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語的名詞照應, 人稱代詞照應與零形照應 ―以與韓國語的比較爲中心

        두염빙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0 No.-

        본 논문은 중국어와 한국어의 명사 조응, 인칭대명사 조응 및 영조응의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 대해 인지언어학, 심리학, 그리고 사회언어학의 시각에서 비교를 진행하였다. 우선, 접근성 이론과 심리학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어에서의 상기 세 가지 상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각종 대용어의 접근성 차이와 한국어에는 접근성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조응현상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언어학의 시각에서 명사조응과 대명사조응의 사용 상황을 분석해 보았다. 중국어에서 명사 선행어에 사용되는 명사 조응에는 두 가지 상황이 있다. 하나는 지칭 대상에 대한 존경과 예절을 표시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신문 보도 중 객관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명사 조응은 모두 대명사 조응으로 대체가 능하고 어법상 잘못이 없고 단지 표현상 체득 여부의 문제만이 있을 뿐이다. 한국 어에는 상하 관계로 인하여 부모, 선생님, 상사 혹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 등 존대해야 할 대상에게 2인칭이나 3인칭 대명사를 피하고 구체적인 명사 형식을 택한다. 특히, 부모를 대상으로 지칭할 때에는 어떤 삼인칭 대명사 형식이나 “지시사 +명사”형식으로도 불가능하다. 중국어에서는 이런 제한 없이 대명사 조응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영조응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국어에서의 영조응은 어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과 달리 중국어에서의 영조응은 의미적으로 분석 해야 한다. 중국어에서 영조응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은 화제 연쇄(topic-chain)라고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사건에 대해 서술하고 같은 화제를 갖고 있는 여러 문장들 이 하나의 화제 연쇄가 되는데 이러한 화제 연쇄는 아래 4가지 종류가 관찰된다: 어떤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진행한 일련의 동작, 인과 관계, 병렬 관계, 설명 관계 가 그들이다. 이렇듯 한 화제 연쇄 내에서 명사선행어에 대해 영조응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대명사조응도 영조응을 대체할 수 있지만 어떤 곳에 영조응을, 또 어떤 곳에 대명사조응을 쓸 것인가에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하지만, 선 행 글에 다른 경쟁적인 명사선행어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대명사 조응을 쓰거나 또는 필요할 때 명사조응으로 선행어를 밝혀야 된다. 또한, `但是, 可是, 然而`란 連詞뒤에서는 대명사 조응이 많이 나타난다.

      • KCI등재

        중국어 단모음〔a〕,〔i〕,〔u〕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발음 대조 연구

        李美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3 No.-

        本論文的目的在于分析韓漢兩語的單元音[a], [i], [u], 用對比的方法給學習漢語的韓國人提供能够把握韓漢兩語[a], [i], [u]的特点的參考資料. 本論文要對比分析韓國人和中國人的[a], [i], [u]的异同, 查看其异同時 使用聲學語音學的方法, 以便仔細考察各元音的動程和實際舌位. 從語圖把握共振峰數据, 對比男女之間的异同和隨學習時間不同而所出現的异同. 根据分析結果, 學習漢語未滿1年的和學習漢語已有5年以上的韓國男人的[a], [u]的舌位不到位, 前者高于中國人, 后者比中國人往前走移. 總而言之, 韓國男人的開口度不大于中國人, 韓國男人[a], [i], [u]的發音不如韓國女人。 韓國女人的[a], [i], [u]不分學習時間的長短都比較好.

      • KCI등재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육 위상 제고 방안

        손민정 ( Shon Minj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9 No.-

        본고에서는 중국어 교육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결과,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대비되어 중국어의 낮은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외국어 교과가 영어와 제2외국어로 분리되어, 영어는 초등학교부터 필수로 편제되어 있으면서 중점적으로 운영되고, 중국어를 비롯한 제2외국어는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선택과목으로 편제되어 있으며 수업 시수도 적다. 한국 사회에서 영어 교육의 열풍은 영어의 국제 공용어로서의 기능에 기인하였다기보다는 영어가 주요한 학력 평가 도구의 역할을 함에 따라 경쟁 사회에서 더 나은 기회를 얻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와 비교할 때 중국어의 위상은 보잘 것 없지만, 언어총생산이나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향후 세계 주요 언어일 뿐만 아니라 현행 제2외국어과에서도 가장 부상하고 있는 언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지 못하여 중국어교육에 관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어교육학이 왜 필요하고 중국어교육학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의 위상이 중·고등학교에서 높아지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2외국어를 외국어 교과에 다시 포함시키고 영어와 편성상의 차이를 두지 말고, 생활외국어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 또한 외국어 종류만 다양화하기보다는 주요언어를 실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외국어 교육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어 舌根鼻韻母 발음 교육을 위한 제언

        김보경 ( Kim Bo-ky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중국어 운미 -ng의 발음은 한국어 -ㅇ받침의 발음과 어느 정도 유사한 관계로, 한국인 학습자들은 중국어 설근비운모(ang, eng, ong, ing, iang, iong, uang, ueng)를 발음할 때에 한국어 ‘앙, 엉, 옹(혹은 웅), 잉, 양, 왕, 웡, 용(혹은 융)’과 같이 발음하기 쉽다. 그러나 중국어 설근비운모의 발음 방식은 위에 열거한 한국어 음절의 발음 방식과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이러한 발음 습관에서 벗어나 좀 더 표준 발음에 다가갈 수 있게 하려면 매우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어 설근비운모의 발음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학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인 학습자들이 8개 설근비운모를 발음함에 있어서 어떤 특징이 있고 그 가운데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 고찰해보았다. 다음으로 이들 8개 비운모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이론적으로 탐구해보았고, 한국인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는 간략화 발음 요령(주요모음의 발음 뒤에 ‘-응’을 덧붙이는 방식)도 제시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한어병음방안’의 표기를 적극 활용하려 하였고, 주요모음과 -ng운미 사이에 ‘미끄러지듯 이동(gliding movement)’하는 과정이 있음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방안과 요령을 바탕으로, -ng운미 관련 音變현상(‘-ng + 모음’에서의 음운첨가와 ‘-ng + 兒化’에서의 음운탈락 및 주요모음의 비음화)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의 이해와 연습을 도울 수 있는 지도법을 추가로 논의해보았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들이 중국어 발음 교육현장에 활용되어, 학습자들의 발음 실력 제고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고대한다. 因爲漢語韻尾-ng[ŋ]的發音有點類似於韓語韻尾 “ㅇ”, 所以韓國學生讀後鼻韻母的時候, 比較容易參照自己母語中某些音節的發音如: “앙, 엉, 옹(或웅), 잉, 양, 왕, 웡, 용(或융)”。事實上, 漢語後鼻韻母的發音方式, 却與韓語中那些音節的發音方式逈然不同, 如果要學生們掌握更爲標准的發音, 乃需要一個非常細致周到的敎學方案。爲此, 本文筆者探索了一些能改善韓國學生後鼻韻母發音的有效敎學方案。本文主要由以下三段內容構成: 第一段(卽第二章)則考察了韓國學生在讀八種後鼻韻母(ang, eng, ong, ing, iang, iong, uang, ueng)的時候, 呈現出什麼樣的發音習慣以及偏誤; 第二段(卽第三章第一節)則對有效地指導這些韻母的標准發音的方法, 進行了較爲具體的理論性探討, 幷提出了一些簡化的發音要領: 先發好主要元音(main vowel), 然後附加韓語中 “-응”的發音。這其中, 本文堅持了積極利用 《漢語拼音方案》的立場, 幷且特別强調了主要元音和-ng之間的漸變過程(gliding movement)。第三段(卽第三章第二節)則探討了如何把上面所提到的內容應用到韻尾-ng的兩種音變現象的解釋和訓練。所謂 “兩種音變現象”乃是 “-ng+元音”時的增音現象([ŋ])以及 “-ng+兒化”時的語音脫落和主要元音的鼻化。 筆者希望本文中的方案能勾運用到漢語敎學現場, 對韓國學生發音水平的提高有所幇助。

      • KCI등재

        한국 시화 속의 한유 시 평가 연구

        김지영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4 No.-

        中國文學史對於韓愈的古文成就, 沒有人低?或懷疑. 但對韓愈的詩, 却是自古至今褒貶不一. 原因就是韓愈詩歌具有散文的特徵,卽以文爲詩. 在中國詩壇韓愈獨創的作詩法對後代詩人生産了不小的影響. 韓國文人也認識到了韓愈詩的這些特徵, 韓國的詩話, ?多的評論都記錄韓愈的作詩法. 本文探討韓國詩話應考察韓國文人對於韓愈詩有什?樣的評價. 韓國詩話作家論述韓愈詩, ?中國作家的評價相比, 角度不同, 理解各異, 其中頗多精闢之見, 可爲當今的文學批評提供新的視角和闡釋維度, 亦可見韓國漢詩中韓國文人對韓愈詩的接收與批評. 韓國詩話中論韓愈詩的詩話如下: 如高麗詩話中的《補閑集》(崔滋著), 《?翁稗說》 (李齊賢著), 朝鮮詩話中的《東人詩話》(徐居正著), 《體意聲三字注解》(尹春年著), 《鶴山樵談》(許筠著),《芝峰類說》(李?光著), 《霽湖詩話》(梁慶遇著), 《星湖僿說》(李瀷著), 《溪穀漫筆》(張維著) 等等. 韓國詩話中最多論及韓愈詩的是《芝峰類說》和《星湖僿說》. 韓國詩話中最初論韓愈詩是高麗時期崔滋的《補閑集》. 《補閑集·序》記錄: “學詩者, 對律句體子美, 樂章體太白, 古詩體韓蘇, 若文辭, 則各體皆備於韓文, 熟讀深思, 可得其體.” 朝鮮中期李?光的《芝峰類說》記錄: “唐之文體, 至昌黎始變而古矣. 唐之詩, 之昌黎始變而文矣.)” 朝鮮後期李瀷的《星湖僿說》記錄: “又如韓退之筆力, 往往有冗卑下乘 之語, 然細詳之, 非退之之不及, 乃故爲此, 延綿氣脈以待激昻奮發, 比如山勢??峻必 有低, 過峽則??天秀自露......如是看, 方得退之筆套.” 通過分析筆者發現韓國文人對於韓愈詩的特徵具有較爲正確的把握, 崔滋敍述了韓愈詩對於韓國文人的影響, 李?光言及到韓愈詩如何改變傳統中國詩的作詩法, 李瀷用自身的言語表現了韓愈詩的作詩特徵.

      • KCI등재

        高麗時代 知訥의 《修心訣》에 반영된 중국어의 시대적 다층위성

        이재혁 한국중국어문학회 2022 中國文學 Vol.112 No.-

        본 논문은 普照國師 知訥의 저작인 《修心訣》에 반영된 중국어의 여러 시대적 층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松廣寺 普照國師碑에 기록된 행적상으로 지눌이 고려 밖으로 나간 적이 있다는 서술은 없으나, 그의 저작인 《修心訣》에서는 중고중국어 이후의 문법과 어휘가 발견된다. 《修心訣》은 전체적으로는 상고중국어의 문법과 어휘를 사용하나, 부분적으로 중고중국어와 근대중국어의 요소가 나타나는데, 한 시대의 형식을 일관적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여러 시기의 형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다층위성을 ‘是’, ‘底(的)’, 의문표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그가 禪宗 語錄을 공부했던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

        중국의 중국어 교재 분포와 개발 현황 분석

        김나래 ( Kim Narae ),김석영 ( Kim Sokyong ),박종한 ( Park Jonghan ),손남호 ( Sohn Namho ),신원철 ( Shin Wonchul ),이미경 ( Lee Mikyoung ),이연숙 ( Yi Yeonsoo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8 No.-

        본고는 중국(PRC) 지역에서 간행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CFL) 교육용 교재의 분포에 대한 보고와 교재 개발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중국 국가 도서관(中國國家圖書館)을 통해 수집된 도서 목록에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용 교재 4126권을 분석하였다. 주제별 분석의 결과 통번역 교재, 뉴스 관련 교재, 노래나 게임 중심 교재, 비(非)HSK 시험 관련 교재 개발이 저조하고, 비즈니스 중국어 교재가 대부분인 목적서 전체의 비율도 9.02%에 그치고 있어 개혁개방 이후 중국어 교육 30여 년의 역사에서 아직까지는 특수목적 중국어(CSP) 교재나 학문목적 중국어(CAP) 교재의 개발은 미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역별로는 쓰기 교재의 비중이 특히 낮았으며, 특수목적 혹은 학문목적(CAP)의 쓰기 교재는 아예 개발된 적이 없어 전반적으로 범용(general purposes) 언어 교육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준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초급 교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중고급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우하향 패턴을 보이는데, 말하기 교재, 한자와 발음 교재가 우하향 패턴을 보인 반면, 읽기 교재, 어휘와 문법 교재, 문화 교재는 우상향 패턴을 보였다. 이는 수준이 올라갈수록 교수 내용의 중심이 말하기, 한자, 발음에서 읽기, 어휘, 문법, 문화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교수대상별 분포는 초중등학생에게 특화된 교재가 7.73%에 불과한 점이 두드러지는데, 아동중국어(CYL) 교육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교재 개발이나 교수 모델 개발이 저조한 편이며, 2000년대 이후로 작은 폭이지만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이상의 분석을 종합하면 중국의 중국어 교재는 전반적으로 아직 CSP, CAP, CYL 분야의 교재 개발이 저조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다만 2000년대 이후에는 이 영역의 교재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고, 작은 양이나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중국어 교재 연구가 이 점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report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structional materials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FL) that have been published in China (PRC). The authors analyzed 4126 CFL textbooks searched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As for the purposes of the materials, a lack of development is observed in the textbooks for interpretation/translation, news-based materials, materials based on songs/games and the test preparation materials for non-HSK exams. The entire proportion of Chinese for Specific Purposes (CSP) materials, of which Chinese for Business Purposes (CBP) is the majority, is also only 9.02%, which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CSP or Chinese for Academic Purpose (CAP) has not been active during the 30-year history of CFL education since the `Reforms and Opening up`. Regarding the skills covered, the proportion of writing materials was particularly low and no writing textbook was ever identified for CSP or CAP, which indicates that the CFL education in China has centered on the teaching of Chinese for General Purposes (CGP). In terms of the levels, more than half of the overall materials were intended for beginners. Specifically, materials for speaking, Chinese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follow this right-skewed distribution but those for reading, vocabulary/grammar and cultural topics show the opposite, i.e., left-skewed distribution. This means that the focus of CFL instruction shifts from speaking,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to reading, vocabulary/grammar and culture in the more advanced levels. Another notable point is that the materials aimed at elementary to middle school students only account for 7.73%, which implies the lack of activity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or instructional models for Chinese for Young Learners (CYL). However, future trend is worth noting because a slight but steady increase in CYL materials is detected since the 2000`s. To sum up, among the CFL instructional materials released in China to date, CSP, CAP or CYL materials have been underdeveloped. As the publication of these materials, however, has been on a small but continuous increase since the 2000`s, it seems to deserve more atten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CFL textbooks.

      • KCI등재

        “中華主義”, 韓國의 中國 想像

        劉京哲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4 No.-

        在韓國, '中華主義'這個槪念是在描述或解釋中國的各種情況上最容易又最廣泛給使用而接受的。 這時, '中華主義'露出韓國人心理上對中國的岐視和仇視, 而且'中華主義'這個槪念的反復使用再産生對中國的韓國人的偏見和誤解, '中華主義'說法已經變成了在韓國的中國理解和硏究上的一種障碍。 所以要突破, 克服'中華主義'說法的努力不但在追求兩國互相理解和發展上, 而且在韓國人超越自國中心的狹隘觀念上再不能忽視的。 韓國的'中華主義'說法是跟美國爲主的西方國家的'中國威脅論'一脈相通, 依靠這種說法, 中國在經濟上的快速發展和世界政治上的影響力擴大局面是讓他們國家提出這種說法的主要的原因。 '中華主義'和'中國威脅論'是從在全球化的國民國家休制上不可避免的各國之間的利益沖突和對峙局面上被造成的一種'中國想象'或者對中國的岐視。 而且這種說法和各國內部的'愛國主義'結合起來更加强化其說服力。 在韓國, '中華主義'說法是好像從歷來中國侵略韓國的歷史記憶上制造出來的。 看起來, 韓國人按照這種歷史記憶一直以爲中國是一個韓國的敵對國家, 中國還保有侵略的因素。 可是仔細觀看歷史上的經過, 我們會發現把中國看成一個敵對國家歷史上沒有那麽深遠的。 古代韓國, 比如朝鮮, 總是要跟中國維持友好關系, 當時人仇視的不是中國(漢族王朝), 而是中國歷史上的異族國家。 他們從華夷論的觀点上, 自己要認同漢族國家和其文化, 進而把其他異族看成野蠻人。 '中華主義'這種想象從把異族的野蠻和侵略的形象轉成中國的代表表象才開始的, 而且這種新的中國想象的出現是和韓國戰爭以后韓國的政治情況和國家意識形態上的定位有密切的關系。

      • KCI등재

        한국인학습자의 중국어동사 “유(有)” 사용상의 오류 분석: 첨가와 누락의 오류를 중심으로

        류위 ( Liu Wei ),손정애 ( Son Jeong-ae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3 No.-

        중국어 동사 ‘有’는 사용 구조와 의미가 다양하고 구어와 문어에서 모두 활용빈도가 높은 어휘이다. 현재까지 중국어교육에서는 ‘존재’와 ‘소유’라는 기본의미만을 중심으로 설명해왔을 뿐 ‘有’가 활용되는 문장의 특성이나 제약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다루어진 바가 없다. 한국인 학습자들은 중국어 동사 ‘有’가 본래 가지고 있는 의미와 용법상의 복잡성 외에 한국어 ‘∼함이 있다’와 동사 ‘有’의 의미상의 유사성으로 인해 더욱 많은 오류들을 범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한국인학습자들이 현대중국어동사 ‘有 ‘의 사용과 관련하여 범하는 오류 중 ‘첨가’와 ‘누락’의 오류를 중심으로 오류의 발생 형식과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교육대책을 제시한다. The Chinese verb "有" is a vocabulary that has a wide use structure and meaning, and is frequently used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Until now, in Chinese education we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possession’, but there is no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sentences used. In addition to the meaning and usage complexity of the Chinese verb "有", Korean learners are making more mistakes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semantics of the Korean verb "∼에 있다" and the Chinese verb "有". In this paper, the types of errors and causes of occurrence are analyzed and the education countermeasures are presented based on the errors of “addition’ and “omission’ among the errors that Korean learners perceive in relation to the use of modern Chinese verb ‘有’.

      • KCI등재

        現代漢語動詞動貌類型的補充考察和分析

        이명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2 No.-

        본고는 중국어 동사의 동작성(actionality) 유형의 이론적인 문제를 검토하며, 또한 필 자의 선행 논문(2010a, 2011)에서 전면적으로 다루지 못한 이런바 “Vd2”류 동사와 “예 외동사” 277개에 대해 고찰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郭銳(1993)가 제시한 “동사과정구 조” 분류에 노정된 논리적인 결함을 설명하고, CCL과 같은 코퍼스를 활용하여 위에 말한 동사 301개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한 후 현대중국어 동사 총 2161개의 동작성 유형을 통계적 수치로 나타낸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一) 郭銳(1993)의 “동사과정구조” 분류 체계에 따르면 전체 동사의 12.78%가 분류되지 못한다는 논리적 결함에 비하여 필자가 제시한 의미론적인 특징과 더불어 형식적인 검증 기준에 따르면 전체 동사 총 2161개가 모두 분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필자가 제시한 분류 틀의 논리성을 보여준다. 郭銳(1993)가 이른바 “예외동사” 277개 는 실제로 5가지의 동작성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른 바 “Vd2”류 동사는 2가지의 동작성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 점을 논증한다. (二) 중국어 동사의 동작성 유형 사이에는 서로 경계선이 분명하게 그어지는 이산 (discrete)적 범주가 아니라 일종의 연속체(continuum)일 뿐이다. 예를 들면 이른바 “예 외동사” 277개 중에서 32개가 상태(state)동사로 분류될 수 있으나 그것은 또한 성취 (achievement)동사와 가까우며, 7개가 완수(accomplishment)동사로 분류될 수 있으나 그 것은 또한 상태(state)동사와 가깝다는 현상 등이 확인된다. (三) 본고의 고찰 결과에 따라 “예외동사” 277개를 271개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郭銳(1993)가 《漢語動詞用法詞典》(1987)에 근거하여 정리한 동사 2167개를 2161개로 조정한다. 이 동사 2161개는 현대중국어의 동사 집합을 반영하며 본고의 통계적 결과에 따라 활동(activity)동사가 전체 중국어 동사의 절반이상(55.0%)을 차지함으로써 이것이 전형적인 동작성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그외 상태(state)동사와 성취(achievement)동사 가 각각 21.6%와 14.4% 차지하며 완수(accomplishment)동사와 무상(aspectless)동사가 각각 2.9%와 6.2% 차지한다. 따라서 활동(activity)동사, 상태(state)동사와 성취(achievement)동사 는 중국어 동사의 주요한 동작성 유형으로 볼 수 있으며, 완수(accomplishment)동사와 무상(aspectless)동사는 일종의 변두리 유형에 속한다. 이는 Mourelatos(1978), Bach(1981, 1986), Verkuyl(1993, 2005) 등이 주장한 “State-Process- Event”와 같은 동작성 3분 이론이 합당한 것임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