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 변동과 한국 출판의 변화

        박몽구(Park Mong-Gu) 한국출판학회 2005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8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 변동기 한국 출판의 양상을 비판 검토하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 출판은 커다란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초래한 으뜸가는 원인은 문화 산업과 상품시장의 개방이다. 한국 출판 시장에 대한 외국 자본의 직접 투자는 그 좋은 예이다. 실제로 독일계 출판사인 베텔스만 코리아사는『다빈치 코드』의 직접 출판을 계기로 한국 출판 시장에 진입한 바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한국 출판은 전지구촌 규모의 경쟁과 맞닥뜨리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런 상황의 타개를 위해서는, 한국 출판은 무엇보다도 새로운 저자군과 신선하고 튼튼한 기획 수립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최근 들어 한국 출판은 웰빙 붐의 선호에 따른 생활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한 실용서 붐을 맞고 있는 중이다. 한 가지 특징적인 사실은 이 같은 서적들이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을 뿐 더러 평가가 정착되지 않은 무명 저자들에 의해 씌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 무명의 필자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실용서는 문학 분야의 서적들을 제치고 상업성으로 무장한 채 무서운 속도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이들 실용서들은 겉모양보다 실질적인 내용을 선호하고 있기도 하지만, 종종 그것들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비실용적일 경우도 적지 않다. 현실의 삶에서 실행하기 어려운 달콤한 메시지들을 양산해 가고 있는 처세술 서적들의 경우에 특히 그렇다. 프랑스의 정신분석가 겸 철학자 자크 라캉의 관점에 따르면 이것들은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적나라하게 반영하고 있음에 다름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들 실용서들을 비판적인 안목으로 읽지 않으면 안된다. 예기치 못한 새 밀레니엄 시대의 사회적 변동에 직면하여, 이들 실용서들은 우리들로 하여금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하게 한다. 한편으로 우리들은 이들 공허한 메시지들이 한국 사회와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를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아울러 이들 메시지들은 한국 사회를 능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내용으로 개편되어야 하며, 또한 새로운 출판의 연대에 즈음하여, 목마른 한국의 독자들을 깨어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오늘날 한국 출판은 전자책의 등장과 함께 목하 퓨전 출판 시대를 맞고 있다. 따라서 영상 시대에 익숙한 새로운 독자에 대한 애정과 함께 새로운 독자군의 취향에 맞추어 나아가야 한다. 나아가 한국 출판은 균형 잡힌 퓨전 출판, 즉 종이책과 전자책의 공존 시대에 걸 맞는 패러다임의 창출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리드해 나가야 한다. This study's aim is to research Korean publishing on cultural changing age. Korean publishing has met big changing point. Above all its first cause market opening of cultural products and industry. Direct investment to Korean publishing market of foreign capital is a good instance. As the facts, Random House has reach a Attainment of a proposed object through publishing on Da Vinci Code etc. Following these situations, Korean publishing must be to accord with new global competition system. Above all, they must endeaver to seek new author and to make a strong plan. The most recent, a immense change that Korean publishing has been confronted is boom of practical book publishing book centering on books of the art of living. A special characteristics is that these books of the art of living is written by unknown authors that is not appraised. According to the entrance on the stage of these unknown authors, at the Korean publishing world, the practical book has overwhelmed the literary book and other field on kinds and merchandising quantity. These practical books prefer to reveal the substance than the designation. Sometimes that message is impractical. According Jacques Lacan's view, it has reflect human endless desire. Therefore we must read these books with critically. Confronted unexampled social change, books of the art of living that well-matched new paradigm are needful publications above all. But we need a message that nicely paired with the realities of life on Korean society than message of hollowness. And they must be changed to contents heading toward positive humanity with an appreciative eye that looking squarely the root cause of social contradiction. So, recovering original function of publishing, the future of Korean publishing is brightened more. At the same time, Korean publishing has met fusion publishing age according to the developing of internet and appearing of e-book. Therefore they provide new contents adapting with new readers that living culturing age. After all between paper books and e-book to be made good connection, through creating new readers and introduction on drawing skill and moving pictures and animation.

      • KCI등재

        한중출판학술회의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김진두(Kim, Jin-Doo)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2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중국은 지식과 문화를 상호 교류하여 왔다. 한국과 중국은 출판을 통해서 교류하며 한국이 받아들인 중국의 선진 문화와 지식은 한국 문화의 토양이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은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출판학의 교류가 일어나게 되는 것은 출판학술회의를 통해서이다. 거기에서 상호 이해를 도모하게 된다. 국가 사이에도 학술회의를 통하여 각국의 출판 발전과 변화를 한자리에 모여서 서로 점검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한다. 1984년부터 시작된 국제출 판학술회의(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cience)의 창설을 통해 출판학 교류가 시작되고, 이는 양국 사이 출판학 교류로 발전하여 한국출판학회와 중국출판과학연구소가 주최하는 한중출판학술회의가 연례적으로 1995년부터 열렸으며, 논문집도 2013년까지 15회에 걸쳐 발간되었다. 이제 한중출판학술회의가 창설된 지 20년이 되어간다. 지난 20년 간 15회에 걸쳐 한국과 중국이 상호 개최한 한중출판학술회의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출판학 교류를 상징하는 한중출판학술회의에 발표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해야 한다. 이 논문은 계량적 분석을 통해서 한중출판학술회의에 제출된 논문의 성격과 연구자 성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한중출판학 술회의의 논문 주제가 대부분 출판 현실에 편중하여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고르게 논문을 발표하지 못하고 있고, 디지털화되는 출판 환경을 반영하듯 디지털 출판에 관련된 주제를 많이 선택하고 있는 등 다양한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출판 실무를 논문으로 서 다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출판 실무자와 공동연구를 하거나, 실무자가 직접 논문을 제출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Korea and China,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to each other, have engaged in the exchange of knowledge and culture. Particularly, the advanced culture and knowledge that Korea has adopted in the course of the exchange through publication have helped laid foundation for Korean culture on which basis Korea could develop its unique culture. The exchange in the field of publishing science has been made through the publishing science symposium instrumental in promoting mutual interest. The international symposiums that bring the countries under one roof have provided a platform for reviewing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publications in respective countries and exploring the measures for development. The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dates back to 1984 when the 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cience was launched. This exchange has developed into the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ultimately leading to the launch of annual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co-organized by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and Chinese Institute of Publishing Science in 1995, an academic event which has been held to date. In addition, the article collections have been published 15 times until 2013. This year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Now, it is time to analyze the articles presented in the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which has been held 15 times over the last 2 decades, co-organized by Korea and China, and to identify and resolve problems. Moreo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sort out the articles that have been presented in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which symbolizes Sino-Korean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icles submitted to the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and examine the tendency or inclination of researchers through econometric analysis. As most themes of articles presented in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tend to place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the publishing reality, researches have been unable to present articles of various themes in a balanced manner.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could be identified, such as the selection of many themes associated with digital publication, amid the transition to digitalized publishing environment. Efforts need to be redoubled, such as the joint research with the working-level personnel in charge of publication and encouragement for the working-level personnel to submit the articles directly, considering the reality in which most researchers of Korea are unable to handle the publication works through articles.

      • KCI등재

        한국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부길만(Booh, Gil-Mann)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출판문화사의 인접 분야에 해당되는 한국 언론사와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고찰한 다음,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는데, 한국 출판문화사가 우리 민족의 정신사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내세웠다. 첫째, 출판의 시대적 역할과 사회적 관련성, 둘째, 출판물을 기획·제작·유통시키는 출판 주체, 그리고 출판수용자에 해당되는 독자층의 문화의식이다. 여기에서 문화의식이란 단순한 문화적 욕구나 수용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 문화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지니게 되는 공동체의식, 역사 발전을 이루어내는 비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 출판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 14세기 후반 이전 : 한국 출판문화의 시작 제2기 14세기 후반~16세기 : 엘리트 지식인의 문화의식과 금속활자의 활용 제3기 17세기~1883년 : 평민의식의 고양과 독서문화의 확산 제4기 1883년~1945년 : 국민 계몽 및 민족의식의 발현과 출판 (1) 1883~1910 : 국민 계몽 운동 및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1910~1945 : 민족의식의 성장과 출판 제5기 1945년~현재 : 민주의식의 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1) 1945년~1960년대 : 해방 및 전쟁 후유증 극복 (2) 1970년대~1980년대 : 한글세대의 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3) 1990년대~현재 : 전자출판의 발달과 출판의 국제화 이 글에서 제시한 시대구분은 한국 출판문화사 연구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많은 연구와 함께 활발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한 논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several topics: the periodization of the history in general, areas of study in publi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iodizati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journalism and that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mentio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recommend a new way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doing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wo criteria are given for the periodization in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publishing in each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ciety. Secondly, the culture-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the publishers and the reader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ategorized into these five periods. The 1st period (before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 beginning of the Korean cultural history The 2nd perio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ill the 16th century) : growth of culture-consciousness of the elite intellectuals and the use of metal printing The 3rd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till 1883) : growth of the common people's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expansion of reading culture The 4th period (from 1883 till 1945) :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growth of nationalism (1) 1883~1910: beginning of the campaign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publishing (2) 1910~1945: growth of nationalism and publishing The 5th period (1945-present) : growth of people's consciousness in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1) 1945~1960s: liberalization and overcoming of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2) 1970s~1980s: appearance of the Korean alphabet generation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3) 1990s~present: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and the globalization of publishing Further studies and more discussions are needed to use the recommended periodizatio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shows the new beginning of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area.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출판저작권 무역 분석에 대한 연구

        김진두(Kim, Jin-Doo)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한국과 중국의 경제 문화, 인적 교류는 증가하고 있다. 그럴수록 한국, 중국 양국 국민들이 서로를 알고자 하는 지식에 대한 욕구는 증가할 것이다. 두 나라가 서로를 이해하고 현실적 필요성에 의해서 양국 간의 출판도서 교류는 무엇보다 필요하다. 중국과 한국의 도서 저작권 수출입 현황을 분석하여 교류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중국과 한국은 출판무역에 있어서 역조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한국과 중국이 경제성장 속도가 빠르고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문화적 욕구가 커졌기 때문에 도서 저작권 수입이 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이 도서를 수입하는 종류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것은 경제적 수준 따른 필요한 도서가 다르고 양국의 국민적취향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도서 저작권수출에 있어서는 한국과 중국의 수출국가는 대만, 한국, 일본, 중국등의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과 중국 도서수출의 대부분이 동북아시아 국가들이라는 것은 시사하는 점이 크다.동북아시아는 문화와 언어가 비슷하기 때문에 번역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서 내용을 영어나 서구 언어로 번역한 것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동북아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동북아 국가 간의 문화교류가 더 활성화 된다면 출판 무역은 지금 보다 훨씬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중국에서 한국에 대한 도서수요는 한류라는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일대에서 유행하고 나서 한국도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이 뒷받침하고 있다. 실증적인 통계도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도서저작권 무역이 더 늘어나기 위해서 한국과 중국은 양국에 대하여 도서의 홍보에 주력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출판 교류가 더 늘어나기 위해선 훌륭한 번역가가 더 양성되어야 한다. 양국의 인적 교류는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경제적 교류가 늘어남에 따라 한국에 유학하고, 중국에 유학하는 중국인과 한국인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들 중에서 훌륭한 번역가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전문적인 에이전시에 의한 저작권 관리는 도서무역 규모가 커지고 도서의 종수가 많아 질수록 더욱더 전문화되고 대형화 된 에이전시가 필요하다. 전문에이전시를 통해서 저작권 관리를 하고 국제적 협약에 의한 양국 간의 저작권 준수가 도서무역의 활성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s how to improve publishing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Economy of China has grown rapidly since 1980s owing to Deung Xieoping's reforming and opening policy. Korean publishing industry i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Decision of Govern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hinese publishing industry. The establishing of publishing company is not free in China, the government of China has the right to allow publishing companies to publish books. But everyone can do that in Korea if he has mind to do. The best selling books in Korea and in China are the books which is required for entering university. Because Korean and Chinese have great eager to get higher education. China is importing copy right of books from foreign countries. China important books from America, England, Japan, Taiwan, Korea. Korea imports copyright of books from America, Japan, England, China. Korea and China are deficits on publishing trade. Korea and Chinese economy has grown rapidly for three decades. Two countries needs much books to meet people's desire to get new knowledge. Korea and China import books from developed countries, export them to eastern asia. The publishing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s small comparing with whole trade. Translation is the key to increase book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n and Chinese student studies in each other's country, they can be good translator. Because Chinese students who studies in Korea know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ery well. So does Korean sudents. Publ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s needed to increase publishing trade. Korea and China participate in book fairs held in two countries.

      • KCI등재

        한국 출판편집자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주리(Han, Ju-Lie)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Publishing firms in recent years have changed tremendously in terms of new institutional practices that include new types of employment, use of ICTs and spatial changes relocation of work places, foreign investment, and so on. Trend of publishing industries worldwide is centralized by several huge conglomerates 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Imprint is publishing house within a publishing house. The chief-editor in imprint who was appointed by publishers directly manages to get profit, set book planning, and be in charge of marketing, promoting, and personnel management (Greco, 2005). Then editor-in-chief takes the responsibility on management. Digitalization made the printing process easier than before. These days, conten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ublishing process because it affects the quality of book and editors are required to be proficient in planning the competitive books. In Korea, editors can be divided into ‘publisher-editor’ and ‘editor’. Publisher-editor is a president or CEO and editor is an employee who works on editing process but he/she cannot have the right to decide. It means that publishers in Korea usually plan, think, and determine whether which book will be published or not. On the average Korean editor's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is lower than Chinese or Japanese editor's status. According to the Han's study (2006), editors have to be skilled specialists or experienced workers to manage whole process as a coordinator. Their works are very stressful but their labor conditions are not that good enough. In comparison, Chinese publishing is operated by the government or local administrations so that publishing companies are sort of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editors, as public servants, are elevated to a status they share with several pubic officials. In Japan, editors are recognized as elite group and get high payments even though publishing companies are in bad conditions. Hence, the current study result showed that need for enhancing the editor's social status in Korea.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디지털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출판환경의 구조적 변화와 개인 및 조직의 변화를 초래했다. 편집기획자를 중심으로 하는 임프린트 출판형태가 나타났고, 제작환경의 디지털화로 인해 도서제작작업이 간편화되었으며 제작비 절감 및 인터넷 서점의 등장, 마케팅시스템의 도입과 기획사 및 에이전시 등 외부시스템이 발달하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출판 제작환경의 변화로 인해, 콘텐츠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즘 출판산업에서 기획자로서의 편집자의 역할 및 능력은 중요한 변수로 떠오른다. 한국에서의 ‘편집자’는 출판 인-편집자(publisher-editor)와 편집자(editor)의 두 부류로 크게 분류된다. 한국출판산업에 있어 전자는 출판사의 경영자이고 후자는 직원이라고 볼 수 있다. 편집자로 활동하다가 전직하거나 은퇴하는 경우도 있지만 편집자가 출판인-편집자로 되는 경우도 많으며, 앞서 언급한 1인 출판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 출판계에서 직원으로서의 편집자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는 상대적으로 일본 및 중국의 출판계에 비해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한주리(2006)의 연구에 따르면, 유연전문화 과정의 도입으로 출판계에서 개별 편집자에게 갖추도록 요청되는 능력이나 기술은 점차 많아지는데 비해 그에 따른 처우는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출판산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또한 여타 문화산업 분야에 비해 낮아서 출판계로 진출하려는 인력이 많지 않은 면도 있다. 또한 신문기자나 대학교수와 비교해서 훨씬 열악한 처지에 있는 한국의 편집자들이 책을 잘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중국의 경우는 출판이라는 영역을 신문, 방송과 더불어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운영하고 있으므로 출판사는 사기업이 아니라 공공기관이고 편집자들도 일종의 문화적 공직자로서 상당한 사회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일본의 경우는 이와나미 쇼뗑(岩波書店), 카게이 쇼보오(影書房) 등의 출판사에서 아무리 사정이 어려운 출판사라도 편집자에 대해서 높은 대우를 해주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의 편집자의 사회적 지위가 보다 향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논문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국내 전자책(e-Book) 및 전자출판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 연구

        강진숙(Jin-Suk, Kang) 한국출판학회 2011 한국출판학연구 Vol.37 No.2

        전자책과 전자출판에 대한 화두는 학계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고, 10여 년 전에 개념 정의에서 시작된 전자책 연구는 현재 전자책 산업구조 분석과 수익모델 창출방안 등 다각도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전자책 및 전자출판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기존 전자책과 전자출판 연구의 경향과 학문적 정향성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 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메타분석 범주 중에서도 연구 주제와 이론, 그리고 방법론의 범주들을 기본 분석범주로 설정하여 국내 전자책과 전자출판 연구의 접근 경향과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출판학회의 등재학술지인『한국출판학연구』를 선정하여, 학회 검색창에서 추출한 ‘전자책과 전자출판’ 관련 논문 23건의 주제, 이론, 방법론적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선행 전자책과 전자출판 연구에 대한 연구, 즉 메타 연구의 방법론적 개발과 적용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의미를 두고자 한다 Talking point for the e-Books and electronic publishing in the academic filed has been treated significantly. About 10 years ago, the beginning of the e-Book studies was mostly focused on the definitions or the concepts. However, current studies approach in various ways like analysis of the industry structure or generating revenue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tendency of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e-Book & electronic publishing and also the direction of academic by using meta analysis about themes and methodologies of the domestic e-Book & electronic publishing.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thesis, theory, and methodology among the various category of meta analysis to analyze the approach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udies on e-Book & electronic publishing. The 23 subjects which were extracted by the searching system of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Research』-academic journal of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are analysed by thesis,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methodology. This study has the academic importance as the pre-study for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meta analysis related to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of the e-Book and electronic publishing study.

      • 한국 전자출판산업과 한글코드의 역사적 고찰

        이기성(Lee, Ki-s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12 전자출판연구 Vol.- No.1

        1980년대는 한국에서 전자출판이 시작된 시대 인데 한글코드 표준화 문제로 정부와 마찰을 빚었었다. 그러나 출판, 인쇄, 국어학계가 일치 단결하여 한글 1만 1172자를 지켜내는데 성공하였다. 한국전자출판연구회와 컴퓨터통신동아리(엠팔)의 활동으로 한글폰트, 한글통신 문제를 거의 해결하였다. 1987년에 보석글 워드프로세서를 개량하여 편집/제작된 한글 DTP가 영진출판사에서 최초로 시작되었다. 1990년대는 콘텐츠출판학회, 한국전자출판협회가 추가로 탄생하였고 국내 대학에 전자출판 관련 학과가 창설되었다. 문체부에서는 서체별로 한글 1만 1172개씩의 폰트를 개발하였다. 2000년대는 PC게임이 스마트폰게임으로, OS는 윈도OS에서 안드로이드OS로 변화가 시작되었다. 한글코드 표준화는 KS 5601-87, KS 5601-92, KS 5700을 거쳐 유니코드로 종결되었다. 이제부터는 스마트와 클라우드에 적응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한다는 것이 결론이다. 가장 중요한 대비책은 전자출판 관련 교육이다.두 번째는 저작권 보호 문제이다. 세 번째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다. 한글 입력 자판 문제도 하루 속히 해결하고 통일에 대비해야 한다. 103키 같은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용 키보드는 한글 세벌식 자판으로 표준을 바꾸고,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의 자판은 좀 더 입력하기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판을 개발하도록 꾸준히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 The Eighties, CAP(Computer Aided Publishing) industry has begun in Korea but the industry was in trouble with the government because of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character code. Members of the CAP Society and Electronic Mail Pals found solutions about the CAP industry problems on computer communication and displaying method of Korean charcter fonts. DTP(DeskTop Publishing) edited in Korean character began in 1987 using Bosukgeul Word Processing software by Youngjin Publishing Co., Ltd. The CAP department of Kaywon college was established in the Nineties. The Ministry of Culture developed various style of 11,172 Korean fonts. The Noughties, personal computer games are slowly begun to replaced by smart phone games.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character code has been improved from KS 5601-87 code and KS 5601-92 code to Unicode via KS 5700 code. In conclusion, needless to say, CAP industry has to adapt the Smart and the Cloud circumstances.

      • KCI등재

        중국 출판 관련 연구경향 분석

        황민선(Hwang Min Sun) 한국출판학회 2016 한국출판학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한국내에서 이루어진 중국 출판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연구주제는 출판이론과 출판산업, 국제출판 분야라 할 수 있으며, 출판교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졌다. 이중 중국출판이론에 대한 연구는 중국학이나 중국문학 전공 학자들에 의해 많이 이루어졌으며, 중국 출판 산업 분야와 국제출판 연구 분야는 출판학 전공자들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 유형별로는 학위논문이 17편, 학술지 논문이 57편이었으며, 석사학위의 경우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내 중국 출판 연구 수록 학술지는 총 21개였으며 그 중 가장 많은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실린 학술지는 <한국 출판학 연구>였다. 이와 같이 <한국 출판학 연구>는 중국 출판 연구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학술지이다. 그러나 학술지 주제분야 분류로 보면, 인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32편이었으며, 특히 ‘중국어와 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많은 수의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는 출판학이 학제간 학문임을 방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해당 학회와의 상호 연구 교류가 필요함을 증명한다. 즉 중국 출판학에 대한 연구는 출판학 전공자와 중국학 또는 중국문학 전공자의 공동 연구 또는 상호교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s conducted in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research topics dealt with the most are publication theories,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and education on publication is studied the least. Particularly,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theories is mostly performed by majors of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Also,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is mostly conducted by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Concerning the types of research, there are 17 dissertations and 57 journals. Masters’ theses are written in many areas related to the majors. There are total 21 journals contained in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 Korea, and the journal containing the most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is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t implies that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s a journal equipped with an unrivaled position in term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Regarding the topics of journals, however, 32 theses are contained in journals of literature, and particularly, journals of ‘Chinese and Chinese literature’ present a number of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publishing science is one of the interdisciplinary sciences, and it is necessary to exchange studies with the academies. In other words, the result suggests that in research on Chinese publishing science, it is needed to perform collaborative research or mutual exchange among the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한민족 출판 연구

        박몽구(Park, Mong-Gu)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일제의 정치적 탄압이 가속화되는 상황하에서 출판은 민족 정신을 일깨움은 물론 민족정서와 독립에의 염원을 담아내는 유일한 매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족 자본을 중심으로 한 일제치하 출판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발전 양상 및 출판의 발전 과정 및 출판 주체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일제하의 출판이 우리 민족정신사에서 갖는 의의는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그동안의 일제하 출판 연구가 국내에 한정되었던 것을 벗어나 중국과 일본, 미국 등 한민족 거주 지역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 한국인들은 온갖 어려움을 이기고 출판 활동을 지속하였다.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국권의 침탈로 디아스포라 처지가 되어 낯선 타국을 떠돌면서도 우리 민족은 말과 글을 잊지 않았고, 그것들을 출판 활동으로써 수렴하였다. 본연구에서는 일제 강점기의 출판 현상을 국내와 국외를 가리지 않고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일제 강점기 한민족의 출판 활동은 대부분 민족 의식의 발로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즉 상업적 동기가 아닌 민족 정기의 선양을 위해 전 재산을 쾌척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선대로부터 받은 유산을 쾌척하고, 실제 일본에 들어가 배운 최신 인쇄술을 바탕으로 ‘신문관’과 ‘조선 광문회’를 연 최남선과,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농지를 처분하여 출판 활동에 나선 회동서관의 창립자인 이봉하 등은 그 본보기이다. 둘째, 일제시대는 개화기의 엘리트적 출판문화에서 탈피하여 대중적 서적출판문화를 구현하게 되었다. 일제시대는 정치적인 이유로 대중의 독립의식 고취에 이용될 각종 계몽적.학술적 서적의 출판은 그 활동이 철저히 통제되었다. 반면 회동서관, 한성도서, 영창서관 등 민간 출판인들이 상업적 출판에 성공한 가운데서도 한국인 저자들을 적극 발굴하고 은연중에 민족정신이 구현된 출판물을 앞다투어 내놓는 등 출판정신과 기업가 정신을 양립하는 기초를 쌓았다. 셋째, 중국과 일본, 미국 등 한반도 권역 밖에서 이루어진 한글 출판의 경우 민족 정기를 고양할 목적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국 내 이승만의 출판 활동과, 박은식의 중국 내 저술과 출판 활동은 이를 잘 말해준다. 어떤 의미에서는 일제 강점기에 즈음하여 일제에 항거하여 민족 정신을 고양하고 독립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출판 활동의 진 수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넷째, 일제 강점기의 한글 출판은 우리말과 문화를 지켜내고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현대 출판으로의 정검다리가 되었다. 일제가 말살을 기도하는 한글에 맞서서 한글의 체계를 세우고 현대적으로 발전시킨 ‘조선어학회’는 한글 출판이 그 모태가 될 수 있었다. 이들 출판물을 통해 한글을 현대화하고 현대 출판으로 갈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완수하였던 것이다. 일제 강점기의 출판은 민족 교육의 중요한 거점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2세 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온 민족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새삼 한국인의 교육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 같은 교육에의 관심은 교과서 출판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출판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에 중국과 일본, 미국 등지에서 우리 민족의 손으로 펴낸 출판물들이 폭넓게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출판물들이 우리 민족 출판 유산으로 편입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s aim is to analyze phenomena on Korean people's publishing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this study, we have expanded publishing area of Korean people to Manchuria, Japan and Unite States of America. Through these viewpoint, we want to make a close inquiry what is meaning of people's mental history on that period's publishing. Overcoming several difficult situations, Korean people have been carried on publication operations, not only in native country but also their place of residence on abroad as the diaspora. They don't forget their language and letter, have collected to publishing matters. Through this study, we get several conclusion as the next. First, Korean people’s publishing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s started as manifest people's awareness. Second, publication operations of this period hve been practiced as the general public culture outgrown from elite culture. Third, the publication with Korean language in the abroad as China, Japan, America was accomplished to raise people's spirit and energy. Fourth, the publication of that period has keep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has become stepping stones to go modern publishing. Also we confirmed that period's publishing is a foothold of people's education. We must regard that period's publication newly, and must weave publishing on abroad as China, Japan, America to our hitory of publication.

      • KCI등재

        북한출판물의 민족문화유산 편입 연구

        박몽구(Park Mong Gu)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2

        한글 공동체로서의 북한 사회는 우리와 같은 언어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이념의 갈등으로인해 그 문화유산을 한국 문화의 본류에 포함시키는 데 장애가 적지 않았다. 그런데 장차 통일에 대비하여서는 북한의 출판물들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관심사이다. 분단시대북한의 출판물은 체제 수호와 주체사상의 선전 선동 등을 당면의 목표로 삼고 있지만, 곰곰이 살펴보면탈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민족 공통의 유산이 될 만한 것들도 적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지역 한국학의 성과 가운데서 이념적 편향을 사상(捨象)하고 민족의동질성을 뒷받침해 주는 부분을 중심으로 그 지평을 넓힘으로써 통일 시대 민족 문화의 창달에 기여할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른바 주체사상의 주입을 위해 만들어진 도서 및 김일성 일가에대해 일방적 찬양 고무하는 내용 위주의 이념 서적은 제외한 고대 신화, 구비문학, 고전소설, 한문고전의 국역(國譯) 출판물 등은 충분히 우리 민족 문화 자산으로 편입할 여지가 적지 않다고 본다.이를 통해 우리 문화 영역을 확장하고 출판문화 유산의 양과 질을 크게 일신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있으리라 전망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출판인들은 오랫동안 분단과 냉전의 분위기에서 출판 행위 자체에 제약이 따르는 가운데한민족의 한국학관련 출판물을 어렵게 기획하고 확충해왔다. 즉, 이념과 법적인 제약의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간헐적으로 북한지역의 일부 한국학 관련 국내 출판이 이루어져 온 것이다. 그러다 보니 한민족의 출판과 출판 연구에 따른 출판문화 토대를 광범위하게 준비하고 논의하기가 쉽지 않았다. 출판학은인문학이나 정치경제학 등 다른 분야의 학문에 비해 이를 실질적으로 종합하고 소통하는 역할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한적 요소들로 인해 만주와 북한지역으로 영역을 제대로확대하여 논의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이념과 국적을 넘어 한글 상용의 공감대를 아우른 한글 출판물에 대한 조사연구, 특히 한국학 관련 출판물에 대한 발굴 조사는 지금까지의 제한적이었던 한민족출판문화 역량을 새롭게 검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적대의식을 청산하고 한민족이라는 공 통의 의식을 함께 하면서, 위에서 보았듯탈이데올로기의 견지에서 북한 출판을 새롭게 볼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남북 양측이 저작권 교류를활성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족 전래의 고전 및 민속, 그리고 한문 고전,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담은문학 작품들이 풍부하게 창작되고 출판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근대 민족선각자들이 민족정기를 일깨우기 위한 방편으로 잡지를 발행했던 동기에서 보듯, 출판은민족의 정신을 일깨우고 후대에 그것을 접목시키는 보이지 않는 교사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근대 이후 출판을 통한 우리의 정신사를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진정한 이해를 통한 사회 통합의 기틀을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통일 시대를 향한 민족적 자부심을 높이면서 민족 공통의 문화 유산을 어떻게확장할 것인가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North Korea is a language community for a long time. But due to the conflict of ideologies, Korean people have failed to include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in mainstream culture. So, what you see on the unification of North Korea is a major concern of this paper. North Korea makes its era division of the publication of the propaganda system with the goal of defending the Juche idea. But not a few things that will catch peoples common heritage in off-ideology. In this study, eliminating the ideological biases among those picked North Korean publications that support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Through this plan, we tried to draw channel to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national culture era. We have thought that, ancient myths, oral literature, classic novels of ancient publications has considerable room to fully incorporate into our national cultural assets. Through assuming, we expected to expand our cultural area, and can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significantly renovate the quality. So, we must try clearing a hostile consciousness and a common consciousness Korean. From the perspective of ideology, we need to ride newly published in North Korea. By establishing our newly published by mental history, we will be able to provide a framework for social cohesion.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era, the goal of this research will enhance national pride to what extend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th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