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좌절과 도약의 갈림길 : 한국학 세계화

        한도현(Han,Do-hyun)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2010 국제한국학연구 Vol.4 No.-

        한국학의 세계화는 두 가지 방향에서 추진되어 왔다. 하나의 한국학의 질적 수준을 월드 클래스로 만드는 것이고 다른 하니는 양적 측면에서 한국학을 연구하는 해외 학자와 해외 대학의 숫자를 확대하는 것이다. 양적 부문의 성장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성장에는 국제교류재단(외교통상부)과 한국학중앙연구원(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 활동이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두 기관의 상호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질적인 면에서 한국학의 세계화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질적인 면에서 한국학의 세계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석학들이 한국학 연구에 참여하여 학문적 영향력이 있는 논저를 생산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국내에서 창의적이고도 수준 높은 논저들이 생산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인문한국, 사회과학발전방안, 중점연구소 둥의 초창기 목적과 이상은 잘 실현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관료주의적 통제와 논문숫자 경쟁으로 말미암아 세계적 연구 논저의 생산이라는 목표와는 멀어지고 있다. 학자들이 연구과정으로부터 소외되어 자괴감에 빠져 있는 현실에서는 세계적 연구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한국학진흥사업단은 2010년에 학계와 정부의 지지를 받아 한국학세계화랩 사업을 출범시켰다. 국내외 석학들의 깊은 관심 속에서 출발한 이 사업도 초기의 목적과 이상을 실현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선진적 연구비 편성과 연구책임자의 자율성을 강조하려던 초기의 이상은 후퇴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내 한국학의 발전이 필수적인데 1차년도 한국학세계화랩 선정에서 국내가 완전히 배제된 것도 이러한 후퇴조짐의 하나이다. 앞으로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연구책임자의 자율을 강화하고 논문숫자보다는 학문적 수준을 강조해야 한다. 또 해외의 한국연구가 곧바로 한국의 국익에 봉사해야한다는 근시안적 자민족중심주의의 틀도 극복되어야 한다.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has been driven in two ways. One way has been to lift the quality of Korean Studies to a world class standard, and the other, increasing the number of scholars and universities within Korea and overseas that research Korea. There has been exponential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two areas since the later 1990s. The support and sponsorship of the Korea Found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ntributed greatly to this development. The cooperation of these two institutions has been very importan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Qualitatively,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still has a long road ahead. In order to propel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n terms of quality, international distinguished scholars need to be involved in Korean Studies and produce influential academic publications in addition to the need of creative and high quality academic publications produced in Korea. In this regard, the Humanities Korea, Social Science development plans, Core Research Institutions and so forth, should realize and implement their early goals and objectives. However, the reality of bureaucratic control and the competition of thesis numbers is far from, and increasingly moving away from, the goal of academic quality publications of international standard. The reality of scholars being alienated, even during the research process, makes it difficult to anticipate quality research of a world class. As a strategy to improve this matter, the Strategic Initiative for Korean Studies. received support from academia and the government in 2010, and launched the Lab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Although this project received great interest from scholars at the outset, it is uncertain whether the project will realize its goals and objectives. Signs of the ebbing research cost allocation and the regression of the initial emphasis on the research director's autonomy can be seen. Although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within Korea is vita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e fact that applications from South Korea were excluded from selection in the first year of the Lab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s a telling sign of the regression. What is more, the goal of the office seems to be changed: The name change from Strategic Initiative for Korean Studies into Korean Studies Promotion Service is telling that the emphasis on "quality' is weakening. For the future of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ere needs to be an emphasis on the autonomy of the research director, as well as quality of the academic research publication rather than numbers. In addition the shortsighted ethnocentrism framework that assumes overseas research on Korea must immediately serve the national interest must be overcome.

      • KCI등재

        한국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윤천근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韓國學論集 Vol.40 No.-

        관심만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만의 한국학은 그들의 한국학이다. 애증의 지평 위에 서 있는 관심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의 한국학, 그리고 일체화의 지평 위에 서 있는 관심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의 한국학은 우리의 한국학이다. 미국사람이나 러시아 사람들이 하는 한국학, '그들의 한국학'의 경우, 우리 밖 타자인 그들은 그들 나름의 역사와 문화 등에서 길러진 의식의 토대를 바탕으로 하여 관심, 또는 애정의 작용을 수행한다. 그들의 관심과 애정은 한국학 영역 속의 대상을 포착하며, 그들의 의식의 토대는 그들 나름의 역사와 문화의 전통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들의 한국학'에서 마련된 한국에 대한 학문은 일차적으로 그들의 삶을 이끌어가는 지남으로 쓰여 지고, 그들의 삶을 위한 자료가 된다. '그들의 한국학'에서 마련된 학문은 이차적으로 우리의 삶을 위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그들의 한국학'이 생산한 자료는 여러 면에서 '우리의 한국학'에서 생산된 자료와 다를 수 있다. '우리의 한국학'은 한국의 현실 속에서 구체적 삶을 살아가는 주체에 의해 한국이 대상으로 포착되고 학문으로 정리되어 한국적 삶의 현실을 이상으로 가꾸어 가는 자산으로 쓰여 지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우리의 학문은 우리의 삶으로 넘겨져서 한국을 가꾸어 가는 것으로 쓰여지고, 우리의 삶은 보다 절실하고 의미 있는 주제를 떠올려서 학문의 성격과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렇게 '우리의 한국학'은 우리의 학문과 우리의 삶이 서로 교통하고 서로 감응하는 영역이라고 하겠다.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현재 한국의 역사 속에 놓여진다. 현재 한국은 우리의 현실생활이 영위되고 있는 곳이고, 우리의 투쟁과 노력이 투입되고 있는 곳이고,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곳이다. 과거 한국, 그러니까 전통시대의 한국이나 미래의 한국은 현재한국과의 연장선상에서만 나름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삶으로서의 한국학의 성전은 현재 한국을 포위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문제점은 무수히 많고, 문제점을 들여다보는 시선은 다양할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 삶을 살아가는 한국인들은 현재 한국을 포위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자신의 방식으로 포착하고,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나름의 투쟁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우리가 그 문제점과 얼마나 밀착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얼마나 건강하고 얼마나 적실한 것인지를 평가받을 수 있게 된다. 오늘날 우리의 한국학은 학문의 모습으로 한정되고, 전통 한국을 해명하는 것에 국한된다. 그것은 지식과 자료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학이다. 한국적 삶의 현실은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전통을 우리 주변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일은 앞으로도 중단 없이 계속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가 수행하는 한국학의 전력이 여기에만 집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것은 삶과 유리된 지식으로서의 한국학일 따름이기 때문이다. 삶은 언제 어디에서나 가장 중요한 현안문제이다. 삶을 떠나서는 우리는 인간의 역사를 가꾸어 나가는 효과적인 수단을 가질 수 없다. 이곳은 인간의 역사가 갖추고 있는 유일한 전장이다. 그런 삶을 떠나서 책상 위에 사로잡히고, 곰팡내 풍기는 책 속에만 파묻힌다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하기 어렵다. 책상 위와 책 속은 삶의 전장에 공급할 무기들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중심은 삶의 전장이고, 책상 위와 책 속은 보조라는 점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우리의 한국학은 전통한국을 대상으로 삼는 것 이상으로 현재 한국을 들여다보는데 공을 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현대 한국이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 부터 투쟁과 응전은 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대 한국이 학문으로 정리되고, 현대 한국의 삶이 그 학문과 유기적 관계를 맺을 수 있을 때, 전통을 들여다보는 것도 나름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선언될 수 있을 터이다. 우리의 한국학은 문제투성이의 지금의 한국적 삶의 현실과 조금 더 이상으로 다가가 있는 미래의 한국적 삶의 현실 사이에 있다. 한국적 삶을 변혁하고 개혁하는 것이 한국학의 책무이고, 한국적 삶을 변혁하고 개혁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의 중심이 현재의 한국적 삶의 현실을 가꾸어 가는 데 놓여 져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오늘날 한국적 삶의 현실은 방치되고 있다. 우리는 이 삶을 가꾸어 가는 노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오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인간의 운명을 고민하는 현대 한국인의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생활철학의 모습을 갖추기를 요청받고 있다고 하겠다. 집단적으로 각성된 생활문화가 인류의 미래를 보장하여 줄 수 있는 지혜를 담고 있기를 요청받고 있는 것이다. 한국적 자본주의의 새로운 문법 역시 이러한 점과 연계되어서 보다 적극적으로 추구될 필요가 있는 것이지만,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전하기 위해서는 현대 한국의 갈등구조 역시 빠르게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될 일이다. An American, or Russian can study about Korea with an interest or love. But they can not over the limit like that. It is only our function to over that limit and advance in upper stage. We, a Korean, can study about Korea by complex consciousness like mixed with love and hatred, or absorption for history and culture of ourself. Koreanology is to study about Korea. In that case, Korea, a term, exactly mean the Korea of modern. But the Korea can not divided like a bread. The Korea is spreaded in whole territory of time. The past is a property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a dream of the present. Therefore we must concentrate in modern, because the Koreanology is to make the Korea of the present more ideally. In the Koreanology, the ideal is not a ideal of itself, it is the ideal in the history of Korea. The Korea have it's own history, culture, wisdom, and dream. If we want to advance more idealistic, we must introduce the past of the Korea in the present of the Korea, and we must rooted the future of the Korea in the present of the Korea. In the Koreanology, we limited usually our endeavor to study the Korea of past scholastically. It is important, but it is not the main and unique field, but a side and assistance area. The prosecution of studies have not it's own aim, it must pass it's results to the life of Korean of those days. Life is only one which get it's own aim. If something can't have any connection to the life of Korean, it haven't any meaning affirmatively, in the realm of the Korea. This is general in the whole area of humanbeing, and it is same in the Koreanology. in that point of view, the Koreanology must have two area at least, that is, the one is to persuit of learning, the other is to struggle in the life of everyone of Korea of present, the former is to produce the stuff of the latter, the latter is to produce the result of the former, anyone who have conceive about Korea include a foreigner take part in former stage, but in the case of the latter, only a Korean take part in that actual process. In the present day, all of the Korean must endeavor with one's best, and must introduce the history of Korea to more evolved situation. I say, it is the Koreanology. Therefore, in the realm of the Koreanology, the whole capability of us must focused to struggle against to the problem of Korean's society. In these point, the studies about Korea of past, present, future, and the practice of our century, and the efforts of our lifes in everyday, must coincide in one trend, and leaded to product something which requested by the history of Korea or humanbeing in present days.

      • 한국학에 대한 서설적 고찰

        황패강 강남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993 韓國學論集 Vol.1 No.-

        한국학은 한국에 관한 인문·사회·자연과학 각 분야의 통합적 연구로 <한국>의 성격을 구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학 대백과사전』, 『한국학 연구』, '한국학 연구소', '한국학 대학원'...등 '한국학'이란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으나, '한국학'에 대한 학문적 정의는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한국학 대백과사전』(을유문화사, 1972)에도 '한국학'의 정의를 밝힌 항목이 없다. 『한국학』(현암사, 1972)도 한국에 관한 14개 분야에 14인의 논문을 놓았을 뿐 '한국학'에 대한 별다른 설명을 볼 수 없다.

      • KCI등재

        동아시아학 속의 한국학-미국 UC 버클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재용,Rachel Min Park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7

        While the discipline of Korean Studies has grown increasingly popular and widespread in recent years, there is often an assumed homogeneity between the “Korean Studies” practiced across different countries, eliding the specific sociohistorical contexts that led to its various disciplinary formations.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Korean Studies as practiced in South Korea proper and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was inextricably linked to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Studies, using the specific cas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to consider how early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global events such as World War II and the Vietnam War, and federal-level education policies influenced the direction and tenor of research on Korea within the United States. By reassessing the genealogy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demonstrating its sociohistorical differences with its development in South Korea, this article ultimately aims to provide a productive framework in reconsidering research methodologies, promoting cross-country exchange in terms of scholarship, and future promising directions for the framing of Korean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각국에서 한국학의 성장세는 뚜렷하지만, 한국 안에서의 한국학과한국 밖, 특히 미국의 한국학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미국에서 한국학의 발전이동아시아 연구라는 좀 더 넓은 맥락과 어떤 불가분의 관계가 있었는지를 미국 UC 버클리대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UC 버클리대학교 한국학의 성장은 미국이 참가하였던두 차례의 국제전, 태평양 전쟁과 베트남 전쟁 수행과정에서 연방정부의 지역 전문가의 육성차원애서 이루어졌다. 또한 이 글은 궁극적으로는 한국학의 연구 방법론을 재고하고 학문적 차원에서 국가 간 교류를 촉진하여 한국학 연구의 생산적인 틀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프랑스 외교관이 남긴 한국학의 흔적-『한국서지』의 출간과 그 이후-

        이상현 ( Lee Sa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8

        본고는 프랑스 외교관이자 동양학자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 1865~1935)이 출판한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eenne)』(1894~1896, 1901)를 주목했다. 왜냐하면 『한국서지』가 출판되는 과정과 출간 이후의 모습은 근대 한국학의 현장과 관련해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 사건은 제도적인 차원에서 한국학이 정립되기 이전 시기, 서양인의 한국학과 그 학술네트워크의 일면을 잘 보여준다. 왜냐하면 쿠랑이 한국학을 연구하며 자신의 논문과 저술을 발표할 수 있었던 기반과 토대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쿠랑이 유럽 동양학자들 그리고 한국 개신교선교사와 함께 공유했던 학술단체와 학술지이다. 쿠랑은 동양학 학술네트워크에서 유통되는 유럽 동양학자의 초기 한국학 논저를 참조하며, 『한국서지』를 집필했다. 또한 그는 ‘한국에는 근대 문예물에 대비되거나, 한국 민족성의 우수함을 보여주는 문학작품이 없다’는, ‘한국문학부재론’을 공유했다. 하지만 ‘한국문학부재론’ 혹은 서구적 근대문학개념에 의거한 한국문학론이라는 지평만으로는 이 시기 외교관, 동양학자, 개신교선교사, 그들이 공유했던 한국학의 새로운 모습을 평가하기 어렵다. 오히려 ‘언어·문헌학(philology)’이라는 서양의 학문적 방법론과 한국문헌의 만남이라는 거시적 시각으로 이 현장을 다시금 성찰해볼 필요가 있다. 즉, 한국 민족의 언어와 문학을 조사하여 그 문화의 성질을 밝히는 학문적 방법론 즉, ‘언어·문헌학’이라는 그들의 학문전통 그리고 한국문헌의 발견이라는 사건을 주목할 때, 이 시기 그들의 새로운 한국학의 지평을 엿볼 수 있다. 우리는 이 현장 속에서 한국의 문헌을 통해 한국 민족문화의 기원과 역사를 규명하고자 했던 외국인의 새로운 시도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개신교선교사들의 정기간행물과 한국학 학술단체(왕립아시아학회 한국지부)의 모습을 보면, 새로운 한국학의 영역을 개척한 『한국서지』의 출간 이후 그들 역시 이러한 연구흐름에 동참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의 한국학 속에는 젊은 프랑스외교관이었던 모리스 쿠랑의 흔적이 함께 새겨져 있었던 셈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Bibliographie Coréenne(1894~1896, 1901), published by Maurice Courant(1865~1935) who was a French diplomat and Orientalist. The publication process of Bibliographie Coréenne and situations after its publication are worth giving attention to in relation to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ology. This is because this event shows the time period before Koreanology was established in institutional dimensions along with the Koreanology of Westerners and aspects of its academic networks. Courant researched Korean literature, possessing the foundation and groundwork upon which he could present his theses and writing. Courant shared activities in academic organizations and journals with other European Orientalists. Courant referred to early Koreanology writings of European Orientalists distributed within such academic networks and wrote his own work. He shared the Theory of an Absence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gues that there are no literary works in Korea that compare with modern literature or that display the excellence of Korean ethnic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diplomats, Orientalists,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he new images of Koreanology that they shared in that time period with only the prospect of Korean literary theories. It was an academic methodology that revealed the properties of that culture through the study of the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people, or in other words, it was their academic tradition of philology. Also, it was a new attempt by foreigners who wished to examine the origins and history of Korean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of Korea. After the publication of Bibliographie Coréenne, Korean protestant missionaries were able to pass down such tendencies of new Koreanology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Courant.

      • KCI등재

        한국학의 개념과 세계화의 방안

        전성운(Chun Sung-w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2 No.-

        이 논문은 한국학의 개념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학 세계화의 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학은 명칭, 영역과 범주, 공간 등에 따라 그 개념과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한국학은 국학의 정서적 주관성을 극복하고 보편적 학문 영역 속에서 한민족과 그 국가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학문 분야로 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한국학의 세계화는 하드 파워에 근거한 국가 경쟁력과 문화요소, 일정한 규모 이상의 인구 요소가 확보되어야 달성 가능하다. 그러므로 국제어 혹은 광역소통어의 능력을 갖춘 역량 있는 한국학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근본적이고 원칙적인 차원에서 한국학의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conception of Korean study and its way of globalization. The Korean study called diverse names, for examples native study, national study and Chosun study etc according to the time and background of research. So the Korean study have to overcome the subjective aspect of researching the Korean and to select the objective attitude of studying the Korean. This means that the Korean study should be the local study from the point of world but it also be a the only and special study from the point of the Korean.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study could not accomplished all at once. The Korean should do their best for globalization. And it also needs for the hard powers based on the nation's competitive, generally it concluded the military, the diplomatic and the economic power, the population scale and cultural brand power etc. Based on these factors, we should educate experts studying the Korean and they could communicate with foreigners without any difficulties. We have to find ways of globalizations of the Korean study at the fundamental and principle levels. And we try to develop our exchange value of the Korean and its cultures.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한국학의 심화ㆍ확산과 해외 한국학의 집단전기학

        장윤희 ( Jang Yoon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1

        The Prosopography of Korean Studies abroad is the way to deepen and spread East Asian Koreanology.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Koreanology corrects the view of regarding Korean Studies abroad as the periphery of domestic Korean Studies. By examining Korean Studies in each region abroad with this methodology, we can see that Korean Studies abroad is in an equal relationship that allows domestic Korean Studies to coexis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rosopography of Korean Studies abroad is a way to escape from the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of East Asian Korean, that is,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abstractness of discourse-oriented research, to further develop.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ivide Korean studies abroad into three regions: Korean studies in Japan, Korean studies in the West, Korean studies in socialist region. And then, Each region’s prosopography should be described centering on the subject, institution and ideological(or cultural) aspects of Korean studies. In addition, in terms of tim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old War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local Korean studies in each perio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the identity of domestic Korean Studies as well as Korean Studies in each region abroad, which exists as a ‘Korean studies in multitude’. This research will be a way to develop and deepen East Asian Koreanology as well as to develop Korean Studies as one of the most revered global academics.

      • KCI등재

        사회학에서의 한국학 연구동향

        임현진(Lim, Hyun-Chin),정일준(Chung, Il-Jo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21세기 한국 사회학의 올바른 자리매김은 ‘홀로서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세계 학계와의 ‘관계맺기’를 위한 방법과 논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우리 현실을 바탕삼아 새로운 사회이론을 만들 수 있도록 한국 사회에 관한 문제틀, 메타이론, 방법론을 제시해야 한다. 첫째, 사회과학의 분야별 영역주의를 타파하여 우리 사회에 독특한 주제에 관한 융합과 통섭의 총합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이때 학제적 연구를 넘어 초제적 또는 탈제적 접근을 추구해야한다. 사회과학 내부에 인위적으로 구획된 장벽을 낮춤으로서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사이의 대화를 촉진하여 보다 열린 지식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학은 역사학과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 사회에 관한 부분사적ㆍ전체사적 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 사회에 대한 분석을 보다 심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연구가 외래 이론에 의해 계도된 사실분석이었다면, 앞으로는 한국 현실에 대한 ‘짙은 묘사’를 바탕으로 ‘제한된 일반화’를 시도함으로써 우리 이론을 만들고 바로 세우는 작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학은 다른 국가, 문화,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연구의 국제화와 지역연구의 국내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지평에서의 논의도 평가할 수 있다. 우리의 문제를 우리의 시각에서 정립하고 또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때, 나아가 세계의 문제를 우리의 준거를 가지고 정의하거나 재해석 할수 있을 때, 한국학의 세계화가 가능하다. The right positioning of 21st century Korean Sociology lies on the one hand in ‘standing alone’ of Korean sociology, and on the other hand in ‘reaching out’ to global sociology. In order to develop Korean sociological theory based on our own experiences, we should elaborate problematique, meta-theory and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society. First, by dismantling disciplinary divisions, we should pursue comprehensive approaches in our unique research topics. Inter-disciplinary, trans-disciplinary, and post-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We should promote dialogues among political science, economics and sociology within social science discipline thereby establishing more opened knowledge system. Second, sociology should strengthen its ties with history department. By using particular and total knowledges accumulated in history, we can delve into Korean society more intensively. So far the study of Korean society is mainly guided by the imported foreign theories, we can try ‘limited generalization’ based on ‘thick description’ of Korean realities. Third, we should lead comparative researches with other nation-states, cultures, and regions. In order to do that, globalizing national researches and nationalizing regional researches are preced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the universal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ies can be evaluat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We can globalize Korean studies only on these conditions: We could problematize our own problems upon our own perspectives and show solutions of our own making. Furthermore, we can define or interpret global problems from our own reference poi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