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 관련법제 연구

        김재광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경희법학 Vol.44 No.2

        우리의 경우 기상정보, 국가공간정보 등 각 개별법에서 상업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을 체계적이고 직접적으로 규율하는 법제의 미비로 인하여 국가경쟁력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중대한 차질을 빚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직접적인 근거법률이 없는 상태에서 뒤에서 언급하였듯이 분야별 개별법에 산발적으로 상업적 이용관련규정이 규정되어 있는 것은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추진에 커다란 걸림돌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관련법제 전반을 검토할 필요성이 강력히 요청되고 있다. 현행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 관련법제는 기반관련법제, 이용조성관련법제, 역기능방지관련법제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의 기반관련 법제에는 국가정보화기본법, 전자정부법 및 정보공개법 등이 해당한다. 국가정보화기본법이 국가지식자원 * 선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법학박사. 관리법을 흡수하여 제정된 점을 고려하면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해 보다 진전된 규정을 두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국가지식자원관리법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답습함으로써 법령선진화에 실패한 감이 없지 없다. 그리고 전자정부법은 행정정보 공동이용에 관련한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까닭에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정부의 성격이 행정업무의 전자화 못지 않게 대민서비스에 중점이 있기 때문에 행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에 대해 외면한 것은 입법적으로 문제가 없지 않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정보공개법은 정보의 공개와 정보의 제공에 대해 규정함으로써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의 직접적인 근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비공개대상정보를 설정함으로써 공공정보의 상업적 이용측면에서는 상당한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둘째, 공공정보의 유통의 이용조성관련법제로는 첫째, 기상분야의 기상법, 둘째, 정보산업분야의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셋째, 교통분야의 교통안전법,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넷째, 건설분야의 건설기술관리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과학기술분야의 과학기술기본법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기상분야와 정보산업분야의 법률은 공공정보의 상업화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아 바람직한 입법이라 평가할 수 있다. 교통분야의 경우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은 교통조사자료의 종합관리(제17조)와 지능형교통체계를 활용한 교통정보의 제공(제88조), 그리고 국가통합 지능형교통체계정보센터의 구축(제90조)에 대해 규정함으로써 교통정보의 상업화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건설분야의 법률은 상업적 활용의 간접적인 근거를 두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 한계가 있다. 과학기술분야도 구체적으로 과학기술정보의 상업화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고 있는 문제가 있다. 과학기술정보는 국가경쟁력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공공정보이므로 상업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이에 관한 규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공정보의 유통의 역기능방지관련 법제로는 국가정보화기본법, 개인정보보호법, 정보공개법, 저 ... Current laws relevant to commercial use of public information can be categorized by the foundation-related laws, the use composition-related laws, and the dysfunction prevention-related laws. First, the foundation-related law of the commercial use to the public information includes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Government Law,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etc. Considering that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on was legislated by absorbing the National Intelligence Resources Management ACT, it seems more or less to fail to advance the laws, which could not overcome and keep the limitations of old National Intelligence Resources Management ACT, despite of its more advanced articles on commercial use to public information. And the e-Government Act has failed to approach specifically commercial use to public information, because it focuses on regulating contents of joint use to administrative information. However, the nature of e-government is not only administration dematerialization** but also public service, therefore it seems to have legislative problems ignoring the commercial 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Finally,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has become a direct basis of the commercial use by regulating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formation service. However, it exposures a significant issue in terms of the commercial use to public information by setting a wide range of private information. Secondly, the use composition-related laws to distribute the public information are below : first, the Meteorological Act in the field of weather, second,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ct,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Act,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Promotion Ac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industries, third, the Traffic and Safety Act and the Efficiency Act on National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field of traffic, fourth,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an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to Construction Waste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etc. First, the laws in the field of weather and information industries can be estimated by good legislation based on the very specific rules about the commercialization of pubic information.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the Efficiency Act on National Integrated Traffic System has a possibility to commercialization of the traffic information with provisions of the general administration on traffic materials(Article 17), th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utilizing intelligent traffic system (Article 88), and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Information Center of Integrated Intelligent Traffic System (Article 90). The law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has indirect basis about commercialization, but they have limitations not to prescribe it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y also have a problem not to prescribe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s a very important public information, and so they are needed to prescribe the rules about it more specifically to activate its commercialization. Third, the dysfunction prevention-related laws in the distribution of public information, include the Framework Act of National Information,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sclosure Act, and the Copyright Act etc. First, the Framework Act of National Information looks insufficient to be a law for preventing dysfunction of commercial use to public information with the abstract and general provisions for lessoning an information gap. And information disclosure laws has a challenge how the private sector’s demand will be compatible with protection and safety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uture. They presented specific measures for copyright. Fi...

      • KCI등재후보

        건강정보의 이차적 이용

        정규원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27 No.1

        Traditionally medical information has used for the purpose of clinical care. Also it has used for the accumulation of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s. However,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the situation has been changing. Besides the traditional medical information, genetic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which has not been included in traditional medical information are attracted attention. So, the term “health information”, instead of medical information is appropriate for referring the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human health condition.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regulated properly because it contains patient’s or subject’s private information. If health information is abuses or misused, the privacy of individuals who provide their information. There are some Acts which regulate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in Korea. Use of medical information is regulated by <Medical Act>. Collection and Use of genetic information is regulated by <Bioethics and Biosafety Act>. However, there are great needs for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there are many situations which may use health information which is collected and created during medical practices or researches, such as for the purposes of another researches, health insurance or cohort studies. In using health information, respect of individual’s autonomy i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to be considered. Informed consent of patient or subject is the means to respect individual’s autonomy. Another issue which is considered whether we allow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is the benefit when we use health information. If the risk of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is trivial and the benefit is very big, we can allow it under appropriate regulation. Also, we should use health information for controlling very severe infectious diseases. Medical practitioners contribute to make health information. When medical doctors examine patients and collect health information from patients, they also evaluate and manipulate raw information which they gain. Also, they create health information during the procedure of medical practice. For example, medical practitioners decide which lab they will order or which process they will do. Because of these aspects, we should consider medical practitioners’ right when we regulate the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 KCI등재

        공법 : 건강정보의 이차적 이용

        정규원 ( Kyu Won Ju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27 No.1

        Traditionally medical information has used for the purpose of clinical care. Also it has used for the accumulation of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s. However,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biomedical science, the situation has been changing. Besides the traditional medical information, genetic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which has not been included in traditional medical information are attracted attention. So, the term “health information”, instead of medical information is appropriate for referring the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human health condition.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regulated properly because it contains patient`s or subject`s private information. If health information is abuses or misused, the privacy of individuals who provide their information. There are some Acts which regulate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in Korea. Use of medical information is regulated by <Medical Act>. Collection and Use of genetic information is regulated by <Bioethics and Biosafety Act>. However, there are great needs for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there are many situations which may use health information which is collected and created during medical practices or researches, such as for the purposes of another researches, health insurance or cohort studies. In using health information, respect of individual`s autonomy i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to be considered. Informed consent of patient or subject is the means to respect individual`s autonomy. Another issue which is considered whether we allow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is the benefit when we use health information. If the risk of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is trivial and the benefit is very big, we can allow it under appropriate regulation. Also, we should use health information for controlling very severe infectious diseases. Medical practitioners contribute to make health information. When medical doctors examine patients and collect health information from patients, they also evaluate and manipulate raw information which they gain. Also, they create health information during the procedure of medical practice. For example, medical practitioners decide which lab they will order or which process they will do. Because of these aspects, we should consider medical practitioners` right when we regulate the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 KCI등재

        온라인 정보서비스품질이 스포츠정보이용에 미치는 영향

        홍석표(SeokPyoHong),유진희(JinHeeYoo)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5

        이 연구는 증가추세에 있는 스포츠동호인의 스포츠정보사이트 이용 성향을 분석하고 정보서비스품질 및 정보이용의도와 정보이용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강원지역에서 야구를 즐기고 있는 동호인을 대상으로 440명을 임의표집하여 29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모델은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검증된 모형으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서비스품질은 정보이용의도에, 그리고 정보서비스품질과 정보이용의도는 모두 정보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이 정보이용의도와 정보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이용의도에는 정보서비스의 적시성만이, 정보이용에는 정보서비스의 적시성과 편리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서비스의 적시성과 편리성은 구매 전 정보이용에, 정보서비스의 편리성은 지속적 정보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the basic empirical data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by examining relationships among online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formation use intent and information use of sport information web-sites by sports club members. 440 baseball club members were randomly sampled. Of these 440, 292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he model fits the data well.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information service qua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information use intent and its use. And information use intent has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use.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factors of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use intent, and its use. Based on the results, only timeliness of information service has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use intent. Timeliness and convenience of information service affect information use. Timeliness and convenience of information service affect information use prior to purchase. And convenience of information service affects ongoing information use.

      • KCI등재

        보건의료 학술연구를 위한 공공데이터의 이차 활용 법제개선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와 유전체정보를 중심으로

        박미정 ( Park Mi-jeong ) 한국의료법학회 2016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4 No.2

        공공기관이 수집·처리하던 디지털화된 개인정보는 전자정부 촉진정책으로 인해 그 관리 측면에서 획기적인 효율성을 갖게 되었다. 공공데이터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원래의 수집목적 외로 이차 활용의 요구가 증가하고, 활용분야는 더욱 광범위해지는 추세이다. 보건의료분야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등에서 수집된 정보를 공중보건사업의 수행이나 정책연구를 위한 이차 활용한지도 상당한 시간이 지났다. 최근에는 대규모의 유전체 분석정보, 임상정보, 의료기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까지 함께 재조합하여 신약개발, 질병예방,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 등 보건의료관련 공공데이터의 이차 활용 영역은 확대되었다. 정부는 각 공공기관 간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수집목적 외로 활용할 수 있도록 법률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학술연구뿐 만아니라 산업과 비즈니스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도 이차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의 제공과 이용활성화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다른 법률에 특별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를 목적 외로 사용하는 이차 활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고,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익명화 처리를 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술연구를 위한 이차 활용은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아직까지 개인정보보호법이 이차 활용의 걸림돌이 된다는 평가는 이차 활용을 하는 주체가 누구인가, 어떤 목적으로 이차 활용하는가에 따라 정보주체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 학술연구 목적의 이차 활용을 위한 공공데이터의 공유 및 이용과 관련된 법률을 고찰하여 개인정보 보호의 한계를 살피고, 정보프라이버시 보호와 공공데이터의 이차 활용의 조화를 위한 절차적 요건으로서 규범변화의 방향을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benefits of secondary use of public data and rights of self-determination for other purposes that within frameworks of personal data protection laws. Particularly, the research sought to find common ground between private rights and public interest by specifying privacy issues which could be threatened by secondary use of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bio or medical information. Each public agency uses aggregated databases which enable extraction of new meanings and utilization of individual dataset. While not new, these issues play increasingly critical and complex roles given tha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volution has created a dilemma regarding individual privacy. The nature of the utilization of public data from the database by various public agencies causes them to hold and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beyond the primary purposes in common databases as secondary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curring serious cases of legal violation of information usage. Essentially all bio or medical information in public agencies are sensitive and require protection in varying degrees. Theoretically, only limited processing of such information is allowed, and no special laws can exempt consent. In other words, priority is given to a subject's right of self-determination. The idea concerning privacy and public interest is embedded within a complementary ‘using vs. protecting’ concept that is not trusted by the owner(s) of the data. There is clearly a need to consider whether the Government is balancing this critically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data subjects and personal information and whether the current approach is fit for its purpose. The current special law in place exempts written consent upon approval of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thereby allowing researchers to utilize data for secondary use without consenting process. Nonetheless, in such case of exemptio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met by allowing a subject to practice his or her right of self-determination. As the secondary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s randomly scattered in the database of the public and collected beyond primary purposes, the minimize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ed by common law is likely to be violated with the absent clarity in the norms of secondary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Law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 the interests of the people by requiring consent at every step of information process. Secondary use, however, does not require consent according to a special law that exempts such condition. The problem is exacerbated when every public agency adheres to different special laws that reflect the objectives of each agency. Restrict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n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bio or medical information must notify subjects the purposes in which their information will serve and how the information is being processed. Whether purpose is justifiable for the sake of public is directly related to the roles of Data Protection Authorities which deliberates the process of secondary use. In the new phase of the secondary use of public information, this study attempts to balance between public interest and private rights as well as ‘using’ and ‘protecting’ through the review procedures to ensure the data subject’s rights including the broad consent to entrust personal data processing in case of substitution.

      • KCI등재

        온라인 관광 커뮤니티 특성이 정보 유용성, 긍정적 감정,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하동희,이형룡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ourists onlin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ourism information communities, a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was us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reliability, information recency, source expertise, and source popularity on information usefulness, positive emotions, and continued intention to use. A total of 305 valid samples from online surveys from September 25, 2017 to October 20 were used as hypothesis tests for touris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information within the last 6 months.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quality, which is a central route for characteristics of online tourist communities, as well as source expertise and source popularity, which are peripheral route, have positive (+) effects on information usefulness and positive emotion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information recency, which are central route, are not found to influence information usefulness or positive emotions. Also, positive (+)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formation usefulness and positive emotions, between information usefulness and continued intention to use, and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continued intention to use.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ed abov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are stated. 본 연구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온라인 관광 커뮤니티 특성을 구분하고, 정보 품질성, 정보 신뢰성, 정보 최신성, 정보제공자 전문성, 정보제공자 인기성이 정보 유용성, 긍정적 감정,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 온라인으로 관광정보 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25일부터 10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확보한 유효표본 305부를 가설검증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관광 커뮤니티 특성 중심경로인 정보 품질성과 주변 경로인 정보제공자 전문성, 정보제공자 인기성이 정보 유용성,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심경로인 정보 신뢰성, 정보 최신성은 정보 유용성과 긍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유용성이 긍정적 감정, 정보 유용성이 지속적 이용의도, 긍정적 감정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계와 업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버스정보의 선호도 및 이용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이원규(Lee Won Gyu),정헌영(Jung Hun Young)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6D

        이용자들에게 이용성과 효용성이 높은 버스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종류와 이용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핸드폰 등에 버스정보를 제공했을 경우의 버스정보에 대한 선호도분석 및 이용수요를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성과는 첫째, 컨조인트 분석에 의한 버스정보의 선호도 분석을 통하여 개별 속성 수준들에 대한 중요도, 부분효용 변화치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둘째, 이항 로짓 모형에 의한 버스정보 이용수요예측 모형을 구축하여 이용자의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이용률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순서형 프로 빗 모형을 사용하여 버스정보 잠재 이용자를 대상으로 통화당 지불방식이나 월별 정액제의 지불방식별로 이용행태모형을 구축을 통하여, 이용료 지불방식별로 통화횟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이용료에 대한 단위 탄력점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료와 이용확률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선호도 분석,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한 이용수요 예측과 적정이용료 산정이 가능하므로, 향후 효율적인 버스정보정책과 버스정보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o build the system which has high utilization and usefulness for user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information type and use-demand that the use w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preference and demand of utilization for bus information when bus information is offered through cellular phon. The accomplishm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 Firstly, importance on the level of individual factor and the value of change's figure can be evaluated, using preference analysis on bus information by conjoint analysis. Secondly, by establishing the use-demand model bus information using binary logit model, influence factor on whether or not the use of the user. Finally, ordered probit model was built by use behavior model in payment per call or per month of potential user of bus information. Through call times and sensitive analysis by payment methods, elasticity point, optimal payment fee, and use probability was analyzed. This study make application as basic to efficient bus information policy and to improve use rate of bus information in future because this study make it possible to get preference analysis, use-demand analysis and estimation of optimal payment fee which is reflecting various requirement in use of bus information user.

      • KCI등재

        이민자의 건강정보이용 실태 분석

        장선미(Seon Mi J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이주노동자 무료 진료소’를 이용하는 이민자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빈도는 낮은 편으로 월 1회 미만으로 건강정보를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건강정보 이용빈도는 나이가 많거나, 직업이 없거나, 질병이 있는 대상자에서 더 높았다. 주요한 건강정보 출처는 인터넷이었고, 나이와 인터넷 사용 여부에 따라 건강정보 출처에 차이가 있었다. 나이가 증가하거나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은 응답자의 건강정보 출처로 인터넷 사용 비율이 낮았다. 건강정보의 주요한 활용대상자는 본인이었고,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은 대상자는 본인을 위하여 건강정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처럼 이민자의 대부분이 건강정보를 활발히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이가 증가하거나 건강하지 못한 경우에는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강정보 사용이 증가하면서 건강정보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민자의 건강정보 이용 증진과 효과적인 건강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강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하여 보건의료의 정책이나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ealth information usage of immigra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71 immigrants.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frequency of migrants" use of health information is low,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use health information less than once a month is high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use of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age, occupation, and those who contracted diseases. The main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was the Internet,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age and whether the Internet was used. Most of the respondents used health information for themselve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argets of using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having a cohabitee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immigrants do not actively use health information. However, when the age increased or the immigrant was unhealthy,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increased to solve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health information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s.

      • KCI등재후보

        인터넷 이용자의 정보가치 평가 및 참여인식 수준에 대한 연구 - 이용동기, 이용행태, 이용량을 중심으로

        윤승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4 N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use pattern, use motive and use amount of the Internet information up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and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information users on the Interne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data, the use pattern was classified into passive use and active use. The use motive was classified into information motive, entertainment motive and convenience motive. In addition, the use amount was measured with liberal descript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Such variables as the active use pattern, the information use motive and the use amount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On the other hand, such variables as the active use pattern, the information motive and the convenience motive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whereas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과거의 전통적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률이 감소하는 반면, 인터넷 미디어의 이용률이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이에 따라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특히 포털과 같은 인터넷 싸이트의 뉴스와 각종 정보 제공 기능을 강화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형태와 이용동기 그리고 이용량에 따라 인터넷 정보에 대한 가치평가와 참여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용형태는 수동적 이용형태와 능동적 이용형태로 구분하였고, 이용동기는 요인분석결과 정보적 이용동기, 오락동기, 편의성동기 등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인터넷 정보 이용량은 자유서술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형태 중 능동적 이용형태, 이용동기 중 정보 이용동기, 그리고 이용량 등이 정보가치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인식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이용형태 중 능동적 이용형태, 이용동기 중 정보 이용동기와 편리성동기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보가치 평가는 참여인식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인식 수준 역시 정보가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개인신용정보 비식별 조치의 내용과 한계에 관한 연구

        백승엽,김일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성균관법학 Vol.29 No.4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상 개인정보란 특정한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정보를 의미한다. 개인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 수집, 보관, 이용 등의 행위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제한에 해당하므로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처리자가 당초 수집, 이용 목적 외로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예외적으로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를 받은 경우 등에만 이를 허용한다.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신용정보법) 또한 신용정보회사 등이 개인신용정보를 타인에게 제공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신용정보주체의 개별 동의를 받도록 하고,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만 동의 없는 제공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비식별(de-identification) 조치된 정보의 경우에는 양법 모두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신용정보를 제공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특히 신용정보법은 비식별 정보에 대한 특별 취급을 하고 있는데, 첫째 신용조회회사는 개인신용정보를 그 지배주주 및 계열회사에게 제공할 수 없지만, 비식별 조치된 정보는 예외적으로 제공을 허용하고 있고, 둘째 신용정보회사 등이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개인신용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자에게 개인신용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가능하며, 셋째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비식별 조치를 하면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도 목적 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근거에도 불구하고 비식별 조치는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비식별 조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핵심인 정보 주체의 동의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기본권 제한의 근거를 신용정보법에서 위임하고 있지 않은 점, 둘째 비식별 조치 사유로서 통계작성과 학술연구 목적을 열거하고 있는 바, 이는 통계작성이나 학술연구 두 가지 목적이 아닌 다른 사유를 근거로 비식별 조치가 허용되지 않음으로써 본래의 도입 목적인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와는 상관없이 작동하게 되어 버린 점, 셋째 법문의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등’이라는 개념이 포괄적이고 불확정적이며 예시적인 형태로도 해석이 가능하고, 대량의 정보가 저장, 조합, 분석되는 빅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다른 정보와의 결합을 통해 당초의 개인신용정보로 재식별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는 등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침해될 수 있는 점, 다섯째 현행 법률은 물론이고 개정안 어디에서도 비식별 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기준이나 한계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그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 구성요건을 적용하기가 어려워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On existing privacy protection act, the privacy protection means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specific individual. Since actions like investigation, collection, keep, use focused on personal information apply as a rule the limit of individual privacy protection right, the privacy protection law in principle prohibits the case that the manager of personal information uses his information out of purpose of collection, use, or provides a third party with information. By the way, exceptionally he can be allowed if principals of information afford the agreement. Credit information act (the law about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lso exceptionally acknowledges the offer without agreement the case of a credit information company offers personal credit information to others, in principal after receiving individual agreement of credit information object.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 that takes de-identification action, both allow one provides personal credit information without agreement of principals of information or uses it. In other word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efines one can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or use information as a use except of purpose in the case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as a form that nobody can identify specific individual for the purpose of statistics producing and academic research if one has no risk to unfairly violate profits of principals of information or a third party. For this, similar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e-identification information admits the use except of primary purpose and providing to a third party without an agreement of principals of information. This purpose of act presumes through de-identification action, since information that specific principal of information is unrecognizable is no more personal information, it is not applied to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it can’t violate individual information right that is protected by constitution. Also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guide line announced for clearly abducing de-identification action standard and de-identif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scope of individual information to utilize Big Data safely in the form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long the appearance of a new ear like Big Data , IoT, etc. Especially, credit information act does special handling about de-identification information. Firstly, a credit inquiry company is not able to provide personal credit information to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nd subsidiary, but it can provide de-identified information exceptionally. Second, in the case a credit information company provides personal credit information to the one who uses it as the purpose to be provided personal credit information that a specific individual can’t be recognized for statistics writing and academic research. In this case, the agreement of principals of information is not needed. Additionally, for statistics writing and academic research, after de-identification action, one can use out of purpose without agreement of principals of information. However, in spite of these legal bases, de-identification action has several fundamental problems. First, de-identification action is the action that prohibits principals of information from the agreement right that is the core of personal information right. Though, the basis of prohibition of basic human right is not delegated by credit information act. Second, the reason of de-identification action is statistics and academic research. This is operating regardless Big Data industry vitalization that was primary introduction purpose, not the original twin purposes, with other reasons. And It can’t be allowed as de-identification action. Third, in the law, the notion of statistics writing and academic research is not obvious and comprehensive and interpreted as a form of foreshadower. And in the handling process that wh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