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의 효 문화에 관한 연구 -<심청전>을 중심으로-

        김지안 한국효학회 2022 효학연구 Vol.- No.36

        배경: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곧 문화를 배운다는 것과 같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효’를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한국의 효는 인류 보편성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 가치가 남다르다. 타인과 다른 사회에 대한 이해와 이타적 배려가 절실히 필요한 때 인류가 마지막까지 지켜내야 할 윤리 의식 ‘효’의 지향성을 찾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따라서 한국어교육 입장에서 한국의 효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류에게 교육될만한 문화로 그 가치가 높다. 목적 : 한국의 효 정서를 가장 잘 나타낸 대표 고전소설 <심청전>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에 있어 효 문화에 대한 현대적 가치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첫째, <심청전>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통된 주제 의식을 분석한다. 둘째, 한국의 효에 대한 해석에 있어 전통적 해석과 현대적 해석을 하고 현대적 관점에서 ‘효’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셋째, <심청전>의 내용 분석을 하고 그에 따른 현대적 관점에서 한국어교육을 염두한 ‘효’ 문화 내용을 검토한다. 결과/결론: 현대적 효의 의미는 상호존중이 기본원리로 작용하는 효, 타인에 대한 사랑이 전제되는 효, 다름의 이해와 평등의식에 따른 배려와 봉사의 효로 해석될 수 있었다. <심청전>은 심청의 효가 중심이 되면서 딸에 대한 아버지의 신뢰와 믿음과 딸의 부모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웃 사람들의 심청 부녀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인물 황제의 실천적 자세로 배려와 봉사 정신의 효를 찾아볼 수 있었다. 시사점 : 현대의 효로 재해석된 <심청전>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육 측면에서 한국의 효 문화를 인류 보편적 가치로 접근한다면, 한국의 효는 인류의 문화로 승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가능성을 위한 노력으로써 본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에서 효 문화교육의 방향성 탐색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

        김지안 한국효학회 2020 효학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의 기준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흐름을 파 악하여 한국어문화교육에 있어 효 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의 ‘사용’과 ‘활용’을 읽어내고 문 화교육 측면에서는 ‘실제성’을 읽어냈다. 한국어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의 독 특한 정서이면서 인류 보편적 정서인 ‘효’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통적 효의 개념과 현대적 효의 개념을 정리하여 한국어교육에 있어 ‘효’ 문화교육이 나 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상호존중으로 일방적인 ‘효’가 아니라, 양방향적인 ‘효’의 중요성을 제시 하였고, 둘째 인류애적인 측면에서 ‘효’가 서로 사랑하는 것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상호존중과 인류애가 결국에는 ‘실천’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는 ‘효’ 문화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는 않 지만, 한국어의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해 ‘효’ 문화교육은 반드시 교수·학습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of HYO culture education in Korean culture education by grasping the flo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is the standar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use” and “u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ad.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practicality” was rea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over tim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HYO’ cultural education, which is a unique sentiment of Korea and a universal sentiment of mankind. By organiz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HYO and modern HYO, we sought ways to advance “HYO”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wo-way 'HYO' rather than one-sided 'HYO' as mutual respect. Second, it suggested that 'HYO' is to love each other in terms of humanity. Third, it emphasized that mutual respect and love for humanity should eventually go in the direction of “practice”. The “HYO” culture content was not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Korean Standard Curriculum”. Howeve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HYO’ cultural education must be taugh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의 효 운동 및 한·중 간 담론

        최문기 한국효학회 2013 효학연구 Vol.0 No.17

        예로부터 동양문화권에 속한 한국과 중국 간에는 효(filial piety)와 관련된 학문적, 문화적 교류가 있어 왔다. 그래서 가정이나 사회에서 지켜야 할 효제에 관한 사상적 근원에는 유 사성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효의 의미는 오늘날에도 유지되고 있긴 하지만, 급속한 현대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효를 실천하는 방식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오늘날 전통적 효의 실천이 많이 약화되고 있고, 그래서 한국과 중국은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나름대로 효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효와 관련된 양국 간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증진이 필요함을 전제하고, 이를 위한 사전 단계로서 한국의 효 운동 현황을 소개하기 위 해 먼저 1)현재 한국이 추진하고 있는 효 운동의 대표적 사례인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 한 법률’의 주요 내용을 밝히고, 2)이것에 토대해서 논자가 고안한 ‘한국의 효행 복합체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 간에 필요한 공통 담론의 주제로서, 3)전통적 효 와 현대적 효의 조화, 4)효 의무와 효 교육의 공동 연구를 제안하였다. From the long time, there has been lots of academ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related with Filial Piety(Hyo in Korean, Ziao in Chinese). The two countries have same origin of Hyo thought historically. The meaning of Hyo has been maintained till now, but the practicing Hyo is challenged by the rapid change of modern society. As the traditional Hyo is weakening, Korea and China are searching for its own resolution. In order to widen mutual understanding and activate communication about Hyo, in this paper 1) I introduce ‘Law on Hyo Encouragement and Support’ as a representative case of the current Korean Hyo movement, and 2) I draw so called ‘Korean Hyo complex system model’. As common themes for communication between both countries, I propose 3) the harmonization between traditional Hyo and modern Hyo, and 4) the study on Hyo obligation and Hyo education. Korean moral education is the best in the world, and China has the most abundant materials related with Hyo. If both countries unify and use these advantage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the synergetic effect can be created in maximum. In this respect, I suggest to organize so called ‘Korean-Chinese society for filial piety research’, and make an opportunity for academic and cultural communication regularly for long.

      • KCI등재후보

        한국대학원에 재학하는 중국 유학생의 효 의식에 관한 연구

        박미숙,이미정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1

        국제화로 인해 한국의 대학원에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 중국유학생들은 모든 유학생의 50%를 넘게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유교사상과 효 문화가 생활의 기저에 자리 잡고 있는 한국에서 효에 대한 의미와 의식이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의 효 의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 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2015년 3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연구자가 분류한 효의 내용을 근거로 공경의 효, 친애의 효, 봉양의 효, 입신행도의 효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경의 효에 대해서는 중국출신 대학원생들은 부모에게 공경함과 존중함을 갖추려고 노력하고 있었으며 부모에게 근심을 끼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효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친애의 효에서는 부모와 멀리 떨어져 있지만 부모를 사랑하는 마음은 변치 않으며 부모와 소통을 위해 화상전화와 메신저와 메일을 주고받고 있었다. 그러나 부모가 주는 사랑만큼 자신은 자녀에게 하지 못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봉양의 효에는 부모가 늙거나 병환중일 때 부모를 자신이 모실 것이라고 하였다. 요즈음 한국에서 부모님을 노인시설에 보내는 것에 대하여 이해를 할 수 없다고 하였다. 넷째. 입신행도의 효에서는 빨리 학위를 받아 부모님께 자랑스러운 자식이 되고 싶고 공명정대하고 청렴하게 자신의 명예를 잘 지키는 것이 자신이 할 수 있는 효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한국으로 유학 온 대학원생들의 효심을 들여다보는 기회가 되었으며 유학생들의 효 의식을 이해하고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re has been increase in numbers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graduate school due to the globalization. Among them, Chinese students account for more than 50%.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explore how their and filial piety are working in Korea in which filial piety culture and Confucianism are deeply roo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ilial piety consciousness of Chinese students who are attending graduate school in Korea. To do this, 7 Chinese students who are attending graduate school in Korea a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ive from March 2015 to May 2015.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has been analyzed being categorized by filial duty of honor, filial duty of affection, filial duty of support and filial duty of suc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garding to filial duty of honor, Chinese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trying to show respect and honor toward their parents and thinking that not causing anxiety to their parents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piety duty. Second, concerning filial duty of affection, even though they were living apart from their parents, their affection toward their parents do not change and they were keeping in contact with their parents via E-mail, messenger and display phone. However, they thought that their affection level is lower than that of their parents. Thirdly, in terms of filial duty of support, when their parents get older or sick, they said that they will support their parents. They said that they do not understand why Koreans are sending their parents to the nursing homes these days. Finally, with regard to filial duty of success, they want to achieve degree as soon as possible to be a proud and helpful offspring of their parents. Such results above gave opportunity to explore the filial piety consciousnes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graduate school and it is expected to give understanding of foreign students’ filial piety consciousness as well as provide academic resources.

      • KCI등재후보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정정애,박영숙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10

        우리의 전통사상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생활화하여 다문화사회에 뿌리내리고 자리매김하는 것은 우리가 마땅히 수행하여야 할 과제인데 다문화사회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에너지와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고 스스로에 대한 성취감과 기대감이 충족될 수 있도록 자기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여성과 결혼이민여성의 효의식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다문화시대에 우리의 소중한 전통생활양식인 효의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갈 수 있는 방법과 여성들의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하였다. 통계를 통해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은 결혼이민여성들의 효의식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효의식이 위협을 받고 있음을 보여 주는 근거이므로 한국여성들의 효의식에 대한 회복은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다문화사회에서 한국여성들이 효의식에 대한 모범을 보이지 못할 경우 현재 보다 더 심각한 가정의 문제가 우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예방하고 행복한 미래를 위해서는 우리의 아름답고 고유한 전통윤리인 효의식을 한국여성들이 모범을 보일 때 결혼이민여성들이 지니고 있는 효의식이 사라지지 않고 그들의 생활양식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더라고 효의식이 높아질 수 있는 교육이 시급하다고 본다.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교육과 연습 및 학습을 통한 효의식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연구분석결과 결혼이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온 결과는 이들의 성취감과 자신감 그리고 자신에 대한 기대감이 낮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요구되고 이들이 한국생활에 작 적응하여 자신감있는 여성으로서 가정생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앞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우리의 소중한 생활양식인 효의식을 회복하고 현대사회와 미래사회에 걸맞는 효의 식을 잘 보존하여 살아가도록 하고 여성들이 자기자신에 대한 효능감을 고취시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도록 힘써야 한다.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who are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I analyzed that how korean's Hyo consciousness different through Korean women and marriage immigrants women. And we 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Hyo consciousness and self-efficiency and analyze a influence between the factors. I wish to recover the Hyo consciousness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keep it that is suitable to today's and future society. Also we are looking forward to inspire the efficiency about themselves. This shows through the statistics that Korean women's Hyo consciousness is lower than the marriage immigrant's women. It means Korean's Hyo consciousness is threatened. So it is important to recover that consciousness. It is because if Korean women isn't became the model about the Hyo consciousness, it can be caused the serious problem of family in multicultural society. Consquently, we must prevent this problem and Korean women must model to Hyo consciousness. Then the marriage women will have Hyo consciousness and will preserve it and can be their life.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청소년자녀를 위한 성경적 효교육

        박행님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교육의 현장과 한국 교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정립하는 동시에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서 건강하게 적응하고 성장 하도록 도와야 하는 것은 한국사회와 교회의 책임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들로 하여금 한국사회의 일원 으로서, 또 교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성경적 효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에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게 한국문화의 기 저를 이루고 있으며 한국사회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여겨온 ‘효’에 관해 교육하는 것은 한국사회 적응과 한국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성경적 효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생활문화와 가치규범에의 적응과 그를 통한 한국국 민으로서, 또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바른 정체감 확립’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를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목표는 부모 공경을 통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는 법을 배 우게 하는 것, 부모를 공경함으로써 어른을 섬기며 가족을 사랑하게 하는 것, 부모 공경의 효가 이웃사랑과 나라사랑으로 확장되어 실천되도록 하는 것, 그리고 효의 정신이 자연보호와 인류봉사로 확장되어 실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성경적 효교육의 내용인 대리의 효, 순종의 효, 친애의 효, 존속의 효로 연결된다. 본 연구 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경적 효교육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내용을 바탕으로 다문 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방법을 구상하고 실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정체성 형성과 성경적 가치관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putting down roots as important members in education field and Korean church. Now, it becomes the responsibility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to help to establish identity of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firmly and to adapt and growth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as a device for helping adaptation of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for formation of identity. Hyo(filial piety) education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the effective way for support of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and formation of identity. Because of Hyo(filial piety) is the basis of Korean culture and core of human education of Korean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the adaptation in Korean life culture and the standard of value and the identity formation as the Korean people and people of God through the right understanding of biblical Hyo(filial piety). And the objectives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are to learn the fear of God through the respect for parents, to love families and to care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respect for parents, to love neighbors and nation, to protect nature and to serve mankind as a extension and practice of Hyo(filial piety). These objectives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 contents of Hyo(filial piety) education, that is Hyo of representation, Hyo of obedience, Hyo of affection, Hyo of continued existence. The plan and practice for the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goal, objectives and contents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is respected to contribute to the identity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biblical values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cont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education using Arirang : Focusing on the emotion of Han(恨)

        Kim, Ji An 한국효학회 2024 효학연구 Vol.39 No.-

        배경: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정신문화’ 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으로 형성된 문화, 도덕, 종교, 학술, 사상, 예술 등을 아우르는 말이다. ‘한국의 정신문화’는 한국인들끼리만 공유되고 있는 특별한 정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정신 활동에는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 또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분이나 분위기인 정서가 포함된다. 한국인 들이 ‘그렇게 언행 하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그 언행을 하게 하는 정신 활동의 ‘기인이 어디에 있는 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만 한다. 목적: 한국어교육에 있어 우리 삶의 표층을 이루고 있는 행동문화와 성취문화 못지않게 심층을 구성하고 있는 관념문화인 정신문화를 다른 영역에 앞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가시적인 현상과 행동이 있게 하는,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즉 ‘관념’은 사물을 느끼고 생각하며 판단하는 마음의 자세나 태도 즉 ‘정신’에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리랑이라는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접 근하기 어려운 한(恨)에 대한 정신문화 내용을 파악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능통한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능력의 함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론/접근: 첫째 한(恨)의 정서에 대한 개념 정립하고, 둘째 아리랑의 형성과 유형을 살펴보고, 셋째 아 리랑의 내용 통해서 한국의 정신문화 교육으로 한(恨)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한국적 한(恨)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 아리랑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정선아리랑은 망국 의 나라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충신의 한(恨)이, 밀양아리랑은 절개를 지킨 아랑의 한(恨)이, 진도아리랑 은 오랜 역사 속에 지켜낸 삶에 대한 애환의 한(恨)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는 아리랑의 사설을 통해서 한(恨)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게 될 것이며, 나아가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게 될 것이다. 이에 아리랑은 한국적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 확장 및 연계성을 갖기에 충분하다. 시사점: 아리랑의 사설을 통해 한국의 한(恨)의 정신문화 교육의 확장 및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한 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는 정신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about Korean han (恨)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Mental culture’ encompasses culture, scholarship, ideology, religion, art, and morality achieved through human mental activities. ‘Korea’s spiritual culture’ can be said to be a special mental activity shared only among Koreans. Mental activity includes emotions, which are moods or moods that evoke various feelings or emotions that occur in a person's mind. In order to know why Koreans ‘say things like that’, there must be an understanding of ‘where the origins’ of the mental activities that lead to those words and actions lie. Purpo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mental culture, which is the ideological culture that forms the deep layer, as much as the culture of behavior and achievement that forms the surface layer of our lives. This is because the opinion or idea, or ‘idea,’ about something that causes visible phenomena and actions can be said to be in the ‘spirit,’ or the attitude or attitude of the mind that feels, thinks, and judges things. Therefore, by using the educational material called Arirang, the goal is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 the mental and cultural contents of Han (恨), which are difficult to access, and to develop fluent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skill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ology/Approach: First, the concept of the emotion of resentment is established, second, the formation and type of Arirang are examined, and thir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resentment are revealed through the contents of Arirang through the education of Korean spiritual culture. Findings/Conclusions: Jeongseon Arirang is the sorrow of a loyal subject who has no choice but to watch the country fall into ruin, Milyang Arirang is the sorrow of an Arang who maintained fidelity, and Jindo Arirang is the sorrow of the joys and sorrows of a life that has been preserved throughout its long history. It is fully contained. Arirang's editorials are sufficient to expand and connect the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Korean resentment. Implications: Through Arirang's lyrics, we can confirm the expansion and connection of Korea's spiritual culture education of Han (恨),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more in-depth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후보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Madangnori

        Kim, Ji-An 한국효학회 2021 효학연구 Vol.- No.33

        배경: 한국어교육이 발전할수록 한국문화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어 교육계에서 한국문화를 포함한 한국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으로 연결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문화는 어 떤 집단이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는 가운데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발전된다. ‘마당놀이’의 진행 원리 가 개인이 어떤 집단 내에서 같은 시공간을 공유하는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문화 생성 원리를 닮아 있다. 개방성・유연성・특수성을 지닌 ‘마당놀이’는 한국문화교육을 하기에 좋은 문화 소재이다. 목적: 한국인의 전통 음악, 춤, 문학(서사), 연극의 문화 요소를 한데 어우를 수 있는 ‘마당놀이’를 활 용한 한국문화교육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첫째, 마당놀이의 이론을 정립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의 입장에서 초급·중급·고급을 대상 으로 할 수 있는 마당놀이를 선정한다. 셋째, 각 급수별 언어교육 내용과 문화교육 내용을 제안한다. 결과/결론: 초급단계에서는 언어수업 차원으로 한국 음식 이름과 재료의 명칭을, 문화수업 차원으로는 강 강술래의 놀이 중 하나인 ‘문지기 놀이’를 제안하였다. 중급에서는 ‘해님과 달님’이라는 전래동화를 인형극으로 구성하고 언어수업 차원에서는 ‘해님과 달님’ 읽기를, 문화수업 차원에서는 한국의 인형극 과 ‘떡 사세요’ 민속놀이를 제안하였다. 고급에서는 춘향전을 읽는 언어수업 과정 속에서 판소리를 알 게 하고, 사물놀이 장단 중 하나인 ‘이채 장단’을 엮어 사물놀이의 기본 장단을 익히는 문화수업을 제 안하였다. 시사점: 다국적 배경을 가진 한국어학습자들에게 열린 의식을 갖게 하는 ‘마당놀이’는 교육적으로 시 사하는 바가 크다. ‘마당놀이’의 여러 요소들을 활용한 활동 속에서 ‘능통한 의사소통’이라는 한국 어교육의 목표를 자연스럽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혈연이나 지역성을 뛰어넘어 인류공동 내 지는 범세계적인 문화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본고가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생산적이고 구체적인 문화 수업을 제공하는 실제적이고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Background: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s, Korean culture is emphasized, too. Even with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anguage classes accompanying Korean culture in the classroom, there are many difficulties when connecting those in actual classes. This is because the culture is based on time, space and experience in daily life. Purpose: 'Madangnori' has the same attributes as the nature of this culture. The openness, flexibility, and distinctiveness of Madangnori are enough factor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Korean culture. Methodology/Approach: First, the theory of Madangnori is established. Second,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adangnori that can be targeted at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is selected. Third, the contents of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for each level are suggested. Findings/Conclusion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adangnori', composed of cultura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ance, literature (narrative) and drama. Theme of beginner level is the daily life of Korean people, includes introducing the names of Korean food as language education, and playing 'Gatekeeper game', which is one of various forms of Ganggangsulae, as culture education. At intermediate level, I propose performing a puppet show after learning a fairy tale, 'The Sun and The Moon', and playing 'Rice cake selling' game on mingling phase. The advanced level introduces 'Pansori' through 'Chunhyangjeon' and base rhythm of 'Samulnori' through 'Ichae rhythm'. Implications: There is a great implication that 'Madangnori' has, which can embrace the multinational background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n open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it is likely to be developed into a common culture or a global culture beyond blood ties, religion and locality. With the activities that utilize various elements of 'Madangnori',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fluent communication'.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a practical and useful material that provides productive and concrete cultur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노인소외의 대응방안으로서 孝弟의 성찰 - 인간소외의 치유를 전망하며 -

        이선경 한국효학회 2018 효학연구 Vol.0 No.27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물질적 심리적 두 측면에서 모두 진행되고 있는 노인소외 심각성을 지적하고, 사상적 측면에서의 원인과 대응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한국사회는 2017년 예상보다 빨리 고령사회로 진입하였으나, 노인 빈곤률 50%, 노인 자살률 연속 세계 1위와 같은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정부분 전통적 가치관의 붕괴와 새로운 가치관의 미성숙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결코 개인의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보다 근원적으로 한 사회나 국가를 이끌어가는 가치관의 혼란에 기인한다. 따라서 향후 한국사회를 이끌어갈 인도주의적 가치관의 모색이라는 거시적 전망 속에서 노인소외의 문제를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글은 이러한 차원에서 수 천 년 간 유교사회를 이끌어온 효제(孝弟)의 가치관을 다시 성찰하였다. 가족윤리에서 출발하여 사회윤리로 확산되는 효제의 원리는 오늘날 비판적 성찰이 동반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유교문화권이 보유하고 있는 전통적 자산이기도 하다. 효제의 가치관 속에서 노인은 생물학적 약자가 아니라 자손들의 생명의 근원이자 가족화합의 구심점으로 존중된다. 효제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에 기반하는 덕목이라는 점에서 오늘날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효제는 가족윤리를 기점으로 하므로, 효제의 가치가 원만하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생적인 가족관계의 모색이 요청된다. 한 사회의 건강성은 법체계뿐 아니라 구성원들의 도덕적 자각과 실천을 통해 유지되는 것이라 할 때, 새롭게 정비된 효제의 가치와 윤리는 가족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 공동체로 확산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사회적 정책과 제도 역시 효제의 가치관을 중심에 두고 이를 실현해 나갈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효제의 확산은 노인소외뿐 아니라 인간소외를 치유하여 인도주의적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방안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겠다. This paper reveals that the alienation of old people in Korea, which has unfolded from both mater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reaches serious proportions.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alienation and looks for its solutions. Sooner than expected, Korea entered an aged society in 2017. In that year, the poverty ratio of households with aged people reached 50%, and the suicide ratio among senior citizens was the world leader along with the previous years. I believe that these negative effects of alienation partly stem from the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sense of values and the immaturity of the new sense of values. Here what causes the problem has to do with the dismantlement of value systems on the level of society or country as opposed to that of individuals. Thus, the problems involving the alienation of old people have to be approached from a wide perspective such as humanitarian value systems that will lead the future Korean society.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value of xiaoti (孝悌, filial piety and fraternal love), which has dominated Confucian societies. The value of xiaoti develops into societal principles from familial ethics. In this respect, it works as a good foundation for a humanitarian community. In the community based on xiaoti, old people are not neglected as biological weaklings; rather, they are highly respected as the origin of the future generations and the focal point of familial unity. The value of xiaoti needs to be reevaluated today in that it is rooted in universal human emotions. Also, since xiaoti starts from familial ethics, co-prospering relationships must be established among family members to realize the value of xiaoti. The soundness of a society is due not only to the maintenance of its legal system, but also to the moral awareness and practice of its members. In this sense, the reevaluated principle of xiaoti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familial level but expand to the social level. In this paper, I argue that social policies and institutions must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xiaoti, while illustrating the effects of such practices with several ex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