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 -글로벌 시대의 문화 표상-

        정수진 ( Soo Jin J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법제화된 무형문화재 제도는 국가로부터 비교적 자율적으로 영위되던 지역의 생활양식들 중 역사적?예술적으로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것을 선별하여, 그것이 국가적 정체성과 낭만적 민족의식을 담보하는 문화적 표상으로 기능하도록 작용해 왔다. 그러나 이제 그 문화적 표상은 국가적 차원을 넘어 세계적 표상으로 거듭나고 있는바, 이러한 양상은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가속화되었다. 이른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의 전환은 그 명칭의 변경 이상으로 그것이 기왕에 지녔던 문화적 표상으로서의 위상과 의미 및 기능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 글은 표상의 의미와 기능을 사회학적 차원에서 주목했던 뒤르케임과 오기노 마사오의 논의를 방법 삼아 그 변화의 양상을 고찰했다. 오기노는 지역의 생활양식이 문화재로 거듭나는 양상을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분석했지만, 이 글에서는 무형문화재에서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변화를 ``추억의 질서``에서 ``문화유산화``로의 전환으로 포착한다. 그리고 그 전환이 후기자본주의 시대 일기 시작한 문화유산의 산업화 양상과 연동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egislated by enactment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at 1965, has selected the things considered to have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among the local lifestyles that were engaged relatively autonomous from the state, and operated them to function as a cultural representation to guarantee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romantic national spirit. But now beyond the national level the cultural representation become a global representation, this aspect has been accelerated in a stiff competition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surrounding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The change so-called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tails the change of the previous social status, meaning and function the cultural representation had, more than the change of its name. This paper investigate the aspects of the change with the sociological dimension of Durkheim and Ogino Masao who noted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as theoretical methods. Ogino have explained the aspect that the local lifestyles are reborn as a cultural properties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but this paper regards the change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he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memory” to “making heritage.” And it argues the transition to be interlocking directly to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started to happen in late capitalist era.

      • KCI등재

        일본의 문화외교와 국가브랜드 전략으로서의 쿨재팬

        강성우 ( Sung Woo 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5 No.-

        본고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일본의 대외문화정책의 추이를 통시적(通時的)으로 고찰하고, 21세기 일본 문화외교의 구호인 ‘쿨재팬’ 정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서 일본 문화외교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 한 것이다. 특별히 일본의 문화외교의 흐름을 전체로서 조망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세계화로 국경의 장벽이 낮아지고 국가 간 사회,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세계 각국은 자국의 이미지 개선과 국가 브랜드 가치 증대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 일본은 패전국이나 침략국가라는 이미지를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문화국가로 변화시키고, 경제발전과 수출촉진을 위해 경제외교를 진행했으며, 경제적 강대국으로 부상한 이후 일본의 국제적인 역할에 대한 요구에 대한 대안으로 문화외교의 외연을 확장시켰다. 이러한 발전과정을 거쳐 21세기에 일본이 내놓은 문화외교의 방안은 “쿨재팬”이다. 일본은 21세기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경제ㆍ문화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며, 소프트 파워를 강화시키면서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방안으로 “쿨재팬”으로 브랜드화 했으며, 제조업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굴뚝 산업뿐 아니라, 의식주와 문화 콘텐츠 (애니메이션, 드라마, 음악 등)를 포함한 “문화와 생활양식(life style)”의 매력을 경제적 부가가치(附加價値)가 있는 문화산업의 형태로 변형시키려는 정책적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자국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을 개선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대외문화정책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일본의 대외문화정책은 동아시아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문화정책에 의미 있는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ool Japan” as a Japan’s cultural diplomacy and nation-branding strategy in the 21st century. After World War II, Japan was in need of transforming its nation’s image. The foundation of the “peaceful expansion of Japan’s economic power. After the economic recovery in the 1950s, Japan began to rebuild it state as well as its nation image. As Japan grew into an economic superpower in the 1960s to 1980s, Japan exercised its power and influence other countries and attempted to expand its ”economic cooperation“ to promote exports. At the same time, Japan turned the formal KBS(Kokusai Bunka Shinkokai) into the Japan foundation(Kokusai Koriyu kikin) in 1972 in order to redeem its image from militaristic and fascist to peace-loving and democratic state. Moreover, Japan strategically continues to enhance its national brand. In the coming of new era, Japan desired to transform its “industrial structure” by focusing on cultural sector. I will examine how “Cool Japan” slogan came about in the early 2000s and will analyse the promotion of “Cool Japan” project in depth. Moreover, Japan launched “Cool Japan Fund” to invest private companies to promote Japan’s popular culture, such as comic books, movies, fashion, and food. Japan has been successful in promoting its image and national brand. Japan’s Cool Japan strategy is a dire reminder of what it means to be “cultural diplomacy” and “nation-branding,” which is prevalent in the world of diplomacy and politics.

      • KCI등재

        조선시대 세안(洗顔)문화에 대한 고찰

        김현정 ( Hyun Jung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5 No.-

        조선시대 이전까지는 목욕문화가 발달했었지만, 조선시대가 되면서 유교의 영향으로 목욕문화는 쇠퇴하게 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도 기본적으로 청결을 중요시했으며, 얼굴을 씻는 세안문화는 아름다움의 유지와 질병의 예방, 또 인간이 갖추어야 할 기본 예의로서 중요시되었다. 얼굴을 씻을 때 사용하는 세정제로 고대에는 잿물이 사용되었지만, 조선시대가 되면서 잿물은 빨래를 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실제로 사용되었던 세정제로는 조두가 있었다. 조두는 팥이나 녹두나 쌀, 콩 등의 곡류를 맷돌에 갈아서 껍질을 벗겨내고 다시 곱게 갈아체에 쳐서 만든 것이다. 또한 복사꽃과 잇꽃, 익모초 등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식물 종류가 사용되었고,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쌀뜨물도 세안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다. 심지어 오줌도 세안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오줌이 피부병이나 눈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믿어졌다. 이처럼 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곡물류를 세정제로 사용하던 풍습이 조선시대 말 외국에서 비누가 전래되면서 크게 변화하게 된다. 비누는 사용의 간편함, 향기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조두나 곡물류의 세정제는 점차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가격이 비싸서 초기에는 부유층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었다. 특히 가오비누 등의 일본산 비누들이 수입되어 크게 인기를 누렸고, 비누는 청결함의 아름다움을 강조하여 세안문화를 발달시키고 점차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대중화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Though bathing culture was developed before the Chosun dynasty, it came to be on the decline in the earlier days of the Chosu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However, cleanliness was basically regarded as important even in the same age and washing faces culture was regarded as important for maintenance of beauty, prevention of diseases and as a basic courtesy men should observe. In ancient times, when people washed their faces, they used lye as a detergent, but it was used only as a use for laundering in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There was ‘Jodoo’ really used as a detergent in the same age. ‘Jodoo’ was made from grains such as red beans, mung beans, rice, soybeans, and so on: these grains were ground by the hand mill; the husks were peeled; these were ground into fine powder; these were finally put through a sieve and made into Jodoo. Moreover, plants such as peach blossoms, safflowers, motherworts were used for washing faces. And rice washings most easily obtained were also used much for washing faces. Even urine was used for washing faces, and it was believed to have effects on skin diseases and eye diseases. Thus the custom of using grains most easily obtained for detergents was much changed as soaps were imported from the foreign country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Since soaps had merits of simplicity in use, fragrance and so on, detergents made from ‘jodoo’ or plants disappeared by degrees. However, as soaps were expensive in the beginning of the same age, rich people only could use soaps. Especially soaps such as ‘Gao soap’ and so on made in Japan were imported and were in good vogue. As soaps were gradually produced on a large scale, these were popularized and have been continued down to the present.

      • KCI등재

        경계 위의 오키나와 교회-정체성 찾기와 문화적 적응-

        김창민 ( Kim¸ Chang-m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6 No.-

        이 글은 오키나와의 한인교회를 사례로 다문화 상황에서 문화적 적응과 문화적 정체성 찾기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키나와 교회는 미군 부대에 근무하는 한국계 미국인이 주도하여 오키나와에 설립한 교회이다. 그 결과 오키나와 교회는 한국문화와 오키나와문화 그리고 미국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 현장이 되었다. 이런 다문화 상황에서 오키나와 교회는 어떻게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문화 상황에 있는 오키나와 교회의 존재 양상은 두 가지 힘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교인들을 통합하여 종교 공동체를 유지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힘은 종종 대립되게 나타난다. 즉, 문화적으로 다양한 교인들을 통합하려고 하면 한국문화의 정체성이 훼손되며,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강조하면 다른 사람들이 교회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힘은 변증법적으로 작동한다. 즉, 오키나와 교회의 존재 양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다문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역동성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cultural adaptation and the making of cultural identity in the multi-cultural situation by using case of Okinawa church. Okinawa church was founded by Korean Americans who worked in Okinawa U.S. military bases. As a result, Okinawa church has been multi-cultural religious community which includes Korean culture, American culture and Okinawan culture. I intended to understand how Okinawa church construct and reconstruct its cultural identity in multi-cultural situation. The identity of Okinawa church is explained by two dimensional movements. One is to make religious community by integrating culturally diverse members of the church, the other is to pursue cultural identity of Korea. Okinawa church have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meet these purposes. But, these movements are sometimes contradicted each other. The activities to integrate culturally diverse members to make a religious community degrade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to make cultural identity of Korea is alienated Americans and Japaneses. As a results, the activities of two movements work dialectically. The identity of Okinawa church have been reconstructed and have dynamics in the multi-cultural conditions.

      • KCI등재

        북한 과학환상영화의 장르적 의미 연구-북한 문화예술에서 `환상`의 의미와 필요성-

        이지용 ( Lee Ji-y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9 No.-

        북한의 과학환상영화는 남한의 SF 영화와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문화예술갈래와 마찬가지로 북한 만의 고유한 의미로 정의하고 있는 갈래(쟌르)이다. 이에 본고는 북한만의 특징적인 장르라고 할 수 있는 과학환상영화가 가지고 있는 특징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분류체계 상에서 나타난 특징을 연구하였다. 북한에서 과학환상영화는 과학기술을 통해 도래할 미래를 아동·청소년에게 제시하고, 이를 통해 사회주의 이상향이 가지고 있는 비전과 이를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에 대한 교양과 교 육을 동시에 전달하고자 하는 장르로 규정된다. 이러한 방법론은 1993년 황정상의 『과학환상 문학창작』에서 영향을 받았고, 1996년 안희열이 정리한 분류체계에서는 문화예술의 정식 갈래로 추가되면서 공식화 되었다. 장르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분류체계 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과학영화와 과학환상영화라는 유사한 언표를 공유한 장르가 서로 다른 분류체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환상이라는 개념이 장르의 형성에 어떤 차이점을 발생시켰는지를 고찰하고, 그로부터 파생된 개념들을 통해 과학환상영화의 장르적 정체성을 규명할 수 있다. 북한에서 환상의 개념은 문화예술의 기본 창작방법론인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대립되는 개념이었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확장되는 의미들에 부합하기 위해 환상을 도입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환상이 현실의 감추어진 면과 지향하는 바를 드러낸다고 정의한 잭슨의 이론 들과 유사한 부분들이 나타난다. 결국 북한에서의 환상은 리얼리즘과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리얼리즘에서 미처 드러내지 못한 부분들을 제시하는 보충의 개념으로 자리하게 된다. 북한의 과학환상영화는 근본적으로 SF 영화와 상이하지 않은 장르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는 북한 문화예술의 미학적 가치에 부합하기 위한 변용과 시대적인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기 때문에 과학환상영화와 같이 새롭게 정의된 장르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그 의의를 규명하는 작업은 북한 문화예술 연구의 동시대성을 확보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또한, 장르적 특성을 밝혀 해당 장르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는 텍스트들을 해 석하는 작업은 북한 문화예술, 그 중에서 영화예술 연구의 방법론을 확장시키는 일이기도 하다. North Korean science fantasy film has a similar concept as South Korean SF film, however, as other cultural art field, it is a genre which is defined as North Korea`s own meaning. He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 in classification system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fantasy film, which is a characteristic genre of North Korea. In North Korea, science fantasy film is defined as a genre that suggests the coming future to children·adolescents through science technology, through this, intends to instruct the vision of socialistic ideal and both refinement and education of science technology which is required for that vision. This methodology was influenced by Hwang Jeongsang`s 『Creation of Science Fiction Literature』 of 1993, and was formalized when it was added as a formal genre of cultural art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arranged by Ahn Heeyeol in 1996. To analyze the meaning of genre, when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system,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enre which shares the similar expressions, i.e. science film and science fantasy film, is located in mutually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is,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ich difference the concept of fantasy was made in formation of genre, and searched identity of science fantasy film genre through the concepts derived from it. In North Korea, the concept of fantasy was contrasting to socialistic realism, the basic creation methodology of cultural art. However, fantasy was adop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that are extended along with change of period. In this process, the points similar to Jackson`s theory, who defined that fantasy reveals hidden aspect and pursuing point out of the reality. Eventually, fantasy of North Korea is not the contrasting concept to realism, but was established as a complementary concept that suggests the parts which realism cannot reveal. North Korean science fantasy film fundamentally has genre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different from SF film. However, it can be understood as the movement to meet the transformation of North Korea and demand of the period. Accordingly, studying the meaning of newly defined genre as science fantasy film and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it is also a work to establish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research. Also, a work to interpret the texts that share the relevant genre characteristics by investigating genre characteristic is to extend North Korean cultural art, that is, methodology of film art research.

      • KCI등재

        문화표상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성의 경쟁:오끼나와 슈리성의 사례

        김창민 ( Chang Mi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6 No.-

        이 글은 오끼나와인들의 문화적 정체성 변화와 경쟁 과정을 슈리성이라는 문화 표상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끼나와는 1409년 류큐왕국의 설립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외세의 지배를 받아왔다. 이 과정에서 오끼나와의 문화적 정체성은 유동성을 보여왔다. 특히, 류큐처분 이후 오끼나와는 류큐왕국으로서의 정체성과 일본으로서 정체성 사이의 경쟁을 경험하였으며, 1945년부터 1972년 사이에는 류큐와 미국 그리고 일본 사이에서 문화적 정체성의 경쟁과 혼란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1972년 일본으로 ‘복귀’된 이후에도 여전히 일본과 류큐사이에 정체성 경쟁을 경험하고 있다. 이런 정체성의 변화와 경쟁은 슈리성을 통하여 표출되었다. 오끼나와를 지배한 세력들은 자신의 지배를 확인하며 피지배지역으로서 오끼나와를 정체화 하기 위하여 슈리성 복원을 주도하였다. 소실과 파괴로 점철된 슈리성 복원의 역사는 이런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오끼나와인들은 외세의 이러한 정체성 만들기를 수용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이들은 오히려 복원된 슈리성을 류큐문화의 대표적 표상으로 의미 부여를 함으로써 자신들을 류큐문화 담지자(擔持者)로서 정체화 한 것이다. 결국 슈리성은 외세에 의해 규정되어진 정체성과 오끼나와인들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정체성이 경쟁하고 타협하는 현장인 셈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nge and competition of cultural identities of Okinawan people through Shuri-jo as a most important cultural representation of Okinawa. Okinawan people have been under the control of external power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yukyu Kingdom. In this process, the cultural identity of Okinawan people has been unstable. Particularly, after the fall of the Ryukyu Kingdom, Okinawan people experienced the competition of a cultural identity between the Ryukyu Kingdom and Japan. Also during the period of the Ryukyu Government (1945~1972), the Okinawan people experienced competition and a confusion of the cultural identity among the Ryukyu Kingd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fter 1972, this competition and confusion of cultural identity has continued. The competition and change of its cultural identity in Okinawa is manifested in Shuri-jo. This external power dominated Okinawa has initiated to restore Shuri-jo in the aim of making the Okinawan identity as a dominated region. The history of Shuri-jo restoration can be understood in this view point. However, the Okinawan people not only accept identity making of external power, but also make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s Ryukyu by providing meaning a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representation of Ryukyu Kingdom to a restored Shuri-jo. As a result, Shuri-jo has been competing and/or negotiating the field of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식민지 근대 부르주아의 표상의 정치학, 개벽사 『별건곤』의 ‘조선의 자랑’호 연구

        차혜영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8 No.-

        본고는 『별건곤』 1928년 ‘조선의 자랑’호의 조선표상의 정치학에서 “근대학지를 승인하기→문화(과거)를 정당화하기→현재(미래)의 권리를 상상하기”의 문법을 갖고 있으며 이 구도 속에서 문화, 과거, 조선이 핵심적 지위를 갖고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 담론분석을 통해 2장에서 1. 과거․조선(특수)를 ‘근대적 知(보편)’의 체계로 질서화․범주화하는 방식, 2. 외국과의 비교를 통해 자기를 경계짓는 방식, 3. 우리의 문화․역사적 정체성을 통해 재산권을 유추하는 방식, 4. 우리의 다양성의 범위와 대표성을 표상하는 담론정치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별건곤』 ‘조선의 자랑호’ 기획에서 표상된 ‘조선-공통의 우리’는, 진보하는 시간, 미래로의 시간 속에 과거-현재-미래로의 발전론적 연속체 속에 자기를 준거시키고, 과거로부터 주어진 문화적 정체성을 근대 발전론적 주체가 갖는 재산권으로 전유하는 담론전략이라고 보았다. 또한 그 발전론적 주체가 그 문화적 권리를 근거로 부재하는 국가의 주권적 정당성을 상상해내는 표상의 정치학과 동전의 양면으로 함께 갖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런 권리(재산권과 주권)의 근거는 ‘제국의 근대지․보편의 학지’임을 자신의 문화적 정당성과 자본주의적 소유권으로 해석해내는 그들의 역동적인 전유의 정치학도 살펴보았다. 이는 1920년대 이전, 즉 1차 대전 이전 문명론이나 사회진화론적인 시간 따라잡기를 통해 자기를 세계 발전의 시간표 끝자락에 두는 사고방식과도 다르고, 1930년대 이후, ‘자기’를 비자본주의 비근대적인 정신적 상징이나 이미지에 두는 단군담론, 로컬리티로서의 조선적인 것, 여성적 심상으로서의 조선적인 것과도 다른 지점을 살필 수 있었다. 그러나 역동적인 언표적 좌표계의 단절과 전환의 전략은, 동시에 1925~1928년 식민지 조선의 부르주아 민족주의 미디어 기획이라는,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 속에서 또다른 정치학이 관철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1925년, 1928년 자치론이 처음 점화된 직후, 그리고 두 번째 자치론이 재점화된 직후~신간회에 참여했던 시기로서, 조선 사회 담론장에서 통일전선, 연합, 대동단결이 화두가 된 시점이다. 자치론과 『별건곤』 조선의 자랑호를 병치해서 해석한 결과, 분열의 가시화, 통합이 시대의 아젠다가 된 시점에서, 이들은 조선의 문화적 고유성과 문화적 독립성, 그리고 당대 그 시점에서 조선인이 가진 재산목록, 그리고 그 재산의 진정한 소유주로서 품성을 조선적 자랑으로 설득하는 표상의 정치학, 담론적 정치학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94 articles from ‘The Edition of Chosun’s Pride’ published in 1928 in 『Byeolgeongon』 have been dealt with by interpreting our real boundary through the issues: 1. Who we are (historical legitimacy and cultural uniqueness), 2. We have the right (right to equality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s), 3. What it is that we have (claim of ownership according to the right), and 4. Who our representative is. This allowed us to examine the other points, which are different from a way of thinking of putting ‘oneself’ at the edge of timetable of the world development through catching up with the time of the civilization or social darwinism before the First World War, or from the Dangun, locality, feminine imaginary of comparing ‘oneself’ to non-utility, non-capitalist, and non-modern mental symbols after in the 1930s. The ‘Joseon-we in common’ stressed out in those articles shows us a discourse strategy of comforting oneself in the time progressing and the time in the future, i.e. into the development theory continuum to the past-present-future, and of appropriating the cultural identity given from the past with the property owned by the subject of the modern development theory.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of the development theory has the face and back of a coin. In other words, it is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imaging the sovereign legitimacy of a nation (ethnic), which is absent on the ground of cultural rights. For the ground of such rights(property right and sovereignty), their dynamic appropriation of politics have been examined, which interpret ‘imperial modern knowledge’ and ‘universal academic knowledge’ as their cultural legitimacy and capitalistic ownership. However, this strategy of severance and transition of the dynamic locutionary coordinate allowed us to find out that another politics in specific historical circumstances is realized, which is the plan of bourgeois nationalist media of colonial Korea from 1925 to 1928. The period was over the time shortly after the self-government theory was ignited first in 1925 and secondly in 1928. It was the time when the topic of the united front, coalition, and mass-unity was raised in the Joseon social discourse. The analysis of the ‘self-government’ theory and of ‘The Edition of Chosun’s Pride’ in 『Byeolgeongon』 as well revealed that at the time when the contemporary split was visualized and the integration became the agenda of the times thereof, they were performing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and the discursive politics to persuade Koreans to regard the cultural uniqueness and independence of Joseon, the list of properties owned by the Koreans at that point of the contemporary, and the character as the real owners of those properties, as the pride of Joseon.

      • KCI등재

        홍대용과 "實地"로서의 유리창 -시장의 발견

        박성순 ( Sung Soon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중국 여행 기록에 보이는 시장(市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북경 유리창(琉璃廠)을 중심으로 시장의 공간적 기능과 그 공간 속에서 조선 연행사들의 자기 형성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시장은 삶의 필요와 편의를 확보하여 인간의 삶을 보다 더 확대된 가능성 속에 존재하게 하는 장소이면서, 시장에서의 소비는 한정된 인간 생존 조건의 훼손으로 이어져 존재의 위기와 제약을 불러오기도 한다. 존재의 자유와 제약이라고 하는 시장의 장소성은 18세기에 중국을 여행했던 홍대용에게도 깊은 관심을 끌었다. 홍대용과 이후의 연행사들이 체험한 감각의 풍요로움과 미적 감수성의 온축은 유리창이라고 하는 시장의 발견과 동시적으로 일어났다. 시장과 거리와 상품은 연행에 오른 조선문사들의 문학적 소재와 감각의 출처였고, 사실적인 미의식의 새로운 경지를 여는 통로로 소용되었다. 이처럼 유리창에 대한 조선 연행사들의 매혹이 앎에 다다르는 새로운 감각을 연 것은 매우 의미 있는 발견이지만, 그것은 매혹의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중국 문화와 문명에 대한 선망이기도 했다. 18세기의 연행사들은 교환가치가 사용가치를 압도하는 매혹의 시장에서 중화(中華)의 문화를 보편으로 받아들이고 내면화하면서, 중화의 학인(學人)으로서의 자기를 형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홍대용은 유리창에서 그가 체험하였던 감각의 확대와 인식의 단절이라는 모순된 경험을 통해 시장을 다시 성찰하게 된다. 그에게 시장은 극장과 함께 욕망이 확대되고 재생산되는 장소로 인식된다. 시장에 대한 홍대용의 부정적 인식은 「의산문답(醫山問答)」의 문명비판론에 닿아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시장은 감각의 소비와 욕망의 교환을 통해 개인의 본성을 해치는 장소이기도 하지만, 바로 거기서 삶을 기르고 죽음을 보내는 삶의 유용성에 대한 자각이 시작된다. 유리창에서 홍대용은 삶의 토대를 이루는 조건들을 궁구하고 실천하면서 자기를 갱신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시장의 기능에 대한 그의 인식은 유리창이라고 하는 ``실지(實地)``에서 탐구하고 실천하는 과정 속에서 빚어진 것이므로, 우리는 그의 부단한 자기 양식화의 과정이 행해진 시공간을 ``실지로서의 유리창``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for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the market which appeared in the document of the travel of China by Dae Yong Hong(洪大容) whose nick name is Damheon(1731~1783).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aimed at focusing on Liulichang(琉璃廠) in Bejing to look into its spatial function and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of Joseon envoys(燕行使) in the space. A market has the necessity and convenience of life, enabling humans to live with further expanded possibility. Also, the consumption in the market can arouse the crisis of its being and restriction, for it leads to the destruction of the limited conditions of human survival. The space of a market, which features the liberty of its being and restriction, was deeply attracted by Dae Yong Hong who travelled China in the 18th century. A full of senses and profound knowledge on aesthetic sensitivity, which Dae Yong Hong and his later envoys experienced, occurred at the same time when they discovered the market of Liulichang. For Joseon literary men as enjoys, the market and its products were literature subject-matters, sources of their sensitivity, and a way to open up a new path for realistic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is aspect, that the attraction of the Joseon envoys toLiuiichang caused them to realize new senses related to their knowledge was a very meaningful discovery of the enjoys, but on the other hand, that was their envy for the culture and civilization of China that produced and consumed fascinating products. While looking at the fascinating market where the value of exchange overweighed the value of use, and while accepting and internalizing the Sino-culture, the envoys in the 18th century had formed themselves as a scholar learning Chinese culture. In the meantime, Dae Yong Hong had reflected a market again based on his contradictory experience of the expansion of senses and the disconnection of recognition in Liulichang. To him, like a theater, a market is recognized as a place where a desires is expanded and is reproduced. His negative recognition on a market seemed to be applied to the criticism on civilization in 「Euisanmundap(醫山問答)」, but, on the other hand, was considered his interest in a market. A market hurts a person``s real nature through the consumption of sense and the exchange of a desire, but becomes a place where a person starts realizing the value of life, including living and death. Dae Yong Hong thoroughly investigated conditions of life, practiced them, and changed himself through his experience of Liulichang. In fact, such recognition was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ation and practice of Liulichang as ``the practical side(實地)``. In the aspect, we can call the time and space where his persistent process of self-formation took place as Liulichang as the practical side.

      • KCI등재

        ‘위안부’는 어떻게 잊혀 졌나? 1990년대 이전 대중영화 속 ‘위안부’ 재현

        김청강 ( Kim Chung-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1990년대 초반 김학순의 (최초)증언을 시작으로 전세계적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한 ‘위안부’문제는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못한 역사(unresolved history)’의 하나로, 첨예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기억 투쟁의 장이다. 과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중심으로 촉발되기 시작한 이 암울하고도 놀라운 ‘감추어진 역사’의 발견은 일본의 식민주의, 전쟁과 폭력, 남성주의와 젠더와 섹슈얼리티, 그리고 하위주체(subaltern)에 관한 많은 사회적 관심과 각성 그리고 새로운 연구와 교육의 촉발 계기가 되었다. 식민지 군대에서 벌어졌던 처참한 기억들은 재소환되었고 이 문제는 ‘인권’ 유린의 관점에서 전세계적 이슈로 확산되었다. 이는 즉시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었으며, 영화는 ‘말해지지 않은’ 것에 대한 시각적 재현을 통해,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하위주체 여성을 바라보는 방식을 전했다. 그런데 1990년대에 들어서야 ‘위안부’ 문제가 한국 사회의 수면 위로 드러났다는 일반적 인식과는 다르게, ‘위안부’에 관한 재현은 1990년대 이전에도 ‘대중물 (대중소설과 대중영화)’을 중심으로 상당수 존재해왔다. 이 논문은 1990년대 이전에 만들어진 대중물이 위안부를 재현하는 방식을 살펴보며, 대중문화 속 ‘위안부’의 재현이 ‘위안부’를 바라보는 가학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시각을 만들어내었음을 주장한다. 영화 속 ‘위안부’ 아이콘이 남성의 소비물로 유통되면서 궁극적으로는 이들을 수치스러운 ‘망각’의 대상이라는 대중적 사회 인식을 만들어 내었기 때문이다. 연구 대상은 1965년작 <사르빈 강에 노을이 진다>, 같은 해 일본 감독 스즈키 세이준에 의해 만들어진 <작부이야기>, 1975년 작 <여자정신대>, 1985년작 <여자정신대> 그리고 1991년작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이다. 이 영화들은 동아시아 사회의 뿌리 깊은 남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적 문화 속에서 ‘위안부’라는 하위주체가 어떻게 폭력적으로 재현되어 왔는지를 명징하게 보여준다. 또한 이 영화들은 서로 상당한 참조성(referenciality)과 간텍스성(intertextuality)을 가지고 만들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식민자였던 일본 남성이 조선인 ‘위안부’를 대하는 남성주의적 시각이 피식민자였던 한국 남성에게 공유되고 있었음도 확인이 된다. ‘위안부’ 여성에 대한 ‘순수한 피해자 (pure victim)’ 혹은 ‘타락한 여성(fallen woman)의 이분법적 태도를 시각적으로 각인시켜온 것은 물론이다. 동시에 ‘순수한 피해자’든 ‘타락한 여성’이든 관계없이 여성의 신체나 성폭력의 장면은 남성 관객의 시각적 쾌락(visual pleasure)을 위한 스펙타클로 재현된다. 이러한 방식의 ‘재현’은 ‘기억하기’ 위한 방식이라기보다 여성들의 ‘부끄러움’을 드러내 ‘잊기’을 것을 강요하는 방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990년대 이전의 ‘위안부’ 재현을 추적하는 것은, ‘위안부’가 ‘잊혀지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분명히 하지만 이 연구의 목표는 1990년대 이전의 대중 영화가 ‘위안부’를 기억하는 방식이 동아시아 남성주의의 폭력성과 민족주의의 공모 속에서 만들어졌음을 밝히는 것이지, 한국사회의 폭력성을 드러냄으로써 식민주의의 폭력을 축소하거나 대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남성 폭력적 재현을 드러내고 이 과정에서의 한-일 남성간의 성적 공모를 밝히는 것은, 한국 남성중심주의의 후기-식민주의적 발현을 드러내는 것이고 현재에도 지속되는 ‘위안부’에 대한 남성들의 성적판타지나 가학성의 근원을 들춰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동아시아 남성중심의 폭력적 문화가 사회의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한‘위안부’ 문제는 어떤 의미에서 ‘해결되지 않는 역사’로 끊임없이 재소환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In the 1990s, beginning from the first testimony of Kim Hak-soon who was mobilized as a sex slave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 during the Asia-Pacific War, the issue of ‘comfort women’ have become the most ‘unresolved’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While the previously unrecorded testimonials of former comfort women have enlivened the academic discourses of Japanese colonialism, war crime, feminism and subaltern studies, bringing them into conversation, they also ignited the controversies over the politics of ‘history and memory.’ On the one hand, some (often) Japanese historians emphasize the ‘fact’ in historical writing that heavily relying on conventional historical sources, which minimiz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emories’ of comfort women. On the other hand, other (mostly feminist) scholars take more careful approaches arguing that history is always ‘situational,’ and testimonial process itself reveals not just ‘fact’ of the past but signifies the history of ‘the present.’ While still precarious how to integrate memory into history, many realize that the conventional historical sources have restricted the historical writing within the realm of ‘official’ history, and ‘private memory’ could challenge official history, and make the history retold. In the course of historical ‘retelling,’ the most notable was the rise of small budge independent filmmakings. Starting with serial documentary of Nazun moksori 1, 2, 3 (The Murmur, 1995, 1997, 1999) by Pyon Yong-ju, these films functioned to deliver the ‘reality’ or the ‘fact’ of the comfort women issues by authenticating and visually documenting the ‘memory’ of comfort women.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se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provided the present images of comfort women provocatively revealing the traumatic histories embedded in these women’s bodies. ‘Minor’ filmmaking, in this sense, was a significant medium bringing private memory into history, and relocate ‘marginal voice’ into a central political realm. However, it is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re had been popular and dominant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suggesting strikingly different images before this film movement. Mostly produced before 1990s, some popular historical films (saguk) surprisingly present graphical gaze of comfort women’s bodies and sexual violence, and erase the voices of comfort women in the movie, which displays the reasons for the silence of comfort women issue prior to 1990s. This paper, thus, explores the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in South Korean popular cinema produced from the 1960s to the early 1990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are few public records of the comfort women remaining before 1990s, popular films’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in pre-1990s period are small outlets revealing the historical perceptions of comfort women, and explain the ways in which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had been silenced until 1990s.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hree films that mainly deal with comfort women issue: Sarubin kang e noul i chin-da (Sunset in the River Sarubin, 1965), Yoja chongsindae 1, 2(The Comfort Women, 1974, 1985) and Emi irum un chosenppi yotta (Your Ma's Name Was Choson Whore, 1991). The aim of this paper, however, is not on discovering historical ‘fact’ of the comfort women in pre-1990s period, but on critically examining how ‘major’ films marginalized the comfort women’s image in given historical time and contributed to create a collective memory of ‘comfort women’ as a national shame in male-dominant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조선”을 연출하다: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과 국민화의 (불)협화음 (1933~1944)

        김청강 ( Chung Kang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제국의 정치 및 자본의 전략 그리고 관객의 정체성과 깊은 연관을 가지며 공연되었는지 탐구한다. 식민지 조선에서 1930년대는 대중 공연문화가 규모나 영향력 면에서 매우 융성했던 시기였다. 이 중 악극은 서구와 일본의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아 화려하고 근대적인 무대를 만들어내며,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만주에서 해외 순회공연을 펼칠 정도로 인기 있는 대중문화로 성장하고 있었다. 특히 조선악극단은 식민지시기를 통틀어 악극단 중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1930년대에 조선에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해서, 일본(내지)과 만주(북지)까지 원정 공연을 펼친, 조선을 대표하는 공연단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공연을 통해 쌓은 대중적 친밀성은 1940년대 전시체제기에 돌입하면서 국가(일본)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점차 오족 협화와 내선일체의 슬로건 아래에 ‘조선적’이며 ‘국민적’ 공연을 하는 극단으로 변화했다. 더구나 1942년에 조선의 연예단체들이 연극문화협회로 통합되면서부터 악극은 일본의 ‘대동아공영’과 전쟁을 위한 동원문화의 선두에 섰다. 이 논문은 1930~40년대 조선악극단의 행적을 해외 공연을 중심으로 추적하여, 악극단의 세계진출을 위한 꿈과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어떻게 악극 공연에 녹아 ‘연출’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전시체제기 제국의 동화와 국민화 정치가 식민지인과 식민지 악극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협력의 최전선에 있었던 조선인 악극단은 어떤 방식으로 이러한 시기를 생존하였는가? 다양한 제국의 관객들은 조선인 공연을 어떻게 소비하였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연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조선악극단이 ‘조선의 기업’이라는 외피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연출’하였는지, 이것이 ‘조선붐’이 한창이던 제국의 일본인들에게 어떻게 젠더화, 인종화 된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1941년 이후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공연의 내용에는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 내었는지, 또 이 과정이 공연자와 관객에게 어떤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 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은 대중문화가 국가의 정치에 깊이 개입하면서도, 일본 내지의 일본인, 조선인, 만주에 주둔한 일본인 군인 등 다양한 관객과의 만남 속에서 다채롭게 변주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조선악극단의 해외공연에 참여한 기획자, 공연자, 그리고 관객의 문화적 횡단의 경험은 자신들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다양한 자각(identification)을 만들어 내었음을 주장한다. In the late 1930 and 1940s` colonial Korea, akguk, a popular vaudeville performance reached a commercial pinnacle in term of its production quantity, popularity to general Korean audience and influence in constructing visual modernity. Fueled by the commercial success in Choson, many recording companies, which owned giant size of akguk troupes, strove to expand their companies` influence beyond their national boundary, targeting transnational audience within Japanese empire. Among these akguk troupes, I pay close attention to OK Grand Show Troupe(later changed their name as Choson akguk troupe),one of the biggest Korean akguk troupes in colonial Korea. Owned by OK Record Company, this troupe initiated a bifurcated commercial strategy depending on audience`s geo-political location. They had endeavored to construct transnational modern performance style in Korea, whereas they highlighted their performance style resonated from“tradition”and local Korean idiosyncrasy when they started marketing in Japan and Manchu area. Through a careful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OK Grand Show Troupe`s performance repertories and iconic hybridity in the course of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 and invented style of“Koreanness,”I argue that the commercial marketing strategy of Choson akguk troupe, in fact, dually functioned to reposition Koreans as participants of modern popular art industry as well as exotic local subjects in a multi-ethnic Japanese emp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