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해 한국독립당 기관지 ≪진광(震光)≫ 연구

        이시종(Lee, Si Jo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7 No.-

        1930년 1월 중국 상해에서 결성된 한국독립당(한독당)은 안창호 중심의 기독교 및 흥사단계 인사들과 이동녕, 이시영 등을 중심으로 하는 대종교인들이 연대하여 만든 정당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지, 옹호하는 입장을 가진 민족주의 정당이다. 한독당은 〈당의〉와 〈당강〉을 통해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혁명적 수단, 즉 무력으로 일제를 타도하고, 국토와 주권을 광복하여 삼균주의에 입각한 신민주국을 건설하며, 안으로는 국민생활의 평등생활을 보장하고, 밖으로는 민족과 나라간의 수평적 협력관계를 통해 세계평화에 이바지하자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독당은 기관지인 ≪진광≫을 국한문판과 중문판으로 발행하였고, 이를 통해 혁명운동 과정의 자료 수집과 민족운동의 진수를 흡수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과거의 잘못을 성찰하고 독립군을 편성하며, 우방과의 연대를 통해 일제와 싸울 수 있도록 당인을 양성하고, 제국주의와 자본주의를 부정하며, 민족 전체의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이룰 수 있는 나라를 건설할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6호의 ≪진광≫은 상당수가 『소앙선생문집』에 수록되어 있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국한문판은 독립전쟁과 관련한 조직문제와 민족문제 등을 수록하였고, 중문판에는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홍보, 선전하는 내용들이 실려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진광≫은 조소앙이 제시한 “삼균주의” 이념이 충실히 반영된 것으로, 조소앙은 이를 통해 독립전쟁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한중연대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진광≫에 수록된 「한국역년의사활동요목」와 「역년의사월년표」는 1905년부터 1934년까지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했던 독립투사의 항쟁일지를 기록한 것으로, 한독당이 지향하는 독립전쟁의 방식이 무장투쟁에 있음을 밝힌 소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한독당은 기관지 ≪진광≫을 통해 독립전쟁에 대한 다양한 활동과 투쟁 방략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중국인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Korea Independence Party ("KIP"),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in January 1930, was a political party based on the solidarity among the Christian and Young Korean Academy figures, centered on An Chang-ho, and figures from Dangunism, centered on Yi Dong-nyeong and Yi Siyeong. It operated as a nationalist party that supported and advocat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IP, through party policy and party platforms, adopted revolutionary measures, which forcefully overthrew Japanese rule, to save the country gripped by a crisis, recover the territory and sovereignty, and establish Democratic Republicanism based on the Three Equalitarianism. It aimed to guarantee the equal life of the people at home and devote to world peace by eq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oples and nations abroad. The Party published the paper entitled "Jin Gwang" in both Korean-Chinese and Chinese character versions. It intended to collect the data from the history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and embrace the essence of the nationalistic movement. Along with this, the party sought to come to terms with the failures of the past so as to protest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 organize the independence army, develop the members to fight against Japan through solidarity with the allies, deny imperialism and capitalism, and establish a country in which equality in politics, economics, and education can be achieved for all of the people. The majority of Issue No. 6 of Jin Gwang, which has been passed onto today, was placed in The Anthology by Jo So-ang, of which the Korean-Chinese character version described the issue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the people with respect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Chinese version delivered content regarding the promotion of excellence in the Korean version. Jin Gwang fully reflected the idea of Three Equalitarianism proposed by Jo So-ang, who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sought strengthene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China. In particular, the Particulars of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Patriotic Martyrs and The Chronicle of the Korean Patriotic Martyrs maintained records of the protests by the independence activists who had engaged in armed struggles against Japan from 1905 to 1934. They constitute the historical materials to demonstrate that the armed struggles were what KIP had sought out as the method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KIP suggested various activities and struggle strategies regard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Jin Gwang, which was also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promoting Korean excellence in China.

      • KCI등재

        항일투쟁기 한국독립당의 『震光』 발간과 한중 연대

        박성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1 No.-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in China published several newspapers and magazines to propagat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and to lead Sino-Korean solidarity. Through the publication, they tried to gather together supporting forces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JINKWANG” was an official magazine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published in Hangzhou on January, 1934 at first. The purpose of “JINKWANG” was to suggest theories and methods of anti-Japanese strategy for Korean groups and to advise mutual solidarity between Sino-Korean people. “JINKWANG” was published in two tracks like these. This paper focused on the Sino-Korean solidarity over the publication of “JINKWANG”. This paper treated on firstly how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over the publication of “JINKWANG”, secondly what was the stance of Chinese in Chinese national party about Sino-Korean solidarity, and thirdly what was the contents of Sino-Korean solidarity issued by Korean independence party. Korean independence party also wrote the theory of Sino-Korean solidarity in Oriental philosophical standpoint. They insisted that if it was compared to universal principle, Sino-Korean solidarity was inevitable stream in the nature that human-being couldn’t stop. The executives of Chinese national party also insisted that Sino-Korean solidarity was the needs of the times although we didn’t mention that China and Korea had intimate relationship from earlier times. Chinese national party supplied the publication of “JINKWANG” with money and their own printing machine in their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The reason why Chinese national party helped the publication of “JINKWANG” was because they agreed for Sino-Korean solidarity was very important to fight Japanese imperialism. The theory of Sino-Korean solidarity over “JINKWANG” shows us that it was a consistent and common strategy for Sino-Korean people to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중국에서 활동하던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한국인들의 독립운동 활동을 선전하고 한중연대를 유도하기 위해서 신문·잡지 등 여러 가지 문건들을 간행하였다. 『震光』은 1934년 1월부터 한국독립당이 발간한 공식 기관지였다. 1932년 尹奉吉 의거로 상해를 떠나 각지에 흩어져 있던 한국독립당 인사들이 杭州에 집결하여 활동을재개하면서 발행한 기관지이다. 『震光』은 한국 독립운동의 이론과 방법을 제시하고, 중국과의 상호 연대를 촉진코자 하는 두 가지 방략에서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震光』의 두 가지 큰 내용 중에서도 한중연대론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첫째 『震光』 발간을 후원한 중국 국민당과 한독당과의 관계는 어떠했는지, 둘째 한중연대론에 대한 중국국민당 인사들의 입장은 무엇인지, 셋째 『震光』에서 한독당이 내세운 한중연대론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검토함으로써 『震光』을 매개로 추진되었던 한중 연대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국국민당은 『震光』 발행에 소요되는 경비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민당 기관지를 발행하던 東南日 報社 인쇄소를 이용할 수 있게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중국국민당이 『震光』 발행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것은한중 공동 연대가 항일 투쟁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사업이라는 점을 공감하였기 때문이다. 한독당은 한중연대가 역사적 필연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보아도 ‘天地必然之勢’ 이며, 인간의 인위적인 안배와 계획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중국국민당 인사들도 한중 두 나라가 유구한 역사관계를 가진 우방일 뿐만 아니라 공동의 적인 일본제국주의에 맞서 싸우는 동일한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을 직시하였다. 『震光』을 통해서 일관되게 표방된 한중연대론은 한독당은 물론 중국국민당 인사들의 공통된 항일투쟁 방안이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 KCI등재

        1960-70년대 원주지역의 신협운동 - 진광 협동교육연구소와 진광신협의 활동을 중심으로 -

        방성찬 ( Bang Seong-chan ),이승일 ( Lee Seung-il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5 No.-

        1965년 천주교 원주교구 초대 교구장으로 취임한 지학순 주교(池學淳, 1921-1993)는 원주지역 농민들의 상부상조하는 사회건설과 농민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신협운동을 계획하였다. 이에 1966년 지학순 주교는 원동성당 신자들을 중심으로 원주신협을 창립하였고, 이사장으로 장일순을 선출했다. 그러나 당시 원주교구는 신협을 운영해본 경험이 미숙하였고, 신협 조합원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부족했기 때문에 원주신협의 운영이 어려웠다. 이에 지학순 주교는 원주지역 신협운동의 활성화를 모색하였고, 1969년 10월 13일 진광학원 내에 진광 협동교육연구소(이하 `협동교육연구소`)를 설치하여 신협 운동을 전개하였다. 협동교육연구소는 원주지역에서 성인교육과 학생교육을 병행하면서 신협 창립 및 경영을 지도하였다. 1970년대 협동교육연구소의 활동 이후 신협조직은 원주지역에서 강원지역으로 확대되었다. 그 결과 1972년 6월 17일 도내 신협들이 진광학원에 모여 강원지구평의회를 창립하였다. 강원지구평의회 창립 이후 강원지역은 체계적으로 신협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협동교육연구소의 활동은 도내최초의 학교신협인 진광신협 창립에도 영향을 주었다. 진광신협은 1970년 5월 15일 진광학원의 학생·학부모·교사 등이 공동으로 창립하였다. 진광신협은 가난한 학생·학부모·교사 등을 대상으로 신용사업과 공동 구매·소비사업을 운영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저축활동을 장려함으로써 금융활동과 저축의 필요성을 가르쳤다. 이렇게 지학순 주교는 학교교육에 신협운동을 접목시켜 학생들 스스로 신협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였다. 가난한 농촌집안의 학생들은 신협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이러한 신협에 대한 인식은 원주지역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이를 체험한 농촌마을의 학부모와 청년 지식인들은 마을 곳곳에 협동조합을 조직하게 되었다. 1960-70년대 원주지역에서 전개된 지학순 주교의 교육사업과 신협운동은 농민들의 생활개선 뿐 만 아니라 사회운동의 성격도 강했다. 협동교육연구소와 진광신협의 활동을 통해 당시 지역 주민들과 학생들은 농촌 빈곤의 구조적 문제를 인식할 수 있었다. 이에 지역사회 주민들은 지역 곳곳에서 신협을 창립하여 조합원으로 활동하였다. 이렇게 1960-70년대 국가 주도의 경제정책과는 별개로 원주지역에서 전개된 민간 주도의 신협운동은 지역 주민들 스스로가 빈곤퇴치와 생활개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Bishop Ji, Hak-soon(池學淳, 1921-1993), appointed as the first diocesan bishop of Wonju diocese of catholic in 1965, took the lead of participation of Catholic Church in reality and Christian life practice with the influence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Bishop Ji, Hak-soon developed educational business and credit union movement for the life improvement of poor Wonju region residents and independence of farming household economy. Bishop Ji, Hak-soon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train talented people to develop the backward Wonju region. Here, bishop Ji, Hak-soon promoted various education projects such as a crusade against illiteracy, establishment of adolescent independence training camp, and establishment of Jinkwang private school, etc. in the community. Bishop Ji, Hak-soon developed credit union movement by installing `Jinkwang cooperative educational Institute` in Jinkwang private school on October 13, 1969. Jinkwang cooperative educational Institute instructed credit union foundation and management while combining adult education and student education in Wonju. Since the activity of 1970s` Jinkwang cooperative Educational Institute, credit union organization was extended to Gangwon region from Wonju. As the result, June 17, 1972, credit unions of the county gathered in Jinkwang private school and founded Gangwon district council. Since the foundation of Gangwon district council, Gangwon region could operate credit union activity systematically. Activity of Jinkwang credit union private school also influenced foundation of Jinkwang credit union, the first school credit union of the county. Jinkwang credit union was founded in common by the poor students.school parents.teachers of Jinkwang private school on May 15, 1970. Jinkwang credit union operated credit business, joint purchase· consumption business targeting poor students, school parents, and teachers. Also, taught students necessity of financial activity and saving by encouraging saving activity. This way, bishop Ji, Hak-soon made students feel necessity of credit union by themselves by applying credit union movement to school education. Students from poor farming household positively recognized credit union, and such awareness on credit union was extended to Wonju region. Also, the school parents and young adult intellectuals from farming village, who experienced this, organized cooperative union in every place of village. Bishop Ji, Hak-soon`s educational business and credit union movement in Wonju during 1960s-70s had a strong characteristic of social movement as well as life improvement of farmers. Through Jinkwang cooperative Educational Institute and Jinkwang credit union activities, regional residents and students during that time could recognize the structural problem of farming village poverty. Here, community residents acted as the members by establishing credit union in every place of the region. This way, apart from the government oriented economic polity during 1960s-70s, privately led credit union movement in Wonju region enabled the region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poverty elimination and life improvement by themselves.

      • KCI등재

        풍경사진 광고물의 저작권 보호에 관한 고찰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 3. 27. 선고 2013가합527718 판결을 중심으로-

        장정애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4 스포츠와 법 Vol.17 No.3

        Today, courts still see the foundation for a photograph's copyright - the originality in the photograph - in roughly similar terms: in the photographer's selection of background, lights, shading, positioning of subject, and timing or posing the subjects, lighting, angle, selection of film and camera, evoking the desired expression, and almost any other variant involved. However, the choice of the image frame produces selection in the copyright sense. Once the frame is chosen, there is another set of choices made by the photographer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ngle and timing. The need for incentives, our concern for fairness and our sense of beauty may tend to make us look at the copyrightability of photographs generously. Many more would be interested in their rights if they knew how their images were being used. The protection of photographers is copyright education. Extensive reformation is needed at both the governmental level and in the minds of creators and corporations such as Facebook, Google, etc. The first person who spend the enormous labor and time to find and shoot the object and place for the first time should be legally protected generously. However, when the latter is recorded in the same landscape, at least the latter would highlight their creativity to be expressed distinguishably from the first photographer. Copyright legislation moves slowly and educating the populace to take action to preserve their rights can be a daunting task. There are no easy answers to balancing copyright protection for creators and access for the public, but the answer is never copyright infringement. Copyright law must seek to craft a system that is strong enough to provide protection to the least among us, but sufficiently flexible to evolve with the tim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카메라의 기능과 사진촬영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달되고 완성된 사진을 자유자재로 수정·변경이 가능한 컴퓨터 그래픽의 기술도 나날이 발달되고 있으므로, 유사한 사진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무명의 자연경관도 실력 있는 사진작가가 찍을 경우 유명해 질 수 있고, 그렇게 해서 알려진 경관을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촬영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지나친 권리보호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엄격한 법적 잣대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관련 업계의 관행과 행위자의 의도 등을 면밀히 고찰하여 판단해야 하는데, 결국 이후에 찍는 사진작가의 도덕성과 윤리 의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법원은 영국 사진작가 마이클 케나를 대리한 공근혜 갤러리 측이 대한항공을 상대로 ‘솔섬’ 풍경사진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며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대한항공이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았다는 원고패소 판결을 내리면서 자연물이나 풍경을 어느 계절, 어느 시간, 어느 장소에서 어떠한 앵글로 촬영하느냐의 선택은 일종의 아이디어로 보아 저작권의 보호범위 밖으로 보았다. 하지만 사진저작물의 경우 촬영자의 창작성보다는 카메라라는 기계적 작용에 의존하는 부분이 많으므로 이미지 프레임(frame)의 선택에서부터 창조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거대한 자연 속에서 촬영자가 선택한 풍경 또는 장소가 작가의 독자적 사상이나 감정의 표현이 가장 많이 드러난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대한 노동과 시간을 투하하여 처음 대상과 장소를 발견하고 촬영한 자와 그 이후에 촬영한 자와는 다른 기준을 적용하여 저작물성을 인정하고 법적 보호를 해주어야 한다. 즉 최초 촬영자의 사진작품은 그 후에 촬영한 자와 달리 독창성 내지 창작성을 인정함에 있어 좀 더 관대하여야 하고, 같은 풍경을 촬영한 후자의 경우 적어도 후자 자신의 것이라고 볼 만한 개성과 창조성이 표현되어야만 창작성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최초 촬영자가 풍경사진의 독점권을 행사하여 지나지게 많은 저작료를 요구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는 저작권법이 추구하는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도모와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기여하지 못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공중의 접근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 모두 스스로 공정성과 형평성을 추구하는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