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유정 소설과 비서술적 음악의 꼴라쥬, < 김유정 봄,봄 > : 오태석 극작법 연구

        양세라 ( Sei Ra Yang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40

        This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s in 2012 the "Kim Yu-Jeong bom·bom" and premiered in 1984 the "bombom" difference. The reason is because the original, Kim Yu-Jeong`s an adaptation of a novel by the same title, which was the first concert performances are very different. Traditional music formats to take advantage of the brilliant play by highlight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performances, "bombom"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plays "Kim Yu-Jeong Bom·Bom" different creative techniques. Kim Yu-Jeong`s short stories that appeared in the various figures and in Korea in the 1930s, living their locality utterance type and the scene was inserted. This article live Kim Yu-Jeong`s novel format utilizing language that speaks po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writing noted. Plays "Kim Yu-Jeong Bom·Bom" labor to stage scenes were represented by the fatigue of the body. This reality expressing the complex emotions of the current audience. It was Kim Yu-Jeong`s novel scene to insert in the form of creative. As a result, the audience, Oh Tae-suk familiar from the novel "bombom" theatrical discourse types found researchers from the drama of the "Kim, Yu-Jeong bom·bom" looked communication framework that can be achieved. Director from a novel attempt to insert theatrical discourse types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e reason for this was the scene of the novel to symbolize the reality of now-here in the audience. 이 논문은 오태석이 김유정의 소설을 해체하고 인용하며, 소설과 이질적인 연극언어와 조합한 극작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1984년 공연된< 봄봄 > 대본과 2012년 < 김유정 봄봄 > 두 대본에서 발견되는 극작법상의 차이점에 주목해 보았다. 두 공연은 모두 오태석의 무대연출 형식과 문학텍스트가 상호텍스트적으로 접합하는 극작술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 같은 극작 기법을 꼴라쥬적 기법으로 보고, 이 미학적 개념이 드러내는 형식상의 자질들로 오태석의 극작술에 대해 기술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오태석의 극작법이 뚜렷한 기준과 목적으로 구성된 유기체적인 작품구성 원리 대신에 분방한텍스트의 접목과 배열을 수용하는 텍스트의 연행적 구성방식을 설명하기에 적절한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오태석이 관객 혹은 텍스트 수용자의 예술적지각에 의해 관계 맺음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극작과 연출의 유희성을 대변하는 틀로 활용한 방식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먼저 김유정 소설의 언어를 공연의 물질적인 무대담화로 구성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오태석이 연극언어를 탐구했던 연장선에서 소설텍스트를 인용한 기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를 근거로 < 김유정 봄·봄 >이 김유정의 소설에서서사와 인물, 언어형식을 인용하거나 삽입하는 과정에 과감히 극적 행위와 꼴라쥬 하는 기법을 근거로 극작법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 김유정 봄봄 >은 김유정 소설의 들병이라는 여성인물을 매개적 화자로 형상화하였다. 그래서 들병이라는 인물이 공연에서 메타드라마적 형식을 반영하도록 하는 극작 기법을 기술해 보았다. 오태석 연극의 놀이적 특징은 이 연극에서 극적 담화를 구성하는 기법, 즉 극적 언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꼴라쥬 기법은 원작소설과 초연 < 봄봄 >, 그리고 이 이질적인 장르를 해체하고 인용한 < 김유정 봄·봄 >에서 극작법으로 구성되었다. 오태석은 치밀한 언어감각 탐구 결과, 김유정 소설을 소재적이고 기능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그 소설이 담지하고 있는 음악과 연극성을 무대에 인용하였고 이와는 이질적인 연극언어와 조합하였다. 오태석은 김유정이 형상화한 한국적 정서를 주제화하기 위해 들병이의 육체를 빌려 소설과 음악 등의 연극언어가 꼴라쥬 되는 극작법을 구성하였다. 그결과 갈등의 국면과 인물은 초연에서 고정적이고 전형적인 주재로 형상화되었던 것에 비해 이 공연은 관객에게 김유정소설이라는 필터를 가지고 공연을 보도록 유도되었다. 이 극작법은 관객이 무대에서 김유정 소설로 인용된 역사성과 사회성, 장면의 회화성을 떠올리며 공연을 바라보는 상호텍스트적 인식의 틀을 제공하는 기법을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오태석이 관객의 예술적 지각에 대한 신뢰를 전제로 공연무대에서 문학텍스트를 인용하고 해체하는 지적인 유희로서 극작술의 기법을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 연구

        이인화(Lee, In-wha)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지금까지의 한국어교육 정전 연구는 정전의 기준과 목록을 개발하는데 집중해 왔으나, 그러한 작품들이 한국어교육의 장면에서 실제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에 대한 점검은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의 정전으로 어떤 작품을 상정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작품들이 한국어교육 교재에서 제재화 된 양상을 파악하여 이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에서 발행한 한국어교육 교재와 과거의 한국어교육 교재를 함께 검토하여 황순원의 「소나기」,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유정의 「봄봄」이 현재 한국어교육의 정전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들 세 작품의 제재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품이 수록된 교재를 단원, 학습활동, 작품 해석 차원에서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30~50년대에 발표된 작품이 한국어교육 정전이었으며 이 중 한국 농촌 풍경을 보여 주는 작품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자국어교육의 정전과 일치도가 높았으며, 정전을 제재화 할 때에는 순문학적 자질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같은 특징을 근거로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의 제재화에 있어서 향후 외국인 학습자들과 정전 간 시공간적 거리감을 해결하고 정전의 확대 및 개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정전 학습을 위한 학습 수준 및 활동을 다양화할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study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standards and lists of canon.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about how these works are actually handled in the sce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works are proposed as canon of modern nov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grasp implications of these works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issued by universities in Seoul and past Korean teaching materials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works-Hwang Soon-won"s "Showers", Ju Yo-seop’s “The guest and Mother”, Kim Yu-Jeong’s “Bom Bom”- are currently a blackou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 of these three works, the textbooks containing the works were analyzed microscopically in terms of unit,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pretation of work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included works showing Korean rural landscape among the works published in the 1930s and 1950s.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is composed by referring to the canon of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pure literary qualities when the canon is produce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between foreign learners and canon in the production of modern can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the level of learning and activities for canon learning, while also providing a way to expand and open the canon.

      • KCI등재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유정의 <봄봄>을 중심으로-

        정이붕 ( Zheng Yi-peng ),김장선 ( Jin Chang-shan ) 겨레어문학회 2017 겨레어문학 Vol.58 No.-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목표 언어에 대한 학습이나 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문학 작품을 활용한다는 것은 의미 있는 한국어 교육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을 활용하는 것은 작품을 통해 한국어 표현을 배우고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사상과 정서를 익힌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문학작품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성, 문화적 특성, 문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언어·문학·문화를 통합하는 한국어 교육 방안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연구 방안의 일환으로 소설 활용 방안을 보여주고 실제 교수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한 연구이다.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문학을 가르친다는 것은 일상적인 한국어 구사능력만을 가르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문학적 언어 속에 포함된 한국사회와 문화를 배우고 문화적 차이를 비교하여 유창하고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김유정의 단편소설 <봄봄>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 학습 방안은 목표어인 한국어 읽기, 말하기, 쓰기, 듣기 등의 능력을 기르는 언어 학습 측면과 문화 학습의 측면, 학습자의 학습 동기유발 및 학습흥미를 제고하는 교수학습 방안이기도 하다. Learning aspect of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is an indispensable part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and teaching culture with the help of the literary works is of vital significance. This study regards teachixng Korean with novel text as one chain in Korean education and puts forward a practical teaching model for daily classrooms. Therefor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the daily conversation education is no match of the cultural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because the latter can help them learn more about Korean society, culture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fluently. Kim Yu-Jeong`s short novel BomㆍBom as the research object and proposes a new practical teaching model for the teaching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s model is designed for improving not only learners` conversational competence but also their fluent speech and literary capacity.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음악에 나타난‘웃음’ -한국 창작 희극오페라를 중심으로-

        김미영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전통인 ‘웃음’이 한국 근현대 예술음악에서 어떻게 현전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연구의 중심 대상을 한국 창작 희극오페라로 제한하였다. 고찰의 대상이 된 작품은 한국 오페라 수용사에서 성공적인 수용을 기록한 희극오페라들인 《춘향전》, 《결혼》, 《시집가는 날》, 《천생연분》, 《봄봄》이다. 또한 비극오페라에 내재된 한국적 웃음문화의 특성을 배제하지 않았으며, 그 대표적인 예시로 비극적인 전쟁 오페라 《산불》에 나타난 전통 웃음의 특성인 ‘웃음으로 눈물 닦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크게 두 가지 유형의 성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첫째는 한국특유의 해학과 풍자이다. 고전을 음악화한 오페라 《춘향전》이 여러 작곡가들에 의해 각각 다른 희극적인 어법으로 작곡되어 있었으며, 대표적인 해학 예술인 『맹진사댁경사』 또한 홍연택의 《시집가는 날》과 임준희의 《천생연분》에서 각각 날카로운 풍자와 밝은해학과 같은 다른 성격을 가진 오페라로 작곡되는 등 시대적 감성에 따라 차별화된 수용이 나타난다. 두 번째 유형은 청중을 자기성찰적인 비평적 인식으로 유도하는 웃음이다. 실내 오페라인 공석준의 《결혼》과 이건용의 《봄봄》에서 이러한 웃음이 추구되었으며, 각각 유머적, 해학적 웃음을통해 물질적인 삶의 우스꽝스러움을 조명하거나, 부조리한 상황에 대한 자기성찰로 청중을 유도하고 있다.

      • KCI등재

        김유정 소설의 일본어역 연구 - 동식물 표상을 중심으로 -

        이부용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9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Kim Yu-jeong(1908~1937)’s works were consistently published in 1984, 1995 and 2006 in Japan.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lated versions of Kim Yu-jeong’s three works, “Bom⋅Bom”(Spring Spring), “Dong-baek-ggot”(Camelia), and “San-gol”(A Mountain Village), primarily focusing on the local archetypal words, and tries to grasp the features of those archetype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Generally, it is found that the local distinctiveness of the original is usually erased due to the aspect that the elements of the local archetypal words are reduced or avoided in Japanese-translated version. On the other hand, the translated texts in Japanese common language contribute to improve the comprehension of the readers in target culture. In the future, however, for the advancement of study on Korean literature in Japan and even for cultural exchange, it is required to make Japanese translation of Kim Yu-Jeong’s stories, especially which includes annotation for the transfer of cultural archetypes. 김유정 작품의 일본어역은 1984년부터 1995년을 거쳐 2006년까지 꾸준히 출판되었다. 본고에서는 김유정의 「봄⋅봄」, 「동백꽃」, 「산골」의 일본어역을 지역원형어에 주목하여 고찰하고, 원전과의 차이와 간극을 살피어 지역원형어의 특징을 추출하고자 했다. 먼저 지역원형의 문화소로서의 개별 동식물이 등장인물 표상에 기여하는측면을 분석하고, 일본어로 번역될 때의 차이점 및 일본어 문화권에서의 역할을 함께확인했다. 그 결과 첫째, 동식물의 등가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둘째, 등가물이존재하지만 방언으로 표현된 경우, 셋째, 등가물이 존재하지만 문화적 표상이 다른경우, 넷째, 문화적 표상이 비슷한 등가물이 존재하여 문맥을 풍부하게 해주는 경우가있었다. 전반적으로 일본어역에서는 지역원형적 요소들이 축소, 회피되는 현상이 나타나 원전의 지역적 특수성이 소거되는 아쉬움이 있었다. 반면에 일본어의 보편어로 번역된 텍스트는 일본어권 독자들에게 전달가능성을 높여 주는 효과를 주었다. 앞으로 일본에서의 한국문학 연구를 위해서는 지역원형의 문화소의 전달을 위한 주석적 작업이 포함된 김유정 소설의 일본어역 발간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