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ISON OF NEUTRONIC BEHAVIOR OF UO2, (TH-233U)O2 AND (TH-235U)O2 FUELS IN A TYPICAL HEAVY WATER REACTOR

        SEYED MOHAMMAD MIRVAKILI,MASOOMEH ALIZADEH KAVAFSHARY,ATIYEH JOZE VAZIRI 한국원자력학회 2015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47 No.3

        The research carried out on thorium-based fuels indicates that these fuels can be considered as economic alternatives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and proliferation resistance issues. In the current study, neutronic assessment of UO2 in comparison with two (Th-233U)O2, and (Th-235U)O2 thorium-based fuel loads in a heavy water research reactor has been proposed. The obtained computational data showed both thorium-based fuels caused less negative temperature reactivity coefficients for the modeled research reactor in comparison with UO2 fuel loading. By contrast, 233U-containing thorium-based fuel and 235U-containing thorium-based fuel loadings in the thermal core did not drastically reduce the effective delayed neutron fractions and delayed neutron fractions compared to UO2 fuel. A provided higher conversion factor and lower transuranic production in the research core fed by the thorium-based fuels make the fuel favorable in achieving higher cycle length and less dangerous and costly nuclear disposals.

      • KCI등재

        도시가스 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안전커뮤니케이션, 안전침묵 동기와 침묵행동 사이의 영향관계

        김혜진,박달재 한국가스학회 2019 한국가스학회지 Vol.23 No.2

        One of the key factors of a safe workplace is to communicate with the workers about safety. For this, natural gas workplace is developing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or communication activities. But, if there are silence behavior of the workers on the safety issues in this process, no positive outcomes could be expected for the work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afety silence motives, silence behavior, and safety communication influence each other. A total of 233 questionnaires based on the workers of natural gas workplace (in Seoul and Gyeonggi) were analyzed. The confidence analysis is to check consistency of the questions,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an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es. As a result, the safety silence motives affected safety communication more seriously than the silence behavior did. Safety communication influenced safety silence motives more significantly than the silence behavior. The safety silence motives can be one of the reasons for safety communication to fail, and it was confirmed that a good safety communication does not necessary mean that there is no safety silence motivation. Based on su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safety communication activities of the workplace, it would improve safety in workplace in general.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기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근로자들이 안전 문제에 대해 활발하게 소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가스 사업장에서는 관련 프로그램이나 커뮤니케이션 활동 등을 개발 및 운영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과정에서 안전 문제에 근로자들의 침묵행동이 발생할 경우, 사업장 안전관리 향상에 긍정적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 도시가스 사업장(서울 및 경기지역) 근로자 233명을 대상으로 안전침묵 동기, 침묵행동과 안전커뮤니케이션 사이에 영향관계를 조사하고자 관련 설문지를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의 일관성을 확인하고자 신뢰도 분석, 각 요인의 영향 변인 간 상관분석 및 가설 검증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침묵 동기가 침묵행동보다 안전커뮤니케이션에 그리고 안전커뮤니케이션이침묵행동보다 안전침묵 동기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안전침묵 동기가 안전커뮤니케이션이 잘 안 되는 이유 중 하나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안전커뮤니케이션이 잘 된다고 하여 안전침묵 동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아니라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의 안전 관련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개선하고, 개발한다면 사업장 내 안전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분석 * : Functional Analysis 방법론을 중심으로

        최윤선(Yun Son CHOI)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7

        L’élection présidentielle française de 2017 est très fortement marquée par l’échec des candidats des partis majeurs de droite et de gauche n’ayant pas réussi à gagner leur place en finale pour la première fois depuis l’établissement de la Vème République. Comme Emmanuel Macron et Marine Le Pen qualifiés respectivement en première et en deuxième place au second tour de la présidentielle présentent fortement un caractère marginal comparés aux finalistes des présidentielles passés, nous avons considéré qu’il serait intéressant d’analyser les changements que ces deux candidats ont apportés au discours politique français. Nous avons choisi comme support d’analyse le débat télévisé de la présidentielle française de 2017 et avons tenté de faire une analyse en adoptant la théorie de l’analyse fonctionnel de W. Benoit. Nous pouvons résumer la conclusion obtenue suite au travail d’analyse comme suit : Premièrement, du point de vue synchronique, nous pouvons déduire que la présidentielle française de 2017 a montré une différence notable entre la stratégie discursive de Macron et de Le Pen suivant le cadre opposant le candidat dominant contre le candidat en position d’infériorité. Le candidat dominant, Macron, utilise une stratégie discursive tournée vers le futur consistant à mettre en avant le projet politique qu’il réalisera lorsqu’il sera élu tout en minimisant la mention de son adversaire alors que la candidate en état d’infériorité, Le Pen, présente une stratégie offensive tournée vers le passé visant à charger Macron de la responsabilité des erreurs politiques des cinq dernières années en le présentant comme successeur du Parti Socialiste. Deuxièmement, suite à l’analyse du thème du discours, nous pouvons déduire que les deux candidats ont tous les deux montré la particularité de faire plus de mention sur la politique qu’ils envisagent que sur la personnalité. Du point de vue diachronique, les deux candidats partageant le caractère marginal, inexistant chez les candidats des présidentielles passées, ont présenté en commun la stratégie privilégiant les projets du futur sur les politiques du passé.

      • KCI등재

        영유권 귀속에 있어서의 ‘effectivité(s)’

        김석현(Kim, Seok-hyun) 국제법평론회 2020 국제법평론 Vol.0 No.56

        The role of effectivité which requires considering the reality of situations in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legal problems has been emphasized with special regard to territorial disputes. Effectivité means effective exercise of sovereignty, in other words, continuous and peaceful display of State authority à titre de souverain. In the absence of legal title to a disputed territory, the State which has shown its effective exercise of sovereign authority over the territory can be accorded the title to the territory. In case both parties to a dispute invoke their sovereign activities in the area in question, the relative strength of their effectivités has been considered. This paper defines the meaning and legal status of effectivité, through analysis of theories and relevant cases. First of al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effectivité in international law in general and confirms that the importance of this element has been specially emphasiz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attribution of territorial sovereignty. In the next sec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word of effectivité(s) has been used with slighty different meanings in cases concerning territorial dispute. The following section of this paper demonstrates concrete activiti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as effectivités by international tribunals and analyzes the conditions required in order for any activities presented by States to be considered as effectivités. The final section of this paper concerns the relation of effectivité with territorial title. Examining the definition of territorial title, this section underlines that effectivité can be recognized as a territorial title and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ité and legal title with reference to relevant decisions of the I.C.J.

      • KCI등재

        다산과 루소의 청렴결백사상

        TROTIGNON Guillaume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7 프랑스문화연구 Vol.34 No.1

        이 논문은 계몽주의의 선두주자인 루소와 실학운동의 대표인 정약용의 청렴결백 사상에 관한 견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두 학자의 견해는 루소의 ‘사회계약론’과 ‘학문 예술론’ 그 외 다수 유명한 글들과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루소와 정약용의 청렴결백사상에 관한 관점은 무엇이며, 두 학자의 청렴결백사상에 대한 윤리문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어떻게 현 정치 위기를더 잘 이해 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다루고자 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두 학자에 대해 살펴보며 이 논문의 근거가 되는 두 학자의 저서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루소와 다산 생각의 주춧돌이 되는 근대성과 개혁 정신을 중점적으로 살피며 우리에게 남겨진 두 학자의 막대한 지적유산과 다양한 연구에 관하여도 살펴본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두 학자 각각의 청렴결백사상에 관한 관점을 알아본다. 다산은 유교의 기본 윤리사상인 ‘덕’을 통해 청렴결백사상을 풀어낸다. 다산은 전통유 교를 재론하며 군자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관습의 준수 같은 경학에 대하여도 중요시 생각한다. 반면 루소는 ‘도덕관습’을 통해 계몽주의와 바람직한 도덕관습이 정치시스템의 기초가 됨을 역설한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청렴결백사상이 어떻게 공복의 도구로 쓰이는지 우리는 두학자를 통해 알아본다. 두 학자의 다른 점이라면 다산은 하늘에 권력의 중요성을 두고, 루소는 이론적인 관점에서 머물 뿐이라는 점이다. 비슷한 점이라면 두 학자 모두 청렴결백사상을 하나의 지배방식으로 본다는 점이다. 두 사람은 백성이 정치의 중심이며 청렴결백사상은 좋은 군주의 기본 의무이자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다산은 이 사상을 ‘백성사랑’이라는 관점에서 발전시켰으며 루소는 총의(국민의 일반 의지)를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루소와 다산이 정치에서 윤리라는 덕목과 청렴결백사상을 굉장히 중요시하며, 정치인들은 도덕적으로 행동하며 하늘의 뜻에 따라 백성을 정치의 중심에 둬야 한다고 생각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국가통합과 대통령의 역할

        전학선(JEON, Hak Seon)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4

        근대국가 이후에 주권자는 국민 외에는 생각할 수 없게 되었고, 국가는 국민들의 의사를 모아 국가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게 되었다. 국가는 다양한 사고와 이념을 가진 사람의 집합체로 국가의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많은 논의를 거칠 필요가 있다. 국가를 이끌어 나가는데 있어서 다양한 의견과 주장의 제시는 민주주의를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만 이로 인하여여 국가가 분열되거나 혼란이 야기되어서는 안된다. 국가의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국민이 참여를 하고 이를 논의하는 심의민주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국가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있어서 대통령의 기능과 역할은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면서 행정부의 수반이고 동시에 국민의 대표기관이라 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가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있어서 다양한 주장과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가 분열과 혼란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대통령의 모든 권한은 국가통합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통령이 자신의 권한을 국가통합을 위한 것이 아닌 정치적으로만 행사한다면 이는 국가를 분열시키는 것이 될 것이다. 대통령의 권한행사에 있어서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여 허용되는 것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대통령의 권한행사에 있어서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정치적으로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대통령이 권한을 행사하는데 있어서 법적으로 정치적으로도 허용되는 것이 있을 수 있고 법적으로는 허용되지만 정치적으로 허용되기 어려운 것도 있다. 대통령이 권한을 행사할 때에는 법적인 측면만을 볼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면도 고려하여 국가를 분열로 이끄는 것이 아니라 국가통합을 위하여 권한을 행사하여야 할 것이다. Le président est le chef d État, le chef de l administration et, en même temps, l organe représentatif du peuple. Le président doit rassembler diverses opinions et revendications dans l établissement et l exécution des politiques nationales pour empêcher l État de tomber dans la division et le chaos. Tous les pouvoirs du président sont nécessaires pour l’intégration nationale. Si le président exerce ses pouvoirs non pas pour l’intégration nationale, mais uniquement politiquement, cela va diviser le pays. On ne peut considérer que cela est autorisé parce qu il n y a pas de problème juridique dans l exercice de l autorité du président. Il n y a pas de problème juridique dans l exercice de l autorité du président, mais il y a souvent des problèmes politiques. Il peut y avoir des choses qui sont autorisées par la loi et qui sont autorisées par la politique, mais qui sont difficiles à accepter par la politique. Quand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exerce son pouvoir, il ne doit pas seulement voir l aspect juridique, il doit exercer son pouvoir pour l’intégration nationale.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ne doit pas conduire l État à la division politique.

      • KCI등재

        프랑스민법상 제조물책임

        박수곤(Park, Soo-Gon) 경희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3

        프랑스에서는 ‘제조물책임에 관한 1985년 7월 25일의 유럽지침’의 규정이 프랑스 국내법의 해결방안보다 피해자보호에 소홀할 수 있다는 문제점들이 부각되면서 제조물책임법의 입법이 늦추어지다가 1998년 5월 19일의 법률에 의해 비로소 프랑스민법전에 도입되었으며, 총 18개의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랑스법에서의 대체적인 규정 내용은 우리 제조물책임법의 규정내용과 비교하여 그다지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는 프랑스법이 우리 법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우선, 프랑스법에서의 제조물은 산업의 영역에 구애받지 않으며 전기 그 자체도 제조물로 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더 나아가, 신체의 구성부분 또는 신체로부터의 적출물이나 산출물도 제조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장기이식 등의 사례가 증가하는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개발위험의 항변을 배제하여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없지 않다. 다음으로, 프랑스민법에서는 대체로 우리 법에서의 제조물책임의 주체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할 수도 있으나 우리 법에서 책임의 주체로 다루어야 하는지가 의문인 경우로서 리스업자나 건축업자 등과 관련하여 제조물책임의 적용을 배제하고 있다. 다음으로, 우리 제조물책임법에서는 제조물의 공급과 관련한 정의 규정이 없으므로 제조물책임의 면책사유 및 제척기간의 기산점으로서 전제가 되는 개념인 제조물의 공급을 어떻게 해석하여야 하는지 의문일 수 있으나, 프랑스법에서는 제조물의 공급에 대해서도 정의규정을 둠으로써 그 해석과 관련한 불필요한 논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없지 않다. 한편, 우리 법에서도 제조물책임의 성립요건으로서의 제조물의 결함은 제조물의 ‘안전성의 결여’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정작 그와 같은 ‘안전성의 결여’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으나, 프랑스법에서는 이에 대해서도 명문으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아울러, 우리 법에서는 “제조물의 결함이 제조업자가 해당 제조물을 공급한 당시의 법령에서 정하는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면책사유의 하나로 보고 있으나, 프랑스민법에서는 강행법규 위반의 경우에만 면책사유로 삼고 있으며, 기타의 법령준수로 인한 제조물의 결함에 대해서는 면책사유로 삼지 않는다는 점에서 피해자 보호라는 측면에서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울러, 프랑스민법에서는 제조물책임과 다른 민사책임의 관계, 특히 책임경합의 문제에 대해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La Directive européenne n° 85/374 du 25 juillet 1985 sur la responsabilité du fait des produits a été incorporée tardivement dans le Code civil français en raison de critiques selon lesquelles la solution du droit interne français était plus favorable aux victimes que celle de ladite directive. Ainsi, la loi n° 98-389 du 19 mai 1998 a introduit dans le Code civil 18 nouveaux articles(art. 1386-1 à 1386-18, actuellement art. 1245 à 1245-17). On pourra peut-être estimer que le régime français est similaire au notre en termes de contenu. Cependant, les différences entre les deux droits se trouvent dans les points suivants : 1° Le droit français définit de manière plus large le produit que le droit coréen. Il englobe tout bien meuble, y compris les produits agricoles, l’électricité ainsi que les produits du corps humains.; 2° Étant donné que tous les fournisseurs professionnels du produit tel qu’un fabricant, importateur, vendeur etc., est considéré comme un débiteur de la reparation des dommages causés par le défaut du produit, on peut apprécier qu’il y a peu de différence entre les deux droits notamment en ce qui concerne la notion du producteur. Cependant, la loi française exclut l application de la responsabilité du fait des produits vis-à-vis des constructeurs ainsi que des crédit-bailleurs ou des loueurs assimilables au crédit-bailleurs. 3° Étant donné que le droit coréen ne contient pas de définitions relatives à la mise en circulation, une question de savoir peut se poser en droit coréen sur le point de départ de la responsabilité ou les causes d’exonération, alors qu’en France les discussions à ce type de sujet sont réduites au minimum, car le Code civil prévoit le concept de la mise en circulation. 4° Enfin, les caractéristiques du droit français par rapport au droit coréen se trouvent dans le fait que le critère de l’appréciation du ‘défaut de sécurité’ est prévu dans le Code civil français.

      • KCI등재

        들뢰즈의 정치철학으로서의 구성주의적 제도이론 : 흄에 대한 들뢰즈의 독해에 근거하여

        신지영(Ji Young Shin) 프랑스학회 2021 프랑스학연구 Vol.- No.97

        들뢰즈 혹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치철학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프로이트-마르크스적 전통 속에서 전개되어왔다. 더 정확히는 네그리, 하트 등으로 대표되는 맑스주의자들에 의해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독해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들뢰즈의 사상사 전체를 통해 아직까지 주목받지 못한 들뢰즈의 흄 독해에 근거하여 들뢰즈의 정치철학에 대한 다른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흄에 대한 저서는 들뢰즈의 첫 저작이지만 니체와 스피노자에 대한 연구에 가려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고, 그에 근거한 정치철학의 가능성은 더욱이 환기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사망 전 네그리와의 대담에서 다시금 흄에게서 발견한 <제도>에 대한 평생의 관심을 드러냈고, 대의가 아닌 창조로서의 정치에 대해 역설했다. 또한 주체와 공동체에 대한 네그리의 질문에는 민중과 세계에 대한 믿음으로 답하였다. 이에 우리는 제도 이론으로서의 들뢰즈의 정치철학이 흄에 대한 독해로부터 시작하여 󰡔자본주의와 분열증󰡕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성적 실천과 소수적 사용의 개념으로 이어지고 또 발전하였다고 논증하고자 한다. Différemment des études existantes sur la philosophie de la politique chez Gilles Deleuze orientées à la voie freud-marxiste, nous essayons de l’examiner basée principalement sur l’ouvrage d’aurore, Empirisme et subjectivité, lecture de Deleuze sur Hume. L’attention sur cet ouvrage était moins sous feu des projecteurs que des autres travaux deleuziens sur les philosophes précédents. Comme l’entretien avec Antonio Negri fait en 1990 nous montre, son intérê̂t à la politique basé sur le concept de l’institution développé à partir de la philosophie humienne et son empirisme durait tout au long de sa vie de pensée. Alors, nous essayons de fouiller et développer spécialement le sens et la valeur des concepts de l’institution et la crédibilité chez Hume, et leur continuité et leur transvaluation dans la philosophie deleuzienne en tant que des concepts comme le praxis constructiviste et l’usage minoritaire. En base de cette examination, nous pouvons accéder à la philosophie politique deleuzienne par une autre et nouvelle voie que celles d’existantes.

      • KCI등재

        ‘savoir que p’의 비사실성 : 한국어 ‘알다’와의 비교 연구

        최윤희(Yoonhee CHOI)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1 프랑스문화연구 Vol.49 No.1

        Il a été récemment étudié que les verbes épistémiques «savoir» dans les langues altaïques montrent en général l alternance de factivité. Par exemple, le verbe al-ta ‘savoir’ en coréen peut avoir un usage à la fois factif et non-factif selon les types de complémenteur (ou postposition en coréen): (-n) kes -ul al-ta ( la clause nominalisée + l’accusatif, l’usage factif) ou (-n) kes -uro al-ta. (la clause nominalisée + le locatif (ou le reportatif), l’usage non-factif) Comme dans la plupart des langues, le verbe épistémique savoir en français présuppose la factivité du complément p avec la forme savoir que p. Cependant ce n est pas toujours le cas. Autrement dit, il arrive qu’il ait une valeur non-factive. Par ailleurs, depuis le 19e siècle, de nombreuses études ont déjà démontré la non-facivité de savoir que p. C’est pourquoi le verbe savoir peut être classé à la fois, comme un verbe cognitif factif et comme semi-factif, au même titre que know en anglais. Afin de contribuer à ce courant de recherches, cette étude vise à comparer la non-factivité des verbes savoir en français et al-ta en coréen, dans divers contextes tels que la négation, la question, l’hypothèse, le discours rapporté et la modalité. Ce faisant, nous explorerons aussi le rôle des attitudes holders (à savoir une personne sujet). Cette étude montre que la non-factivité de savoir en français est affectée par des contextes sémantico-pragmatiques alors que celle de al-ta en coréen decoule des éléments formels syntaxiques. D’autre part, cette étude analyse l’expression immuable je ne sache pas dont le verbe savoir présente les caractéristiques d’un verbe non-factif et permet la montée de la négation, et met en évidence les situations particulières dans lesquelles elle est utilisée. Il s’agit de cas spécifiques tels que «la réfutation» ou «une réaction imaginaire» polie et soutenue, à une réclamation antérieure alors que le sujet narrateur (je) a une preuve partielle de ce à quoi il est en train de faire référence.

      • KCI등재

        18세기 후반 드라마 장르 이론 : 디드로의 창안에서 보마르셰의 실천까지

        이충훈(Choonghoon LEE) 프랑스학회 2020 프랑스학연구 Vol.0 No.94

        진지한 장르, 혹은 드라마는 1757년과 1758년에 드니 디드로가 내놓은 작품을 기원으로 하며, 전통적인 비극과 희극 장르를 결합하여 이 시기에 새로 부상한 부르주아 관객의 취향에 맞는 도덕극을 제시하고자 했다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18세기 중반 드라마 장르의 출현이 지난 세기 관습화된 스펙터클의 근본적인 반성이며, 이의 개혁을 목적으로 두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해당시기 이 장르의 문학사적인 역할과 이후 극작품에 미친 영향의 문제를 다루었다. 18세기 중반의 드라마 이론은 무엇보다 인위적이고 관습적인 스펙터클의 장치를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장치로 대체하고자 했다는 데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이 시기의 이론가들은 관객에게 강력한 정서와 감동을 불러일으켜, 미덕에 대한 취향을 고취하려면 관객과 무대의 완전한 동일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관객이 무대 위의 행동을 허구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어떤 성찰도 배제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그들은 ‘흥미’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룬다. 그들에게 흥미란 관객이 무대 위 주인공의 불행을 자신의 것처럼 동일시할 때 마음에 일어나는 강렬한 변화를 뜻하는 것으로, 진지한 장르에서 가장 중요하게 제시된 개념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18세기 드라마 장르의 걸작인 보마르셰의 『또 다른 타르튀프 혹은 죄지은 어머니』가 새로운 장르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피가로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인 『죄지은 어머니』에서 보마르셰는 디드로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그가 초기에 시도했던 드라마 장르로 되돌아갔다. 우리는 이 극에서 희극의 줄거리와 드라마의 비장함이 어떻게 성공적으로 결합하고 있는지, 이 장치가 전작들과는 달리 그의 드라마에서 어떤 극적 효과를 마련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이 작품을 이 시기 드라마 장르의 이상과 모델로 평가했다. On dirait que le nouveau genre sérieux du drame est proposé par Denis Diderot qui a créé ses deux pièces théâtrales en 1757 et 1758, et que ce genre mixte a pour objectif de promouvoir la morale aux spectateurs bourgeois de cette époque. Le genre sérieux ou le drame est créé non seulement pour concilier les genres authentiques et traditionnels, la tragédie et la comédie, mais encore pour réparer leurs défauts débattus dès l’origine du spectacle et les surmonter. La problématique des théoriciens du drame à cette époque est réduite aux substitutions des dispositifs artificiels et conventionnels à ceux naturels et réels. Selon eux, l’affection et l’émotion qui se produisent de façon énergique dans le cœur du spectateur dépendent de l’identification spontanée et involontaire entre le parterre et la scène. Les caractéristiques du genre sérieux font valoir donc le rôle de l’intérêt, une des notions les plus importantes chez les théoriciens du nouveau genre. L’intérêt est ici les effets du vrai qui provoquent le spectateur à se fairre couler les larmes à son insu et malgrès lui. Voilà la morale visée par le genre sérieux et qu’on ne prétendra pas d’atteindre dans les autres genres classiques. Avec ces positions, nous analysons un chef-d’œuvre du drame du XVIIIe siècle, L’Autre Tartuffe ou la Mère coupable, le dernier volet qui ferme la trilogie de Figaro par Beaumarchais. Le grand succès des deux premiers comédies de cette trilogie permet au dramaturge de retourner au genre sérieux qu’il a tenté de réussir au début de sa carrière. Bien organisé, bien intéressé, le dernier ouvrage de Beaumarchais montre un excellent modèle du drame dans lequel est réussie une intrigue de comédie, fondue dans le pathétique d’un drame. Son ultime chef-d’œuvre permet à Beaumarchais d’atteindre l’idéal du nouveau genre et de faire preuve de la possibilité de lier l’attendrissement et l’instruction dans un spectacle réformé et renouvel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