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운문사 창건연기의 변천과 역사적 의의

        곽승훈(Kwaak Seung Hoon)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고려 전기 金陟明이 지은 「圓光法師傳」에 따르면, 운문사는 원광법사가 자신을 위해 절을 짓고 복을 빌어달라는 海龍의 부탁으로 창건되었다. 또한 절 이름을 운문사라 하였다. 仁宗代 國師를 지낸 學一은 雲門寺로 下山하여 머무른다. 그는 天台宗으로 귀의하라는 義天의 권유를 끝내 거부하고 禪宗 승려로서의 절개를 지킨다. 얼마 뒤 1161년 淸道郡 戶長들이 편찬한 『郡中古籍裨補記』에 따르면, 운문사는 鵲岬에 절을 지으면 護法賢君이 나와 후삼국을 통일할 것이라는 海龍의 권유를 받아들여 寶壤禪師가 창건하였다. 그리고 절 이름을 鵲岬寺라 하였는데, 운문사는 고려 太祖가 賜額한 이름이다. 이는 운문사의 창건자가 교종 승려인 원광이라는 이전의 주장을 선종 승려인 보양선사로 바꾼 것이다. 1277년 운문사 住持로 부임한 一然은 운문사 관련 사적을 열람하고, 김척명의 저술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한다. 일연에 따르면, 그의 저술은 『고본수이전』 원광전을 바탕으로 지었는데, 여기에는 원광이 운문사를 창건한 이야기가 없다. 또 고려 초 청도군에서 작성한 공문서에 의하면, 보양선사가 운문사 주지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된다. 따라서 김척명의 저술은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 나아가 일연은 그것을 考證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인 각훈 역시 잘못이라고 비판한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일연이 선종승려라는 입장도 반영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운문사의 창건자와 創建 緣起가 바뀌는 것은 아무래도 불교사의 흐름은 물론 종파간의 경쟁에서 나온 듯하다 According to Wonkwang Bopsa Chon(「圓光法師傳」) written by Kim Chok-myong(金陟明), Unmun Temple(雲門寺) was founded by Buddhist monk Wonkwang Bopsa(圓光法師) at the request of a King Dragon(海龍, which lives of Yellow sea) that the monk build a temple and pray for him. The temple was named Unmun Temple by the monk. Hak Il(學一), a national priest during King Injong(仁宗)'s reign, went into and stayed at Unmun Temple. He refused Uicheon(義天)'s recommendation to convert to Tiantai Buddhism and remained faithful to Zen Buddhism to the end of his life. According to Gunjung Gojeok Bibogi(『郡中古籍裨補記』) published by local gentry in Cheongdogun(淸道郡) in 1161, Unmun Temple was build by Boyang Sonsa(寶壤禪師) at the recommendation of a King Dragon that a temple be built in Chakgap(鵲岬) for the emergence of a wise king who protects Buddhism and unifies Later Three Kingdoms. Boyang Sonsa named the Chakgap Temple(鵲岬寺). The name Unmun Temple was granted by King Taejo(Wang kon). This indicates that the founder of Unmun Temple is non-Zen Buddhism monk Wonkwang Bopsa but Zen Buddhism monk Boyang Sonsa. Ilyon(一然), the Buddhist monk appointed as the head priest of Unmun Temple in 1277, read books and documents on Unmun Temple and found out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the book by Kim Chok-myong. According to Ilyon, Kim's book was based on "Wonkwang chon" in Gobon Sui Chon(『古本殊異傳』), which did not say Wonkwang established Unmun Temple. Furthermore, official documents written by Cheongdogun in the early of Koryo period confirmed that Boyang Sonsa served as the head priest of Unmun Temple. Kim Chok-myong's book, therefore, was not in line with the historical fact. Ilyon also criticized Gakhun(覺訓) for accepting Kim's work as true without investigation. Ilyon's position as Zen monk is considered to contributed to this, too. In this respect, the difference in the founder and caused of foundation for Unmun Temple seems to have been originated by competition among denominations within Buddhism.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 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 The ‘Imuki’(이무기) legends appearing around ‘Unmun’(운문) temple are very interesting in several respects. It has similar face and other face at the same time, compared with stories about building temlple that contains the confrontation between monk and dragon. In other respects, I would like to say that it has the name ‘Imuki’, it has power over monk, and it is not defeated unilaterally in a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These three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both documentary records and oral tradition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add the very important feature, which is seen in only oral traditions, that is, it moves to another place [‘Hobak’ pond/호박소]. These features are deeply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 First of all, there are temples in this area in the 6th or 7th century, and Wonkwang(원광) already preached in one temple, ‘Kasulgap’ Temple(가슬갑사). In 10th century, Boyang(보양) rebuilt Unmun Temple and while Woneung(원응) was reviving the temple again, Unmun temple became a large temple with huge land. On the other hand, in Chungdo(청도) area, there are mountains that have offered rituals nationally and ponds that prayed for rain to the dragon, since shilla period.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Buddism but also traditional beliefs and cultures were very strongly preserved. In addition to that, since the slaves and peasants belonging to the temple cultivated the land owned by the temple, it is presumed that there would be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temple and the farmers cultivated the temple’s land. Therefore Unmun’s monks could not dismiss their faith and world view, unilaterally. In the ‘Imuki’ legends of the region, ‘Imuki’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Imuki’ disguised as a deacon of a chief monk, a ‘Imuki’ power over the monk, ‘Imuki’ that moves to another place, ‘Imuki’ that rains, ‘Imuki’ that thunders. Those shapes are related to the context of religious history in which the two religions in the region have conflicted and fused. I think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Buddism and traditional beliefs that have long coexisted in this area, and between the two culteres that would have spread over the land cultivation of the temple have been realised with such an ambivalent shapes and structures. Cheongdo and Miryang areas were key points for entering Gyeongju, the capital of shilla, so in the early days of Koryeo, there was a controvercy among the various political powers, which are called ‘late three nations(후삼국)’. In the Koryeo period, it was also the base of rebellions crying to 'Shilla revival' and ‘anti-Koryeo’ for the same geopolitical reason.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local poliYunmunsa Temple, Dragon-related Buddhist tales, legend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emples, hidden passages, hidden dragons, immigration, frustration of ascensiontical history, mentioned above, that the ‘Imuki’s subordination, his frustration of the ascension, and his migration are seen in the tradition of this region. For this reasoning, more historical reflection is needed.

      • KCI등재

        조선후기 영남지역 장엄벽화와 화사집단

        박은경 ( Park Eun-ky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전통사찰에는 주불전을 비롯해 주요 전각의 벽면에 벽화들이 단청으로 화려하게 장엄되어 있다. 이같은 장엄벽화는 제작 당시의 원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동 가능한 걸개그림의 불화에 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벽화를 그린 화승 개인은 물론 그룹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일차 원형자료는 극히 드물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찰 건물의 창건이나 중수, 건물의 대대적인 보수를 실시할 때 단청불사 작업도 불가피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다. 단청불사가 행해질 때 불전 내 봉안하는 불화 제작도 유사시기에 이뤄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마도 경제적인 문제와 참여하는 화승 및 장인들의 수급 문제가 주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고 본다면 사찰 중수 및 단청 불사시 건물에 부속적으로 속하는 벽체를 꾸미는 장엄벽화 역시 유사시기에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점은 바로 단청장 그룹이나 불화를 둘러싼 화사그룹들이 장엄벽화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따라서 이 글은 조선후기 영남지역 전통사찰 가운데 범어사, 통도사, 운문사, 불국사, 신흥사 등의 벽화들을 대상으로, 주불전 및 주요 전각의 장엄벽화의 특징과 불사동향을 살펴보고, 그 벽화를 둘러싼 화사집단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범어사 대웅전 전각의 벽화는 임한ㆍ민휘계열 작품들과 공통점이 엿보인다. 둘째, 통도사는 18세기 전중기 불화불사는 임한그룹이 통도사·석남사·운문사·표충사 등에서 대대적인 활약을, 중후기에는 두훈이 단청 및 괘불 제작에 주도적 역할을, 후말기에는 포관과 유성, 지연그룹의 활약이 보여, 각 그룹들이 단청 및 벽화에 참여하였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셋째, 운문사 는 1654년 대웅전이 중건된 이후 적어도 18세기 전반 이전에 통도사와 은해사권역의 화사들이 벽화에 관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불국사 대웅전 후불벽의 사천왕벽화(1769년경)는 지첨을 비롯 포관, 유성이 관여한 것이다. 따라서 후불벽 뒷면 관음벽화도 이들 그룹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양산 신흥사 대광전 후불벽 뒷면의 관음벽화 제작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ere are main halls and also murals on the walls of major royal palaces decorated with dancheong splendidly and magnificently. This magnificent Mural has crucial meaning compared to scroll Buddhist paintings that are movable because it maintains the original position it had when it was made. Despite that, the primary original materials can be hardly found from which we can figure out the substance of monk painter individuals or groups that painted the mural. Yet, in general, when extensive repair or remodeling or foundation of a Buddhist temple building is done, it should be conducted unavoidably to carry out a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too. When It was performed,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side the Buddhist sanctum were also drawn in the same period in many of the cases. It seems that financial reason or the procurement of monk painters or masters participating in it did work as the main factor. If so, when carrying out the remodeling of a Buddhist temple or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magnificent Mural used to decorate the wall belonging to the building adjunctively, too, should have been made in the same period, too. This indirectly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master artisan’group of Dancheong or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Buddhist painting may have been involved in magnificent Mural as well.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amined murals in Beomeo Temple, Tongdo Temple, Unmun Temple, Bulguk Temple, and Sinheung Temple among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located in Yeongnam during late Joseon and investigated the painting styles of magnificent buddhist mural in main halls and major royal palaces and trends of Buddhist projects and estimated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the murals. First, the murals in Beomeo Temple’s Daewoongjeo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Imhanㆍ Minhwi(敏輝)-line works. Second, about Tongdo Temple, the Imhan group, the masters of Yeongnam, took such an active part in Tongdo Temple, Seoknamsa, Unmun Temple, and Pyochung Temple regarding the Buddhist painting projects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and Pogwan(抱冠) group and Yuseong(有誠) group were active in late-18th century. Third, concerning Cheongdo Unmun Temple’s mural, this author opens the possibility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Daewoongjeon in 1654, or at least,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of Eunhae Temple’s sphere did get involved in Unmun Temple’s mural centering around Cheoil under Imhan. Fourth, about the Four Deva’s images Mural drawn on the back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Gyeongju Bulguk Temple’s Daewoongjeon(around 1769), not only Jicheom(智瞻) but Pogwan and Yuseong did get involved. Avalokiteshvara Mo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royal palace, too, may have been made by this group.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y did get involved in Avalokiteshvara Mu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Sinheung Temple’s Daegwangjeon.

      • KCI등재

        조선후기 영남지역 장엄벽화와 화사집단

        박은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전통사찰에는 주불전을 비롯해 주요 전각의 벽면에 벽화들이 단청으로 화려하게 장엄되어 있다. 이같은 장엄벽화는 제작 당시의 원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동 가능한 걸개그림의 불화에 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벽화를 그린 화승 개인은 물론 그룹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일차 원형자료는 극히 드물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찰 건물의 창건이나 중수, 건물의 대대적인 보수를 실시할 때 단청불사 작업도 불가피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다. 단청불사가 행해질 때 불전 내 봉안하는 불화 제작도 유사시기에 이뤄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마도 경제적인 문제와 참여하는 화승 및 장인들의 수급 문제가 주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고 본다면 사찰 중수 및 단청 불사시 건물에 부속적으로 속하는 벽체를 꾸미는 장엄벽화 역시 유사시기에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점은 바로 단청장 그룹이나 불화를 둘러싼 화사그룹들이 장엄벽화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따라서 이 글은 조선후기 영남지역 전통사찰 가운데 범어사, 통도사, 운문사, 불국사, 신흥사 등의 벽화들을 대상으로, 주불전 및 주요 전각의 장엄벽화의 특징과 불사동향을 살펴보고, 그 벽화를 둘러싼 화사집단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범어사 대웅전 전각의 벽화는 임한ㆍ민휘계열 작품들과 공통점이 엿보인다. 둘째, 통도사는 18세기 전중기 불화불사는 임한그룹이 통도사․석남사․운문사․표충사 등에서 대대적인 활약을, 중후기에는 두훈이 단청 및 괘불 제작에 주도적 역할을, 후말기에는 포관과 유성, 지연그룹의 활약이 보여, 각 그룹들이 단청 및 벽화에 참여하였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셋째, 운문사 는 1654년 대웅전이 중건된 이후 적어도 18세기 전반 이전에 통도사와 은해사권역의 화사들이 벽화에 관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불국사 대웅전 후불벽의 사천왕벽화(1769년경)는 지첨을 비롯 포관, 유성이 관여한 것이다. 따라서 후불벽 뒷면 관음벽화도 이들 그룹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양산 신흥사 대광전 후불벽 뒷면의 관음벽화 제작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ere are main halls and also murals on the walls of major royal palaces decorated with dancheong splendidly and magnificently. This magnificent Mural has crucial meaning compared to scroll Buddhist paintings that are movable because it maintains the original position it had when it was made. Despite that, the primary original materials can be hardly found from which we can figure out the substance of monk painter individuals or groups that painted the mural. Yet, in general, when extensive repair or remodeling or foundation of a Buddhist temple building is done, it should be conducted unavoidably to carry out a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too. When It was performed,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side the Buddhist sanctum were also drawn in the same period in many of the cases. It seems that financial reason or the procurement of monk painters or masters participating in it did work as the main factor. If so, when carrying out the remodeling of a Buddhist temple or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magnificent Mural used to decorate the wall belonging to the building adjunctively, too, should have been made in the same period, too. This indirectly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master artisan’group of Dancheong or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Buddhist painting may have been involved in magnificent Mural as well.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amined murals in Beomeo Temple, Tongdo Temple, Unmun Temple, Bulguk Temple, and Sinheung Temple among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located in Yeongnam during late Joseon and investigated the painting styles of magnificent buddhist mural in main halls and major royal palaces and trends of Buddhist projects and estimated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the murals. First, the murals in Beomeo Temple’s Daewoongjeo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ImhanㆍMinhwi(敏輝)-line works. Second, about Tongdo Temple, the Imhan group, the masters of Yeongnam, took such an active part in Tongdo Temple, Seoknamsa, Unmun Temple, and Pyochung Temple regarding the Buddhist painting projects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and Pogwan(抱冠) group and Yuseong(有誠) group were active in late-18th century. Third, concerning Cheongdo Unmun Temple’s mural, this author opens the possibility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Daewoongjeon in 1654, or at least,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of Eunhae Temple’s sphere did get involved in Unmun Temple’s mural centering around Cheoil under Imhan. Fourth, about the Four Deva’s images Mural drawn on the back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Gyeongju Bulguk Temple’s Daewoongjeon(around 1769), not only Jicheom(智瞻) but Pogwan and Yuseong did get involved. Avalokiteshvara Mo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royal palace, too, may have been made by this group.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y did get involved in Avalokiteshvara Mu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Sinheung Temple’s Daegwangjeon.

      • 수인스님의 수행, 사상 그리고 실천

        최연희(경조)(Choi,Yeon-hee(Ven. Kyeong-jo))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4 불교와 사회 Vol.16 No.1

        본 본문에서 분석하는 수인스님은 일제강점기에서부터 산업화 시기까지 다양한 활동을 하였고, 큰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운문사를 정화하고, 중찰불사를 통해 비구니 대가람의 기틀을 마련한 공로가 있다. 이러한 성과는 대립과 투쟁, 폭력이 압도했던 시절에 화합과 자비, 상생이라는 불교의 가치를 통해 사찰을 정화했다는 점에서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고 논의해야 하는 활동이다. 그럼에도 수인스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학계에서도 크게 주목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은 수인스님의 수행, 사상 그리고 실천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본질과 의의를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첫째, 스님에게 수행은 종교지도자라는 공인의 삶을 굳건하게 버티는 토대였다. 스님 자신도 투철하게 수행하였고, 제자들과 불자들에게 신심을 다해 성실하게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스님의 사상은 무욕과 정진행으로 정리할 수 있다. 스님은 언제나 무욕과 무상의 삶을 살았고, 이는 인욕과 자비로 삶에서 구현되었다. 또한 스님은 출가수행자라는 자신의 본분(本分)과 본심(本心)에 최선을 다했다. 셋째, 스님의 실천은 사찰안에만 머물지 않고, 세상을 향하였다. 스님은 모든 생명이 평등하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모든 사람을 위해 자비행을 추구하였다. 이처럼 수인스님의 수행, 사상, 실천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는 수인스님의 가르침이 오늘날 한국사회와 한국불교가 처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verse activities and significant achievements of Bhikkhuni Sooin, spann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industrialization era. In particular, she contributed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Bhikkhuni great temple through the purification and rebuilding of Unmun-sa. Additionally, her achieve-ments are especially meaningful and deserving of discussion because they purified temples through Buddhist values of harmony, mercy, and coexistence during times when confrontation, struggle, and violence were prevalent. Despite these contributions, research on Bhikkhuni Sooin remains limited, and she has not received substantial attention in academic circles. This paper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Bhikkhuni Sooin's practice, thought, and social engagements to explore their essence and significance. Firstly, for Bhikkhuni Sooin, practice was the foundation that supported her public life as a religious leader. She was deeply dedicated to her own practice and earnestly encouraged her disciples and followers to engage in sincere and diligent practice. Secondly, her thought can be summarized by the principles of desirelessness [無欲] and diligent practice [精進行]. She lived a life characterized by desirelessness and impermanence, which manifested in her patience and compassion. She devoted herself fully to her fundamental role and original mind as a monastic practitioner. Thirdly, Master Sooin's actions extended beyond the confines of the temple to embrace the wider world. She emphasized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all life and pursued compassionate actions for the benefit of all people.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her practice, thought, and social engagements, we confirm that her teachings posses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resolving various issues faced by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Buddhism. This study highlights the enduring relevance and significance of Bhikkhuni Sooin's teachings in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today.

      • KCI등재

        조선 후기 운문사의 불사(佛事)와 불화

        김정희 ( Kim Jung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경상북도 청도에 위치한 운문사는 기나긴 역사를 보여주듯 다양한 불교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운문사의 창건은 삼국시대 혹은 고려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한때는 전국 ‘제 2 의 선찰’로 불리울 만큼 사세가 확장되었지만, 1653 년의 대화재로 인해 석조유물과 일부 금동유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실되었다. 이에 따라, 운문사에 현존하는 불화 역시 17 세기 중창 이후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1655 년과 1773 년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대웅보전 중창 때 조성된 불화로는 후불벽 뒷면에 그려진 관음보살ㆍ달마대사도가 대표적으로, 이 벽화는 雲門宗 사찰로 창건되어 꾸준하게 禪脈을 이어 온 운문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대웅보전의 비로자나삼신불도와 삼장보살도는 1755 년에 통도사의 화승 任閑과 그 제자들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비로자나삼신불도는 현존하는 후불화로는 가장 시기가 올라가는 삼신불도의 형식을 보여주며, 삼장보살도는 천장보살과 지지보살, 지장보살 등 세 보살의 회상을 한 폭에 각각 독립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운문사에서는 수륙재 중단탱인 삼장보살도와 함께 일찍이 수륙재관련 서적이 간행되었으며 의식 때 사용하던 佛輦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에서 행해졌던 水陸齋의 모습을 잘 전해준다. 19 세기에는 운악 두안에 의해 萬日念佛會가 개최되면서 염불당 등에 봉안하는 불화들이 주로 제작되었다. 그중 대웅보전의 신중도와 관음전의 관음보살도, 아미타불도는 운문사에서 거행되었던 만일염불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해준다. 또한 이 시기에는 진영의 제작이 성행하여 현재 11 점의 진영이 남아있는데, 원광법사진영과 보양국사진영, 원응학일진영에는 각각 제 1 조, 제 2 조, 제 3 조 등의 명칭이 적혀있어 운문사 문중의 계보를 확립하고자 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본고는 17~18 세기에 이루어진 운문사 대웅보전 중수 및 1861 년 염불회와 관련하여 조성된 불화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운문사의 중창불사와 불화에 관해 고찰한 것으로, 불화가 단순하게 전각에 봉안하여 예배하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한 사찰의 위상을 보여주고 문중의 결속력을 다지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운문사의 불화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Located in Cheongdo, Geyongsangbuk-do, Unmunsa-temple has a collection of various Buddhist artifacts that show a long history. The Buddhist paintings existing in Unmunsa-temple are mostly after the reconstructio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valokitesvara and Bodhidharma mural painting behind the Buddha is one of the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twice in 1655 and in 1773, and this painting shows the appearance of Unmunsa-temple, which was founded as Unmunjong temple and consistently followed Zen lineage. Great Hall's Trikaya Buddha painting and Three Bodhisattva painting were produced in 1755 by monk painter Imhan and his disciples, and Trikaya Buddha painting shows the form of Tirkaya painting which is the oldest with the existing behind Buddha paintings. Three Bodhisattva paintings are notable in that they were painted in an independent scroll with the three Bodhisattvas paintings of Cheongjang-Bodhisattva, Jiji-Bodhisattva and Ksitigarbha. In the 19th century, Manilyeombulhoe(Assembly of recitation of Buddha's name for Ten-thousand days) was held by priest Unak Duan, and Buddhist paintings that were enshrined to Yeombuldang(Hall for recitation of Buddha's name) were mainly produced. Among them, Divine Guardians painting of Great Hall, and Avalokitesvara painting of Hall of Avalokitesvaran, Amitabha painting in 1861 transmits the vividness of Manil yeombulhoe which was performed in Unmunsa-temple. In addition, at this time, production of portraits of a priest was intensified and 11 paintings still remain. This study examined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of Unmunsa-templ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Buddhist paintings drawn due to Yeombulhoe in 1861 and the reconstruction and Buddhist paintings of Unmunsa-temple in the late Joseon,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 are mostly composed in the construction and rebuilding of the temple, or in the memory of a special Buddhist event or Buddhist memorial service, etc.

      • KCI등재

        『해동고승전』 원광전의 찬술과 사학사

        곽승훈(KWAAK Seung Hoo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Gak Hun(覺訓) wrote Wonkwang Chon(圓光傳) of Haedong Kosung Chon(『海東高僧傳』), by consulting Hsu Kao-Seng Chuan(『續高僧傳』), Wonkwang Bopsa Chon(「圓光法師傳」) by Kim Chok-myong(金陟明), and Samguksagi(『三國史記』). Wonkwang Bopsa attained Buddhahood while studying in China, which was demonstrated in his novel and peculiar act of Banggwang(放光) when he was tied up by the Sui(隋) forces and that of Dugwang(頭光) when he treated the illness of King Chinpyong(眞平王). Gak Hun thus emphasized the greatness of Buddhism eventually. Wonkwang Bopsa excelled in the study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including Confucianism and Lǎo Zhuāng and the study of Buddhism including the Seongsil(成實) and Seopron(攝論), thus being able to teach and reform people according to their talent and generosity. He taught Kwisan(貴山) to be discriminating about taking of life, and it was the same as the case of respect for life by T'āng(湯) and Kongzi and makes a good example of it. Gak Hun thus demonstrated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Wonkwang Bopsa drew up diplomatic documents including Geolsapyo(乞師表) for the country and taught the Five Commandments for Laymen(世俗五戒) to Hwarangs(花郞). He also treated the illness of the king, who, in turn, provided him with offerings heartily. Gak Hun proposed an ideal aspect of National Buddhism through Wonkwang's activities to protect the country and the king's protection of Buddhist teachings. On his way back to Silla, Wonkwang Bopsa met a King Dragon living in the Yellow Sea, who asked him to build a Buddhist temple in Chakgap(鵲岬) for him and pray for his fortune. Wonkwang thus established Unmun Temple in Chakgap and stayed there. When the Cheongdo(淸道) area had a drought, he instructed the female dragon(龍女) to bring rain to the area. By telling those episodes, Gak Hun revealed that Wonkwang Bopsa built Unmun Temple(雲門寺) in the Cheongdo area and educated people there. Wonkwang Bopsa always received assistance from the Sansin(山神) of Samgisan(三岐山), who recommended him to study in China and learn Altruistic Action(利他行). As a result, he had a realization and returned back, offering him the Bodhisattva ordination and paying him back. The episode shows that Buddhism replaced Shamanism and settled down in Silla and that Silla moved forward toward active Mahayana Buddhism. Gak Hun thus actively highlighted the position of Wonkwang in the history of Silla Buddhism. 覺訓은 『續高僧傳』, 金陟明의 「圓光法師傳」, 『三國史記』 등을 참고하여 『海東高僧傳』 원광전을 찬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훈은 원광의 출가와 수행, 중국 유학과 雲門寺 창건, 중생 교화와 호국활동, 그리고 여러 가지 神異 등을 수록하였다. 圓光法師는 중국 유학을 통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렀는데, 隋나라 군사에게 포박되었을 때 나타난 放光의 神異와 진평왕의 질병을 치료할 때 나타난 頭光의 神異 등이 그렇다. 이로서 각훈은 결국 불교의 위대함을 역설하였다. 원광법사는 유학과 老莊 등 諸子百家의 학문과 成實 攝論 등의 불교 교학에도 뛰어났다. 그래서 중생을 가르칠 때에도 사람들의 根機에 맞게 교화할 수 있었다. 貴山에게 가르친 殺生有擇이 湯王과 孔子가 생명을 존중한 사례와 같은 것으로서 그 적절한 예가 된다. 이를 통하여 각훈은 유불의 조화를 나타내었다. 원광법사는 나라를 위해 乞師表를 비롯한 외교문서를 지었고, 화랑에게는 世俗五戒를 가르쳤다. 또한 국왕의 질병을 치료하였고, 왕은 그에 보답하여 정성껏 공양하였다. 이같이 국왕의 佛法 보호와 원광의 호국활동을 통하여, 각훈은 이상적인 국가불교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원광법사는 귀국 도중 海龍을 만나 자신을 위해 鵲岬에 절을 짓고 복을 빌어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이에 작갑에 雲門寺를 창건하고 머무른다. 또 淸道 지역에 가뭄이 들자 龍女를 시켜 비를 내리게 한다. 이로서 각훈은 원광법사가 청도 지역에 운문사를 창건하고 교화한 사실을 드러내었다. 원광법사는 三岐山에서 神의 도움을 받고 또 利他行을 배우기 위해 중국 유학을 권유받는다. 이후 법사는 깨달음을 얻고 귀국하여 神에게 授戒한다. 이는 신라에서 巫佛교체가 이루어져 불교가 정착하고, 또 적극적인 대승불교로 나아가는 상황임을 알려준다. 이로서 각훈은 신라불교사에서 원광의 위치를 적극 부각하였다. 끝으로 사학사상에서 볼 때, 원광의 전기 서술은 신라시대에 그의 활동과 사상이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고려시대에는 기존 내용에 운문사의 창건연기가 추가되었다. 이는 불교사 서술 경향이 신라시대의 高僧 중심에서 고려시대에는 宗派나 寺刹 중심으로 변화되었음을 알려준다. 그것은 통일신라시대 국가의 교단 아래 종파불교가 성장하여 계승되었다면, 고려시대에는 어느덧 각 종파의 규모가 교단을 이루어간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에 따라 사찰에서는 역사적 전통성을 강화하는 노력이 경주되었다. 그 결과 고려 후기 불교사학사에는 자연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고, 『해동고승전』이 바로 그 중심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운문사 주변 ‘이무기’ 전승의 실제와 지역사적 맥락

        천혜숙(Chun, Hye-Sook)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운문사 주변 지역의 이무기 전승은 크게는 ‘佛[僧]: 龍’의 대립 구조로 실현되는 용신관련 사찰설화군의 범주에 속하면서도, 몇 가지 점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용이 아니라 이무기의 명명이 유지된다는 점, 불승보다 이무기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점, 불승과의 대립에서 이무기가 죽거나 驅逐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문헌 및 구전자료 간의 同異 또는 變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되게 나타나는 특징들이다. 삼국유사의 ‘보양이목’ 기사는 동 문헌의 다른 용신관련 사찰설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이목’의 명명과 함께 이목의 降雨 단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지 구전자료와도 근접한다. 이는 ‘보양이목’ 기사의 기술을 위해 일연이 주로 참고한 원천 자료가 당시 청도 지역 鄕豪들의 諺傳을 기록한 <郡中古籍裨補記>의 ‘古人消息及諺傳記載’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더 나아가 현지 구전자료들에는 다른 지역의 구전에서 볼 수 없는 이무기의 潛行과 移住, 祈雨 대상신으로서의 영험과 같은 특징들이 더 보태진다. 지역 자료가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사의 맥락들과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지역에는 6~7세기 경부터 이미 五岬의 사찰들이 존재하였고, 그 중 하나인 가슬갑사를 중심으로 원광이 占察寶와 世俗五戒 등의 포교를 펼친 역사가 있다. 이 오갑은 후삼국의 난리로 무너졌지만, 고려 태조와 보양선사의 정치적 결연에 의해 운문선사로 중창되고 원응국사에 의해 다시 중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막대한 사원전을 소유한 지역의 대찰로 거듭나게 된다. 한편, 청도의 穴禮山과 荊山城에서는 신라 때 大祀와 中祀가 행해진 기록이 있고, 烏禮山[혈례산], 巨淵, 李木淵, 臼淵[호박소] 등에는 祈雨를 위한 龍壇이 있었던 것을 보면, 재래신앙과 문화도 불교신앙 못지 않게 강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보양과 일연도 이렇듯 강력한 재래신앙을 간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더욱이 사원전의 규모가 대단했다고는 하나, 후삼국 난리 후 亡田化된 것을 운문사의 소유 또는 收租地로 바꾸는 과정에서 무리와 반발이 빈발했을 터이고, 실제 사원전 경영에서도 경작의 주체인 사원의 노비나 佃戶들의 토속신앙과 세계관을 일방적으로 무시하기 어려웠으리라 짐작된다. 이 지역의 이무기 전승에서 나타나는, 상좌로 위장한 이무기, 강우 등의 비범한 능력을 지닌 이무기, 호박소로 移住하는 이무기, 꽝철이가 되어 가뭄을 가져오는 이무기, 祈雨 대상신으로 섬겨지는 이무기 등의 형상들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불교신앙과 용신신앙이 오래 공존해 온 역사 속에서 사원전의 경영 또는 농경문화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졌음직한 두 신앙 간의 상호우위적 대립이 그러한 양가적 형상과 중의적 구조로 실현되었으리란 뜻이다. 한편으로 청도 밀양 지역은 신라 수도인 경주로 들어오는 요충지였던 관계로 고려 통합과정에서 후삼국 세력들 간의 쟁패가 심했던 곳이다. 고려에 들어와서는 같은 지정학적 이유로 ‘신라부흥’과 ‘반고려’를 표방한, ‘雲門賊’이라 일컬어진 민란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의 구비전승에서 이무기가 인격화되는 동시에 비범한 神人的 존재로 형상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정치사적 맥락과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무기의 潛行, 승천의 좌절과 移住의 행적 등은 반체제 영웅 전설들과도 많이 닿아 있다. 물론 역사적 고구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雲門寺 學人僧의 修行 및 敎育體系 硏究

        김정자(Kim Jung-Ja)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4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elf-discipline system of learning monks at Unmunsa-sangga College(雲門寺僧伽大學) which is the biggest Buddhist nun monk college. The present Korean Buddhist nun monk college has the tradition of self-discipline, about 1600 years, since the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Hence, the previous Buddhistnuns rarely did not write a book, and their disciples did not make some notes about their teachers’ accomplishment activity and teaching either. Therefore we might know their life, discipline, and curriculum only through the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and currently monks discipline activities. The circumstance of Unmunsa-sangga College is similar to that case. Unmunsa-sangga College was opened in 1958 after the first Buddhist nun monk college, And the Unmunsa-sangga College is called the biggest Buddhist nun monk college and the representative of Korea Buddhistnun Monk College as a lecture place. In spite of these tradition and pride, there is no specific study for its curriculum and a tradition of self-disciplin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llect and organize Buddhist nun monk college-. Unmunsa-sangga College-data which is sporadically spreaded out. And then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understand systematically about the self-discipline of current. Unmunsa-sangga College curriculum and system through the organized data. The education of Buddhismshould pursue right spirit, mind, and the practice of right deeds with based on faith(信心), Shin Hae(信解), Shin Heng(信行), Shin Cheug(信證) in three treasures(三寶). And it should look into current and future and it should teach and learn today in a real history. That basis is beginning from the education of Buddhist nun monk college so that it always needs to keep pace with an age. But, if Buddhist nun monk college do not pursue these goals, only insisting on the orthodoxy, it is obvious that Buddhist nun monk college is no important position of Buddhism. Therefore if it is a proper comprehension, historicity, execution, actuality in three treasures(三寶). It will be expected to be great Buddhism, and there will be prepared some place to do an in-depth study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 KCI등재

        한국 나한신앙의 특성 - 16나한과 500나한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16 정토학연구 Vol.26 No.-

        나한신앙은 관음신앙이나 지장신앙 등과 같이 신앙의 대상이 한 분이 아니다. 16나한, 18나한, 500나한 및 나반존자까지 포함하면, 신앙대상의 숫자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운문사를 비롯한 거조암과 기림사 등의 나한전에는 16나한과 500나한의 존상이 함께 봉안되어 있다. 본고는 이 나한신앙들의 성격이 동일한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우선,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이하, 『법주기』)를 소의경전으로 하는 16나한신앙의 성립을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는데, 하나는 ‘16’의 숫자이며, 다른 하나는 16인의 상수에 관해서이다. 경전에 나타난 ‘16’과 관련한 인물에 대한 용어는, ‘16재가보살’, ‘16현사’, ‘16정사’ 등이다. 이들 용어와 16나한 성립의 관련성은, ‘16’이라는 숫자의 공통성과 이들의 상수인 발타바라가 16나한에서는 제6존자로 상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16나한의 상수는 발타바라가 아닌 빈두로라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빈두로사상은 『법주기』 성립 이전부터 존재하였지만, 5세기에 한역된 『입대승론』과 『치선병비요법』등에는 빈두로를 대승이 아닌 성문이라고 설한다. 그런데, 학자들은 『법주기』가 소승적 성격으로 독립된 신앙이었던 빈두로신앙을 대승적으로 발전시켰으며, 나아가 나한의 개념도 대승적으로 변화시켰다고 주장한다. 이 견해들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빈두로가 성문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빈두로는 호법과 복전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의 호법은 붓다의 꾸짖음과 4대성문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지만, 500나한과 함께 봉안된 16나한은 복전보다는 호법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고 본다. 500나한은 붓다의 재세시는 물론 전생담에도 자주 등장하여, 붓다와 다양하고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그러나 본고는 16나한을 함께 봉안하는 500나한의 성격을 붓다 열반 후 제1차 결집과 관련하여 규명하였다. 즉, 법장을 결집한 500나한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16나한은 호법의 상징이며, 500나한은 법장의 결집이라고 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국 사찰에서는 500나한전에 16나한을 함께 봉안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나한신앙의 특징인 나반존자신앙에 대한 고찰은 생략하였다. 이는 향후의 과제로 하고자 한다. Buddha's disciples are not the object of the belief unlike Avalokitesvara in Avalokitesvara belief or Ksitigarbha in Ksitigarbha belief. The number of objects for the belief is diverse such as 16 Buddha's disciples, 18 Buddha's disciples, 500 Buddha's disciples and Nabanjonja. Therefore, at Buddha's disciples building in Unmun Temple, Geojoam and Kirim Temple sacred images of 16 Buddha's disciples and 500 Buddha's disciples are enshrined together.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if those Buddha's disciple belief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establishment of 16 Buddha's disciples belief based on “Taearahannanjemindarasoseolbeopjugi(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Beopjuhi” hereunder) was reviewed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regarding the number of '16' and the other is regarding 16 Sangsu's. Terminologies related to number '16' in scriptures are ‘16 Non‐Sangha Bodhisattva’ ‘16 sages’ and ‘16 Jeongsa’ and etc. Relationship between these terminologies and 16 Buddha's disciples lies in that they have ‘16’ in common and their Sangsu Bhadrapala is appointed as the 6th Jongja in 16 Buddha's discipl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Sangsu of 16 Buddha's disciples is not Bhadrapala but Pindola. Pindola ideology has exist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Beopjugi,” but in “Ibtaeseungron” and “Chiseonbyungbiyobeop” which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5th century, Pindola is taught as Sravaka rather than Great Monk. Scholars addressed that “Beopjugi” developed Pindola belief which was independent belief with minor characteristics into major, and that it developed concept of Buddha's disciples to major point of view. For, Pindola has characteristics of Sravaka. Pindola has two characteristics such as Hobeop and Bokjeon. Although his Hobeop has two aspects such as scold by Buddha and 4 Great Sravaka, it is considered that 16 Buddha's disciples enshrined with 500 Buddha's disciples emphasized Hobeop rather than Bokjeon. 500 Buddha's disciples often appear not only in Buddha's current life but also in Buddha's previous lives, and they have made diverse and close relations with Buddha. However, this article clarified characteristics of 500 Buddha's disciples with 16 Buddha's disciples relating with the First Unity after Buddha's entering into nirvana. In other words this article dealt with 500 Buddha's disciples who united scriptures. As we have reviewed before, 16 Buddha's disciples are symbols of Hobeop and 500 Buddha's disciples are Unity of Scriptures. Therefore, in temples in Korea 16 Buddha's disciples are enshrined in 500 Buddha's disciples' building. In this article review on Nabanjongja belief which is unique in Korea is not included. We would like to leave it as a future t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