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지침 사례연구

        강혁진(Hyuk-Jin Kang)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본 연구는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지침의 사례연구로 미국과 영국의 디자인지침을 중심으로 한국의 설계기준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국 암트랙의 철도역 프로그램과 계획 가이드라인(2013)과 영국 네트워크 레일의 철도역 설계 원칙(2015)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디자인 지침은 현대 철도건축의 지닌 도시 건축적 중요성과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한국 설계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철도건축설계기준 개선을 위하여 통합적 디자인 원칙 마련이 요구되고, 이용수요 중심의 철도건축유형 재정립, 그리고 철도건축설계 프로세스의 지침화가 필요하다. This is a case study of overseas railway station design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railway design and focused on the US (Amtrak’s Station Program and Planning Guideline, 2013) and UK (Network Rail’s Station Design Principles, 2015) railway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is aim to compare these two guideline with Korean design guidelin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and potential values. Both of two guidelines have indicated design principles for the design improvement which is adapted to the current urban architectural importance of railway station and the advanced technologies. As a result, for the improvement of design quality of Korean railway station, the Korean design guidelines need to set up integrated design principles, to re-categorize the building types based on the user-demand and to designate the design process in the design guideline.

      • KCI등재

        철도 안전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신뢰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찬우(Lee, Chan Woo),구병춘(Goo, Byeong Choon),강중철(Kang, Jung Chul) 한국도시철도학회 2021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9 No.1

        국토교통부는 철도안전법 제7조의 “안전관리체계의 승인”규정에 따라 철도운영기관이 철도안전법에서 정한 안전관리 기준에 맞게 철도안전관리체계(SMS)를 갖추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임무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위임하여 매년 정기·수시 검사를 시행하게 하여 승객이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철도안전법에 따라 국내 모든 철도운영기관은 철도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승인을 받아 운영하고 있으나 아직 개선할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운영기관의 철도안전관리체계 중 신뢰성 중심 유지보수 (RCM) 부분에 관련된 내용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RCM 분석체계 수립, RCM 업무 프로세서, 그리고 RCM 분석용 데이터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Railway Safety Ac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rough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supervises railway operating institutions to establish a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in accordance with safety management standards set by the railroad safety act. On behalf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performs regular checks and checks based on SMS to ensure the safety of railways passengers. According to the Railroad Safety Act, all domestic railroad operating institutions have established railroa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e with approval, bu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major domestic operating institutions and presented some improvements about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 KCI등재

        도시철도의 운행시간 단축을 위한 급행열차운행에 관한연구

        이기형,이태규,김흥기,이한용 한국도시철도학회 2018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6 No.2

        Korea’s urban railway was opened in 1974. This is in third opening in Asia. Urban railway contributed to shortening commute time of users. However, recent commuting time is continuou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Express train and Metro operation at seoul and Kyungi province. After trade-off study of side track, headway, train diagram, the paper suggest how to speed up Kyung-ui, Suin, and Ansan line. This shows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coming metro line construction to improve efficiency and reduce commuter time. 한국의 도시철도는 1974년 개통하였다. 이는 아시아에서 3번째로 도시철도를 개통한 것이다. 도시철도는 도시인의 출퇴근시간 단축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시철도의 출퇴근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도시철도의 노선별 급행열차 운행현황 및 기존의 연구내용을 조사하고, 대피선 적정성 검토, 열차운행간격, 열차 다이어그램 분석을통하여 경의선, 수인․안산선의 급행화 방안을 제시하고, 중장기적으로 도시철도 건설에 반영해야 할사항을 제시하여 향후 도시철도 건설에 효율성을 향상하고, 출퇴근시간을 단축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미발표] 철도안전감독 점검리스트를 통한 철도차량 관리체계 분석

        박재흥(Jea-hung Park),신정범(Jeong-beom Shin),오행록(Haeng-nok Oh)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10

        정부는 ‘12년 철도안전법 개정을 통해 철도안전체계의 전면개편을 서두르고 있다. 개정의 핵심 요점은 철도 안전관리체계 승인제도 신설, 철도차량 및 철도용품에 대한 형식승인제도 도입, 그리고 철도차량 및 철도용품의 제작자 승인제도 도입의 세 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 이중 철도 안전관리체계 승인제도의 철도안전 상시감독 체계 구축을 위해 정부는 항공분야와 해외 철도선진국 사례분석 등을 통해 철도안전감독관 제도를 도입하고 ‘12년부터 철도운영기관 등을 대상으로 감독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안전감독 시 사용하는 점검리스트를 통해 철도차량 관리체계를 고찰하고, 철도차량 관리체계의 하부 구성체계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2012, the government is quickly pushing to revise the overhaul of railway safety system. Key point of Revision is that three categories are included establishment of approval program of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introduction of type approval program of railway vehicle and components and introduction of manufacturer approval program of railway vehicle and components. Since 2012, the government had introduced the railway safety supervisors system into anytime supervising system from the aviation sector and railway analysis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supervisors carried out to manage railway operating company, railway facilities manager and production inspection agency. In this paper, study of the railway vehicle management system is considered anytime supervising system using enactment of the inspection checklist. Moreover, Sub-system configuration of a railway vehicle management system will be discussed.

      • 철도 차량의 전자파 방사 측정 방법

        채은경(Eunkyung Chae),류준형(Joonhyoung Ryu),백광선(Kwangsun Baik),윤용기(Yong-Ki Yoon) 한국철도학회 2011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철도 차량의 전자기 환경은 입반적인 상업 및 가정 환경에 비해 훨씬 열악하지만 대부분의 차량은 이러한 상업 및 가정 환경과 매우 근접하여 운행된다. 철도 차량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에 의해 상용 무선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철도 관련 철도 차량의 전자기 환경은 입반적인 상업 및 가정 환경에 비해 훨씬 열악하지만 대부분의 차량은 이러한 상업 및 가정 환경과 매우 근접하여 운행된다. 철도 차량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에 의해 상용 무선 장치 및 전자 장치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철도 관련 전자파 적합성(EMC)규격으로 전자 파 방사의 허용치를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규격에서 제시한 허용 기준은 실제 유럽의 여러 지점에서 측정한 방대한 전자파 자료를 기준으로 철도 시스템 내부의 안전을 위한 기준으로 철도 이외의 다른 외 부 환경에 주는 영향은 고려되지 않았다. 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방사가 허용 기준을 만족한다고 하여도 외부 전자 장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철도 차량의 전자파 방사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철도 차량은 측정 지점을 수초이내에 지나쳐 가기 때문에 첨두치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규격에는 측정 시간과 같은 시간 영역의 특성에 대한 상세한 규정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차량의 전자파 방사를 줄이는 노력에 앞서 전자파 방사의 가능한 정확한 측정을 위한 장비 설정 및 측정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The railway electromagnetic environment is much more severe than most commercial and domestic environments. There are concerns about electromagnetic emissions from railways and their potential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commercial radio service and other equipment. EMC standards for railway applications are referenced as EN 50121 series and these standards describe the measurement method and specify limits for emission. However standard provide precise description of the general aspect of the measurement procedure and requirement of test equipments making a reliable measurement of the radiated emissions from a train is a problem of balance between available observation time and the measurement time requi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ment system.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measu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