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대학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 한신대학교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나현기(Hyun-Kee Na),강은미(Eun-Mee K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 논문은 기독교 대학 교목실이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본래의 교육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현재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신대학교 교목실이 2019학년도 2학기부터적극적으로 개발해서 운용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특별히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학년 2학기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학생들의 만족도 결과를 분석한다. 기독교 대학 교목실은 1990년대 이후 개신교인들이 감소하고, 개인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대학 분위기 속에서 재학생들이 일방적인 기독교 예배와 교리를 전달하는 채플을 거부하면서 위기에 직면했다. 또한 2020년 코로나19 확산 과정에서 일부 개신교인들의 일탈로 개신교 신뢰도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기독교 대학 교목실은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한신대학교 교목실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자아 탐색, 인간 관계 훈련, 심리 치료, 한신대학교 역사와 전통 이해, 소속감 향상을 주제로 진행되고 있다. 참여한 학생들은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고, 자연스럽게 교목실에 대한 신뢰도 향상되고 있다. 한신대학교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는 위기 상황 속에서 교목실의 미래를 고민하는 기독교 대학 교목실의 대안 마련에 좋은 사례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help the chaplain’s office in Christian universities more effectively achieve educational goal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im, first,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which Hanshin University’s chaplain’s office has been developing and operating since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19 academic year, will be introduced. Next, the result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video-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will be analyzed. The chaplain’s offices in Christian universities have faced a major crisis for various reasons since the 1990s. The number of Korean Protestants has declined. University students, emphasizing individual diversity, have begun to reject the chapels sponsored by Christian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credibility of Korean Protestants has fallen to the bottom. It is because many Koreans are tired of the way some Protestant Churches react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chaplain’s offices in Christian universities are contemplating various solutions to overcome this crisis. For example, the chaplain’s office in Hanshin University now provides video-based extra-curricular programs in response to COVID-19.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include the followings topics: self-discovery, interpersonal training, psychotherapy,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Hanshin University, and a sense of belonging. The participating students not only show high satisfaction, but are much more interested in all of the curricular a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 chaplain’s office. This study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will provide a good example for preparing alternatives for the future of the chaplain’s office in a crisis situation.

      • KCI등재

        동서의 현실과 신학적 현실 개념: 동양 신학을 위한 예비 검토

        천병석(Cheon Byung Su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8

        본 논문의 목적은 동양신학의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아시아 신학은 아시아적 정체성을 정당화하기 위한 의도로 시도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가 오히려 신학의 정체성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 신학적으로 동서양의 현실을 조망하는 관점을 취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회학적 현실개념(P. Berger)과 그것에 착안하여 구성된 소위 신학적 인간학(W. Pannenberg)을, 동양적 현실개념(김충렬)과 비교하여, 그것들은 단지 서구적 현실개념(박동환)일 뿐이고 하나님의 현실성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밝힌다. 서양 종교로서의 기독교를 비판하는 '종말론적 관찰방식'(K. Barth)과 '비종교적 해석'(D. Bonhoeffer)은 서양적 현실이 아니라, 인간의 현실 가운데 하나님의 현실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동양적 신학의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하나님 현실성의 이론적 근거가 분명하게 설정된다면 동서양의 유산들은 모두 이론형성의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학에서의 동양적 이론형성의 가능성은 무엇보다 신학적 근거 설정을 뚜렷하게 획득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Generally, Eastern theology was attempted with the intent to justify the eastern identity. Such attempt seems to have been in the risk of actually losing the identity of theology itself. So instead,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spective that overlooks theologically the reality of Eastern and Western. By comparing 'the sociological concept of reality' (P. Berger) and 'the so-called theological anthropology' to conceive that concept (W. Pannenberg) with the concept of 'the Eastern reality' (C. H. Kim), this research clarifies that those are only 'the concepts of the Western reality' (D. H. Park) and don't reach 'the reality of God'. The 'eschatological observation method' (K. Barth) and the 'non-religious interpretation' (D. Bonhoeffer) that criticize Christianity as a Western religion, show the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indirectly in that they capture the reality of God in the middle of reality of human. If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ality of God is established clearly, the heritage of both East and West can be used as a reference of theory building.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Eastern theology can be distinctly acquired best through theological basis.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관점에서 본 소수자신학 연구

        한정헌(Han Jung 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5

        이 논문은 우리의 시대를 소수자들의 시대로 규정한 들뢰즈/가타리의 관점에 따라 ‘소수자신학’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현대 신학은 서구 근대성의 극한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분기하고 발산하는 소수성/소수자를 신학적으로 읽어낼 책무를 가지고 있다. 그런 시도들은 1960년대 이후 급진적이고 해방적인 성향의 신학들-예컨대 민중신학, 해방신학, 흑인신학, 여성신학, 달릿신학 등-에서 이미 전개된 바 있다. 그것들은 각각 다양한사회·경제·정치적 배경과 맥락 속에서 발생한 고유한 신학들이라는 점에서 불연속적이지만, 동시에 보편적 소수자신학이라는 공통의 지평 위에 놓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연속적이다. 소수성/소수자를 신학적 주제/주체로 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통적인 서구 존재론과 근대성의 배경 속에서 형성된 서구 신학에 대한 비판과 극복이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서구 신학은 역사적으로 서구사회의 지배적 척도나 표준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을 뿐 아니라 다수자 중심의 지배체제를 고착화하는 데 일정부분 기여했다는 점에서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서의 ‘다수자 신학’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여 다수성/다수자 중심의 눈길로 쓰인 신학사에 대한 새로운 구성주의적 관점과 더불어 서구 신학에 대한 근본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 소수자 신학이라는 문제 제기를 통해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특별히 자본주의와 국가 장치가 포획을 강화하는 과정에서-발생하는 다양한 방식의 소수자들을 신학적으로 이해할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minority theology’ from a Deleuzo-Guattarian point of view who have characterized our age as the one of minorities. To read out the minority ramifying and diffusing in varied forms today while the Western modernity reaching its limits is a sort of responsibility of the contemporary theology. Attempts as such, in fact, have been made since 1960’s by certain branches of radical theology - Minjung theology, liberation theology, black theology, feminist theology, Dalit theology, ect., for example. These theologies are discontinuous each other, each being originated in its own social and ecopolitical background and context, but continuous at the same time as they can be placed on a horizon of the universal minority theology they have in common. To have the minority as one’s theological subject, criticism and overcome of the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with its ontology and modernity are to precede anything else. For the Western theology not only has formed around the dominant criteria or standards of its society, but also played a certain role to fixate its governing system, in that it can be called a ‘majority theology’. Thus we need to basically review the Western theology from a new constructivist perspective. Questioning the matter of minority theology, it is the hope of this essay that it has formed the basis of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 of minorities arisen in the modern society-particularly in process of tightening the capture of capitalism and state apparatus.

      • KCI등재

        ‘핵 없는 세상을 위한 신학’을 향하여: 고든 카우프만의 ‘핵 시대의 신학’ 을 넘어서

        장윤재(Chang Yoon-J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2 신학사상 Vol.0 No.159

        동서냉전으로 핵무기의 위협이 절정에 달했던 1985년에 미국 하버드대학의 신학자 고든 카우프만은 핵은 창조주 하나님을 대적하고, 적그리스도적이며, 그 자체로 성령의 역사에 반대된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이후 30년 가까이 흐른 지금도 인류는 여전히 핵무기로 인한 전 지구 생명공동체 멸절의 위협 아래 살고 있다. 인류는 또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표방하며 지난 반세기 이상 세계 각지에 세워진 수많은 핵발전소로부터 방사능 피폭의 위협을 받으며 살고 있다. 작년 3월의 일본 후쿠시마 대재앙은 핵발전의 위험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었으며, 인류가 시급히 핵으로부터 문명사적 전환을 꾀해야 한다는 일대 경종을 울려주었다. 인간의 손에 전 인류뿐만 아니라 모든 지구생명공동체를 파괴할 수 있는 힘이 쥐어진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독교 신학은 어떻게 ‘하나님의 주권’과 ‘생명’ 그리고 ‘평화’를 이야기할 수 있는가? 이 글은 고든 카우프만과 샐리 맥페이그의 ‘핵 시대의 신학’을 분석하고 비판하면서 이제 우리가 단순히 ‘핵 시대의’ 신학이 아니라 ‘핵 없는 세상을 위한’ 신학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 기본적인 방법론으로 필자는 우리가 철저히 ‘피폭자’의 자리에 설 것을 요청하면서, 핵에 대한 거짓 신화들, 즉 핵과 평화는 양립 가능하며, 핵은 기후변화의 대안적 에너지이고, 핵발전은 안전하며, 그리고 또한 우리에게 끊임없이 전기가 필요하다는 거짓 신화들을 비판하고 핵과 기독교 신앙이 결코 양립할 수 없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핵 지뢰밭’으로 부상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서 우리가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핵 없는 세상을 위한 신학’은 한국과 동북아시아는 물론 세계사적 지평과 중요성을 갖는 실질적인 생명과 평화의 신학이 될 것이라고 확언한다. When the nuclear threat was at its peak in 1985 during the Cold War era, Gordon D. Kaufman proposed a “theology for a nuclear age”, Even though almost 30 years have passed, we still live under the severe threat of nuclear weapons. The humanity is also under the threat of radiation poisoning that has emanated from the numerous nuclear reactors built on many part of the world over the past fifty years. The Fukushima nuclear catastrophe that occurred in March 2011 was a clarion call alerting entire humanity to the urgency for transformation away from our nuclear-based civilization that we have enslaved ourselves. However, how can Christian theology talk about divine sovereignty, life, and peace in this context of nuclear age in which the power that can destroy the whole life community of the earth is at the and of human beings? The author reviews and criticizes the “theology for a nuclear age” by Gordon D. Kaufman and Sallie McFague and proposes to move to a “theology for a nuclear-free world”. For its methodology, the author proposes that we view this issue not from the perspective of nuclear power, but from the standpoint of the victims of radiation poisoning, not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not just from the interest of present generation but from the interest of many generations yet to come, and furthermore, not from an anthropocentric perspectiv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smic life community that encompasses all of creation. And dismantling the false myths regarding the nuclear weapons and power plants - the myth that they can coexist with peace, that nuclear energy is green energy that can help to overcome global warming, that nuclear power is safe, and that the humanity needs electricity endlessly, the author affirms that nuclear weapons and power plants cannot coexist with the Christian faith itself. In the context where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 East Asia have become the most dangerous nu

      • KCI등재

        인간이해를 매개로 한 신학과 심리학의 만남

        김기철(Kim, Gi-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0

        목회신학은 ‘다리의 학문’으로서 이론과 실천, 신학과 (다른 사회 과학들을 포함하는) 심리학, 복음과 상황, 그리고 공적인 하나님 개념과 사적인 하나님 표상을 서로 연결해준다. 이러한 다리 잇기의 작업은 신학이 그 모드를 목회신학으로 바꿀 때에 더 활기를 띠고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음이 역동성과 생명력이 있는 영성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주류 신학의 인간이해는 죄인으로서의 인간 본성을 강조해온 반면, 하나님 형상 담지자로서의 인간 본성을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겼다. 이와 함께, 교회의 공식적인 신학은 ‘육체라는 감옥에 갇힌 영혼’이라는 이미지를 발전시켰다. 이로 인해, 육체는 신학적인 이원론에 근거하여 열등한 것으로, 죄를 짓게 하는 도구로 격하되어 인식되었다. 하지만, 목회신학은 인간의 육체성이 지니는 가치와 의미에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 육체가 그안에 성스러움을 간직하고 있고, 복음과 삶을 연결시키는 채널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하나님을 경험하게 하는 통로이자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게 하는 수단으로 경험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목회신학적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의 상실’, 그리고 ‘전인격체인 인간 안에서 일어나는 육체에 대한 격하와 육체의 소외’ 라는 주제들과 관련된 신학적 의미를 면밀하게 검토한다. 이를 통해 목회신학은 하나님 형상을 더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신학적 인간이해를 요청한다. 심리학의 인간이해는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목회신학의 인간이해는 하나님 형상을 살아내는 인간 본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 형상이 각자의 개성과 온전하게 만날 때, 신앙인은 하나님 형상을 즐겁게,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목회돌봄과 상담은 돌봄 대상자들이 자신들의 고유한 삶의 환경 속에서 효율적이고 활기차게 하나님 형상을 살아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힘을 북돋아준다. 이를 위해 목회신학은 필요할 때마다 모드를 전환하여 다리 놓기를 하고, 또한 놓아진 다리 위에서 더 적극적으로 복음의 정체성과 영향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Pastoral theology is not just a branch of practical theology, but it is a “bridge discipline” bridging theory and practice, theology and psychology (including other social sciences), and the public God-concept and the private God-image. This work of bridging can be more efficacious when theology changes its mode to pastoral theology. Pastoral theology is “function-centered,” which brings theology and psychology together and results in an amicable dialogue between the two. By doing pastoral theology the gospel can bring a more dynamic and fruitful spiritual life. The mainline theological anthropology has identified human nature with sinner under the original sin, while relatively neglecting human nature as God’s image-bearer. It seems that the official theology of the church has employed the (total) loss of the Image of God in humanity in order to fortify the doctrine of fall of humanity. In addition to that the official theology has confirmed the image of the soul’s imprisonment in the flesh. Then the flesh has been regarded as being inferior and degraded as a means for sinning based on the theological dualism. However, pastoral theology, the changed mode of theology, rediscovers the value of the human fleshness. The flesh created by God contains sacred in it and plays its role as a channel between the gospel and life. For Christians, it has been a path toward experiencing God and a means for imaging God. We are not supposed to alienate the flesh from the whole personality. Christian way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rooted in the Image of God which has never been lost or damaged and is supposed to be embodied in our lives to the likeness to God. In this sense, w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uman fleshness, including emotions, intuitive senses, and physical senses and desires, through which we can image God. Pastoral theological anthropology examines theological meanings of the loss of the Image of God and the degradation of the flesh in the whole p

      • KCI등재

        구약 민중신학의 재발견: 김찬국 신학을 중심으로

        박신배(Park Shin-B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4

        이 논문에서는 김찬국의 민중신학을 연구하였다. 기존에는 안병무, 서남동만이 민중신학자(문익환 포함)로서 자리매김이 되어 있었는데, 또 한 명의 실천적 민중신학자인 김찬국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다. 그래서 3대 민중신학자로서 안병무, 서남동, 김찬국이 삼각형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고 본다. 사변적 신학이 아닌 운동으로서 살아 있는 신학을 추구한 학자, 행동하는 예언자, 민중을 대변한 진정한 예언자가 바로 김찬국이라는 면이다. 사변적인 신학을 위한 신학은 죽은 신학적 요소가 많다고 볼 때 김찬국의 신학은 영혼을 살리고 삶의 현장에서 절규하는 민중의 한을 대변하고 풀어준산 신학이었다. 김찬국은 군사정권 시대에 짓밟히는 민중의 인권을 대변하는 시대의 예언자였다. 그는 눈물의 예언자 예레미야처럼 시대의 아픔을 괴로워하며 고난의 현장에서 같이 눈물 흘리는, 운동으로서의 신학을 전개하였다. 제2이사야를 가장 좋아한 김찬국은, 구약 시대 중 어두운 시대 중 하나였던 바빌론 포로시대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인의 고난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나라의 주권이 없이 포로의 상황, 가장 비극적 상황이 바로 제2이사야 시대이다. 이 시대는 한국의 박정희 정권 시대, 그 후의 군사정권 시대에 비견할 수 있다. 김찬국은 창조적 신학자로서, 외치는 예언자로서, 고난 받는 선지자로서, 고난의 삶을 산 시대의 증인이었다. 김찬국은 많은 제자들에게 진정한 예언자는 누구인지를 삶으로 보여주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가르쳐 주었다. 그는 민중신학의 정신적 지주로서 역할을 보이며, 이를 삶으로 보여준 학자였다. 이 때문에 그를 민중신학적 이념제공자, 민중신학의 근거를 구약학적으로 제공한 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김찬국의 독특한 민중신학적 방법론을 탐구하였고, 김찬국의 민중신학에서 새롭게 민중신학을 재발견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Old Testament Scholar, Kim Chan-Kook who is a Minjung Theologian. Although he died in the year 2009, he and his ideas are still alive among many people. As a genuine prophet, he propagated how to live for the oppressed people. Up to the present, there were a few research paper’s on the O.T. Minjung theology. This article is presenting three big scholars of the Minjung Theology. The First scholar is Suh Nang-Dong, a systematic Theologian. The Second scholar is An Byung-Moo, and the third scholar is Kim Chan-Kook, an Old Testament theologian. The first two scholars were renowned by many people, but the third was little known. My argument is concerning Minjung Theology, for the practical theology. Kim Chan-Kook’s doctrines are always in keeping with his deeds. Just Kim Chan-Kook is not a speculative theologian, but emphasizes the Doing theology. His purpose of doing theology is like a movement, a living theology. He is a genuine prophet among the poor people as well as a spokesman for the Minjung theology. Otherwise, Kim, Chan-Kook tried to show an integral theology which is a prophetic theology, a living theology. Academic theology is transformed into the participation in the historical event. Prophet theology is a flower of OT theology. He lived as an acting and a genuine prophet. In the same time, he is a Minjung Theologian. Today, Minjung theology is disappearing, and Kim Chan-Kook’s Theology is covered with Historical documents. While Minjung theology is disappearing in the memory of people, Kim Chan-Kook’s OT Minjung Theology and his propagation are getting popular among the people. His OT Minjung Theology and Korean theology are filled with the dynamic power of God which will bring about the revival of Christian community. It is my desire and hope that Korean Culture Theology is revived again.

      • KCI등재

        자연신학 그리고/또는(and/or) 자연의 신학

        윤지훈(Jihoon Yo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1

        본 논문은 자연신학(theologia naturalis)과 자연의 신학(theologia naturae)의 호혜성에 대한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과 자연을 다루는 두 신학은 비슷해 보이지만 두 개념을 상반된 방법론으로 다룬다. 자연신학은 자연적으로 신을 인식하고 통찰하는 반면, 자연의 신학은 신학적으로 자연을 탐구한다. 한편으로 자연신학은 인간의 이성과 이를 기반으로 얻어진 자연 현상에 대한 법칙에 기초하여 신의 존재를 논증한다. 신 존재 증명을 위한 논증은 무신론에 대항한 기독교 변증학의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의 종말론적 의미에서 세계의 종말까지 신의 존재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신 존재 증명 자체에 대한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자연신학적 무신론 논쟁에서 끝없는 소모전이 계속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자연의 신학은 반대로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의 관점에서 자연과 자연 현상 및 법칙에 대한 보편적 이해를 찾는다. 이를 위해 다른 학문 분야로 분류되는 신학과 자연과학을 중재하는 매개체가 제시되는데,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매우 논쟁적이다. 이처럼 두 신학이 각기 다른 난관 속에서 한계에 직면하여 이를 타개할 혁신적인 방법과 방향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두 신학의 호혜성은 그 방법과 방향이 될 수 있다. 두 신학은 상반된 도구와 대상을 바탕으로 논증하기 때문에 이들을 상호 협력 연구가 불가능한 절대적 상반 관계로 보기 쉽지만, 이들은 이미 암묵적으로 논증을 서로 차용하고 있다. 이것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두 신학의 호혜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협력을 촉진하는 혁신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에서 논하는 연구의 관건이다. 본 논문은 이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기 위해 먼저 두 종류의 현대 자연신학 ―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의 전통적인 자연신학과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새로운 자연신학 ― 과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자연의 신학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두 신학 사이의 상반 관계를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상반 관계를 과학신학의 당면한 상황으로서 두 신학의 호혜성을 그 당면한 과제로서 규정하고, 이들의 협력을 촉진하는 이들의 호혜성에 대한 비판적 비교 연구를 간략하게 제안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value and necessity of bringing the study of Natural Theology (theologia naturalis) and the Theology of Nature (theologia naturae) together. These two theological approaches, which both deal with God and nature, seem similar, but in fact treat the two concepts with opposing methodologies. For Natural Theology God is the focus of inquiry using natural reason, whereas for the Theology of Nature it is nature that is explained by means of God. On the one hand, Natural Theology argues for the existence of God based on human reason and the laws of natural phenomena based on reason. Arguments for the proof of God’s existence have been used as a useful tool in Christian apologetics against atheism. Natural-theological atheism , however, is a position that continues to be debated. This is because the criticism of the proof of God’s existence itself depends on Christian eschatology. In other words, the controversy over God’s existence cannot be settled before the end of the world and, therefore, objections to the notion of God’s existence on natural grounds are still valid. On the other hand, the Theology of Nature seeks a universal understanding of nature and natural phenomena and la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lief in the existence of God. To this end, this paper presents a middle way between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which are classified as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This is a controversial undertaking. Both Theologies face limitations and require innovative methods and directions to overcome them. Bringing the two Theologies more closely together may offer a helpful method and new direction. Since the two Theologies are based on opposite methods and objects, it is easy to view them as in an absolutely contradictory relationship in which it is impossible mutual cooperation research, but they have already implicitly borrowed arguments from each other. The key is to objectively prov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heologies by systema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innovative alternatives that promote their cooperation. In order to discuss the valu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this article firstly looks into two types of modern Natural Theology – William Lane Craig’s traditional Natural Theology and Alister Edgar McGrath’s new Natural Theology. Next it inquires into Wolfhart Pannenberg’s Theology of Nature. It then examines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ologies. Based on my findings, I show this contradiction to be the present dilemma of scientific theology and the raproachment of these two theological methodologies as its immediate task. I also briefly propose a critical comparative study of their reciprocity in promoting their cooperation.

      • KCI등재

        종교개혁과 디아코니아

        홍주민(Hong Ju-Min)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4 신학연구 Vol.46 No.-

        종교개혁은 중세 가톨릭의 성직계급이 가져왔던 교회 내 계급구조의 종말을 의미한다. 즉 만인사제직에 의거한 새로운 틀의 사고는 교회 안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직업윤리의 자의식을 변혁케 한 직접적 동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종교개혁의 새로운 기풍에 늘 주제가 함께한 것이 복지문제였다. 종교개혁 신학에서 우리는 복지선교, 즉 디아코니아 신학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으며 그의 영향사를 추적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br/> 루터의 종교개혁적 단초에서 “디아코니아의 신학”을 기록하는 것은 부족할 것이다. 그의 신학은 오히려 “디아코니아적인 신학”이고 게다가 아주 포괄적이다. 루터에게 있어 특징적인 것은 곤경에 처한 이웃에 대한 즉각적 관심이다. 동시에 그 문제 원인의 해결을 위해 조직적으로 관심하는 것이 신앙의 자명한 열매라는 것이다. 루터는 그의 디아코니아적 신학 안에서 복지보호를 향한 이상을 관철해 나갔고, 특히 곤경에 처한 이들에게 법적 공동체가 실현되어질 수 있는 사회법을 증가시켰다.<br/> 루터의 영향을 받은 경건주의는 2차 종교개혁을 디아코니아의 표식 속에 이어간다. 보편적이고 에큐메니칼한 이러한 움직임은 교회내적 디아코니아적 혁신에 제한되지 않고 정치-사회적 지평으로 이루어진다. 루터적 신학의 중심적 내용은 신앙과 행동의 통일, 세상 속에서 만인사제직에 의한 그리스도인의 전적인 섬김에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요한 발렌틴 안드레아, 필립 야콥 스페너, 아우구스트 헤어만 프랑케, 니콜라우스 루드비히 폰 찐센도르프, 테오도아 프리드너, 요한 힌리히 비헤른으로 이어지는 디아코니아 실천의 역사는 루터의 디아코니아 신학, 즉 종교개혁의 이상을 실현해 나가는 맥이라 할 수 있다.<br/> 종교개혁은 복지개혁으로 이어졌다. 그것은 신앙에 의한 사랑의 실천운동, 디아코니아로의 전적인 운동이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사랑과 믿음의 통일을 주창한 개혁가들은 당대의 인문과학과 휴머니즘 운동의 궤를 같이 하는 시대 운동의 하나로 당시의 가난한 이들에 대한 실질적 프로그램을 신학적으로 응답하면서 사회복지에 깊은 획을 그은 사건이었다. 단순한 종교 내적 교회 내적 개혁뿐 아니라 사회 정치적 개혁의 일환으로 사회복지를 향한 종교개혁의 신학적 이론과 실천 프로그램은 유럽의 사회복지 국가로서의 근간을 형성했다는 사실을 영향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신학의 패러다임과 설교

        이문균(Lee Moon-Kyo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6 신학사상 Vol.0 No.135

          "설교는 "복음"을 선포한다. 동시에 그 설교는 "설교자 자신의" 복음을 선포한다." 설교자 자신의 복음에 대한 이해를 결정하는 여러 요인 가운데 본 논문은 설교자가 지닌 신학에 주목하였다. 이 점을 전제로 신학의 패러다임과 설교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신학의 패러다임을 전근대적 보수주의 신학, 근대적 자유주의 신학, 포스트모던 진보주의 신학으로 나누어 각각의 신학이 지닌 성격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신학적 특징이 설교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았다.   물론 설교자가 특정한 신학의 패러다임에 매어 있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다. 그러나 설교자가 설교를 할 경우 어찌되었든 그가 배우고 익히고 받아들인 신학의 어떤 측면이 설교에 반영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 점을 주목하는 본 논문은 설교자가 전하는 설교의 특징과 내용이 어떤 신학의 패러다임을 반영하고 있는지 보여줄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작성되었다. 오늘의 회중은 전근대, 현대, 탈현대의 관점과 세계관을 모두 호흡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오늘의 설교자는 다양한 신학의 관점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복음을 선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Theology and Preaching are closely interrelated. "Sermons proclaim the Gospel, but they proclaim gospel of the preacher"s own." Based this premise, this study classified paradigm of theology into pre-modern conservative theology, modern liberal theology, and postmodern radical theology. Then we identified and examined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se paradigms of theology and preaching.   We can summarize this study as follow:   1. A preacher must continuously study to find the essence of "gospels for the Age" and "gospels for the congregation", based upon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Gospel".   2. A preacher must maintain the perspective of an air of detachment. Preachers need to recognize the paradoxical relation between Christ and culture.   3. A preacher must approach his or her congregation by introducing God he or she has experienced in his or her life. Preachers need to help the congregation experience the power of life and spiritual power in the Gospel.   4. A preacher must deliver stories, images of the new world, new self, and new future the messages of the Gospel present to people.   5. A preacher must recognize the partisan character of truth, and must take part in the activity of liberation. Preachers must been keen to attend the isolated and the weak than man and woman in the mainstream.   Preachers are bound to deliver the Gospel to people with mixed world views of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thoughts. Thus, it is required of a preacher to proclaim his or her sermons authoritatively, communicatively, and imaginatively from time to time. It cannot be argued that sermons that adhere to only one paradigm of theology are absolutely right and effective. A preacher may approach the congregation in appropriate manners and way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atmospheres surrounding the congregation. However, onl

      • KCI등재

        북미 신보수주의 신학 탐구: 맥스 스텍하우스의 ‘공공의 신학’을 중심으로

        장윤재(Chang Yoon-J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4

        20세기 후반에 하나의 남미 대륙에서는 서로 다른 두 신학이 태어나 서로 다투며 발전했다. 하나는 남미의 해방신학이고 다른 하나는 북미의 신보수주의 신학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먼저 마이클 노박, 맥스 스텍하우스, 데니스 맥켄 등으로 대표되는 북미 신보수주의 신학이 어떤 공통적 주제와 방법론을 가지고 미국의 기업들을 위한 ‘경제의 신학’을 발전시켜 나갔는지를 살펴보고, 이어서 이러한 경제의 신학의 하나로서 스텍하우스의 ‘공공의 신학’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비평한다. 최근 한국에서 아프간 피랍 사태 이후 기독교 신학과 윤리를 현대사회의 공적 영역과 접목하는데 노력하는 스텍하우스의 공공의 신학이 큰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나, 필자는 미국 경제의 신학의 하나로서의 그의 공공의 신학은 기업의 도덕적이고 영적 가능성을 너무 낙관한 나머지 자본주의 정치경제와 너무 쉬운 연관성을 주장하게 되었고, 그 결과 그가 모든 인류 문명의 기풍을 개혁하기 위해 강조하는 이른바 초상황적·초문화적·초역사적 규범은 허울뿐인 초월로 귀결되었음을 비판한다. In the late 20th century, two different theologies were born and developed in the American continent-theology of liberation in South/Latin America and theology of the corporations in North America. Identifying the latter as “neo-conservative” theology, and naming Michael Novak, Max L. Stackhouse, and Dennis P. McCann as its three key figures, the author first introduces common themes and features of North American neo-conservative theology in general and then engages in the analysis and critiques of Stackhouse’s “public theology” in particular. The author criticizes that Stackhouse is too optimistic about the moral and spiritual potentiality of corporations, and that his context-transcending norms become transcendental only in name because of his conflicting commitment to the transcendental and the incarnational, and that at last his public theology in particular and North American neo-conservative theology in general are too submissive and too easily relevant to a capitalist political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