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음세대’(1981-2001)의 세속화주기에 대한 실증연구 - ‘X-Secular Scale’을 중심으로 -

        박관희,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한국사회는 다문화 다종교 사회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미래에는 신자유주의 질서체계가 합쳐진 복잡한 세속화사회가 전망된다. 이러한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종교뿐 만 아니라 개인과 사회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다. 이와 같은 세속화와 그 주기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복잡한 세속화사회는 한국 기독교에게 있어서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한국기독교의 다음세대는 사회적으로 세속화사회에 놓여있고, 개인적으로 다문화 다종교 사회 상황에서 ‘어떻게 종교적 신앙주의를 유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에 따라 그들의 미래가 좌우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 세속화(Personal Secularization of Christianity)를 측정하기 위해 세속화 측정도구(X-Secular Scale)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측정도구를 가지고 한국사회에서 다음세대(1981년-2001년생)의 세속화 정도에 대한 개인별 측정을 실시하고 기독교 세속화주기에 대한 세대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속화 측정도구 6항목을 개발하였으며, 그 측정도구를 통해 《소속 없는 신앙인(중고등학생 출생동시집단) → 신앙 없는 소속인(대학생활 출생동시집단) → 소속 있는 신앙인(취업준비 및 직장생활 초기 출생동시집단) → 종교적 무신론자(결혼과 가정생활 초기 집단)》과 같은 다음세대의 세속화 주기를 발견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의 사회적 시스템 자체가 ‘종교적 무신론자’를 양산하는 구조인 것과 더 나아가 이렇게 구조화 된 세속화사회가 미래세대의 개인적 세속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ly, to look at the study trends of secularization theory. Secondly, to presents X-Secular Scale which measures Personal Secularization of Christianity. Thirdly, to empirically analyzes secularization cycle how South Korea Christianity is secularization. Korean society currently have the character of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but in the future I will be seen in the complex secularized society which together is the neo-liberal order system. The individual theory of Secularization is how in the secular society individual show secularized process, that is, secularization cycle. This word is that in religion individuals and groups both have a constant cycle(or pattern) such as 'enter-growth-maturity-decline period'. Specifically secularization cycle was through the process which is 'believer -within-belonging'(or teenager's cohort group), 'believer-without-belonging(or college life's cohort group), 'belong's person-without-believing'(or employment preparation and workplace life's cohort group), 'Religious atheist/unbeliever'(or marriage and family life's cohort group). In conclusion, our society itself is systematic structure that produce 'religious atheist', and means to is structure to indicate that the secular society affects individuals secularization. In other words, 'believer -within-belonging' is likely to very high be either 'believer-without-belonging' or 'Religious atheist'. Such materials can be us to enrich that the secularization strategically can respond South Korea Christianity pastoral thinking.

      • KCI등재

        세속화 시대의 효율적인 복음전도에 관한 연구

        하도균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1

        복음전도는 한 개인에게 하나님의 구원을 시작하게 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시작하고 확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복음전도를 실천하고 노력한 만큼 그 결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하소연을 하 기도 하고, 이 시대에 적합한 획기적인 방법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세속화’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오늘날 복음전도를 어렵게 하는 세속화의 현 상들을 분석하였다. 세속화는 단순히 과거에만 나타난 하나의 현상이 아니라 현재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고, 오늘 날의 시 대를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속화의 영향은 예상보다 심각하게 기독교를 파괴하고 있 으며 복음전도의 방해가 되고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이와 같이 교회를 어렵게 하고 복음전도를 방해하고 있는 세 속화의 현상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복음전도의 준비와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세속적인 사람들의 전도를 위해 본질적인 차원과 방법적인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하여 전도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세속화의 위기가 복음전도에 있어서 기회가 되기 위해서 한편으로는 본질적인 차원에서 끊임없이 기독교의 본질이 살아 있는지를 점검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본질이 살아 있는 한 어떠한 방해도 이겨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한 편으로는 점차 더 세속화 되어가는 세상을 분석하여 이해하는 준비가 필요하다. 시간이 흘러갈수록 세상은 더 심각하게 세속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세속화의 특징들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제시하여 세속화의 현상에 대처하는 복음전도의 전략들이 세워져야만 한다. Evangelism is important at the point that begins salvation to a individual, and begins and extends the realm of God. However, today, many people complain that the effect does not get to expected value as they practice and try evangelism. And they claim that epoch-making means that is suitable to this days must come out. Among these circumstance, I analyzed conditions of se cularization that makes evangelism difficult today, focusing to subject 'Secularization' in paper. This is because secularization is influencing to things present, not one condition appearing simply only in the past, and it is subject that can display days of today comprehensively.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secularization has destroyed christianity seriously than expectation and became disturbance of evangelism. And I presented the preparations and strategies of evangelism to cope with efficiently the conditions of secularization that have made church difficult and prevent evangelism through this study. Concretely, I examined how to approach and evangelize the carnal-minded in essential dimension and dimension that is means. We must inspect whether Christian intrinsic nature is alive in essential dimension on the one hand for the crisis of secularization to become a chance in evangelism. Because Christianity can overcome any hindrance as long as Christian intrinsic nature is alive. On the other hand, Christianity should prepar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world that has become secularization gradually more. As time flows, the world is a real state of things that is secularized more seriously. Therefore, the strategies of evangelism that analyze characteristics of secularization continuously and copes with the condition of secularization must be developed.

      • KCI등재

        로잔대회와 세속화

        박영환(Young Whan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로잔의 정신과 신학 정체성은 두 가지로 정리된다. 1) 땅 끝까지 복음을 듣지 못한 자들을 향한 전도를 쉬지 않고 행하는 것이다. 2) 복음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하심을 영원토록 변함없이 지키는 것이다. 이것이 전도의 우선성과 복음의 불변성이다. 이 두 가지 축을 바탕으로 1989년 로잔 마닐라 대회는 1974년 로잔언약을 선교현장으로 선언하는 활동을 담고 있다면, 2010년 로잔 케이프타운 대회는 로잔언약(1974)을 선언한 현장성 있는 로잔의 활동을 넓혀 가는 것이었고, 케이프타운(2010) 선언은 마닐라 선언문의 활동을 성실히 하지 못한 회개와 새로운 문화적 도전에 관한 새로운 선언문의 영역을 넓혔다고 본다. 이러한 바탕에서 로잔대회의 세속화는 복음을 지키려는 전도자의 열정과 복음을 다르게 해석하려는 경향성에 위기감을 가지고, 어떠한 가능성까지도 도달할 수 있는 흔적까지도 로잔대회의 세속화로 정의했다. 그 결과 세속화의 합리적, 이성적 과학적 논지와 자료들까지도 거부하게 되었다. 물론 일부 로잔의 세속화 선언이 과격한 근본주의 입장에서 보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나, 로잔신학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근원적 의도를 인지하고 받아들인다면 타당하다. 그렇다면 로잔대회의 세속화 평가의 미래대안은 선교적 초기 선교현장의 접근, 과정, 결과, 경향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 로잔의 신학적 입장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세속화의 경향성은 로잔대회의 전개과정에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경향성의 접근과 이해는 복음주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성전의 두 기둥과 같다. 기둥 없이 집을 세울 수 없듯이, 근원을 변화시켜 새로운 해석과 이해를 시도하는 것은 다른 것이다. 로잔의 세속화는 로잔의 미래를 열어가는 통로와 같다. 로잔은 선교현장의 미래를 만날 수밖에 없으며, 만나야 하며, 앞으로도 만나야 할 로잔의 미래과제는 여전히 세속화가 주제일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로잔은 세속화를 거부하거나, 사전에 두려워할 필요성이 없다. 오직 어떻게 복음을 전하며, 복음을 지킬 것인가에 집중하면 된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 하는데 만일 온통 구더기라면 장 담글필요가 없다. 장이 결국 구더기의 온상이 되기 때문이다. 구더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장 담그는 정책과 전략이다. 세속화를 어떻게 막을수 있을까 하는 방법보다는, 어떻게 복음을 지켜 나아갈 것인가 하는 것이 로잔대회의 세속화를 줄여가는 방법이 될 것이다. The theology and spirit of Lausanne Congress prove the uniqueness and finality of Jesus Christ. Firstly, we should proclaim and act evangelism to unreached people. Secondly, we must keep forever the redemption of Jesus Christ. This is the uniqueness of evangelism and invariability of Gospel. The point of two things, Manila Lausanne Congress in 1989 put the declaration of activity from Lausanne Congress announcement in 1974. Cape Town Lausanne Congress in 2010 had converted about not faithful activity Manila Lausanne Congress and its have broadly understood the new challenge of culture. In this base on the secularization of Lausanne Congress have a conflict between keeping the uniqueness of gospel and was polluted about a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As a result of secularization, Lausanne Congress rejected reasonable and scientific point of secularization. This point appears to argue some fundamentalism, however this Lausanne Congress keep the original being identity and theological principle. Moreover, secularism evaluation of Lausanne Congress will become more theology of Lausanne Congress in future trends than approach, analysis, and result of early mission field. Because trends of secularism have changing process of Lausanne Congress. Therefore, the secularization and the Lausanne Congress preserves ‘uniqueness and finality of Jesus Christ’ and passion of gospel the key point of the Lausanne, being preached this content to the end of the world. Service and consideration will be conducted, but it is important that the identity of the gospel should not be lost. For this work, the Lausanne is that everybody can hear the gospel with all the best about urgency and priority of proclaiming. The Lausanne Congress is continually process. It aims to understand the field of the ministry of the gospel. There might be a mistake, however, that we might lose the gospel, since just concentrating understanding it. The Lausanne Congress reveals that we should dedicate to world mission, having this fear and tension.

      • KCI등재

        선교적 교회를 위한 선교적 리더십의 탈세속화에 대한 고찰

        김광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4 No.-

        본고는 새로운 교회론을 제시하는 선교적 교회를 위한 선교적 리더 십의 본질적 차원의 개발을 위한 간략한 제안이다. 그동안 기독교 리더 십 모델의 개발을 위해서 주로 상황화의 작업이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선교적 리더십이라는 본질적 회복을 지향하는 모델을 위해서는 특히 세속화의 문제를 다루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본고는 세속화 의 현상들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기독교 리더십의 탈세속화에 대한 제 안을 하고자 하였다. 우선 세속화와 관련된 간략한 주장들과 함께 초대 교회에서의 리더 십의 세속화의 사례, 현재 기독교 리더십의 세속화의 현상들의 사례들, 그리고 이에 대한 기독교 리더십의 탈세속화에 대한 제안들을 시도하 였다. 이 시대의 기독교 리더십의 세속화 현상들을 주로 탈초월, 지나 친 탈권위와 축소주의, 그리고 기독교의 핵심 가치들의 상실 등으로 제 시하였다. 또한 이들에 대한 탈세속화는 기독교 리더십의 초월성의 회 복, 적절한 기독교적 권위의 회복과 모범으로서의 리더십, 인물의존성 보다는 기독교 사역중심성, 그리고 성경의 제자도에 근거한 리더십 등 으로 제안하였다. 본고는 그동안 심화된 기독교 리더십의 수동적인 세속화와 함께 간 혹 적극적으로 시도한 기독교 리더십의 상황화의 과도함, 즉 비판적 상 황화의 실패에 의한 세속화에 대응하고자 함이다. 그리하여 새로운 선 교적 교회를 시대를 기대하면서 이를 이끄는 본질적이고 적절한 상황 화에 의한 소통을 확보한 기독교적 리더십의 개발을 지향하고자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for the brief suggestion for the development of missional leadership in terms of the missional church as the essential Christian community. The missional leadership, in this article, is considered as both the results of contextualization and the desecularization of Christian leadership. Many professional efforts to develop Christian leadership models through contextualization have been made. Meanwhile, the secularization of Christian leadership also has been going along it by the over-contextualization.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contemplate the examples of the secularized leadership of Christianity, and to suggest the desecularization of Christian leadership in terms of missional church models. As for the secularization of Christian leadership, the antitranscendence, the radical anti-authority, the minimalism of leadership perceptions, and the loss of the biblical core-values, etc. are dealt with. In addition, for the desecularization of Christian leadership, the recovery of the religious authority legitimacy, and of the modelling of the spiritual leader, the importance of task-orientedness of Christian leadership, and the leadership development based on the biblical discipleship are suggested.

      • KCI우수등재

        서양 중세후기 세속화의 이해

        이화용(Hwa Yong Lee)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3

        세속화에 관한 많은 연구는 세속화를 신학과 정치의 대치관계로 상정하며 근대적 의미의 세속화 개념과 그것의 등장을 해명하는데 주력해왔다. 그러나 세속화에 대한 이해는 신학과 세속 혹은 정치의 분리라는 단순한 명제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과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제기 속에 13세기 파리의 존의 사상에 나타난 세속화의 과정과 의미를 당시의 정치적, 문헌적 맥락(교권과 속권의 갈등/청빈담론) 속에서 분석한다. 존의 세속화는 종교적 영역과 정치적 영역, 경제적 영역에서 서로 얽혀 이루어진, 즉 교권과 속권의 구분, 교회 내의 교권 약화, 왕의 주권적 지위 나아가 개인의 재산권 정당화를 통해 전개된 통합적인 역사적 과정임을 보여준다. 존의 세속화의 또 다른 특성은 개인에게 경제적 주권을 부여하는, 중세시대로는 남다른 특성의 개인과 정치적 주권을 갖는 왕이 공존하는 데 있다. 결론에서는 존의 세속화 이해의 근대적 함의를 자유주의, 특히 개인의 재산과 국가의 유기적 관계와 관련하여 제시한다. 본 논문이 근대적 세속화의 이분법적 인식에서 자유로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ny studies of secularization, which stress the dichotomy of the secured and the secular, have concentrated on explaining the meaning of secularization and its emergence. However, secularization was a complicated process which followed a variety of routes, and cannot be explained simply in terms of a dichotomy between the secured and the secular or the separation of theology from the politics. With this in mind, I attempt in this paper to explore the meaning of secularization in John of Paris, a thirteenth-century medieval thinker, in its political and textual contexts. I am to show that the secularization in John was an historical process, which happened intricately in the church, the politics and the economics, that is,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spiritual from the temporal, the weakness of papal power and the justifications of the king's power and of the individual's property. Another characteristics of secularization in John is coexistence of the individual, who possessed economic sovereignty, and the king, who had political sovereignty. Furthermore, I intend to suggest the implication which John's view of secularization for modem liberalism,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s property and the state, has. I hop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free from the dichotomous understanding of modem secularization.

      •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의 정체성

        이재근(Jaekeun Lee)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3 종교문화학보 Vol.20 No.1

        Since the 1960s, discourse surrounding the so-called “secularization thesis” has been intense in Western theological and historical circles, and in the societies of religious sociology. Secularization can be loosely defined as a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s and societies, once dominated by religious beliefs, values, and world-views, lose their religiosity and align their lives and minds with non-religious values. The secularization debate, led by theologians and sociologists, has been ongoing since the 1960s, producing variants such as neo-secularization and de-secularization theories, and continues to this day. In terms of the secularization debate, South Korea has been characterized as a neutral zone between religiosity and irreligiosity, and a borderland between de-secularization and secularization. South Korea stands in a liminal zone between Western Europe, a secularist country that seems to have virtually lost its religiosity, and many religious countries in the non-Western world where religious revivals are still going strong. Among the theological and sociological analyses and discussions of today's American society, which has been referred to as Post-Modern, Late-Modern, Post-Christian, Post-Christendom, Post-Covid-19, and Unaffiliated Christian, James Davidson Hunter's alternative model of “faithful presence” is not only relevant to American society but also to the Korean context. Hunter argues that Christians living in a post-Christian, post-modern, and post-Christian world dominated by pluralism and secularism need to demonstrate faithful presence. Gerald Sittser calls this way of life the “third way” of the early Christians. It's not the first way, which is to conform to secular values, nor is it the second way, which is to abandon the world, declare disconnection, and become isolated. The seculariz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intensifi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shown by a 2021 Gallup survey. The proportion of religious people, including Christianity, has de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Drawing a veil of separation and disconnection and hiding in the mountains and wildernesses, or, on the contrary, becoming one with the wave of secularization, are not Christian answers. The Christian identity is to live and exist faithfully as exiles and sojourners, living in this world but not of it. It is the call of the Korean church to be a hospitable community that heals the world's wounds and shares all good things together. 1960년대부터 서양 신학 및 역사학계, 그리고 종교사학회를 중심으로 소위 ‘세속화 논제’(secularization thesis)를 둘러싼 담론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세속화는 종교적 신앙과 가치, 세계관에 지배받던 기존 개인과 사회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비종교적이거나 세속적인 가치를 수용하면서, 종교성을 상실하고 삶과 정신을 비종교적이고 탈종교적인 가치에 맞추는 현상으로 대략 정의할 수 있다. 신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을 중심으로 1960년대부터 진행된 세속화 논쟁은 신세속화론, 탈세속화론 등의 변형 이론들을 양산하며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세속화 논쟁의 관점에서, 한국은 종교성과 비종교성의 중립지대, 탈세속화와 세속화의 경계지대에서 양자를 아우르는 특징을 지녔다. 한국은 종교성이 사실상 상실된 것으로 보이는 세속주의 국가들인 서유럽과 종교 부흥이 여전히 뜨겁게 진행 중인 비서양의 여러 종교적 국가들 사이에서 경계 지대에 서 있다. 포스트모던(Post-Modern), 후기 근대(Late-Modern), 탈기독교(Post-Christian), 탈크리스텐덤(Post-Christendom), 코로나19 이후(Post-Covid-19), ‘가나안’ 신자(Unaffiliated Christian) 등으로 지칭되는 오늘날의 미국 사회에 대한 신학계와 종교사회학계의 분석과 논의 중, 제임스 데이빗슨 헌터(James Davidson Hunter)가 제시한 대안, 즉 ‘신실한 현존’(faithful presence) 모델이 미국 사회뿐만 아니라 한국 상황에도 적실한 대안이다. 헌터는 다원주의와 세속주의가 지배하는 탈기독교세계, 후기 현대, 기독교 이후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은 ‘신실한 현존’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럴드 싯처(Gerald Sittser)는 같은 방식의 삶을 초대 기독교인의 ‘제3의 길’이라 부른다. 세속의 가치에 완전히 함몰되어 순응하는 제1의 길도 아니고, 세상을 완전히 버리고 단절을 선언하며 고립되는 제2의 길도 아니다. 2021년 갤럽조사에서 보듯, 코로나19가 창궐하던 어간에 한국 사회의 세속화도 강화되었다.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인의 비율이 현격히 줄어들었다. 특히 젊은 세대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분리와 단절의 장막을 치고 산과 들로 숨어드는 것도, 반대로, 세속화의 물결에 몸을 완전히 맡기고 한 몸이 되는 것도 기독교적인 답은 아니다. 이 세상에 발을 딛고 살지만 이 땅에 속하지는 않은 유배자이자 거류민으로 신실하게 살고 존재하는 것이 기독교인의 정체성이다. 세상의 상처 입은 자들을 치유하며 모든 좋은 것을 함께 공유하는 환대공동체가 되는 것이 한국교회에 주어진 소명이다.

      • KCI등재

        주제: 세속화 시대와 기독교영성 : 세속화 시대의 기독교 영성: 관상 기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은선 ( Eun Seon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09 성경과신학 Vol.49 No.-

        한국에서는 1960년대에 서양의 세속화 신학이 소개되면서 세속화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한국사회가 압축적인 고도의 경제성장을 하여 근대화와 세속화의 과정을 겪었는데, 동시에 한국의 보수적인 개신교회는 아주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정재영의 분석에 따르면 이 시기 한국교회는 한국사회의 세속화에 편승하면서 양적 성장을 하였고 동시에 교회자체가 세속화되어 갔다. 이러한 세속화 과정 속에서 교회는 개교회주의, 교회성장주의, 윤리의식의 부재 등의 문제들을 드러내었다. 1980년 이후에 한국 사회가 민주화되면서 이렇게 세속화된 교회에 대한 반기독교 정서가 고조되어 한국교회는 정체 내지는 퇴보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세속화의 진행 과정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 발생하면서 물질세계를 넘어선 영적 세계에 대한 갈망이 표출되었다. 개신교에는 이러한 영적 갈망에 대한 반응으로 로마 가톨릭의 관상기도를 수용하고 있으나, 관상기도는 중세의 신비주의 전통에서 나온 것으로 정화, 조명, 신비적 합리의 개인의 노력으로 추구하고 있다. 더 나아가 성경 계시를 넘어서는 부정신학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성경과의 관련성도 분명하지 않다. 그리고 관상체험을 바탕으로 동양의 신비종교들과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상기도는 개신교의 신학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으므로 수용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개신교는 루터의 십자가 신학과 칼빈의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 연합을 통해 이러한 신비주의 신학을 극복하면서 칭의와 성화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신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이러한 신학적 토대 위에서 성경적인 영성 훈련 방법을 사용해야 하겠다. 초대교회에서부터 내려온 성경읽기, 묵상, 기도, 삶의 실천으로 연결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성경적 토대 위에서 개인의 영적인 성숙과 함께 교회의 공동체적 영성이 육성되어 사회에서까지 하나님의 뜻을 실현해 나가야 하겠다. Now the Korean Church was afflicted by the strong attack against the Protestant Church which the secularizing society is delivering in the outside. And It was met with the era of the stagnation or decline because of the church secularization and the church members` spiritual thirst in the inside. We have to analyse rightly and overcome the problems which the secularizations bring to in the church. The secularization in the west society means to decrease the public role of the church, but it don`t signify the weakness of the human religious consciousness. Furthermore, in the postmodernism era, the man`s religious desires gush out in the various ways. When the church satisfies the spiritual desires in the scriptural ways, it can have the chance for the healthy development. Recently Korean protestant church introduces rashly the many program for the spiritual training arising from the Roman Catholic in order to overcome the decline of the number of the church men and the spiritual poverty. But the contemplation prayer spreading in the protestant churches comprise the many ingredients to contradict with the protestant theological principles. Moreover because we have the various traditional sources to overcome the shortage of the prayer which protestant churches teach, we should use those sources renovated according to nowadays necessity. Such spiritual training method have to hold the continuous courses of divina lectio, meditatio, oratio with the deep communion with God, practice. Accordingly we can solve the recent problems with inheritance of the reformation and puritan spiritualities among the traditional sources. We have to reform the our reality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historical field because we believe that God initiates the true change of man on the Scriptures. Our spirituality should carry out the missions of church community and the spiritual maturity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our spiritual thirst.

      • KCI등재

        세속화와 한국 근대시의 형성

        강동호 ( Dong 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 글은 한국 근대시의 형성 과정을``세속화``(secularization)라는 관점으로 고찰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세속화는 시에서 근대적 내면이 발생하는 기제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 논리이자 그것들의 역사적 변천의 메커니즘을 아우르는 확장적 개념으로 채택된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근대시사에서 내면과 초월성에 대한 상상력이 동시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한국 근대시 형성 과정에서 기독교적 세계관이 담당한 역할을 밝히는 데 세속화라는 개념이 유효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요컨대 한국 근대시 형성기에 나타난 기독교적 세계관의 패러디적 차용과 전유가 초월성에 대한근대적 감각을 주조하고, 나아가 근대시에 대한 한국적 이념형을 수립하는 데 결정적인 동력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세속화의 문학사적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이론적 지반을 탐색하는 일종의 시론적(試論的) 텍스트이다. 2장에서는 세속화 테제의 계보를 이론적으로 추적하였으며, 3장에서는 이러한 세속화 테제가 근대문학의 진화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요컨대 이 글은 향후 진행될 연구의 선행 작업의 일환으로, 최근의 세속화 이론을 재조명하고 세속화라는 접근법을 한국 근대시의 형성 연구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neccesity of analyz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perspective of secularization. Secularization is selected as an analytical concept which is appropriate to explore the origin of modern interiority and as an extensive methodology for encompassing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n modern poetr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multaneity of the construction procedure of the modern interiority and the idea of transcendence.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prove that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is valid and useful for illuminating the role of Christianity on form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In Chapter 2 I trace the pedigree of secular thesis as a theory, in Chapter 3 I examine the intima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olutional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secular thesis. In short, as a preceding research, this paper rexamines the recent theory of secularization in order to lay the theoratical foundation for applying the secularism to the domai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근대화와 한국 개신교 - 세속화론을 중심으로

        정재영(Chong Chae-Yo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이 글에서는 종교사회학에서 말하는 ‘세속화’라는 개념을 통해서 근대화와 종교의 관계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세속화는 일반 사회이론에서 논의되는 근대화의 종교사회학적 변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이와 관련된 논쟁들이 세속화 개념이 발달한 초기부터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을 정도로 세속화는 종교사회학의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속화의 개념과 이에 대한 이론 그리고 이를 둘러싼 논쟁 속에 새롭게 등장한 새로운 세속화론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근대화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복음주의 운동의 사례를 통하여 세속화와 관련하여 한국 개신교의 상황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zation and religion through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as noted by sociology of religion. Secularization can be seen as a version of modernization of sociology of religion which is discussed in general social theory. In practice, the fact that related debates continue to this day from when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was first developed shows that secularization is thought to be a core theme of sociology of religion. From this perspective, the attempt is made for an understanding within the sociology of relig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modernization by carefully examining the concept of secularization and theories regarding it and the newly appeared secularization theory born out of the various debates. Furthermore, through the examples of the growth of the Korean Protestant and Evangelical movements, a simple resolution is sought as to how one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of Korean Protestantism in regards to secularization.

      • KCI등재

        Secularization and Desecularization of Modern Korean Buddhism

        Cho, Ki-Ryong 한국선학회 2021 한국선학 Vol.- No.58

        본고는 현대 한국불교의 세속화 현상과 탈세속화 방안을 연구한다. 세속화와 탈세속화는 승려의 가치관과 승가의 운영, 그리고 종단의 제도 측면에서 분석이 이루어진다. 승려의 가치관은 승려가 현상과 대상에 대해 어떠한 가치를 부여하느냐를 다룬다. 승가의 운영은 승가의 정치화와 영리화를 다룬다. 종단의 제도는 종헌과 종법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승려 가치관의 범부화(凡夫化), 승가 운영의 정치화와 영리화, 종단 제도의 세속사회법 모방이라는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본고의 각 분야별 탈세속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승려 가치관의 탈세속화를 위해서는 승려가 견성(見性)과 오도(悟道)에 이를 수 있도록 승가의 교육, 승려의 일상 생활환경, 스승의 지도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승가 운영의 탈세속화를 위해서는 승려가 수행과 전법에 전념할 수 있도록 신도가 교단 운영의 주체로서 자리 잡을 수 있어야 한다. 종단 제도의 탈세속화를 위해서는 다수결에 의하여 소수의 의견이 일방적으로 배제되지 않도록 종헌·종법을 율장의 화합 정신이 반영될 수 있게 제·개정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secularization of modern Korean Buddhism in terms of the Buddhist monks’ values, the management of the community of saṃgha, and the legal system of the Buddhist order, and to suggest methods for desecularization in each area. In modern society, the Buddhist monks’ values are becoming materialistic like those of secular people. The management of the saṃgha is becoming politicized and commercialized like a secular organization, and the legal system of the Buddhist order imitates social legisl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ethods for desecularization: in the Buddhist monks’ values, the education of the saṃgha, a daily living environment for Buddhist monks, and the guidance of the preceptors have to be unified in order to see people’s true natures and awaken people to the way. Moreover, in the management of the community of saṃgha, lay Buddhists must take their place as the main agents of managing the system of the Buddhist community so that Buddhist monks can devote themselves to Buddhist practice and missionary work. In the legal system of the Buddhist order, it is necessary to abolish the secular democratic system of elections and adopt a Buddhist democratic system known as karman(kalma 羯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