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중학생의 쓰기 동기 비교 연구

        박영민,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2

        This study was comparative analysis of writing motivation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4 middle schools in China were selected and 588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earch. Korean students selected by Young-Min Park(2006) were compared with the Chinese students. They responsed writing motivation scale developed by Young-Min Park(2006).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chinese students' writing motivation were similar to the Korean students' writing motivation. In gender difference, Chinese students writing motivation orientation are very similar to Korean students'. females showed higher writing motivation level than that of males and the higher grade level, the decrease writing motivation level in Chinese students. Second, 1st grade students gain more scores than others grades 2nd and 3rd. It means that the 1st grade students have more positive writing motivation than others grades. Therefore, as secondary student writers move up, writing motivation goes down again replicating results with Korean students. Third, when the writing motivation difference between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was analyzed by effect size, it was founded that chinese students showed higher writing motivation level than Korean students. This orientation were founded in all factors of writing motivation; cooperative interaction, writing self-efficacy, competitive efforts, challenge. In gender difference and grade difference, it was founded that the Chinese students showed higher writing motivation than Korean students'. Especially, challenge and competitive efforts were factors showing the largest difference by effect size analyzation.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의 쓰기 동기를 비교 ·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북경시 및 사천성에 위치한 4개 중학교 588명의 중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국 중학생들과 비교 대상으로 선정된 한국 중학생은 1,137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쓰기 동기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학생과 중국 중학생들의 쓰기 동기의 발달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성별 차이에서도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은 동일하게 여학생들의 쓰기 동기 수준이 남학생들에 비해 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 차이에서 중국 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쓰기 동기 전체 평균과 하위 요인의 점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한국 중학생의 쓰기 동기에서도 이미 확인되었던 것이다. 한국 중학생들도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쓰기 동기가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동일하게 보였다. 셋째, 한국 중학생과 중국 중학생 두 집단 간 차이에 대한 효과크기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중국 중학생들의 쓰기 동기가 한국 중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별, 학년별 차이에서도 한국 중학생들에 비해 중국 중학생들의 쓰기 동기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쓰기 동기 하위 요인 중 도전심 요인과 노력 요인은 그 차이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쓰기 동기에서 남녀의 성별 차이 및 발달 단계에 따른 학년 차이가 보편적으로 나타는 현상임을 알려 준다. 한국이나 중국이나 쓰기 동기의 변화가 동일한 궤적으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 사이에 존재하는 쓰기 동기의 차이는 사회· 문화·교육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한국 중학생들의 쓰기 동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므로 이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방안이 여러 각도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쓰기 동기는 쓰기 활동을 이끌고 유지시키는 심리적인 동인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영향 변인 연구: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홍용,정진철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2 다문화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와 직업포부수준을 구명하고,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 영향 변인으로 고찰한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 가정 중학생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통합적 다문화 진로교육이 제공되는 학교 현장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으로 총 1,381,334명에 이른다. 이중 다문화 가정 중학생은 15,945명으로 전체 중학생 대비 1.2%를 차지하고 있다. 조사도구는 직업포부,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직업포부수준의 경우 커리어넷의 주니어 직업정보에 포함된 직업리스트를 바탕으로 하여 103개 직업목록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직업포부수준으로 활용한 직업지위점수는 유홍준, 김월화 (2002)의 직업지위 연구방법을 근거로 하여 산출하였다.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경우 이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9일부터 5월 11일까지 연구자가 표집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설문 실시 및 수거를 진행했다. 설문은 총 417부를 배포하였고, 총 381부(회수율 91.37%)를 회수하였다. 이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로 판단되는 케이스를 제외하여총 355부(유효응답률 85.13%)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s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0.05를 기준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증, F검증 및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은 공통적으로 요리사, 운동선수, 메이크업아티스트, 만화가 등과 같은 텔레비전이나 인터넷 등의 매스컴에 자주 노출되는 직업과 공무원, 경찰관, 초등학교교사와 같은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은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과 일반 가정 중학생의 부모학습관여, 부모진로관련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모진로관련행동 중 진로관여부족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부모의 진로관여부족행동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 영향 변인이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부모의 진로관여부족행동이 부적 영향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가정 중학생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의 회귀모형 설명량의 경우 다문화 가정 중학생이 23.0%, 일반 가정 중학생이 13.6%로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에 부모관련 변인의 설명량이 일반 가정 중학생에 비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유형에 따른 직업포부수준을 구명하고 ...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중학생의 읽기 동기 비교 연구

        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1

        This study was comparative analysis of reading motiv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4 middle schools in China were selected and 599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earch. Korean students selected by Young-Min Park(2006) were compared with the Chinese students. They responded reading motivation scale developed by Young-Min Park(2006).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chines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were similar to the Korean students' reading motivation. In gender difference, Chinese students reading motivation orientation are very similar to Korean students'. females showed higher reading motivation level than that of males and the higher grade level, the decrease reading motivation level in Chinese students. Second, first grade students gain more scores than grade 2 and grade 3. It means that the first grade students have more positive reading motivation than others grades. Therefore, as secondary student reader move up, reading motivation goes down again replicating results with Korean students. Third, when the reading motivation difference between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was analyzed by effect size, it was founded that chinese students showed higher reading motivation level than Korean students. This orientation were founded in all factors of reading motivation except for reading importance. In gender difference and grade difference, it was founded that the Chinese students showed higher reading motivation than Korean students'. Especially, social interaction and reading interest were factors showing the largest difference by effect size analyzation.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의 읽기 동기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학생들은 중국의 북경시 및 사천성에 위치한 4개 중학교에서 선정된 599명의 중학생들이며, 이들은박영민(2008b)에서 개발한 중학생 읽기 동기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학생의 읽기 동기를 분석하였고, 이를 한국 중학생의 읽기 동기 수준과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중학생과 중국 중학생들의 읽기 동기의 발달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성별 차이에서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은 동일하게 여학생들의 읽기 동기 수준이 남학생들에게 비해 더 유의하게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 차이에서 중국 중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차 읽기 동기 전체 평균과 하위요인의 점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읽기 동기가 감소하는 현상은 한국중학생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 중학생과 중국 중학생 두 집단 간 차이에 대한 효과크기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중국 중학생들의 읽기 동기가 한국 중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별, 학년별 차이에서도한국 중학생들에 비해 중국 중학생들의 읽기 동기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읽기동기 하위 요인 중 상호작용 요인과 읽기 흥미 요인은 그 차이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단, 예외적으로 중요성 요인에 있어 한국 학생들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들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 동기에서 남녀의 성별 차이 및 발달 단계에 따른 학년 차이가 보편적으로나타는 현상임을 알려 준다. 한국이나 중국이나 읽기 동기의 변화가 동일한 궤적으로 보이고 있기때문이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중학생들 사이에 존재하는 읽기 동기의 차이는 사회․문화․교육의차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한국 중학생들의 읽기 동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므로이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방안이 여러 각도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읽기 동기는 읽기 활동을 이끌고 유지시키는 심리적인 동인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중국의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 비교 연구

        육염,정진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of the difference in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5 middle school students of namtong city and 86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of Xu zhou of Jiang su poetry and the Tianjin in Chin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First, in the whole and sub-areas sexual knowledges,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higher the grade, the greater the Sexual Knowledge in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exual knowledges of high economic level students was higher than low economic level students.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no difference in sex of the sexual knowledges. Second, in the whole sexual attitudes,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no difference. And in body structure and change factor of the sub-areas sexual attitudes,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higher the grade, the more positive the sexual attitudes in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But 3 grade students was more positive than 1 grade students and high economic level students was more positive than low economic level students in middle school with visual impairments. China’s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no difference in sex of the sexual at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의 인식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 강소성의 남통시 일반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 115명과 강소성 서주시와 천진시 시각장애학교 학생 86명을 대상으로 진성욱(2008)의 도구를 이용하여 얻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지식에서 중국의 일반 중학생은 시각장애 중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성지식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다. 중국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변인에 따른 성지식 차이에서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 모두 학년이 높을수록 성지식 수준이 높고, 경제수준 상인 학생이 경제수준 하의 학생보다 성지식 수준이 높다. 둘째, 성태도에서 중국의 일반 중학생은 성태도의 하위요인 중 신체구조와 변화요인에서 시각장애 중학생에 비해 성태도가 더 긍정적이다. 중국 일반 중학생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성태도가 더 긍정적이다. 시각장애학생은 3학년이 1학년 학생에 비해 성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경제수준 상인 학생이 경제수준 하에 비해 성태도가 더 긍정적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국의 시각장애 중학생은 일반 중학생에 비해 성지식 수준이 낮기 때문에 시각장애학생의 변인 특성을 고려하여 성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기회 확대 및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ㆍ적용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른 비장애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조민경(Jo Min Kyoung),강영심(Kang Young Sim),손성화(Son Sung Hwa)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라 비장애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와 경상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 27명과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 29명이다. 비장애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표준화 성격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의 유무에 따라 비장애 중학생이 보이는 성격적 특성은 책임감과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이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보다 책임감은 높았으며 자신감은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 중학생의 정서적 특성은 우울조절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이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보다 우울조절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 중학생의 부적응적 특성은 스트레스지수와 타인에 대한 의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장애를 지닌 형제자매가 있는 비장애 중학생이 발달장애 형제자매가 없는 비장애 중학생보다 스트레스 지수가 높았으며, 타인에 대한 의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를 중심으로 발달장애가 있는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중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차별화된 정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sychological tra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27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iblings and 29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y siblings liv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 was found that ‘stability’, ‘extroversion’ and ‘directed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motional tra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 was found that ‘anxiety regulation’, ‘self-assertiveness’,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aladaptive trait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stress index’ and ‘other-conscious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but it was found that ‘acting-out tenden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DIT의 P지수를 통한 중국의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도덕 판단력 특성 비교

        육염,정진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judgment of China’s middle school student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by P-index of D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5 middle school students and 86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China.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KDIT(Korean Defining Issues Test) by Moon Yongri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P(%) scores from the DI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34.21 while the P(%) scores from the DI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37.77. The level of moral judg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secondary level, level from 30% to 70%. Second, moral judgment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gender. The level of moral judg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re higher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an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level of moral judgment are higher the high economic standards than low economic standards. The level of moral judgment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lind and low vision students, and between congenital students and acquired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DIT의 P지수를 통한 중국의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도덕 판단력 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 강소성의 남통시 일반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 115명과 강소성 서주시와 천진시 시각장애학교 학생 86명을 대상으로 문용린(2004)의 표준화 한국어판 KDIT검사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얻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일반 중학생의 DIT 간편형의 평균 P(%)점수는 37.77, 시각장애 중학생의 DIT 간편형의 평균 P(%)점수는 34.21로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도덕 판단력 수준은 30%-70% 수준에 해당하는 중등수준이다. 둘째, 중국의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변인에 따른 도덕 판단력 특성 차이에서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도덕 판단력의 차이에서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 모두 3학년 학생의 도덕 판단력 수준이 1학년 중학생보다 더 높았다. 경제수준에 따른 도덕 판단력의 차이에서 일반 중학생과 시각장애 중학생 모두 경제수준 상인 학생의 도덕 판단력 수준이 경제수준 하인 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시각장애 맹학생과 저시력 학생의 도덕 판단력 평균 P(%)점수에서 차이가 없으며, 선천성 시각장애 중학생과 후천성 시각장애 중학생 역시 차이가 없었다.

      •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중학생 이미지 기술

        최보인(Choi Bo In),정광순(Jeong Kwang Soo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1

        이 연구는 연행(performance)을 통해서 초등학교 6학년의 중학생 이미지를 기술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세 가지, 저녁 이미지, 새벽 이미지, 아침 이미지로 은유하였다. 첫째, 저녁 이미지는 중학생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나 자각이 없는 것을 은유한 것으로 연구에 참여한 6학년 학생들은 중학생을 마치 자신과 무관한 듯이 설명하고 있었다. 그래서 주변에 존재하는 중학생 이미지에 있는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고, 그것들을 구체적인 성찰없이 수용하고 있었다. 이런 이미지들은 대부분 부정적이고, 통념적이었다. 둘째, 새벽 이미지는 6학년 학생들이 중학생에 대한 통상적인 외부의 이미지에서 자유로워지기 시작한 것을 새벽이라는 은유로 기술하였다. 중학생에 대한 주변의 이미지를 점점 걷어내면서 곧 스스로의 현실이 될 중학생을 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말하기 시작하면서 중학생에 대한 생각들을 드러냈다. 이 과정에서 부정적이고 스스로와 무관한 것들은 ‘나는 아니다’는 단서를 붙이면서 스스로 생각하는 중학생 상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셋째, 아침 이미지는 중학생을 자신의 또 다른 존재로 인식하면서, 결국 현재 6학년의 삶인 현실로 돌아 왔다는 의미에서 도출되었다. 6학년은 중학생을 구체적으로 수용하면서 현재의 자신과 현실을 더 가치 있게 조망하는 태도를 취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image’ of middle school student as perceived by sixth graders. This study is proceeded by performance research that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iddle school students exposed three distinct ‘image’, that is Night Image, Dawn Image, and Moring Image. The first, Sixth grade students though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isolated from themselves. Therefore, they are a mostly negative. The second, Being free from the ‘image’ of the outside the students internal ‘image’ was revealed to be gradually positive and self-supportive. Finally, The sixth grade students recognis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not isolated from themselves rather they are another ones own self. That is the ‘im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made them arrive at the present life of sixth graders. Education, especially sixth grade, should help students experience and enjoy the present. Likewise, education should lead students to think over oneself and accept the future willingly.

      • KCI등재후보

        중학생 아들을 둔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원가족 부자 애착 및 결혼만족도, 가족여가, 직무몰입을 중심으로

        김재순 ( Jae Soon Kim ),임춘희 ( Choon Hee L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인 중학생 아들을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원가족 부자 애착관계, 결혼만족도, 자녀와의 가족여가 그리고 직무몰입이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남자 중학생 자녀가 있는 직장인 아버지를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16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중학생 아들을 둔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은 결혼만족도와 원가족 부자 애착관계 그리고 직무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학생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원가족에서 부자 애착관계가 강할수록 그리고 현재 직장에서 직무에 대한 몰입이 클수록 중학생 아들에 대한 부모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중학생 아들을 둔아버지의 부모효능감에는 원가족의 부자애착 관계와 결혼만족도, 그리고 현재 직장에서의 직무몰입이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며 그 가운데 결혼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학생 아들을 둔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에는 결혼만족도와 원가족에서의 부자간 애착관계와 같은 가족관련 요인과 직무몰입과 같은 직업관련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생 아들과의 여가활동은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 아들을 둔 아버지의 부모효능감은 청소년 아들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보다는 아내와의 결혼만족과 과거 어린 시절 자신의 아버지와의 애착관계 그리고 현재 직장에서의 직무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주는데 이는 중학생 아들을 둔 아버지가 정작 자신이 중학생아들과는 직접적인 애착관계를 맺을 수 있는 가족여가와 같은 활동보다는 과거 원가족에서의 부자간의 애착관계나 배우자와의 관계나 직무몰입과 같은 간접적인 방식으로 부모효능감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father attachment in family of origin, marital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with adolescent son and job involvement on parental efficacy of fathers with adolescents. A total of 165 fathers with adolescent son in middle school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scale: parental efficacy,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father in family of origin, marital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with adolescent son and job involvement. Data were analyzed by SPSS including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explaining parental efficacy of fathers with adolescent son. Also, father-son attachment in family of origin and job involvement were significant in parental efficacy of fathers. Leisure activities with adolescent son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in parental efficacy of fathers in spite of its importance in real family lif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related factors such a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family of origin relationship like father-son attachment and work-related factor like job involvement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parental efficacy of fathers with adolescents.

      • KCI등재

        중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 개발

        정경희,김성회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terpersonal Relation Harmon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IRHS-M) in South Korea and to validate it. This study took three steps. First, the preliminary scale of 135 item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Second, Pre-test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after examination of the items by five experts(three counseling psychologists, two Korean teachers)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The scale consisting of 51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s of 1042 1st-year, 2nd-year, 3rd-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Data was collected from 1042 samples, and 202 samples of them were eliminated based on response dishonesty. Finally, 20 final items was determined based on item-scal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Factor analysis showed the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factor 1(6 items) implying ‘emotion for interpersonal relation harmony’, factor 2(8 items) implying ‘behavior for interpersonal relation harmony’, factor 3(6 items) implying ‘cognition for interpersonal relation harmony’. The IRHS-M total score showed acceptable internal reliability(Cronbach α= .751) and 3 sub-factors also demonstrated acceptable internal reliability(.683∼.811).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s,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nterpersonal Relation Harmon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IRHS-M), school adjustment scale, daily-stress scale was administered to 401 samples. The IRHS-M score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scale,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aily-stress scale. And to verify 5-week test-retest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450 samples. The IRHS-M total score showed acceptable internal reliability(Cronbach α= .758) and 3 sub-factors also demonstrated acceptable internal reliability(.688∼.816). Thus IRHS-M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IRHS-M is an appropriate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 harmon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상황에서 개인내의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조화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중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의 고찰 및 연구 대상자의 자유개방형 설문지 결과와 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135문항의 예비문항을 작성한 후 상담심리 전문가 3명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국어교사 2명과 중학생 10명에게 문항표현의 적절성을 검토 받아 3차례에 걸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보완 후 51문항을 선정하였다. 전국 13개 시 남․녀 중학생 1,04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한 결과 최종적으로 3요인 20문항으로 구성된 중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 1은 대인관계 조화정서 요인(6문항), 요인 2는 대인관계 조화행동 요인(8문항), 요인 3은 대인관계 조화인지 요인(6문항)으로 명명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751이고, 요인 1은 .811, 요인 2는 .750, 요인 3은 .683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중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중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 학교생활 적응 척도,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중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와 학교생활 적응 척도는 .363으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중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와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는 -.300으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임으로써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중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5주 간격의 검사-재검사에서 중학생 대인관계 조화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758이고 하위요인 신뢰도는 .688~.816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일 중학생의 시민성 관련 태도와 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박남수,권오현,심정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students?citizenship related attitude and awareness about school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also examines possible directions citizenship education can tak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i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alike, the trust in governing bodies was generally low and the Korean students had lower trust. However, students of both countries were positive of immigrant and women’s rights. Second, students of both countrie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s politics and Korean students had more negative attitudes. Korean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interested in politics than their Japanese counterparts. Also, the most frequently used sources of information on politics for the students were TV news, newspapers, and radio in this order. The students of both countries exhibited low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vities in the future with Japanese students particularly showing lower willingness. Third, students of both countrie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s necessity of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hey had negative evaluations on the openness of the class, with Korean students showing more negative assessment than Japanese students. With regards to the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ollowing educational issues need to be addressed; First, improvement of students’ critical perspective in political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Second, the teacher’s active role in conjunction with the family; Third, enhancing students’ critical acceptance and production capacity to information media; Forth, learning experience needed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Fifth, securing openness of class to encourage critical thinking.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학생의 시민성 관련 태도와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통해 시민성 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중학생의 정치 조직에 대한 신뢰는 낮으며, 한국 중학생의 신뢰가 더 낮았다. 그러나 양국의 중학생들은 여성과 이주자의 정치, 경제적 권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한·일 중학생의 정부의 정치활동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으며, 한국 중학생의 태도가 더 부정적이었다. 정치문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한국 중학생이 일본 중학생에 비해 더 높았으며, 정치와 관련한 대화 상대는 부모, 친구, 교사의 순이었다. 또한, 정치문제에 대한 정보원은 텔레비전 뉴스, 신문, 라디오 뉴스의 순이었다. 장래 정치 활동에 대해 양국 중학생의 참여의지는 낮았으며, 일본 중학생이 더 소극적이었다. 셋째, 양국의 중학생들은 학교에서의 민주적인 참가의 필요성 및 다문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경험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실 수업의 개방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중학생이 더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에서의 시민성 교육과 관련해서 첫째, 정치 조직과 정치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비판적 시각 육성, 둘째, 정치 및 시사문제에 대한 가정과 학교의 적극적인 역할, 셋째,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의 비판적 수용과 생산 능력 증진, 넷째, 다원적인 민주사회에 요구되는 다양한 경험 제공, 다섯째, 교실 수업의 개방성 확보와 같은 과제의 해결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