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四句解釋에 관한 元曉 和諍論法의 특성: 들뢰즈의 새로운 변증법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김태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7 불교학 리뷰 Vol.22 No.-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Wonhyo’s logic of hwajaeng, reflected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catuṣkoṭi, while comparing it with Deleuze’s new dialectics, which criticizes the ‘Four shackles of representation.’ The main focus will be on the 4th koti, i.e., the view of ‘neither existence, nor non-existence’ in the catuṣkoṭi, which was used for interpreting the major tenets of Doctrinal Essentials of the Nirvāṇa Sūtra, Doctrinal Essentials of the Perfection of Ultimate Wisdom and Preface to the Exposition of the Sūtra on the Adamantine Absorption. After categorizing the concept of ‘neither existence, nor non-existence’ according to two different approaches, namely (1) a negation of both while revealing the middle path, and (2) an ultimate truth, the research concluded that Wonhyo’s approach is closer to case (1) in its structure of thought. Further, when analyzing the Deleuze’s new dialectics, which criticizes the concept of identity in Hegelian dialectics, it also shows a similarity to case (1). Both Wonhyo and Deleuze’s systems reveal congruence with regard to the inter-penetrative accommodation of differences between reality and foundation, by raising the latter to the surface of the former, without positing Idea (Idée) as the final end in the vertical or sequential hierarchy. They both reveal a positive ontology of ‘becoming’ which depicts an answer to reality through a series of synthesis and differentiation, in an open space. Problems are posited as inter- penetrative multiplicities without implying any negation. By transcending the answer, the problem is presented as being no different from the solution, and as containing answers to all series of differences within itself. Likewise, one mind (一心) matches an Idea, while drawing its concrete determination (peras) as hwajaeng through differentiation and inter-penetration between True-suchness and the Phenomenal aspect of mind. The return of one mind shows the congruent synthesis of question and answer, based on the affirmation of catuṣkoṭi, while revealing Univocity (Univocité) as a true reality of all phenomena. The phrase, “it corresponds to all aspects since it is not one, and to one taste in all aspects because it is not different”, unravels the non-dual nature of the tenet, in the sense that the 4th koṭi equals the affirmation of the 3rd koṭi, when seen from different aspects. In turn, it reveals a process of recovering true nature through desexualization and univocity by breaking the representational bounds of catuṣkoṭi. 본 논문은 후기구조주의 철학자 들뢰즈가 ‘재현(représentation)을 만드는 4 가지 굴레’의 비판에 활용한 새로운 변증법을 元曉 四句解釋에 나타난 和諍 論法과 대비한 연구이다. 검토를 위해 <<涅槃宗要>>・<<大慧度經宗要>>・<<金剛三昧經論>>・<<起信論疏>> 등과 관련한 四句, 특히 그 非有非無觀을 분석했다. 그 결과 非有非無를 (1) 양자부정으로서의 中道와 (2) 궁극적 진리로 이해하는 입장중, 원효의사유는(1)에 가까운 것으로 보았다. 한편, 헤겔변증법과 같은 동일성 비판의 맥락에서 제시된 들뢰즈 변증론의 경우에도 (1)과 지향점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념(Idée)이 최종적 위계로 고정되지 않고, 생성과정 속에서 바탕을 현실로 끌어올려 현실과 근원 간 차이의 相卽을 모색하는 열린 구조의 사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열린 변증법은 경험주의적 불교 전통안에서 의식의 가능성을 극한까지 펼치는 원효의 인식론적 통찰을 잘 드러내는 유용한 도구로 보았다. 이는 잠재적 이념(Idée)인 問題-場에서 출발, 계열화를 거쳐 현실에서 답[解]을 도출하는 긍정적 생성존재론이다. 문제는 대상에 대한 모든 가능한 현실태를 결정하는 상호침투적 복합체들이다. 여기서 문제는 어떤 부정도 내포하지 않는다. 문제는 본성상 답을 초월하지만 답과 다르지 않고, 문제 안에 모든 계열과 차이에 대한 답을 내포하고 있다. 和諍論法과 대비할 경우, 이는 이념인 一心에서 출발, 眞如/生滅로의 계열 분화와 상호훈습을 거쳐, 和諍이라는 규정을 도출하는 구조에 상응한다. 즉 四句를 모두 긍정함으로써 문제와 답의 상즉을 모색하는 歸一心源의 회귀구조이다. 非有非無 또한 양자부정을 통해 생성의 극한에서 일체 규정을 여읜 一 味・不可說中道이자 제법실상인 一義性(Univocité)이다. ‘하나가 아닌 까닭에 모든 측면에 상응할 수 있고, 다르지 않은 까닭에 모든 측면에서 한 맛’이라는 해석은 관점적 측면에서 ‘양자부정[4구]이 곧 긍정[3구]’이 됨으로써 無二實性의 宗旨로 회귀되는 一義的구조를 잘 보여준다. 이처럼 和諍論法은 四句의 재현적 한계를 벗어나 脫性化・一義性을 통해 본래의 가치를 회복하는 생성의 사유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사에서 사라져버린 나머지 반쪽의 형이상학

        신지영(Ji-Young Shin)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1 No.-

        들뢰즈는 베르그송이 현대과학에 결핍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반쪽의] 형이상학에 대하여도 결핍되어 있는 나머지 반쪽의 형이상학을 부여하려 하였다고 평가한다. 들뢰즈의 문체가 언제나 여러 목소리를 동시에 공존시키는 자유간접화법임을 고려해볼 때, 이는 곧 들뢰즈 스스로의 문제이기도 하다. 사실상 현대과학은 우리로 하여금 내재성에 대하여, 생성과 사건에 대하여, 그리고 차이에 대하여 사유하도록 강요한다. 그러므로 문제는 영원이나 초월이 아닌, 차이에 관련한 형이상학을 정초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우리는 들뢰즈-니체에 공통된 플라톤주의의 전복이라는 테제로부터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플라톤주의가 형이상학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는 점을 상기해볼 때, 나머지 반쪽의 형이상학을 위하여 플라톤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해 보이기 때문이다. 우선 플라톤의 실체와 일자의 형이상학이 어떻게 사건과 다수성의 형이상학으로 전복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와 아울러 플라톤주의의 전복을 현대철학의 임무로 규정한 니체를 과연 들뢰즈가 어떻게 읽어내는지를 점검하고자 한다. 푸코와 들뢰즈가 현대의 니체-르네상스를 일으킨 장본인으로 여겨지고, 또한 현대에 니체는 들뢰즈처럼 사유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지만, 지금껏 니체는 이와는 다르게 읽혀오기 일쑤였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허무주의와 영원회귀는 비극적이며 염세적인 것으로 독해되어 왔으며, 심지어 종족 우월주의나 여성 혐오주의로 읽히기도 했다. 들뢰즈는 이러한 독해의 어떤 지점을 수정하고 있는가? 이러한 수정이 플라톤주의의 전복과, 그리고 현대과학에 걸맞는 형이상학과 어떤 관련을 가지는가? 우리는 마지막으로 들뢰즈의 형이상학이 사건과 다수성을〈원리〉로 하는 철학이라고 말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지적할 것이다. 이 원리는 기존에 비판받던 독단적 원리에 대한 새로운 원리가 아니며, 모든 원리를 집어삼키는 와해이자 탈기초라는 점을 분명히 할 것이다.

      • KCI등재

        들뢰즈, 변신의 괴물학

        이찬웅 ( Chan Woong Le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3

        Dans cet article, nous nous proposons d`expliquer cette identite etrange qui est affirmee par Deleuze : la theorie de l`unite de composition (Etienne Geoffroy Saint-Hilaire) est la version biologique de la these de l`univocite de l`Etre (Spinoza et Nietzsche). En nous concentrant sur Geoffroy, nous avons alors pour objectif de mettre en lumiere la maniere dont Deleuze concretise la these de l``univocite de l``Etre dans la theorie de l`unite de composition, en traversant la metaphysique et la physique, l`ontologie et la biologie. D`abord, nous allons apprehender le context philosophique en question en confrontant Spinoza et Aristote a l`egard du probleme du corps : le philosophe ancien etablit le systeme hierarchise qui s`appuie sur les identites d`especes et de genres, tandis que le philosophe moderne propose de considerer tous les corps dans une perspective du rapport pur. Ensuite, nous rendrons compte de la these centrale de Geoffroy qui affirme que tous les animaux ont une meme composition, et de la valeur que Deleuze assigne a cette these. Celui-ci detecte une resonance spinoziste dans la pensee biologique de Geoffroy, dont les ≪elements anatomiques≫ permettent de penser le corps selon les rapports purs. L` ≪Animal abstrait≫ se deploie, par une seule et meme connexion topologique, en une infinite de corps vivants differents. Bref, lorsque l`ontologie deleuzienne entend penser l`Etre univoque qui englobe la variete de ce qui est, elle requiert la zoologie universaliste qui concoit un Animal virtuel, lequel s`actualise dans la variete des animaux. En trosieme lieu, etant donne qu`il y a une nuance entre deux textes capitaux ou Deleuze cite la teratologie de Geoffroy, nous considererons le sens de cette difference, et, par la, saisirons un changement de l`itineraire de la pensee de Deleuze : de la pensee a la pratique. Enfin, nous expliquerons les implications philosophiques de la these de l`unite de composition dans une perspective plus generale, c`est-a-dire la logique du devenir et l`ethique etholog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