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중국 한적의 조선 전래 양상(Ⅰ)

        琴知雅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0 동아한학연구 Vol.- No.6

        韓國은 지리적으로 중국의 동쪽 바다건너에 위치해 있고 북쪽으로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어 예로부터 중국의 漢文化를 받아들임으로써, 이른바 동아시아 ‘漢字文化圈’의 중요한 한 국가로 역사를 이어왔다. 그래서 고대 우리 선조들은 한자를 이용하여 민족문화를 창조할 때, 일찍이 다양한 중국 문헌을 참고했다. 三國, 統一新羅時代부터 우리보다 앞선 唐나라의 서적이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高麗時代에는 宋ㆍ元의 사상ㆍ문화와 함께 다량의 중국서적이 전래되었는데, 특히 儒家와 佛敎 思想이 널리 유포됨에 따라 儒家의 經典과 佛經이 다량으로 유입되었다. 『高麗史』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전란으로 인해 이미 없어진 전적이 당시 고려에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었는데, 이 때문에 宋朝에서 그러한 중국 서적의 복사본을 요청하자 고려왕조에서 제공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도 유교이념의 확립과 체재 정비 차원에서 다양한 서적을 수입해왔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과거 한중 양국 서적 교류의 역사가 유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사상과 문화적 초석을 다지는데 있어서 중국 서적의 수입은 상당히 큰 의미를 지닌다. 당시 주로 어떤 서적들의 수입에 관심을 기울였는지 시대별 전래양상을 고찰해보는 것은 오늘날 우리 문화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문헌의 전래에 대한 이해는 과거 중국문화가 해외로 전래되고 발전된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중국 내 문헌에 대한 정리와 연구에도 대단히 큰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中國漢籍在越南的傳播與接受 ─ 據≪北書南印板書目≫以考

        陳益源,凌欣欣 한국중국학회 2009 國際中國學硏究 Vol.0 No.12

        由於越南古代的文獻, 在戰亂頻仍和自然天候等因素影響之下, 被破壞毀損的情形十分嚴重, 許多可以考察的線索早已不復存在。 想考知中國漢籍在越南的傳播概況, 顯得困難度相當高。 本文藉著≪北書南印板書目≫所提供的書目, 再對照≪越南漢喃文獻目錄提要≫所著錄的書目資料, 試圖釐清中國漢籍在越南傳播的真實面貌。 發現≪北書南印板書目≫中有些漢籍書目, 在≪越南漢喃文獻目錄提要≫並無著錄, 但我們卻也找到若干的關聯性。 同時透過≪北書南印板書目≫所收書目, 我們了解到, 中國漢籍中, 特別是有關佛教類、 道教與俗信、 醫家和數術類等實用性強的書籍, 由於市場的需求較大, 在越南重新刊印的比率比較高。 在當地傳播和被接受的機會, 自然也比其他類書籍更加廣泛。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