담에만 등장하여 이 도령과 춘향의 만남과 초야를 주선한다. 이별담에서는 두 사람의 이별을 재촉하고 이 도령을 따라 상경한다. 재회담까지 방자가 등장하는 이본들은 주로 창본 계열로 춘향의 편지를 이 도령에게 전달하고 이후 어사로 인해 옥에 갇히기도 한다. 이상의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삽화 변이의 방향과 의미는 우선, ‘방자’가 하나의 인물 혹은 인물형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하게 되면서 향유자들은 그를 인간적이고 반규범적인 인간형으로 파악하는 것에 주목하여 왔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춘향전> 이본에서 방자의 역할 확대는 마부나 통인, 농부 등의 인물들을 수렴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창본에서 그가 출현하는 비중이 증대되는 것은 연극성의 확대와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방자가 등장하는 삽화나 장면들의 양적 비중은 확대되지만 작중 역할이나 기능이 증대되었다고는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방자의 안내자로서의 기능은 강화되지만 그의 비판자로서의 기능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옥주호연」의 등장인물 조광윤의 형상과 소설사적 의미

        유요문 ( Yoo Yo-moo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3

        이 글은 「옥주호연」에 등장하는 천자 조광윤의 양상을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그의 기능과 탄생 배경에 대해 소설사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고가 등장인물 중 주변인물인 조광윤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그의 독특한 설정 때문이다. 그는 기존의 천자에게 양위를 받아 새로운 천자가 되는 인물로 이러한 경우는 우리 고전소설에서 찾아보기 드물다. 또한 그는 천자가 되기 전 영웅의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이 역시 언제나 서사 속에서 수동성을 갖고 있거나 권력의 폭력성을 갖고 있던 기존 소설의 천자의 모습과 몹시 다른 부분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작품 속 조광윤은 여성영웅의 음양변체의 비밀을 폭로하고 결연서사를 주도하는 적극성을 보여주기에 새로운 천자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광윤의 능동성과 영웅화는 간신에 흔들리지 않는 천자라는 새로운 캐릭터를 창출했으며, 따라서 「옥주호연」에는 적대자가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더해 주인공이 활약할 공간을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작가는 조광윤에게 많은 비중을 두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한편 조광윤의 적극성은 작품의 주제의식이 출장입상에서 남녀결연으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이것은 남성화된 여성을 현실로 자연스럽게 복귀시키는 것을 염두에 둔 작가의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인물 중 능동적 캐릭터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과 토대를 소설사적으로 조망해보면, 이 소설이 당시 다수 번안·유통되었던 연의류 소설의 수법, 즉 군주에게 영웅성을 부여하는 방식을 차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 결연에서의 적극성은 당시 「천수석」이나 「윤지경전」에서 남녀의 결연을 역사적으로 실존한 천자와 군주를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관계가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옥주호연」은 여성영웅소설을 토대로 다양한 장르가 습합되어 있으며, 이런 과정에서 조광윤이라는 독특한 캐릭터가 산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aspects of the son of Heaven Kuangyin Zhao in “Okjuhoyeon”, and then to review his function and background in the novel history based on this. The reason this paper chose Jo Kwang-yun is because of his unique setting. He is abdicated by an existing emperor and becomes a new emperor, and such cases are rare in heroic novels. In addition, before becoming a son of Heaven, he is portrayed as a character that coincides with the hero’s deeds, and even after becoming a son of Heaven, he acts as a medium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Such activeness of Kuangyin Zhao created a new character, the unshakable malefactor, and thus the hero’s antagonist did not appear in “Okjuhoyeon”. The absence of adversaries indicates that the author did not have much thought about the birth of a hero. This is because the field for the hero to play an active role is narrowed. On the other hand, Kuangyin Zhao’s activeness allows the subject matter of the work to naturally lead to a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artist’s device with the goal of naturally returning a masculine woman to a woman. These are the functions of Kuangyin Zhao in the work. If we look at the background and basis for the creation of active characters among these surrounding people from a novel historical perspective, it can be seen that this novel borrowed the method of giving heroism to the monarch from the novels that were adapted and distributed many times at the tim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positiveness in marriage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at that time is using the historically real heavenly and monarch.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Okjuhoyeon” is a combination of various genres based on female hero novels, and in this process, a unique character named Kuangyin Zhao was pro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