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월당 사유록의 南原 시문과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

        姜錫瑾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8

        이 글은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향토성을 해명한 논문이다. <만복사저포기>는 『금오신화』의 다른 작품에 비해 향토성이 매우 진한 작품이다. 남원과 만복사는 이 소설의 주된 배경으로, 주제를 구현하는데 밀도 있게 활용되었다. 또한 저포(樗蒲)와 같은 민속놀이가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었고, 주인공은 남원(南原)의 토성(土姓)인 양씨였다. 양생이 귀녀(鬼女) 하씨(何氏)와 만나 사랑을 나누던 만복사와 하씨의 무덤이 있던 개령동, 양생이 하씨와 영원히 헤어진 뒤 약초를 캐다가 사라진 지리산은 지극히 향토적인 공간이다.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이 두드러질 수 있었던 이유는 김시습이 오랫동안 남원에 체재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김시습이 이런 경험을 토대로 이 작품에서 개성적이며 향토적인 배경을 구현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만복사저포기>는 많은 고소설들이 가진 장소적인 전형성(典刑性)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은 <만복사의 양생설화>에서도 확인된다. 남원지방에서 전래되어 오던 <만복사의 양생설화>는 1970년초에 채록되었다. 이 설화는 <만복사저포기>와 매우 비슷하여, 이 설화를 <만복사저포기>의 근원설화로 보는 학자도 있었다. 하지만 필자는 <만복사저포기>의 아류작으로 판단한다. <만복사저포기>는 아주 어려운 한문 소설이며, 조선시대 선비들도 쉽게 접해 보지 못했던 희귀소설이 <만복사의 양생설화>의 발생과 전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주된 요소는 바로 <만복사저포기>의 향토성이다. 이런 향토성으로 인해, <만복사저포기>가 남원의 민중에게 쉽게 수용되었고, 이후 민간 설화로 거듭날 수 있었다. This paper treats indigenous themes on <Manbok-sa-Jeopo-gi(萬福寺樗蒲記)> of Kim Si-seup(金時習). <Manboksa-jeopogi> has strong local color to the others of 『Keumoh-shinhwa(金鰲新話)』. This novel is set in Nam-won(南原) and Manbok-sa (萬福寺)which are used to realize the subject. Not only a folk game like Jeopo is used as important tool, but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native Namwon man. Kim Si-seup stayed for a long time in Namwon. Because of this experience, he can realize unique and local setting, and then <Manbok-sa-Jeopo-gi> can break from the convention about a place setting of classic novel. The local color on <Manbok-sa-Jeopo-gi> is confirmed at <The tale about Yang-saeng of Manbok-sa>. This tale have come down in Namwon, and then was recorded early 1970s. This tale is very similar with <Manbok-sa-Jeopo-gi>, so many researchers understood that the tale is the orginal work of <Manbok-sa-Jeopo-gi>. However, I suggest that <Manbok-sa-Jeopo-gi> is the orginal.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 <Manbok-sa-Jeopo-gi> was very difficult to read. Besides, many Chosun scholar couldn't find this novel. Nevertheless, <Manbok-sa-Jeopo-gi> has a strong local color, so many Namwon people could accept this novel, and could create new folk tale easily.

      • KCI등재

        〈萬福寺樗蒲記〉의 敍述技法과 人物 性格의 形象化 方式 硏究

        김용기(Kim Yong-ki) 우리문학회 2007 우리文學硏究 Vol.0 No.22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한 초기 전기소설에서는 소위 '환상성'이라는 수식이 붙어 다닌다. 旣刊의 논의들이 나름의 미학적 근거에 의해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게 되었겠지만, 필자가 보기에 미진한 감이 없지 않다. 이에 필자는 〈만복사저포기〉를 통하여 초기 전기소설에 드러나는 독특한 서술기법과 인물 형상화 방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이들 작품군의 '환상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기 전기소설에 드러나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才子佳人的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문제적 상황'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삶은 순탄치 못하고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들 작품에는 현실계의 남자와 異界의 여자가 기이한 만남을 이루어 자신들의 '문제적 상황'을 드러내는데, 이러한 기이한 만남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기법이 바로 '격차에 의한 서술기법'이다. 이 기법은 서사 전개의 비논리성과 비약적인 서사의 간극을 메워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 결과 독자는 이러한 비약적인 서사를 기이하게 생각하면서도 부정하지 못하고 오히려 환상성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한 초기 전기소설에서는 인물이 지닌 '문제적 상황'을 '요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작품의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고 그 인물의 '문제적 상황'을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인물들이 지닌 내면을 '作詩'로 표출하는데, 이는 단순한 삽입시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인물의 내면을 하나의 '장면으로 제시'한다는 점이었다. 이 두 방식은 '격차에 의한 서술기법'이 실제 서사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하는 형식상의 표현방식이며, 서사 전개상의 시간과 장면을 절약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 작품 후반부에서는 '격차에 의한 서술기법'과 어우러져 작가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표현방식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글은 〈만복사저포기〉를 비롯한 초기 전기소설의 환상성이 연출되는 기법에 대한 고민과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글이라 할 수 있다. Fantasy has been mentioned in the early romantic novels including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But I don't think it is enough to trump up even if some of mentions are based on the aesthetics. Thereupon I studied the unique techniques of description and the depiction of characters in the early romantic novels through the study on 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And also I tried to make clear that they are the primary factors to give rise to a fantasy. The characters of the early romantic novels have good abilities and external features over and above. However, They can't live a smooth and humdrum life due to their situation of the problem in the same breath. Accordingly, the man of the real world discloses the situation of the problem through the meeting the woman of the different world. The description of the gap makes the odd meeting like this into the natural connection. This technique of description has a function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absurdity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tory. The readers can't deny the rapid development of story even though they think it's not natural. Rather, they can experience the fantasy. The novelists of the early romantic novels including 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used the techniques that they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problem briefly. That gives the readers the tense atmosphere and maximize the character's situation of the problem. And they used a poem to express the inner description of character's mind. On this occasion, that is not a mere poem but a mean to present the character's inner world as a scene. They could save time and scenes in describing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by using two techniques. And also these are an important metho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gap to express the theme at the latter of the novel. Accordingly, this is the study on the techniques of expression of fantasy in the early romantic novels including Manboksajeopogi (萬福寺樗蒲記)

      • KCI등재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허혼(虛婚) 풍속 연구

        변숙자,현승환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69

        이 글에서는 민속학적 관점에서『금오신화』 의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허혼 풍속을 살피고, 허혼 풍속을 통해 담고자 했던 작가의 지향 의식을 고찰하였다. 허혼(虛婚)이란, 미혼인 채 죽은 남녀를 부부로 맺어주는 혼례로서 죽인 이후에도 저승에서 삶이 지속된다는 민간의 계세사상이 반영된 풍속이다. <만복사저포기>는 살아 있는 양생과 죽은 하씨녀의 결연담이라는 점에서 죽은 자와의 혼인, 즉 허혼 풍속의 양상과 인식체계가 관찰된다. 충청도의 사혼굿과 제주도의 허혼 사례를 근거로 할 때, <만복사저포기>는 영혼의 한풀이와 위령(慰靈), 혼인에 대한 유학적 관념, 삶의 영속성에 대한 소망 등 무속적 사상은 물론 유‧불‧선 사상에서 파생된 인간의 존재론적 담론이 문학적으로 승화된 작품이다. 죽음 담론이 내재된 허혼 풍속은 <만복사저포기>의 핵심 기제로 작용하면서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적 각성을 이끌어내는 상징적 메시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작가 김시습은 하씨녀의 남자환생(男子幻生)과 양생의 부지소종(不知所終)이라는 <만복사저포기>의 압축적 결말을 통해 죽음 인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상의 통합을 실천하려는 내적 의지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a Ghost Wedding(허혼) custom in <Manboksajeopogi(만복사저포기)> of『Kumoshinwha(금오신화)』 , and writer’s sense of orientation through a Ghost Wedding custom. <Manboksajeopogi> is a love story of the living Male main character ‘Yang-saeng’ and the dead female lead ‘Ha’. So in <Manboksajeopogi> observed the patterns and the recognition system of a Ghost Wedding custom. On the basis of Sahon’s exorcism of Chungcheong-do and Ghost Wedding case of Jeju-do, <Manboksajeopogi> is a literary sublimation that the solve of ‘han(恨)’ and the comfort of the soul, a Confucian notion of marriage, a desire for the permanence of life etc, Not only a shamanistic idea but human existential discourse derived from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ideas. The Ghost Wedding custom implicit in the discourse of death act as a key mechanism of <Manboksajeopogi>, It have meaning a symbolic message that a new cognitive awakening of human life and death. writer Kim Si-seub is regarded as literary embodiment of the inner will to practice the unity of various ideas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death through compressive ending of <Manboksajeopogi> that the male reincarnation of ‘Ha’ and an indeterminate ending of ‘Yang-saeng’.

      • KCI등재

        저포가 ‘만든’ 불완전한 운명-〈만복사저포기〉의 저포 놀이가 갖는 의미 고찰-

        강혜진(Kang, Hye-Jin)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본고에서는 저포 놀이에 주목함으로써 〈만복사저포기〉를 보다 촘촘하게 읽어내 보고자 했다. 저포 놀이는 『금오신화』의 뚜렷한 전고로 이해되어온 『전등신화』에서도 나타나지 않은 모티프다. 따라서 저포 놀이를 통해 〈만복사저포기〉만의 독특함을 밝혀볼 수 있으리라 예상했다. 실제로 저포 놀이는 〈만복사저포기〉에 독특한 설정을 부여했는데, 그것은 곧 ‘만든 운명’이었다. 양생은 저포 놀이를 신적인 존재에게 감히 내기를 거는 수단으로 활용했다. 주목할 점은 양생과 귀녀의 인연이 바로 이 만든 운명에 의해 빚어졌다는 것이다. 만든 운명의 불완전성은 불안한 인연과 불안한 심리를 자아냈다. 그리고 끝내 만든 운명은 윤회라는 본래의 초월적 운명에 의해 깨져버리고 만다. 〈만복사저포기〉의 비극성은 바로 여기에서 산출된다. 〈만복사저포기〉에서는 저포 놀이를 통해 ‘만든 운명’이 설정되었기에, 더 큰 운명의 힘을 부각할 수 있었으며 주체적인 인간이 도리어 더 크게 삶의 허무함을 절감하게 되는 아이러니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처럼 〈만복사저포기〉에서는 『전등신화』 소재 작품들이 콜라주됨과 동시에 저포 놀이라는 독특한 설정이 어우러지면서 심화된 문제의식과 짙은 미감을 산출하고 있다. This study tries to read the Manboksa-Jeopo-Ki in detail by focusing on a jeopo game (a board game which is played with a dice named jeopo). A jeopo game is a motif that does not appear in the Jiandeng Xinhua, which is widely known as an apparent authentic precedent of the Geumo Sinhwa. Thus, it was expected that the jeopo game would become an essential indicator of revealing the Manboksa-Jeopo-Ki’s uniqueness. The game gave it an unusual setting of a “made-up destiny.” Yang-sang impudently utilized a jeopo game as a way to place a bet to the divine being, Buddha.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Yang-sang and the female ghost has been created by this made-up destiny. The incompleteness of this destiny aroused an unstable relationship and anxiety. Consequently, the destiny ended up being broken by the samsara, or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The tragic points of the Manboksa-Jeopo-Ki are produced at this point. Since the “made-up destiny” was created by the jeopo game, it could indicate toward the power of the greater destiny and capture an irony that autonomous men become keenly aware of the futility of life. Thus, the collage of novels, which are based on the material of the Jiandeng Xinhua, and the distinctive setting, the jeopo game, blend in the Manboksa-Jeopo-Ki, which provides intensified critical thinking and dense aesthetics.

      • KCI등재

        <만복사저포기> 공간의 지리적 특성과 의미

        신희경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3

        In this study, the actual locations of Gaeryung-dong and Boryunsa in <Manbog- sajeopogi> determine through field visits, old documents, and map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three spatial settings in <Manbogsajeopogi> Gaeryeongsa is currently Yongjuam under Gyeondusan in Suji-myeon, Namwon-si. Gaeryeong-dong refers to the valley area from Garangsu-gol on the west side of Yongjuam to Yangchon Village. Boryunsa, located on Goribong in Namwon, is now extinct, and the name Jeolteo remains in the valley of Manhak-dong. A broad plain surrounds Manboksa with Mt. Kirin behind it. It is about 1km away from the entrance to the village of Gaeryeong-dong, and mountains surround all directions except the entrance to the village. The Boryunsa site is located on a hill with flat land in front. This location difference reflects the events' characteristics in each space as the background of <Manbogsajeopogi>. The fact that Manboksa has a popular and open location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space for the two main characters to meet. The isolated and devastated site of the Gaeryeongsa site functions as a space for the dead in work. While Manboksa is a space for the living and Gaeryeong-dong is a space for the dead, Boryunsa, which has an intermediate location, appears as a place where the dead and the living coexist. In <Manbogsajeopogi>, Manboksa and Gaeryeong-dong, Boryunsa were set separately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eople and the view of the three generations in a concrete way. As such, in <Manboksa Jeopogi>, Gaeryeong-dong, meaning the past, was set to the east of Manboksa, and Boryunsa, meaning the future, was set to the west. As a space of 'connection' between health and women, it represents the three generations of time, past, present, and future, based on the Buddhist theory of reunification and meeting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본 연구는 현지 답사와 고문헌, 지도 등을 통해 <만복사저포기>의 개령동과 보련사의 실제 위치를 비정하고 <만복사저포기>의 세 공간-만복사·개령동·보련사의 설정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만복사저포기>에 등장하는 ‘開寧洞’과 ‘開寧寺’는 현재 존재하지 않지만 조사 결과 개령사는 현재 남원시 수지면 견두산 아래 용주암이며 개령동은 용주암 서편 가랑수골부터 양촌 마을에 이르는 계곡 일대를 말한다. 보련사는 현재 남원 지역에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자료에서도 찾아 볼 수 없지만 보련산으로 불렸던 현재 남원의 고리봉에 있던 절로 현재 폐사되어 남원시 고리봉의 만학동 계곡에 절터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다. <만복사저포기>의 배경이 되는 만복사는 기린산을 뒤로 하고 주변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고 작품의 개령동인 현재 용주암은 마을 입구에서 약 1km 떨어져 있으며 마을 입구를 제외한 모든 방향은 산으로 둘러 쌓여 있다. 보련사터는 만복사터처럼 평지를 앞에 두고 있지만 만복사가 평지에 위치한데 비해 산에 위치한다. 이러한 입지 차이는 <만복사저포기>의 배경으로서 각각의 공간에서 벌어지는 사건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만복사가 대중적이고 개방된 입지를 가지고 있는 것은 두 주인공의 만남을 위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개령사터인 용주암은 마을에서 떨어져 있고 계곡 사이에 위치하여 산으로 둘러 쌓인 고립된 형태를 보인다. 고립되고 황폐한 입지는 작품 안에서 죽은 자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보련사는 산길을 따라 올라간다는 점에서 만복사보다는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지만 개령동처럼 외부와 단절된 공간은 아니다. 만복사가 산자의 공간이며 개령동이 죽은 자의 공간이라고 한다면 그 입지에 있어 중간적 성격을 보이는 보련사는 죽은 자와 산자가 공존하는 곳으로 나타난다. 보련사는 죽은 이들이 중심이 되는 개령동이나 산자가 중심이 되는 만복사에 비해 죽은 자와 산자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그 입지의 중간적 성격으로 나타난다. <만복사저포기>에서 전개되는 사건들은 만복사라는 한 공간에서 보여주지 않고 두 사람이 만나는 장소인 만복사, 여자가 임시로 매장된 개령동 그리고 대상을 치르는 보련사가 따로 설정된 것은 두 사람의 인연과 삼세의 시간관을 구체화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만복사저포기>에서는 만복사를 기준으로 동쪽에는 과거가 서쪽에는 미래가 설정됨으로써 과거·현재· 미래의 세 시간이 삼각형을 이루는 세 개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만복사저포기>의 세 공간은 죽은자와 산자의 만남과 해원을 불교의 연기설을 기반으로 삼세의 시간을 공간으로 보여주며 각각의 공간은 그 성격에 부합하는 입지와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설정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고전소설 교육 제재로서 <만복사저포기> 교육 내용 연구

        변숙자,현승환 청람어문교육학회 2020 청람어문교육 Vol.0 No.73

        In this paper Clarify the need for education contents, for the Folk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Manboksajeopogi(만복사저포기>). first, Appeared in the work Funeral customs and a private marriage as a ritual built on the basis of a traditional spirit view and a world, it is an important folk cultural element to know the lifestyle and value system of the time. second, the various cultural symbols that make up a novel, is meaningful as a cultural indicator that enables people to know about ancient Korean folklore, their future views, their outlook on life. <Manbokjeo(만복사저포기)> is a classic novel that contains various cultural value systems.That is why it has great significance as a cultural and educational sanction. 이 글에서는 <만복사저포기>가 지닌 민속 문화적 요소를 교육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만복사저포기>가 지닌 문화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고전소설 교육의 목표가 당대의 시대 상황과 문화적 특성 이해를 중심으로 한 문화 향유 역량 함양에 있다고 할 때,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민속 문화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우선, 작품에 나타난 허혼과 장례 풍속은 전통적 영혼관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형성된 의례로서 당대인의 생활 방식과 가치 체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민속 문화적 요소이다. 또한 소설을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적 상징 매개체, 즉 죽은 여인의 환체와 살아 있는 남성과의 결연을 중심으로 구성된 서사, 만복사나 개령동 등의 경계적 속성을 지닌 공간적 배경 등은 한국의 고대적 민간사상과 내세관, 인생관 등을 알 수 있게 하는 문화적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 <만복사저포기>는 다양한 문화적 가치 체계를 담고 있는 고전소설로서 과거와 현대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교육적 제재로서의 의의가 크다.

      • KCI등재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작품 세계와 전기 미학에 대한 재성찰

        정학성 ( Hak Sung Ch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본고에서는 『금오신화』중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두 작품에 대해 환상과 현실, 낭만성과 비극성이 교직된 그미학적 특징들과 함께 작품의 의미와 구조 등을 재검토하면서 이를 전기의 양식적 전통과 작가 의식 및 세계관의 문제와 연관하여 논의해 보았다. 두 작품에서 전란은 유약한 인간에게 가해지는 현실의 폭력적이고 억압적인 본질을 간명하게 드러내 주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한 비극적 서사를 통해서 작품은 당대인의 인간적 고뇌와 염원, 작가의 도덕적 이상이나 윤리관을 선명하게 각인시킬 수 있는 미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중의성을 지닌 환상 및 낭만성과 결합된 비극미를 통해 두 작품은 인간 존재와 삶의 덧없음을 조명하는 한편, 억압적인 당대 사회와 도덕규범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인간성의 해방에 대한 신념을 구현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작가의 진보적 윤리사상과 함께 동시대의 불행한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의 정신이 투영되어 있다. 이 같은 비극성은 『금오신화』의 여타 작품과는 준별되 는 것으로서 환상과 교직되어 있으나 현실주의적 세계관에 기초해 있으며, 초월적 세계관의 개입은 비극적 분투를 매개하는 보조적인 서사 장치나 예술적 방편으로 기능하며 구원과 위무를 위해 비극성을 잠정적으로 해소·완화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두 작품의 주제의식이나 전기 미학은 전대 전기소설의 미학과 소설적 성취를 적극 계승·발전시켜 創新한 것이며 소설 수법에서도 점철성금의 경지를 이루고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aesthetic of Manboksajoepoki[萬福寺樗蒲記] and Leesaengkyujangjeon[李生窺墻傳] which has been aroused through intertwining of the fantasy and the reality, the romance and the tragedy. It also explores the stories’ meaning and structure that are closely related to genre tradition of jeonki[傳奇] and the writer`s worldview. In these works the war drives the narrative into tragedy, thus, it has an aesthetical effects of focusing on the human desire and ethical belief to fight against the violent reality. The reality is mixed with the fantasy while tragic aesthetic overlaps the romance, these stories lead the reader to think of resistance to the medieval society and criteria that stifles the humanity. Moreover, as the female characters express their suppressed desire in the works, the writer brings women`s desire and human emancipation into questions. At the very point, the author reflects his spirit of resistance, progressive ethical idea and sentiment of condolence for victims who had to sacrifice their desire for the medieval ideology. Although the tragedy combines with the fantasy, it is based on the realism because -even though the intervention of transcendental world relieves and resolves the tragedy ‘temporally’- the fantasy mainly functions as no more than a narrative device to mediate tragic struggles. The jeonki aesthetic of two works is completed as they actively succeed and develop the former jeonki tradition. The techniques of the fiction[小說] also reaches a higher standard here ever before.

      • KCI등재

        17세기 독서물로서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와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신독재수택본전기집(愼獨齋手澤本傳奇集)』을 대상으로-

        김위경 ( Wi Kyoung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3 어문론총 Vol.59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some evidence that Kim Gib(金集) could be the reviser of the 17th century novel collection Shindogjaesootaecbonjoongigib(愼獨齋手澤本傳奇集). Since current studies have left the question of the reviser, the paper will provide the possibility of the authorship of the reviser by examining academic tradition. The collection contains seven short stories which are fully transcribed, and Kim Si-Sub`s ``Manboksajepoki(萬福寺樗蒲記)`` and ``Leesengkujanjun(李生窺墻傳)`` are among them. Interestingly enough, out of five short stories in Gumhoshihwa(金鰲新話)of the 15th century only the two stories are incorporated in the collection. Although it might not reflect the transcriber`s intention, as I will argue, the honour and integrity aspired in the two stories are aligned with the spirit of Gihosanlim(畿湖山林) who particularly emphasized fidelity and loyalty in their life. ``Manboksajepoki(萬福寺樗蒲記)`` and ``Leesengkujanjun(李生窺墻傳)`` were reading books for the 17th century literati and were well-suited for the life of thought that they sought for.

      • KCI등재

        『전등신화』 소재 명혼소설과 <만복사저포기>의 귀녀(鬼女) 형상과 그 상징적 의미

        박일용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3 No.-

        In “DeungMok-Chuiyou-Chuikyungwon-Ki(등목취유취경원기)” “Nokeuin-Cheon(녹의인전)”, “Morandeung-Ki(모란등기)” a ghost appears who has the desire to live a full life as a woman while serving an ordinary man as her husband. In these works, the ghost symbolizes a virgin unable to marry with by parental arrangement because died before marriage. In “Manboksa-Jeopo-Ki(만복사저포기)” the ghost Ha(何氏) who was unable to marry want to marry Yang-saeng(양생). It seems to be accepted the shape of ghost in “DeungMok(등목)”, “Nokeui(녹의인)”, “Morandeung(모란등)” in the shape of ghost Ha(何氏). On the other hand, “Manboksa(만복사)” received the macroscopic form of the “DeungMok(등목)” which shows the sequence of encounters, separation and mourning of the female ghost. It received the identity verification form of “Nokeuin(녹의인)”. In addition “Manboksa(만복사)” adopted the ideological attitude of “Morandeung(모란등)” in inverted form. In “Morandeung(모란등)” peoples who have the masculine gender ideology see the wants of ghost to marry as dirty sexual desire and want to exile to hell. But in “Manboksa(만복사)” the hero Yang-saeng sees the wants of ghost Ha(何氏) as consequential right. In “Manboksa(만복사)” the tragedy of the situation for ghosts who are accused by masculine sex ideology is revealed. The ghost Ha(하씨) is said to be killed by the enemy to ensure sexual purity. Ironically men with masculine gender ideology accuse her of being lewd. 『전등신화』 소재 <등목취유취경원기>, <녹의인전>, <모란등기>에는 모두 평범한 남성을 남편으로 섬기면서 여성으로서의 온전한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가진 귀녀(鬼女)가 등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귀녀들은 그들과 관계를 맺는 남성 주인공, 그들의 관계를 바라보는 제 삼자, 그리고 서술자에 의해 각기 다른 모습으로 인식된다. 이는 이들 귀녀가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인식 주체들의 각기 다른 성적 이념에 상응하여 소환된 여성의 성적 욕망과 관련된 환상적 형상이라는 걸 뜻한다. <만복사저포기>에서는 양생이 귀녀 하씨를 남성을 유혹하여 성적 욕망을 충족시키려는 더러운 귀녀가 아닌가 의심했다가, 그녀가 왜구로부터 성적 순결을 지키려다 죽은 억울한 여인이라는 사실을 인식한 뒤, 그녀의 비극적 처지를 애도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만복사저포기>의 귀녀 형상과 귀녀에 대한 주인공의 태도는, <등목취유취경원기>, <녹의인전>, <모란등기>의 귀녀 형상과 귀녀에 대한 주인공의 태도를 수용하여 새로운 형태로 재창조한 것이다. 귀녀와 살아 있는 남성의 만남과 이별 그리고 축원의 순서를 보이는 거시적 구성 형태는 <등목취유취경원기>의 구성을, 귀녀의 정체를 확인하여 귀녀의 처지를 이해해 가는 정체 확인형 구성과 귀녀에 대한 주인공의 태도 변화는 <녹의인전>의 그것을 재창조한 것이다. 그리고 귀녀 하씨의 비극적 처지를 인식하고 그녀의 소망이 성취되기를 기원하는 양생의 태도는 귀녀 부여경의 소망을 더러운 성적 욕망으로 매도하는 <모란등기>에서 철관도사 등으로 대변되는 남성주적 성 이념을 전복시킨 것이다.

      • KCI등재

        <만복사저포기>의 환상 구현방식과 문학적 의미

        김현화(Kim, Hyun-Hwa)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만복사저포기>는 ≪금오신화≫의 다른 작품과 달리 유난히 문(門)이 소거되어 보이지 않는 가운데 환상이 일어난다. 문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은 배나무이다. 또한 양생이 부처와 저포놀이를 하고 여귀가 등장하는 법당 장면도 마찬가지이다. 인간과 귀신이 충분히 서로 넘나들 수 있는 환경을 미리 마련해 놓는다. 두 인물이 개령동 무덤으로 가는 길에서도 문은 소거된다. 일상적 공간의 문이 의도적으로 소거된 것과 달리 초월계 공간의 문은 개방된다. 양생이 무덤으로 들어서는 부분에서 일상적 공간의 문을 소거했던 이유가 밝혀진다. 의도적으로 소거되었던 문은 보련사 공간에서 등장한다. 양생이 지리산에 들어가 세상을 마쳤다는 결말은 또 다른 초월계 공간의 문이 개방되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한편, 주요 소재의 상승감 유지를 통해서도 환상이 일어난다. 배나무, 불단 위의 붉은 촛불과 향불, 불탁 위의 축원문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상승감을 유지하며 환상을 유발한다. 서쪽 봉우리에 뜬 달, 허공에 울리는 닭 울음소리, 하늘에 퍼지는 종소리는 물론 공중에 높이 늘어선 가시나무, 매우 화려한 집 등의 표현을 통해서도 일정한 상승감은 유지된다. 또한 주발을 들고 서 있는 양생의 행위를 통해서, 허공중의 수저 소리, 말소리, 여귀의 마지막 울음소리 등을 통해서도 유지된다. 마지막 양생이 입산 모습은 작품 초반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해 온 상승감을 그대로 보여준다. 속세 공간보다 상당한 높이를 지닌 산으로 들어간 것이니 오히려 다른 어떤 소재보다 상승감을 강조한다. <만복사저포기>는 '순수'라는 근원적인 가치에 집중한 작품이다. 양생이 배나무에 기대 고독을 노래하고, 감히 부처를 상대로 저포놀이를 하고, 여귀와 함께 무덤 속으로 진입한 것도 바로 그 순수함 때문이다. 여귀 역시 자신만의 고독한 시간을 치유하는 데 머문 것이 아니라 타자의 불우한 삶에도 관심을 기울인 순수한 인물이다. 이 인물들을 통해 작가는 알력과 투쟁, 욕망과 배신이 넘치는 현실세계를 화합하고 조율할 수 있는 순수의 세계를 꿈꾼다. 그런 가운데 인간과 귀신, 현실계와 초월계가 소통하는 환상이 벌어진다. 이러한 창작 기법은 환상이 낯설거나 이질적으로 다가서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문예적 장치이자 순수한 인간상을 열망했던 작가의식의 소산이다. <Manboksajeopogi> showed a fantasy while a door was not erased, unlikely the other works of ≪Geumosinhwa≫. One pear tree had a function of a door. Moreover, also the scene that Yangsaeng played Jeoponoli with Buddha and a female ghost appeared in the sanctuary is the same. It was already prepared the circumstance that human and ghosts could enough cross each other. When a maid for the female ghost appeared, a door of a daily space was erased, and then the scene was made naturally, which a character of the fantasy world appeared in the reality space. Also a door in the path where Yangsaeng went to Gaeryeongdong tomb of the female ghost was intentionally erased. While the door of a daily space was erased intentionally, the door of the fantasy world was opened. That Yangsaeng entered into the tomb means that human enters into the fantasy world. The reason why the author radically erased the door of a daily space was exposed in this part,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the female ghost was buried temporarily when it died, and where Yangsaeng was out of original loneliness. The door that was intentionally erased in the meantime appeared in the space of Boryeonsa. The reason why it was is that the place was to give the female ghost the appropriateness of going to better world out of the lonely fantasy world. After, the ending that Yangsaeng entered into a mountain and finished his life implied the fact that a door of another fantasy world was opened. On the other hand, an illusion may happen as maintaining the sense of rise of main materials. The lonely reality of Yangsaeng was not just miserable because of the sense of rise of a pear tree between heaven and earth. When the red candle on a Buddhist altar and a written prayer on a Buddhist table maintained the sense of rise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it could draw the fantasy world where the female ghost stayed up to the bright color sense. The sense of rise could be maintained by the moon that rose over the west mountaintop, a cock's crying in the air and a peal of belles in the sky. Also the depiction of 'a line of trees high into the air' and 'very colorful house' could maintain the certain sense of rise. The sense of rise in <Manposajeopogi> could be maintained by Yangsaeng's behavior such as 'standing with a brass rice-bowl', the sound of spoons in the air, the sound of speaking and the last crying sound of the female ghost. After that, Yangsaeng's figure when he entered into a mountain and lived showed just the sense of rise that was maintain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k. It has a role for emphasizing on the sense of rise rather than any other materials because Yangsaeng entered into higher mountain than the real world where he lived. <Manboksajeopogi> is the work that focused on the original value referred to' purity'. The reason why Yangsaeng sang a song of loneliness while leaning against a pear tree, dare played Jeoponoli with a Buddha and entered into the tomb with the female ghost is just pureness. The female ghost also was a pure character that not stayed to cure her own lonely time, but was interested in the other's deprived life. The author dreamt a pure world through these characters, where may make in concord with the real world of running over with conflict, fight, desire and betrayal and tune up. In the course of it, the illusion that may communicate between human and ghosts, the real world and the fantasy world may happen. It was the result of writer consciousness that desired the pure huma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