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소설의 증오인식과 공존의 가치 연구-조선족과 탈북자 서사를 중심으로

        오연옥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reproduced in modern novels, while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them by confirming the production of hatred inherent between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hatred, shame, and fear experienced by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Korean diaspora. In order to form a new perception and discourse on hatred, the pain and hatred experienced by North Korean refugee women following Korean- Chinese women were discussed through Georzo Agamben's concepts of “Homo Sacer” and “Exception Status.” Along with this, the reproduction of Korean diaspora was divided into ‘the migration background of Korean-Chinese women and North Korean defectors’, ‘Homo Sacer, who was thrown into an exceptional state due to migration’, ‘reproduction of hatred after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and confirmed the perception between North Korean and Korean women. The change in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s possible with a humanities response that understands the reproduction and meaning of diaspora in novels of Korean writers, Korean-Chinese writ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experience was promoted for Heo Ryeonsun's A Chinese Brid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Chinese, Kim Yoo-kyung's Youth Sonata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defectors, Yoo Kyung-eun's Old Promis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the pos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Chinese looking at each other was confirmed by targeting Korean-Chinese writer Geum-hee's 「Okhwa」 and North Korean defector's 「Seogigol Loban」. I am confident that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future orientation by promoting the exchange and solidarity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value of coexistence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재현된 중국재외한인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사회의 인식 변화를 모색하는 한편,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내재한 증오의 발생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간의 화합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중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연관된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겪은 혐오와 수치심, 공포에 주목한다. 그리고 증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 형성을 위해 조선족 여성에 이어 탈북여성이 겪은 고통과 증오의 담론은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와 예외공간’과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을 ‘조선족 여성과 탈북 여성의 이주배경, 이주로 인해 예외상태로 던져진 호모 사케르, 한국사회에서의 정착과 증오의 재생산’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이들의 이주과정에 드러난 교차점을 확인하고, 탈북 여성과 조선족 여성 서로 간의 인식양상을 확인한 바이다. 조선족과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변화는 조선족 작가, 탈북 작가, 한국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하는 인문학적 대응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 작가, 조선족 작가, 그리고 탈북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이주에 대한 교차점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에 정착한 조선족과 탈북자의 대립구도 완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조선족, 탈북자 간의 왜곡된 정체성 인식 양상을 개진하고 사회통합력을 제고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조선족과 탈북자 소재의 서사 재현양상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이들의 정체성을 규명하되, 조선족 작가의 중국색시 , 탈북 작가의 청춘예찬 , 한국 작가의 오래된 약속 을 대상으로 이주 경험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조선족 작가의 「옥화」와 탈북 작가의 「서기골 로반」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가 탈북자와 조선족을 바라보는 관점과 탈북자와 조선족 서로가 견지해 온 증오의 발생과 인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공존의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들의 눈에 비친 한국, 한국인 -허련순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선주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5

        Korean-Chinese who were unable to enjoy the legal status of overseas Koreans under the 1999 Act on Overseas Koreans. Since then, with the revision of the 2004 law, they have gained the status of their compatriots but still face restrictions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 type of stay visa compared to other compatrio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Chinese living in Korea with these restrictions and discrimination perceive Korea and Koreans. Huh Ryeon-soon is a Chinese first-class novelist and Chinese Korean writer who has published the highest recognition and many books in Korea. Through her two books, The Wind Flower in 1996 and the Chinese Bride in 2015, I would like to see Korea and Koreans in the eyes of Korean-Chine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rting with homogeneity and then with heterogeneity.” Korean society feels heterogeneity due to the Korean-Chinese language different from Korean and the social system close to North Korea, and treats them as foreigners rather than ‘the same ethnic group’. Second, “Good Korea, bad Koreans.” Since the early Korean-Chinese started living in Korea with a focus on 3D jobs and simple labor, Korean society recognizes them as “migrant laborers who came to make money in poor countries.” Third, “We of their own.” Korean-Chinese who do not belong to Koreans are confronted with verbal violence and physical violence in Korean society, and they are disgusted and excluded. Fourth, “Swallows when it's sweet and spits when it's bitter.” Although they were welcomed as necessary human resources in Korean society right after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they gradually became a shabby bitter presence in Korean society as labor and productivity problems arose. 1999년 「재외 동포법」의 재외 동포의 법적 지위를 누릴 수 없었던 조선족. 그후 2004 법 개정으로 그들은 동포의 지위는 얻었지만 다른 동포들에 비해 여전히체류비자의 종류에 따른 제약과 차별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런 제약과 차별 속에서 살아가는 조선족들이 한국과 한국인의 모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중국 1급 소설가이며 중국 조선족작가로서는 가장 높은 인지도와 많은 수의 책을 국내에서 출판한 허련순 작가의 두 책, 1996년 『바람꽃』 과 2015년 『중국색시』를 통해 조선족들의 눈에 비친 한국과 한국인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두 작품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질감으로 시작해 이질감으로’이다. 한국 사회는 한국어와는 다른 조선족의 언어와 북한과 가까웠던 사회체제로 인해 그들에게 이질감을 느끼며 ‘같은 민족’보다는 외국인으로 그들을 대한다. 둘째, ‘잘난 한국, 잘나지 못한 한국인’이다. 초창기 조선족들이 3D 직종과 단순 노무직 중심으로 한국 생활을 시작했기에 한국 사회는 이들을 ‘가난한 나라에서돈 벌러 온 이주노동자’로 인식한다. 셋째, ‘그들끼리만의 우리’이다. 한국인들의‘우리’에 들지 못하는 조선족들은 한국 사회의 언어폭력, 물리적인 폭력과 맞닥뜨리게 되며 혐오와 배제의 시선을 받는다. 넷째,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이다. 한․ 중수교 직후의 한국 사회에서 꼭 필요한 인족자원으로 환영받는 동포였으나, 노동력과 생산력에 문제가 생기면서 그들은 점차 한국 사회에서 초라한 쓴맛의 존재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