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한 돌봄을 위한 자기 분화와 영성생활의 관계 연구

        최창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39 No.-

        본 연구는 건강한 돌봄을 위한 자기분화와 영성생활의 관계 연구로서 정서적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역할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감정과 사고와 정서체계와 지적체계 등의 건강한 관계와 역할에 대해서 특별히 Murray Bowen이 제시한 자기 분화의 개념을 통해서 살피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 분화와 영성 생활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기독교 역사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영성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Evagrius Ponticus가 말한 ‘로기스모스’(logismos), 즉 ‘나쁜 생각’이나 ‘나쁜 반응’의 정화 또는 분화가 영성생활에 주는 의미와 영향을 살피고 있다. 정서 분화와 영성 생활의 관계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 기독교적 돌봄 사역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대부분의 경우 돌봄 사역자 자신보다는 돌봄의 대상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돌봄 사역자의 분화의 중요성, 즉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의 중요성과 의미들을 밝히고 있다. 자기 분화와 건강한 돌봄의 관계와 실천 원리들을 제안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건강한 돌봄 사역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health and its role in spiritual life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spiritual life for healthy care. This study looks into the concept of differentiation of self, especially suggested by Murray Bowen, to see the healthy relationship and its role of emotion, thinking, emotional system and rational system.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spiritual lif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logismos’ and its impact on spiritual life, mentioned by Evagrius Ponticus, which means purification of ‘bad thoughts’ or ‘bad reactions’ or differentiation, influenced Christian's spiritual life in those days.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emotion and spiritual life is examined. Many studies in Christian care ministry have focused on the cared rather than the carer, but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and the meanings of the carer’s differentiation and of being themselve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some directions how to become a healthy carer, suggesting for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healthy care and its practical principles.

      • SCOPUSKCI등재

        Caco-2 세포의 분화에 따른 세포사멸 감수성의 변화

        김태일 ( Tae Il Kim ),양경민 ( Kyoung Min Yang ),채보아 ( Boah Chae ),진수현 ( Soo Hyun Jin ),김원호 ( Won Ho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소화관의 상피세포는 점막 표면의 선와구조를 형성하면서 기저부의 미분화된 세포에서 상부로 점차 이동하면서 세포분화의 과정을 거치며, 결국 세포사멸의 과정으로 점막에서 탈락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화, 증식, 사멸의 균형을 통한 항상성에 결함이 생기게 되면 암을 포함한 여러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화과정에서 미분화된 세포와 분화된 세포 사이에는 여러 가지 생물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화를 유도한 대장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사멸과정에서 그 분화정도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수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장암세포주인 CaCo-2를 이용하였고, sodium butyrate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거나 세포의 밀집(confluence)에 의한 자연적인 세포분화를 유도하였다. 세포사멸을 위한 자극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인 indomethacin과 DNA 손상약제인 MMS(methyl methane-sulfonate)와 VP-16을 이용하였다. 세포분화의 정도는 alkaline phosphatase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세포생존율과 세포사멸은 MTT assay와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Sodium butyrate를 처리하거나 세포 밀집에 의한 자연적 분화유도 상태 모두에서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MMS 또는 VP-16을 처리한 세포군에서는 세포가 분화됨에 따라 세포사멸률이 감소되어 미분화된 세포일수록 세포사멸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다. Indomethacin을 처리하였을 때는 sodium butyrate에 의한 세포분화의 경우 분화도가 높을수록 세포사멸에 민감하였으나, 자연분화를 유도한 경우에는 미분화된 세포일수록 세포사멸에 민감하였다. 결론: 이상의 실험결과로 세포분화 유도 방법에 따라 일부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미분화세포일수록 DNA 손상 자극과 indomethacin에 의한 세포사멸 자극에 대해 세포사멸의 민감성을 보였고, 이러한 현상은 DNA 손상자극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Background/Aims: The balance betwee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s important for homeostasis during differentiation in crypt-villus axis of intestinal epithelium. In addition, cellular responses to diverse stimuli also vary by the degree of cellular differentiation.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poptotic sensitivities in genotoxin- and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based on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epithelial cells. Methods: Differentiation was induced by post-confluence culture or treatment of sodium butyrate in Caco-2 cells. Indomethacin, VP-16 and MMS (methyl methanesulfonate), which is a direct-acting DNA alkylating agent, were used for apoptosis induction. Degree of differentiation was measured b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The apoptotic cell death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Results: Compared to the subconfluent Caco-2 cells, both 7 days post-confluent cells and sodium butyrate-treated cell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oth post-confluence- and butyrate-induced differentiated cells showed increased resistance to MMS- or VP-16-induced apoptosis. While post-confluence-induced differentiated cells showed increased resistance to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butyrate-induced differentiated cells showed increased sensitivity to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Conclusions: Our data demonstrate that differentiated Caco-2 cells induced resistance to genotoxin- and indomethacin- induced apoptosis, although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was increased in butyrate-induced differentiated Caco-2 cells. (Intestinal Research 2005;3:96-103)

      • KCI등재

        다윗의 분화수준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를 중심으로

        김지연,김정아,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rough the narrative of David and Bathsheba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The way of study in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collectively through intra–disciplinary integration of Bowen’s family therapy and actual events told in the Bible. The research findings are, first, King David had a high level of basic differentiation of self in the range of 85 to 95. Second, King David had a low level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elf because he suffered from anxiety about loneliness and a sense of emptiness from the temporary triangle (David – adultery – remnant of family) combined with sexual immorality, confusion in power, and murder. Third, through God’s therapeutic intervention, David was able to quickly repent and recover the sam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David’s level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elf was changed by resulting in quick repetitive movement in his emotional system. Also, temporary fusion relationship by power and adultery was changed through the therapeutic triangle. This brought about the recovery of David’s basic differentiation of self.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eople with high level of basic differentiation of self can, depending on the situation, show a low level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elf. Not only non–Christians but devout Christian believers, who are going through sanctification, need to work on their psychological maturity. 본 연구의 목적은 다윗이 간음죄와 살인죄를 짓는 과정에서 나타난 자기분화수준 변화과정에 대한 고찰과 그에 따른 기독교 상담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보웬가족치료 이론과 성경 속 인물과 사건을 통합적으로 해석하는 학문 내 통합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윗은 분화수준 85–95 범주의 높은 기본분화수준을 보였다. 둘째, 다윗의 간음죄는 다윗의 왕권세우기로 파생된 일시적 불안 때문에 공허, 외로움의 감정체계 반응으로 권력과 융해된 다윗–밧세바(간음)–‘다윗 남은 가족’의 삼각화 대상을 찾는 낮은 기능분화수준 현상이다. 셋째, 하나님은 다윗의 분화수준으로 치료적 개입을 하셨고, 다윗은 빠른 회개를 하며 정서체계를 활발하게 움직이며 일시적으로 융해된 권력과 간음으로부터 탈 삼각화 현상을 보였다. 이것은 다윗의 기능분화수준 변화와 기본분화수준의 회복을 가져왔다. 연구결과 첫째, 높은 기본분화수준의 사람도 일시적으로 상황에 따라 낮은 기능분화수준을 보일 수 있다. 둘째, 하나님이 다윗 분화수준에 맞는 치료적 개입으로 치료적 탈 삼각화 현상을 가져온 것처럼 상담자 역시 내담자 분화수준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기본분화 변화과정은 평생에 걸친 작업이며 영적 성숙과 심리적 성숙은 비례관계가 아니기에 성화과정의 그리스도인은 심리적 성숙의 노력이 필요하다.

      •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최연실,김현영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社會科學硏究 Vol.21 No.-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대처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가족역동적 관점 가운데 하나인 Bowen의 자아분화 개념을 적응하였다.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힘으로써 청소년기 스트레스 대처와 가족역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자아분화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하위개념으로 자아분화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관계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 가족투사로 이루어졌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중심적 대처, 자기위로 능력, 회피적 대응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전체적인 자아분화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에 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정서중심적 대처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간에 차이를 살펴보면, 중학생 집단에서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경제적 수준과 대인관계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과 관련이 있었으며, 회피적 대응은 삼각화와 가족투사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고등학생은 정서적 단절만이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 대처에서 문제중심적 대처는 정신내적 분화와 가족투사가, 사회적 지지추구는 정신내적 분화 및 삼각화와 가족투사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위로 능력은 정신내적 분화와 삼각화, 정수중심적 대처는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관계 분화 그리고 삼각화와 관련이 있으며, 회피적 대응은 정신내적 분화와 가족투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를 통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집단간 자아분화와 이에 따른 나타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방식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통해 민감한 청소년기에 보다 적절한 방식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으며, 청소년들의 가족과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활용되고자 한다.

      • KCI등재

        기능적 분화와 사회 연대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1

        Capitalism today has superseded caste system of the past, and capital has risen to a position comparable to that of status. The division of labor according to function seemed to replace status, but as capital soon rose to the position occupied by status, division of labor became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change from a social class society to a capitalist society, I find the reasons why Adam Smith’s theory of division of labor succeeded and Durkheim’s theory of division of labor failed. In modern society, ‘function’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transition from the social class society to the capitalist society, the function seemed to be fully functioning. It even appears as if identity has been replaced by a function. Capitalism deviated from the framework of class society, and functions were liberated from being subordinated to class. The power of capital triumphed over the power of status. But capital itself is becoming an identity. Capital becomes a new identity and subordinates functions. An economy liberated from status was expected to usher in an era of genuine individuals, but individuals soon became subordinate to capital. In modern society, ‘function’ is more important, but the logic of capital is embedded within it. It’s hard to see it as a true functional superiority.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true functional differentiation. I demand that social theory be standardized in a way that limits the influence of capital on the economic system and reduces the influence of capital on other functional systems. Tak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concept means that functional differentiation is not realized properly in reality due to ‘the totality of capitalism’. While insisting on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the author also insists on the differentiation of systems oriented toward social solidarity. Two points should be mentioned here. First, even if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is elicited, the social solidarity effect is not fully achieved through this alone. In fact, it must be a very difficult task to deriv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This is becaus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aims to dismantle ‘the totality of capitalism’ Second, 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sett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it is thought that various devices oriented toward social solidarity are needed. The normative language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is still valid, and the voice of human beings for social solidarity must be raised. Wher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are violated and social solidarity cannot be expected within the system,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socially weak is important. Although I argue for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concept/ normative task’, I do not think this is the only solution. In resolving social problems, I emphasize that no solution can ignore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modern society, and that ‘functional differentiation’ should be set as a normative concept rather than a factual concept to present a solution. Nevertheless, there are clearly areas that cannot be covered by ‘functional differentiation’, which means that concept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have a strong effect on our normative pathos. 오늘날 자본주의는 이전의 신분주의를 대체했으며, 자본은 신분에 버금가는 위치에 올라섰다. 기능에 따른 분업이 신분을 대체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자본이 이내 신분이 차지했던 위치에 올라섬으로써 기능에 따른 분업은 그 종속변수가 되었다.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에서 필자는 애덤 스미스의 분업론이 성공하고 뒤르켐의 분업론이 실패한 이유를 찾는다. 현대사회로 갈수록 ‘기능’은 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기능은 그야말로 제 기능을 발휘하는 것처럼 보였다. 신분이 기능으로 대체된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자본주의는 신분사회의 틀을 벗어났고, 기능은 신분에 종속되는 것에서 해방되었다. 자본의 힘은 신분의 힘을 이겼다. 하지만 자본 스스로 신분이 되고 있다. 자본은 새로운 신분이 되어 기능을 종속시킨다. 신분에서 해방된 경제는 진정한 개인의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했지만, 개인은 이내 자본에 종속되었다. 현대사회로 갈수록 ‘기능’이 중요시되나, 그 내면에는 자본의 논리가 내재해 있다. 진정한 기능 우위라고 보기 어렵다. 진정한 기능적 분화라고 보기 어렵다. 필자는 자본의 영향력을 경제체계에 제한하고, 정치, 학문, 예술 등 다른 기능체계에 미치는 자본의 영향력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사회이론을 규범화할 것을 주문한다. ‘기능적 분화’를 규범적 개념으로 삼았다는 것은 기능적 분화가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의해 현실에서는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주장하면서, 사회 연대를 지향하는 체계의 분화도 주장한다. 여기서 두 가지 점을 언급해야 하는데, 첫째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이끌어낸다고 해도, 이것만으로 사회 연대 효과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사실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이끌어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임에 틀림없다.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는 ‘자본주의의 총체성’의 해체를 목표하기 때문이다. 둘째, 그렇기에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설정하는 것 외에도, 사회 연대를 지향하는 여러 장치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인간존엄, 인권의 규범적 언어가 여전히 유효하며, 사회 연대를 주장하는 인간의 목소리가 높아져야 한다. 인간존엄과 인권이 침해되고, 사회 연대를 체계 내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곳에는 사회적 약자의 인정투쟁이 중요하다. 필자는 ‘규범적 개념/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주장하지만, 이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필자는 사회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현대사회에서는 어떤 해결책도 ‘기능적 분화’를 도외시할 수 없으며, ‘기능적 분화’를 사실적 개념을 넘어 규범적 개념으로 설정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기능적 분화’로 포섭할 수 없는 영역이 분명 존재하며, 이는 인간존엄, 인권, 인정투쟁과 같은 개념들이 우리의 규범적 파토스에 강력한 효력을 발휘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다원주의와 기능적 분화

        고봉진 ( Ko Bong-ji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1 法과 政策 Vol.27 No.3

        필자는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사조가 ‘다원주의’와 ‘기능적 분화’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는 절대적으로 옳다는 사상이 저물었고 서로 다른 가치관에 기초한 사상들이 공존한다. 자연법의 시대는 고대, 중세, 근대에까지 주류를 이루었으나, 현대에는 실증주의에 자리를 내주었다. 이전에는 비주류였던 상대주의가 현대에서는 주류의 위치로 올라섰다. 이런 흐름은 ‘다원주의’로 대표된다. 체계이론은 기능으로 특화된 여러 체계로 사회가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체계의 기능적 분화’에서 현대의 주된 사조인 ‘다원주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신분이 아니라 기능이 주된 매체가 되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중심으로 ‘기능적 분화’가 이루어진다. ‘체계의 기능적 분화’는 현대사회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사실적 현상이다. 필자는 현대사회에 적합한 규범적 사회이론을 구상함에 있어서 이러한 ‘사실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실적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적 분화를 고려함이 없이 규범적 개념으로 이상적인 내용을 설정한다면, 이는 이론 자체로는 말할 수 없이 좋을지 모르나 현실에서 실현하기에는 어려운 개념이 된다. 필자는 ‘규범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 내지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현대사회에 적합한 규범적 사회이론으로 제시한다. ‘사실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가 현대사회에서 진행되지만 이는 많은 경우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의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다. 자본주의에 유리한 기능은 분화가 잘 되는 반면에, 자본주의와는 거리가 먼 기능은 도태된다. 예컨대 경제체계는 분화에 분화를 거듭하지만, 복지체계는 그렇지 않다. 필자가 주장하는 ‘규범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제대로 분화되지 못한 ‘기능체계’에 관심을 둔다. 동시에 자본주의에 의해 강화되는 경제체계의 과도한 영향력을 제한하려 한다. 경제체계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율적인 기능체계는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겠지만, 그렇다고 여러 기능체계의 자율성이 경제체계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경시할 수는 없다. 경제라는 기능이 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비유로 말하자면) 유기체에서 심장과 같은 기능에 해당할 것이다. 심장은 다른 여러 장기에 피와 산소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나, 다른 장기의 자율성에 개입하지 않는다. 경제체계는 심장이나 뇌와 같은 제일 중요한 기능체계이나, 다른 사회의 기능체계가 온전하게 작동하도록 도와줄 뿐이다. ‘규범적 개념으로서 기능적 분화’는 전체 사회를 하나의 이념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식의 주장을 하지 않는다.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의해 ‘경제체계’가 다른 기능체계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비판하며, 사회적 약자의 보호를 위해 제대로 분화되지 못한 복지체계와 같은 기능체계를 국가가 나서 형성할 것을 요구한다. 필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의 기능적 분화’가 규범적으로 조정될 때 제대로 된 ‘기능적 분화’의 모습이 나타날 거라 생각한다. I think the important trend that characterize modern society are 'pluralism'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I believe that the modern world we live in is an era in which the idea of absolute right is over and ideas based on different values coexist. The age of natural law dominated the ancient, medieval, and modern times, but gave way to positivism in modern times. Relativism, previously non-mainstream, has risen to a mainstream position in modern times. This trend is represented by 'pluralism'. I assert that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factual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 normative social theory suitable for modern society. If the ideal content is set as normative concept without considering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at takes place in reality, this may be indescribable in theory, but it becomes a difficult concept to realize in reality. I present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concept' or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task' as normative social theory suitable for modern society.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factual concept proceeds in modern society, but in many cases it is not realized properly by the 'totality of capitalism'. Functions favorable to capitalism are well differentiated, while functions far from capitalism are eliminated. For example, the economic system is 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but the welfare system is not.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concept' that the author claims is concerned with 'functional systems' that have not been properly differentiated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At the same time, it tries to limit the excessive influence of the economic system reinforced by capitalism. A functional system that is completely autonomous under the influence of the economic system cannot realistically exist, but it cannot be underestimated that the autonomy of various functional systems is destroyed by the economic system. It is true that the function of economy is important in society, but it would be (figuratively speaking) the function of the heart in an organism. The hea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lying blood and oxygen to many other organs, bu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utonomy of other organs. The economic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system, such as the heart or brain, but it only helps the functional systems of other societies to function properly.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normative concept' does not argue that the entire society should be reformed as ideology. It criticizes the excessive influence of the 'economic system' on other functional systems by the totality of capitalism, and demands that the state take the initiative to form a functional system such as poorly differentiated welfar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the socially weak. I believe that when the ongo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ociety' is normatively adjusted, it will become a proper 'functional differentiation'.

      • KCI등재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의 기원과 홍산문화

        우실하(Woo Sil-Ha)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한국의 전통 음악, 무용, 신화, 전설, 민담 등 대부분의 기층문화 연구에 있어서 숫자 3이 지닌 상징성은 늘 주목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는 ‘숫자 3’에 주로 주목하였지, 그 연속선상에 있는 3, 9(3×3), 81(9×9) 등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 필자는 ‘하나에서 셋으로 분화되는 일련의 사유체계’를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이라고 명명하고, 이러한 사유체계가 북방 샤머니즘을 공유하고 있는 북방 민족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한국, 중국, 몽골 등에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흔적들을 연구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1) ‘3수 분화의 세계관’의 가장 핵심적인 논리인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라는 사유체계는 3개의 태양이 동시에 떠오르는 환일 현상에 대한 경험이 체계화된 것이고, (2) ‘3수 분화의 세계관’에서 가장 중요한 성수인 3은 홍산문화 후기 단계에서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었으며, (3) 천지인 관념, 삼계관(하늘세계, 인간세계, 지하세계), 천원지방 관념, 3.1신 혹은 3신 관념 등의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핵심적인 논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각종 유물들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선도,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불교와 습합되면서 독특한 신불교(神佛敎: 유동식 교수의 개념)의 모습으로 지속되어왔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유교가 국가 이데올로기로 자리하면서 과거의 모습들이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중국에 비하면 많은 것들이 그대로 기층문화에 남아 있는 것이다. 한국 전통문화의 심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숫자 3을 비롯한 9, 81 등의 상징성은 북방 샤머니즘의 사유체계인 ‘3수 분화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리고 이런 ‘3수 분화의 세계관’의 기초적인 형태는 홍산문화 후기(B.C. 3500 - B.C. 3000)에 체계화되었다고 본다. 이런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전통문화 각 부분에 대해서 새롭게 살펴보면 필자가 미처 보지못한 많은 흔적들이 드러날 것이라고 본다. 각 분야별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르기를 바란다. I have suggested ‘World View of Trichotomy(1-3-9-81)’ differentiating itself by keeping the very rule of ‘1-3-9-81’ way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World View of Trichotomy’ is common in Northeast Asian Shamanism. In each and every region of Northeast Asia, we can see the ‘Holy Numbers 3, 9 and 81’of Northeast Asian Shamanism. For this reason, it may well be inferred that ‘World View of Trichotomy’ is the ‘Mother’s Womb of Northeast Asian culture and philosophy’.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ucceeded southward to the central China, and turned into the grassroots of Taoism and its spirit of Supreme Hermit. And this world view has also been handed down to Sundo (仙道, Korean Taoism) and other Korean national religions. On the other hand, this world view did its distinctive role in formulating the basic culture of Europe through Druidism of the Celts who were among the ancient Aryans sharing the spirit of Northeast Shamanism mostly.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4500-3000 BCE.) is the most famous neolithic era culture in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 around the Liaohe(遼河 = Liao river). This paper insists that, (1) ‘World View of Trichotomy’ has it’s origin on Sun dog(= Mock sun = Parhelion) phenomenon with 3 Suns in the sky, (2) the essence of ‘World View of Trichotomy’ was structured at Hongshan Culture period, (3) and the earliest form of ‘3.1 philosophy’ , ‘3.1 god’ etc. begin at Hongshan Culture period. So, I am trying to explain the ‘Holy Numbers (3, 9, 81)’ in the remains of Hongshan Culture.

      • KCI등재

        '기능적 분화'로서의 모더니티

        김종길(Kim, Jong-Kil)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5 No.-

        기능주의 모더니티 기획의 요체인 ‘기능적 분화’는 대다수 사회과학 담론에서 기정사실로 전제될 만큼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본고는 넓게는 사회학적 기능주의, 그리고 좁게는 루만이 신기능주의적 모더니티 기획에 내장된 기본 가정과 정당화 논리 및 쟁점을 재구성한 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서구나 비서구 할 것 없이 현대 세계사회에서는 기능적 분화의 확산 못지않게 문화적 생활세계 영역의 분절적 분화 및 급격한 발전과 사회적 재화의 불평등한 분배에 따른 비대칭 분화가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세계사회의 이 같은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현실은 서구 사회의 구성적 특질들이 불가피한 모더니티 발전 단계로 물화되는, 복잡하긴 하나 단순화된 기능주의 모더니티 프로그램으로는 충분히 포착될 수도, 또 온전히 설명될 수도 없다. 루만의 신기능주의적 접근은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 모순의 중첩, 차이, 체계와 환경의 역동성에 주목하고 이를 자신의 자동생산 체계이론 내에 적극 끌어들이고 적절히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층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진화 과정으로서의 모더니티, 계층적 분화 및 분절적 분화에 대한 기능적 분화의 우위 가설 등에서 보듯, 모더니티를 판독하는 그의 기본 코드 역시 기존 패러다임의 틀과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능주의 모더니티 기획에 대한 회고와 비판적 재인식을 넘어 전통과 현대, 서구와 토착, 분화와 탈분화의 이론적 해체와 재구성 및 새로운 창조가 요구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Despite of all its shortcomings and critiques, sociological functionalism has been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ociological theorie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basic feature of modernity, which is shared by diverse functionalistic branches, is so widely accepted that it is viewed to be an established fact or common sense in soci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reconstruct the main ideas and key concepts of modernity in sociological functionalism, which is focused on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ystems and their operating mechanism, and, second, to review them critically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mtemporary world society, characterized by the differentiation and dedifferentiation,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complexity, the pressure for universalism and the reaction upon, it, is too complex and uncertain and can not be explained in full by the expansion and deeping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the contemporary world society, be it a western or non-western orientation, besides functional differentiation, segmentary differentiation in cultural life world, and the new brand of asymmetric differentiation which primarily originates from the inequality of the distribution of socio-economic assets, tend to wield their power strongly The complex, but unilinear project of modernity in sociological functionalism can neither comprehend the complicated and manifold reality of world society, nor examine it wholly The neo-functionalistic approach of Niklas Luhmann can be appraised to be an advance in discourses of the project of modernity, in that it i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world society, the duplication of contradictory factors or differenc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ystem and environment. However, with his concept of modernity, as an evolutional process and an assumption of the superiority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ver segmentary or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suggests, his understanding of modernity is still caught in the framework of the functionalistic paradigm. It is this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deconstruct, reconstruct and reinterpret the discourses of modernity and their theoretical outputs

      • KCI등재

        만횡청류의 분화와 분화의 의의

        배대웅 ( Bae Dae-ung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본고는 『청구영언』(김천택본)에 수록된 ‘만횡청류’ 작품들의 분화 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찾을 수 있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청김』의 ‘만횡청류’ 작품들은 전승되면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을 본고에서는 ‘만횡청류’의 분화라고 칭하였으며, ‘만횡청류’ 작품들의 분화의 모습을 ① 가집 내 같은 악곡에 수록되지만 두 곡씩 수록되는 경우 ② 가집 내에 같은 작품이 수록되지만 다른 악곡으로 수록되는 경우 ③ 같은 악곡으로 전해지기는 하나 다른 군집으로 나눠질 정도로 내용이 분화한 경우로 나누어 보았다. 그 결과 ‘만횡청류’의 분화는 우선 ①, ② 분화 양상의 경우, 19세기까지 전해지던 ‘만횡청류’가 창자의 성별이 다르고, 불리는 악곡명이 다르다 할지라도 연행 현장 속에서 일부 만횡청류 작품들에 대한 애호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먼저 인용한 작품처럼 최초 전해지던 ‘만횡청류’ 작품을 연행연장의 애호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여 연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③ 분화 양상도 앞의 두 분화 양상과는 다소 다른 모습을 보이긴 하나 결국 이 경우에도 앞서 언급했던 향유자들의 애호나 취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분화 양상은 ‘만횡청류’의 내용 분화와 악곡 분화가 이뤄진 후 19세기에 이르러 그것들이 통일된 모습을 찾을 수 있지만 20세기 즈음에 이르러 연행 현장 속에서 불리는 노래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기존에 통일성을 보였던 노래들도, 악곡이 됐든 장르가 됐듯, 그것들의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연행 현장의 변화도 충분히 그것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나 향유층의 애호·취향의 변화 역시도 예상해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aspect of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ce of ‘Manhoengcheongryu’ works contained in 『Cheongguyeongeon』(by Kim Cheon-Taek). The ‘Manhoengcheongryu’ works of 『Cheongguyeongeon』(by Kim Cheon-Taek) were changed into many different looks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In this thesis, this changed look was called the differentiation of ‘Manhoengcheongryu’, and the differentiated looks of ‘Manhoengcheongryu’ works were divided into ① a case in which two songs were contained in the same musical piece within the collection of poems, ② a case in which the same work was contained as a different musical piece within the collection of poems, and ③ a case in which it was handed down as the same musical piece, but the contents were differentiated a lot enough to be classified into another group.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tiation of ‘Manhoengcheongryu’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the differentiation aspect shown in ① & ②, even when the ‘Manhoengcheongryu’ transmitted till the 19th century showed the different sex of singers, and the name of musical piece was different,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eference for some Manhoengchengryu works in the site of performance. Just as the work quoted earlier, the ‘Manhoengcheongryu’ work initially transmitted was performed after modifying its contents suitable for the preference in the site of performance. Even though the differentiation aspect shown in ③ was a bit different from those two above differentiation aspects, eventually, this case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preference or taste of the enjoyers mentioned earlier. Those differentiation aspects showed the unified look in the 19th century after the contents and musical piece of ‘Manhoengcheongryu’ were differentiated. When the kinds of songs sung in the site of performance were diversified in the 20th century,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m just as the existing songs with the unity became a musical piece or a genre. Also, the changes in the site of performance and the changes in the preference/taste of enjoyers probably affected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