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보 교과 교육 :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서인숙 ( In Suk Seo ),김종한 ( Jong Han Kim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1

        21세기는 컴퓨터와 정보통신이 사회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화 사회이다. 컴퓨터를 도구로 지식은 대량 생산되고 정보는 계속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시대변화에 적응하고 능력 있는 기술을 육성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내용은 창의력과 사고력 배양을 궁극의 목표로 설계되어야 하며, 학습활동은 자기 주도적 형태를 취하여야 한다. 이에 컴퓨터는 필수적인 학습도구요 지식습득과 정보수집의 매체요 나아가 정보생산의 도구인 것이다. 컴퓨터 활용능력은 학습활동의 선수능력이며, 컴퓨터시스템은 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개별학습의 일반화에 전제조건이 된다. 오늘날의 컴퓨터 교육은 급격한 사회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컴퓨터 교육에서 다루는 영역들은 컴퓨터 기술 발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따라 점진적인 변화를 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선택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컴퓨터 교육과정 및 컴퓨터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컴퓨터 교육을 개선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및 외국의 컴퓨터 교육에 대해알아보고,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해서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성공적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 Track 5 컴퓨터활용교육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의 논문 주제어 분석 및 동향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조정일 ( Jeong Il Cho ),최현종 ( Hyun Jong Cho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2

        현실로부터 외면 받던 컴퓨터 교육이 2013년 창조경제 정책으로 인한 ICT 인력 육성으로 인하여 다시 사회의 관심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두되고 있는 컴퓨터 교육의 관심과 필요성이 다시 외면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에 실린 논문 주제어를 분석하고, 동향을 살펴보며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0년~2013년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에 게재된 논문과 논문의 주제어들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와 학술 데이터베이스 사이트를 통해 수집한 결과 207개의 논문과 803개의 논문 주제어를 얻을 수 있었다. 803개 논문 주제어들을 분석한 결과 2010년에서 2013년 사이의 논문 중 가장 많은 주제어는 정보윤리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창의성, 프로그래밍 교육, 인터넷 중독, 로봇 순이었다. 연구의 바탕으로 2010년 이전의 논문 주제어들과 2014년 이후의 논문 주제어들을 분석하도록 하여 컴퓨터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정보 과학 교육 : 초등학교에서 실과 교과내용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방안 연구

        전윤주 ( Yun Ju Jeon ),송정범 ( Jeong Beom Song ),이태욱 ( Tae Wuk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1

        2008년 12월 31일로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이 폐지(교육과학기술부, 2008)됨에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체계적인 컴퓨터 교육이 힘들게 되었다. 이에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필수 교육과정인 ``실과``를 중심으로 초등 컴퓨터 교육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은 5차 교육과정에 등장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교육되었다. 현재 현장에서는 특기적성과 영재교육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학생에게 교육되고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과 중심의 프로그래밍 교육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실과에서 ``우리 생활과 전기 전자``단원은 로봇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적합한 단원이다. 이 단원에서 교육 목적에 맞는 로봇을 선정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하는데 적합하다.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장점은 여러 가지로 알려져 있다. 실과뿐만 아니라 각 교과에서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중등 정보·컴퓨터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J07-CS 교육과정의 비교

        안영희 ( Younghee An ),김자미 ( Jamee Kim ),이원규 ( Won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4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수준은 정보·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에 의존 한다. 본 연구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이 정보·컴퓨터 교사의 교과전문성을 담보하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한국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정보·컴퓨터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과목을 일본 정보학분야 고등정보교육과정인 J07-CS의 내용체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과목과 비교하였다. 둘째,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기본이수과목과 비교하고 셋째, 각 대학의 기본이 수과목 개설 현황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 교사양성기관에서 개설되는 정보관련 과목 수는 J07-CS의 과목 수와 비교하여 부족하였다. 비교기준을 기본이수과목으로 한정해도 내용요소가 부족하였고, 교사양성기관별 기본이수과목의 개설 비율도 낮았다. 2018년부터 실시되는 정보교육의 목표를 원활 이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등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Since 2018, the level of informatics education that is mandatory in junior high schools depends on the subject matter expertise of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es provide curriculum that guarantees the subjectivity of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first compares curriculum courses for educating Informatics & Computer teachers of Korea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es with subject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of J07-CS, the informatics education in Japan. Second, we compare the basic subjects offe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th the vocational subjects. Third, we analyzed the basic subjects of each univers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informatics-related courses opened by Korea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subjects in J07-CS. Even though the standard of comparison was limited to basic subjects, the content elements were insufficient, and the ratio of the basic subjects of each university was low.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informatics education from 2018, it is urgent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 컴퓨터교과교육과 컴퓨터과학 : 초등 정보기기 영역에 대한 언플러그드 협동학습 수업설계 연구

        서인숙 ( In Suk Seo ),김종한 ( Jong Han Kim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5 No.1

        급변하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변화의 중심에 컴퓨터가 존재하고 있으며, 컴퓨터 관련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어 컴퓨터과학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 아니면 그러한 변화를 따라가기 어렵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초·중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컴퓨터 교과의 교육과정도 소프트웨어 활용 측면에서 벗어나 컴퓨터과학 중심 교육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컴퓨터 교과의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생은 구체적 조작기에서 형식적 조작기로 넘어가는 단계로 추상적인 개념에 대해서는 학습의 곤란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과학교육 학습은 초등학생들이 학습하기에 어렵고 큰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인지발달수준에 적합한 구체적 조작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개념 이해가 어려운 컴퓨터과학 영역 중의 한 분야인 정보기기 영역을 측정대상이 초등학생임을 감안하여 협동학습과 구체적 조작활동을 통한 학습으로 다가감으로써, 컴퓨터에 대한 호기심, 관심, 적극적인 참여 태도로 컴퓨터과학 개념원리 습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컴퓨터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정 방안

        이태욱,유인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9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 No.1

        정보화된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필요한 지식을 획득하고,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실제로 문제 해결과 과제 수행 활동 등을 직접 경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육과정 구성도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수용하고, 변화된 컴퓨터 교육의 패러다임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컴퓨터 관련 교과가 선택 운영됨에 따라 경시되거나 학습 내용의 위계 및 연계성이 부족하며, 교육과정이 컴퓨터 산업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과 아울러 컴퓨터 관련 교과가 대학 입시에 반영될 예정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의 개정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런 배경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관련 부분을 검토해보고, 컴퓨터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개정 방안을 고찰하며, 대학입시에의 반영 방안을 탐색한다.

      • KCI등재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이은경,박상욱,전성균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romoting CIL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actual school fields. We conducted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needs for 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analysed 227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CIL convergence education was very high while understanding level of the CIL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 actual frequency of teaching experiences were relatively low. In addition, CIL convergence education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through Informatics curriculum rather than various subjects. We identified that the main constrains of CIL convergence education were the burden on the progress of subject based curriculum as well as the lacking of teaching and learning equipments including computers. We identified that the needs for empower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s and constructing the phys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f school sites were high. In discussion, we suggested the support strategies in term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ional supports, and physical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융합 교육 활성화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중등학교 교사 2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융합 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 교육 수행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융합 교육 활동은 다양한 교과가 아닌 정보 교과를 통해 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융합 교육 수행의 어려움은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과 컴퓨터를 비롯한 기자재의 부족 및 노후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학교 현장의 물리적, 제도적 환경 구성에 관한 요구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 제도적 지원, 물리적 환경 구축 측면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안미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4 No.2

        컴퓨터교육의 영역을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그리고 컴퓨터활용교육으로 나눈다면, 컴퓨터교사의 지식은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지식, 교과교육의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지식을 주로 말한다. 그 중 교과교육학은 교수-학습을 위한 설계 및 운영과 평가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교과교육학을 더 특성화된 지식으로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교육방법(PCK)을 살펴보자 한다.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PCK에 대한 이해 정도와 교수능력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사의 지식과 PCK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수학교육과 음악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과목이 서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하듯이 컴퓨터교육에서도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방법적*상황적 지식을 포함하는 컴퓨터 교과교육방법적 지식(C-PCK)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지식의 하나로 C-PCK를 포함한 것을 제안하며, 앞으로 이어질 C-PCK에 대한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방법을 개선하고 컴퓨터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구심점이 되며,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하태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9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 No.1

        정보화 시대에 살고있는 우리는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요청에 부응하여 교사 중심의 교육 환경을 학습자 중심의 선택에 강조점을 두고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양질의 교육 환경이 좋은 교육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컴퓨터 교육 환경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시의 적절한 연구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북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의 환경과 그 실효성에 대한 자료 조사를 설문지와 면접법을 통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수업 만족도, 전산실 사용 만족도를 중심으로 전체를 분석하고, 인문계 고교와 실업계 고교, 그리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의견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모든 학생들이 컴퓨터 수업과 전산실 사용에 불만족을 느끼고 있었으며 주요한 이유는 컴퓨터 시설의 미흡과 컴퓨터를 전공한 전문 교사의 부족함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컴퓨터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정부는 교육용 컴퓨터보급, 교사용 컴퓨터보급,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보급영역, 컴퓨터 교육을 대학에서 4년동안 전공한 전문 교사의 현장 배치의 시급함 등 네 가지 부분에 주력해야 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컴퓨터 비전과 자연 언어 처리 기반의 인공지능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정훈,배진아,고아라,조정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3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특히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을 넘어 심화교육을 위한 연구는 비교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심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기술적 역량, 윤리적 인식, 진로 선택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설계는 컴퓨터 비전, 음성 및 자연 언어 처리를 중심으로 한 심화교육과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통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정보역량, 인공지능 역량, 인공지능 윤리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교육이 참가자들의 진로 및 전공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통합 교육이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윤리적 인식과 전공과의 융합역량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rapid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bringing about innovative changes across society, and these changes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field of education. Accordingly, research related to AI education is actively being conducted, yet there is a relative shortage of studies focusing on advanced education beyond AI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dvanced AI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 how it enables high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changes in technical skills, ethical awareness, and career choices. The program design incorporates advanced education centered around computer vision, speech,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long with AI ethics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information competency, AI competency, and AI ethics competency, confirming that this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their career and major choic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I integration education can play a crucial role beyond mere technical skill acquisition, highlighting its importance in fostering ethical awareness and the ability to integrate these skills with academic discip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