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기(禮記) ≫의 ≪ 오경(五經)≫ 편입과 그 의의

        이세동 ( Se Dong Lee ) 영남중국어문학회 2009 중국어문학 Vol.0 No.53

        現存禮學的儒家經典共有≪儀禮≫·≪周禮≫·≪小戴禮記≫·≪大戴禮記≫四種. 但其中唯有≪禮記≫被納入≪五經≫, 從而영得獨一無二的地位. 可是就漢代言之, ≪儀禮≫和≪周禮≫却是經; ≪禮記≫不過是解經的`記`. 東漢末鄭玄所註≪儀禮≫·≪周禮≫·≪小戴禮記≫三種, 由是獲≪三禮≫之名. 從此≪大戴禮記≫失勢, 到唐代八十五篇中僅存三十九篇. 唐太宗爲統一經學詔顔師古考定≪五經≫正文, 幷詔孔穎達與諸儒撰定≪五經≫義疏. 此義疏正是≪五經正義≫, 而≪三禮≫之中僅有≪禮記≫被納入禮經. 從此≪儀記≫成爲≪五經≫之一, ≪儀禮≫和≪周禮≫的地位不如≪禮記≫. 顔師古和孔穎達采納≪禮記≫的原因不明確. 依筆者考究, 孔穎達關注≪禮記≫的涵蓋整個朝代的節文義理及體履兼備的綜合性, 認爲比記錄周朝規範和職制的≪儀禮≫·≪周禮≫更有用於世, 從而意圖以≪禮記≫包羅≪三禮≫來撰定≪禮記正義≫. 故此, 孔穎達撰定≪禮記正義≫的結果, 形成`禮`不是規範節次和職官制度, 是囊括一切古代文化的觀念, ≪禮記≫被納入≪五經≫的意義就在於此.

      • KCI등재

        고려전기 『상서(尙書)』의 정치적 활용과 그 성격

        현수진 ( Hyun Soo Ji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6

        고려전기의 지배층은 『상서(尙書)』의 정치운영원리를 수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정치적 상황에서 『상서』가 활용되었다. 『상서』는 국왕이나 신료의 정치적 의사에 당위성과 권위를 부여하였으며 주요 정치제도 시행의 명분이나 전범이 되기도 하였다. 이때 고려의 지배층이 읽었던『상서』는 『상서정의(尙書正義)』로, 이는 7세기 중반 『오경정의(五經正義)』가 한국으로 수용된 이래 이것이 중요한 유학적 텍스트로서 계속 읽혔던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한 당 태종의 정치를 이상적인 것으로 추구했던 고려 지배층에게 그의 정치상이 집약된 『상서정의』는 정치 운영의 전범이 될 수 있었다. 12세기에 접어들며 급격한 한랭화로 인한 재이(災異) 현상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고, 이때 국왕의 강경(講經)을 통한 수덕(修德)이 소재(消災)의 근본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서』 홍범(洪範)편은 점차 소재와 관계된 유학 경전으로 인식되었다. 예종대에 경연(經筵)에서 『상서』가 빈번하게 진강되었던 점은 이러한 『상서』 활용 양상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olitical use of Shangshu (尙書 or 書經), the Book of Documents, and its meaning in the early Goryeo (高麗) dynasty. There are two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nfucian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which Goryeo`s ruling class pursued. Second, it aims to search for the political and academic background why the principle was pursued in Goryeo society. In the age of the ancient Three Kingdoms, five Confucian scripts were read importantly. In case of Silla (新羅), the ruling class had already accepted the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which Shangshu suggests,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From the mid-7th century, there was a change of understanding Shangshu as the Three Kingdoms sent students to the national school of the Tang (唐) dynasty in China. Just at that time, Emperor Taizong (太宗) of Tang let scholars such as Kongyingda(孔穎達) to arrange existing annotations and to make new ones related to five Confucian scripts. As students returned to their own country, they brought those scripts named Wujingzhengyi (五經正義). As a result, new annotations were accepted to the three countries. Shangshu became understood through Shangshuzhengyi (尙書正義) which was one of the Wujingzhengyi. Goryeo`s intellectuals read the scripts as well. Also they wanted to apply the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written in Shangshu. Accordingly, it was used to cope with various political situations in early Goryeo. Shangshu gave imperativeness and authority to the king`s and bureaucrats` political decision-making. Also it was used as an example to several political systems performed at early Goryeo. As Goryeo society accepted the Confucian principle of political operation, it was natural that they accepted Shangshu`s contents. Also Shangshuzhengyi, which contains Tang Taizong`s ideal politics, became a model for Goryeo`s ruling class who pursued his political operation. By the turn of the 12th century, solving the problem resulting from the huge natural disaster became important for the Goryeo government. For them, the most fundamental way to solve this problem was found from the king`s self-discipline and by reading Confucian texts. The reason why they thought like this was an influence from Neo-Confucianism of the Northern Song (北宋) dynasty. In particular, Shangshu`s certain selection “Hongfan (洪範)” received attention since it was recognized as the way to solve the natural disaster. As a result, King Yaejong (睿宗) in Goryeo studied Shangshu, especially “Hongfan,” at the king`s study with his scholar bureaucrats called Gyeongyeon (經筵). This shows the changes had been made in using Shangshu at this time. However, Shangshu was still used actively at giving imperativeness and authority to the ruling class.

      • KCI등재
      • KCI등재

        성경적 법을 통한 법학 지평의 확대

        이호선 기독교학문연구회 2015 신앙과 학문 Vol.20 No.1

        It is not easy to answer what the nature of law is. In general, the contemporary legal concept tends to exclude something valuable, such as justice or purpose, while considering the law as positive ones which have binding forces. Due to the growth of unfairness and injustice beyond a state in global level as well as in a state, and to the social conflicts and costs being incurred from the imbalance between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personal level, the traditional concept of law has to be changed. Most of all, when trying to change the concept of law, we need to understand that the binding nature is not requisite for the defining concept of law, and the law itself is the systematic complex norms shaped within the comprehensive frames. These ways of understanding would make it possible for the modern law to share its sphere with the biblical one substantially, and for us to get abundant inspirations from the biblical law. If we consider the biblical law as something from the limited point of view such as a nation like Israel, or religion like Christianity, we would make mistakes by overlooking its historical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everal unique advantages found only in the biblical law which are seldom in the modern legal thinking. For example, durability being shown in historical events, dynamic challenging energy by the basic question on the existing orders, three-dimensional perspectives on the legal system, and the internal expansion of norm observance attitudes. The Bible declares that justice, the highest principle in the modern law, is representing the divine nature of God, and its sources are in God. This approach can secure the impartiality in resolving disputes more easily than depending on only positive law approach. For the rich and powerful people are able to secure their lot without appealing to the Bible. Furthermore,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biblical law and the modern one in that the former puts the role of law in recovering one’s identity as a community member rather than recovering violated rights, assigns the responsibilities for justice to everyone rather than to the upper minority, and reserves the court trial as last resort.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e opportunity that the biblical law can open a new prospect in the modern jurisprudence leaning on the modern law positivism. 법이 속성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관한 답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법적 사고는 법을 개념을 실정법적 구속력이 있는 법률로 보며, 그 법의 속성에서 정의나 목적과 같은 가치는 배제하려고 한다. 그러나 한 국가 내의, 그리고 국가를 넘어 글로벌 차원에서 심화되는 불공정과 불의, 그리고 개인적 차원에서의 권리와 책임의 불균형이 가져오는 사회갈등과 비용은 전통적인 법의 개념에 변화를 요구한다. 무엇보다 법 개념의 변화를 위해서는 전통적 법 개념이 갖고 있는 실정법적 구속력이 법 개념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일 필요가 없다는 점, 그리고 법은 전반적인 사회적 틀 속에서 형성되어 있는 복합적 규범 체계라는 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렇게 법을 이해할 때 현대적 법학은 성경적 법과 상당한 부분을 공유하며, 성경적 법으로부터 풍성한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성경적 법을 과거의 어느 한 시대, 이스라엘이라는 한 민족 내지 기독교라는 종교적 틀 속에서만 생각하는 것은 성경적 법이 갖는 역사성과 보편성을 간과한 것이다. 역사적 사례를 통해 볼 수 있는 지속성, 기존질서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통한 변혁의 동력, 법 제도에 대한 입체적 시각, 내면의 규범 준수 의식의 확장은 여타의 실정법적 사고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성경적 법만이 갖는 장점들이다. 더구나 성경은 현대적 법에서도 최고의 지도 원리라고 할 수 있는 정의를 하나님의 거룩한 성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정의의 원천을 인간의 이성이 아닌 하나님께 둠으로써 분쟁해결에 객관성을 더할 수 있다. 부하고 강한 자들은 성경에 호소하지 않고도 그들의 몫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법의 기능을 침해된 권리의 회복 보다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회복에 두며, 정의 실현의 책임을 소수가 아닌 모두에 지우고, 법정 송사를 마지막 수단으로 보류한다는 점에서 성경적 법은 현대적 법학이 지향하는 바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런 차별성을 성경적 법이 지금의 법실증주의에 경도된 법학의 지평을 열어주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고려후기 『상서』의 정치적 활용과 그 성격

        현수진 ( Hyun Soojin ) 수선사학회 2020 史林 Vol.0 No.7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uses of Shangashu(『尙書』) and its annotated versions: Shangshuzhengyi(『尙書正義』) and Shujichuan(『書集傳』), in order to reveal its impact on the political trajectory of the ruling class of the Goryeo period. This ruling class considered Shangshu as providing the classic Confucian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King and his subjects. They legitimized their political behavior by comparing themselves to the King and his subjects in Shangshu, this being a utilization of the book that had begun in the early Goryeo period. Even the kings in the military period, whose power was weaker than that of their subjects, utilized the book’s contents to demonstrate the true nature of a king’s power. Thus, when King Gongmin(恭愍王) desired to augment his power he utilized the book to realize his political ambitions. However, certain subjects at this time used the book to argue that a king had to consider and be guided by his subjects. These antithetical positions, brought forward by advocates of the same text, are both related to the ideological positions of the period, with the first reading a Neo-Confucian annotation of Shangshu entitled Shujichuan, and the second reading a previous annotation called Shangshuzhengyi.

      • 구약성서의 토지제도에 근거한 친복지정치적 조세제도 탐색: 토지가치세를 중심으로

        정지웅 교회사회사업학회 2012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18

        본 연구는 사회복지 재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조세제도 개편의 대안 중 하나로서, 토지가치세(land value tax)를 살펴보고, 이 세제의 개념, 모세오경에 나타난 토지법과 갖는 유사성, 친복지정치 구축에 주는 함의 등을 살펴보았다. 친복지정치 구축을 위한 조세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토지가치세가 갖는 유용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복지의 확대를 위한 조세제도의 개편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국민의 조세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제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토지가치세는 개인이나 기업이 자신의 노력으로 얻은 소득에 대해서는 과세를 감소시키고 불로소득에 대해서는 과세를 증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조세정의에 부합하며, 조세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토지가치세는 개인과 기업의 근로동기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세무행정상 편의성과 효율성이 높고, 스프롤(sprawl) 현상을 방지하고 오픈 스페이스 개발 압력을 낮추는 등, 사회복지뿐 아니라 경제,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 그 효용성이 매우 높은 세제다. 셋째, 토지가치세의 이념에 따르면, 토지가치세를 통해 마련된 재정은 ‘현대적 의미의 토지권 보장’인 사회복지의 위해 활용되어야 하며, 복지의 대상은 토지의 가치를 창출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주의적 접근으로 설정하는 것을 지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