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말 혁명파의 用夏變夷 논리체계와그 적용범주 연구

        이춘복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6 중앙사론 Vol.0 No.44

        本稿用夏變夷的主體、方向性和適用範疇以及征服王朝的漢化政策和用夏變夷的實現可能性與否等問題的淸末革命派的討論試圖進行深入的檢討,並且討論他們和有改革派之間對用夏變夷思想的差異,宏觀上探討他們和在歷代漢族王朝下的華夷峻別思想之間有那些的繼承關係。 淸代今文學派雖然强調用夏變夷的同化力和漢化的重用性,而歷代征服王朝維持他們自身的認同(故俗)的夷狄化問題却持了回避態度或保持沈黙,對其並却沒有持反對的立場,這實意味着最終導致減少中原文化的影響力而却增强夷狄文化的强度。如此,用夏變夷的一方向和夷狄化之間就產生自相矛盾。與此不同的是,劉師培、朱執信、汪精衛等淸末革命派各有共通點和不同點。就共通點而言,革命派肯定以體得儒家價値爲宗旨的用夏變夷,就這点來講,與今文學派大一統思想的大方向是一致的共識。就不同點而言,革命派只漢族才享有作爲用夏變夷的主體的資格予以肯定而對其他異民族予以全面否定,從這點來講,與改革派的今文學立場是截然不同的。與此同時,無論征服王朝時期還是漢族王朝時期,革命派對於遷徙轉入中國內地的夷狄集團進行女眞化、蒙古化、滿洲化予以全面否定,就這点而言,他們繼承了在漢族王朝下的漢族文人的華夷峻別思想。 淸代今文學者以『春秋』、『論語』、『孟子』有關語句爲典據只將‘仁政’、‘禮義’、‘人道’等文化價値認作華夷之辨的唯一尺度,這一主張和逻辑,無論傳統的以往解釋還是淸末革命派的用夏變夷思想都是背道而馳的。由於淸末革命派繼承了王夫之等古文學派的華夷觀,他們在『春秋』文獻上所出現的夷狄對於華夷之間的互換可能性予以肯定,但他們嚴格要求在時間上、空間上的區別對待。就時間上的界限而言,將先秦時代『春秋』文獻上的夷狄和秦漢以後所登場的歷史上夷狄區別開來。就空間上的界限而言,在空間上將九州之外(或塞外)的夷狄和九州之內(或塞內)的夷加以區別對待。革命派在時間上秦漢以後和在空間上九州之外的夷狄對用夏變夷的實現可能性都予以全面否定。因位如此,革命派繼承傳統時代在歷代漢族王朝文人們的華夷峻別之立場,考證將帝舜、帝禹、文王等中國聖王的出生地和居處都論定爲九州以內,這意味著對『孟子』(八佾篇)有關語句進行文字自體的解釋的雍正帝和乾隆帝以及淸代今文學派的立予以全面否定。也就是說,革命派認爲秦漢以後在九州之外所出生和成長的匈奴、鮮卑、女眞、蒙古、滿洲等異民族和在『孟子』文獻上的帝舜、文王在性質上是截然不同的,這可以說是淸末革命派公開宣布漢代以後的夷狄都不可以成爲中國的君主。要而言之,革命派將夷狄時間上、空間上嚴格地區別開來而可以對待,試圖他們想要斷絶『春秋』所出現的互換可能性的夷狄和秦漢以後的歷史上夷狄的鏈接。也就是說,革命派將孔子的『春秋』地位只限定爲說明春秋時代的歷史書,進而可以斷絶了今文學派想要將『春秋』內容擴大適用爲漢代以後的夷狄或者征服王朝的托古改制。 無論歷代征服王朝下的漢族文人還是淸代雍正帝或者今文學派-改革派,對於北魏、金朝、元朝、淸朝的漢化政策和用夏變夷可能性都予以肯定。與此截然不同的是,淸末革命派在漢族王朝下的漢族文人的華夷峻別思想,無論夷狄王朝的漢和政策還是扶持夷族王朝的漢族文人進行了尖銳批判銳批判。朱熹、鄭思肖、顧炎武、王夫之等將歷代夷狄王朝的漢化政策比作爲‘升楺冠猴’和‘牛馬治裝’,進而夷狄王...

      • KCI등재

        魏晉南北朝時期 中華意識의 변용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홍승현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0

        This study aims at recovering how Sinocentrism was influenced and changed by neighbor tribes and countries during the Wei, Jin, Nan, and Bei period, and examining the regional dynamics of East Asia that were newly established by the transformed Sinocentrism. To this end, the following was discussed. First, how Sinocentrism was established among the Wu Hu (五胡),or the “Five Barbaric Tribes,” was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spirit. This examination found that the Sinocentrism expressed by rulers of the barbarians was not only transformed by themselves, but was also influenced by Han people who had long lived and mixed together with neighboring tribes and had changed their view of the tribes. Second, how Sinocentrism evolved into specific policies or measures by the tribal rulers was examined. The monarchs established a “Principle of Kingdom Alternation,” in opposition to the “Five Virtue Principle,” so that they became legitimate kingdoms, and adopted the titles of “Emperor” and “King” to strengthen their authority. In addition,they called themselves “Center” (中華) while looking down upon other tribes, and established military offices to oversee other tribes. Building upon such a series of policies and measures, all the monarchs believed that they had established the central, legitimate kingdom and the tribute and investiture system centering on themselves, resulting in multi-centered and multi-layered regional dynamics. The transformation of Sinocentrism by the rulers and the accompanying change in regional dynamics created new centers and peripheries, which helped spread Sinocentrism. This is demonstrated by Koguryo’s and Japan’s independent titles for the monarch and their unique views of the world. The two countries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created their own systems regarding the regional dynamics, but were still included in the tribute and investiture system of China. This was because adopting Chinese titles and systems represented their international standing within East Asia and helped domestically reinforce the respective ruler’s power. Accordingly,although the Sinocentric tribute and investiture system cannot explain the actual ruling-ruled relations, it is clear that the system served as a mechanism to maintain the order within the regional dynamics and to express the ritual ranks of each country. 이 연구는 첫째, 魏晉南北朝時期 華夷思想이 胡族 및 그 국가에 의해 변용된 모습을 복원하고, 둘째, 그를 근간으로 수립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고찰되었다. 우선 五胡 안에서 확인되는 中華意識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를 살펴, 그 의식의 실체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胡族君主에게서 보이는 중화의식은 夷狄 스스로의 변화의 결과만은 아니고, 오랜 기간 동안 진행된 華夷 雜居의 결과이며 이적에 대한 漢族의 의식 변화가 불러온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중화의식이 胡族王朝들에게서 어떠한 구체적인 조처로 표현되었는가를 확인하였다. 호족왕조들은 자신들이 受命王朝임을 드러내기 위해 五德說에 대응한 王朝交替說을 확립하였고, 皇帝號와 天王號를 채용하여 군주의 권위를 높였다. 또한 스스로를 중화로 규정하여 복속한 타종족을 夷狄視하며, 그들을 관할하는 軍官職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조처들에 의해 명실상부한 중국적 황제국가로 변화한 호족왕조들은 너나할 것 없이,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冊封朝貢秩序를 수립하여 다원적이며 중층적 국제질서를 수립하였다. 중국 내 호족왕조들의 중화의식의 변용과 그에 따른 독자적인 국제질서의 수립은 또 다른 중심과 변방을 만들어 냈다. 그리고 중화의식의 전파라는 현상을 만들어 냈다. 高句麗와 倭에서 보이는 독자적인 君主號와 天下觀이 그것이다. 흥미롭게도 이들은 독자적 천하관을 수립하고, 그것에 근거한 독자적인 세력권을 형성하여 중층적 국제질서를 만들어 내는 한편 여전히 중국의 책봉조공질서 안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것은 중국식 칭호나 제도의 사용이 당시 동아시아세계에서 국제적 지위를 표현했기 때문이며, 자국 안에서의 권력 유지의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책봉조공질서가 실질적인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를 설명하지는 못했다 해도, 국제관계 안에서 일종의 질서 유지 장치이자 儀禮的 서열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작동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 KCI등재

        조선 지성사에서의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담론

        김홍백 ( Kim Hong-baek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60 No.-

        본고는 조선에서의 王覇 담론에 대한 통시적 연구이다. 王道와 覇道의 문제는 사상적으로는 맹자와 순자, 주희와 진량의 왕패 담론을 일정하게 계승한 것이면서 역사적으로는 여말선초(원명교체)와 임병양란(명청교체), 구한말(서세동점)의 전환기마다 첨예화된 이상 정치와 현실 정치 간의 긴장 관계가 반복 변주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맹자가 개념화한 왕도와 패도는 동아시아 유가문명권에서 ‘덕에 의거한 윤리의 실천(以德行仁)’과 ‘힘에 의거한 윤리의 가장(以力假仁)’이라는 공존 불가능한 적대적 상극의 관계로서 항시 호명되고 소환되었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이원화된 구도 안에서 왕도와 패도, 윤리와 현실의 관계를 상극만이 아닌 ‘상생’, 대립만이 아닌 ‘상보’로도 인식하고자 했던 흐름 또한 존재하였다. 본고에서는 왕도와 패도 양방을 기왕의 통념적 대립의 구도를 넘어 공히 가치중립적으로 승인하거나 패도를 상대화하여 그 현실적 의미를 왕도와의 관계에서 새로이 재인식하고자 했던 다양한 담론들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에서의 일반적인 ‘패도 비판 양상’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말과 조선 중기, 18세기의 시공간에서 현실 정치의 권력주체인 王이 유가적 이상 정치의 이념주체인 士와의 긴장 속에서 어떻게 왕도 정치의 비현실성을 의심하고 ‘윤리와 현실’ㆍ‘이념과 실재’ 간의 역사적 아이러니에 의문을 품었는지 검토하였다. 아울러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을 중심으로 왕도와 패도의 관계가 ‘은혜와 은덕’을 통한 교화라는 윤리적ㆍ가치적 이념과 ‘위엄과 형벌’을 통한 강제라는 현실적ㆍ제도적 장치 간의 상보적 균형성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나아가 유가적 이상 정치를 그 반대편의 비윤리적 현실을 인정하고 이를 경유하여 천천히 도달해야 할 일종의 ‘잠정적 유토피아(Provisional utopia)’로서 사유되고 있음을 조명하였다. 곧 ‘인의의 부재’(暴政) ⇨ ‘인의의 가장’(覇道) ⇨ ‘인의의 실행’(王道)의 삼단과정에서 ‘인의의 가장’이 왕도 정치로 나아가기 위한 매개적 경유지로 상정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왕도 정치에의 윤리적 이념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패도 정치라는 실재의 현실을 승인하면서 점진적ㆍ잠정적 이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현실적 이상주의자’ 내지 ‘유가적 리얼리스트’로서의 세계 태도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왕패의 상보적 병용’ 내지 ‘패도의 잠정적 승인’으로서의 왕패 인식은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크게 두 개의 흐름으로 계승되었다. 하나가 ‘王道=義 VS 覇道=利’의 상극적 구도에서 후자인 ‘利’에 대한 유가적 승인이라면, 다른 하나는 ‘王道=道 VS 覇道=器’의 위계적 구도에서 전자인 ‘道’ 내지 후자인 ‘器’에의 극단적 편향에 대한 동시 지양이다. 이는 공히 왕도와 패도, 의리와 이익, 목적과 수단 사이의 균형적 인식을 드러낸다. 아울러 이러한 왕패 담론이 서세동점의 구한말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中華와 夷狄, 王道와 覇道의 구분이 불가능해졌다는 시대 인식 위에서 ‘夷狄/覇道’의 것이라도 지금 조선에 도움이 된다면 배워야 한다는 利用厚生으로서의 ‘北學’의 논리가 서양을 배워야 한다는 ‘西學’의 논리로 확장 계승되었음을 조망하였다. 이른바 ‘패도의 재인식’이라는 차원에서 여말 이래 조선 중후기를 거쳐 전개되어온 일련의 새로운 왕패 담론이 華夷論과 연계되어 19세기 말의 전환기에까지 연속적으로 심화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thesis, I explore the discourse of the wang dao(王道, the way of the true king) and the ba dao(覇道, the way of the hegemon) in the Middle and the Late Chosŏn Dynasty. The problem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s that, ideologically, the discourses of Mencius(孟子) and Xunzi(荀子), Chu Hsi(朱熹) and Chin Liang(陳亮) have been consistently inherited. In addition, historically, the tension between ideal politics and real politics, which has been sharpened at each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close of the Korea Dynasty & the beginning of Chosŏn Dynasty(麗末鮮初),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Manchu war(壬丙兩亂),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西勢東漸) has been repeated and varied. In this thesis, I focused on various discourses that attempted to recognize both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relativizing both sides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n a relationship with the wang dao(王道), beyond the conventional confrontational structure. To this end, I first review the general 'criticism of the ba dao(覇道)' in the Chosŏn Dynasty, and based on this, the tension between the king, who is the subject of power in real politics, and the ideological subject of Confucian ideal politics, in the time and space of the end of the Korea Dynasty, the middle of the Chosŏn Dynasty, and the 18th century. It examines how the historical irony between 'ethics and reality' was questioned. In addition, Lee Ik(李瀷), a Sirhak(Practical Learning) scholar in the late Chosŏn Dynasty, understood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as a balanced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s and system of 'grace and punishment'. It shed light on thinking as a kind of 'provisional utopia'. This can be said to be the attitude of the world as a 'Confucian realist'. Furthermore, this recognition of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was inherited in two major streams in intellectual history of Late Chosŏn period. If one is a Confucian approval of the latter, 'profit(利)' in the mutual oppositive structure of 'the wang dao(王道) = righteousness(義) VS the ba dao(覇道) = profit(利)', the other is a simultaneous avoidance of the extreme bias toward the former, 'truth(道)', or the latter, 'vessel(器)'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wang dao(王道) = truth(道) VS the ba dao(覇道) = the vessel(器). This reveals a balanced perception between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righteousness(義) and profit(利), and end and means. In addition, in the Chosŏn Dynasty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logic of 'Bukhak(北學, Northern Learning)' that even the things of 'barbarian(夷狄)/ba dao(覇道)' should be learned if they are helpful to Chosŏn was gradually extended and inherited into the logic of 'Seohak(西學, western Learning)'. In the so-called ‘recognition of ba dao(覇道)’, it can be seen that the new discourse on the wang dao(王道) and the ba dao(覇道) is continuously intensifying until the turning point of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華夷論).

      • KCI등재

        『大義覺迷錄』과 조선 후기 華夷論

        김홍백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한국문화 Vol.56 No.-

        In this thesis, I explore Korean-Sinocentrism(朝鮮中華主義) 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華夷論) in the latter half of Choseon Dynas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ought of Lü Liu-liang(呂留良) and the anti-ch’ing argument of the initiator of the plot, Tsêng ching(曾靜) and the 『Ta-i chüeh-mi lu(大義覺迷錄)』 of The Yongzheng Emperor(雍正帝). first of all, I examine thoroughly the core issue of The 『Ta-i chüeh-mi lu(大義覺迷錄)』 of The Yongzheng Emperor(雍正帝) related to the anti-ch’ing argument 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華夷論) of Lü Liu-liang(呂留良). I explore the ways and the meanings in which the core issue of The 『Ta-i chüeh-mi lu(大義覺迷錄)』 was accepting and was making a comment by the history of thought in the latter half of Choseon Dynasty. The concrete research object are Han Won-jin(韓元震), Yi Ik(李瀷), Yi Kap(李 ), Park Ji-won(朴趾源). I argue that the concept called The ‘Huá ’(華) involve possibility as a universalistic idea, whereby can be shared with every region and nation. I examine, furthermore, the way in which implication and possibility of The ‘Huá ’(華) is connected with the recognition to West. 본고는 雍正 6년(1728) 曾靜逆謀事件을 통해 가시화된 한족 지식인의 ‘華夷論’과 그에 대한 雍正帝(1678~1735, 재위 1722~35)의 이론적 반박문이라 할 수 있는 『大義覺迷錄』의 간행이,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고 朝淸간 관계에 있어 그 사상사적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曾靜逆謀事件 및 그 배후로 지목된 呂留良의 華夷論과 관련하여 『大義覺迷錄』의 핵심적인 쟁점들을 검토하고, 이것이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어떻게 수용 논평되었는가를 병란 이후의 小中華主義 및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對淸觀(北學論)과의 관련 하에 그 의미를 조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세 동아시아의 ‘華’라는 개념 안에는, 중세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 안에서 각 지역-종족 어느 누구에게서든 공유될 수 있는 ‘보편주의적 이념’으로서의 지향성이 담지되어 있음을 주목하였다. 아울러 새로이 재구성된 ‘華’의 내질과 지향이 향후의 對西洋觀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등의 포괄적인 문제로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