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의 ESG 경영 및 경영전략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서현,박성욱 한국조세법학회 2025 조세논총 Vol.10 No.1

        지속적인 성장과 생존을 위해 기업은 ESG 경영을 실시하게 되면서 중소기업에서도 이러한 ESG 경영을 중시하는 추세이다. 또한 국내 경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다양한 정책상 지원과 세제혜택을 받으므로 조세부담 수준이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며, ESG 경영 및 경영전략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ESG 경영을 하는 중소기업에서 경영자의 경영전략 선택에 따라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유가증권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12월 말 결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며, 한국ESG기준원에서 제공하는 ESG 등급 및 Miles and snow(1978, 2003) 연구의 선도형, 분석형 및 방어형 경영전략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중소기업의 ESG 등급이 우수할수록 조세회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개별 등급으로는 중소기업의 환경활동 등급이 우수할수록 조세회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중소기업이 혁신 및 위험을 추구하는 선도형 전략을 실시할수록 새로운 제품과 시장을 개척하려고 노력하기에 조세회피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중소기업의 ESG 등급이 높은 집단에서 선도형 전략을 실시할수록 조세회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ESG 경영 및 경영전략이 조세회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조세회피 연구 분야를 확장시켰다. 둘째, 중소기업의 ESG 등급에 따라 경영전략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검증하였으며 셋째, 과세당국뿐만 아니라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s companies implement ESG management for continuous growth and survival, there is a trend of emphasizing ESG management even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dditionally, SMEs, which hold a significant share of the domestic economy, need to establish reasonable management strategies to maintain competitiveness and grow. In the case of SMEs, they receive various policy supports and tax benefits, resulting in a relatively low level of tax burden.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SMEs with these characteristics, empirically examining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and business strategies on tax avoidance. It also analyzes how the choice of business strategy by managers in SMEs practicing ESG management affects tax avoidance.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SMEs with a December fiscal year-end, listed on the securities and KOSDAQ markets from 2015 to 2023. It examines the impact of ESG ratings provided by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 and the prospector, analyzer, and defender business strategies of Miles and Snow(1978, 2003) on tax avoidance. Examining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it is found that the better the ESG rating of SMEs, the more tax avoidance increases. Additionally, in terms of individual ratings, it is found that the more excellent the environmental activity rating of SMEs, the more tax avoidance increases.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 more SMEs implement a prospector strategy, pursuing innovation and risk-taking, the more they actively engage in tax avoidance to pioneer new products and markets. Thirdly, it is found that in groups of SMEs with high ESG ratings, the more they implement a prospector strategy, the more tax avoidance increase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by analyzing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and business strategies of SMEs on tax avoidance, it has expanded the field of tax avoidance research. Secondly, it examined whether the impact of business strategies on tax avoidance varies depending on the ESG rating of SMEs. Thirdly, it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not only to tax authorities but also to investors and stakeholders.

      • KCI등재

        정부 수립과 6.25전후의 세제개혁 연구

        서정우 한국조세법학회 2024 조세논총 Vol.9 No.4

        한국 세제사는 우리가 현실적으로 세제 내지 세무행정을 해나가는 가운데 매우 실질적인 의의를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가 눈 앞에 크고 작은 여러 가지 어려운 세제나 세정문제에 부딪쳐 있을 때마다 잠시 한발자국 물러나 이것을 결국 크게 보면 과거 역사속에서의 역사적 문제임을 재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정부수립과 6.25전후인 1948년부터 1960년까지를 중심으로 당시의 세제개혁을 연구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경제안정과 균형재정을 향하여 전진하던 한국경제는 뜻밖에 6.25전쟁을 만나 모든 안정과 성장발전정책이 좌절되고 새로운 전시체제를 갖추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휴전 이후 세무행정의 기본 구조를 보면 주로 전시세제로부터 평상시의 세제로의 전환, 자본축적의 촉진, 소비의 억제, 납세자와의 마찰을 피하기 위한 간접세 치중의 조세체계의 확립, 세무행정의 간소화 등을 정책방향으로 하여 전반적으로 세율을 인하하면서 간접세 중심의 세제로 이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역사속에서 전개되어온 현실의 세제와 세무행정 문제가 다가오는 미래의 역사에 대해서 어떠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가를 알았을 때 비로소 우리의 임무에 대한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세제사 중 특히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계속된 6.25전쟁시절과 1954년부터 1960년 4.19혁명까지의 세제개혁을 연구하고 있어, 선행 우리나라 조세사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하겠다. 1948년 8월 15일 드디어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동시에 그 해 9월 말에 군정 예산이 결산되고, 10월 1일부터는 독립정부의 재정정책이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인플레 수습을 통한 경제안정과 산업부흥을 경제정책의 목표로 설정하고, 그 결과 균형재정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는 건국 이후 긴급사업인 치안확보, 국방강화, 전력 및 식량증산, 의무교육의 실시 등으로 인하여 경비팽창이 불가피하게 되어 균형예산의 성립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최근에도 조세부담수준과 세제 및 세무행정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높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조세부담수준과 세제 및 세무행정 문제도 지금까지 어떠한 역사과정을 거쳐서 어떻게 우리 앞에 던저져 있는가를 파악할 때 우리는 조세부담수준과 세제 및 세무행정의 문제 해결의 기본적인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역사속에서 전개되어온 현실의 세제와 세무행정 문제가 다가오는 미래의 역사에 대해서 어떠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가를 알았을 때 비로소 우리의 임무에 대한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연구 방법 중 문헌적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1948년 정부수립이후부터 6.25전쟁과 휴전, 그리고 1960년까지의 세제개혁을 연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Research topics: I think the Korean tax history is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as we realistically carry out tax or tax administration. Whenever we encounter various difficult tax or cleaning problems, large and small, we take a step back and eventually rediscover that it is a historical problem in the past history.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fiscal and tax reforms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nd the period from 1948 to 1960,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Research background: The Korean economy, which had been moving toward economic stability and balanced financ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unexpectedly encountered the Korean War, frustrating all stability and growth development policies and forcing a new exhib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basic structure of tax administration after the ceasefire, the government implemented an indirect tax-centered tax system by lowering the overall tax rate from the wartime tax system to the usual tax system, promoting capital accumulation, suppressing consumption, and simplifying tax administration to avoid friction with taxpayers. Only when we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real taxation and tax administration issues that have been developed throughout history for the coming history will we be able to have a historical consciousness of our mission.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mong Korean tax history, this study studie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8, the Korean War from 1950 to 1953, and fiscal and tax reforms from 1954 to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Korean tax history studies. Research method: Focusing on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mong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studied and drew implications for fiscal and tax reform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to the Korean War and ceasefire, and 1960. Research results: At the same time a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on August 15, 1948, the military government budget was finally settled at the end of September of that year, and the independent government's fiscal policy was implemented from October 1. The government set economic stability and industrial revival through inflation as economic policy goals, and as a result, tried to realize a balanced budget. Since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he Korean government has inevitably expanded expenses due to emergency projects such as securing security,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increasing electricity and food production, and implementing compulsory education, making it impossible to establish a balanced budget. Recently, the public is dissatisfied with the level of tax burden and tax and tax administration. As such, when grasping the current level of tax burden in Korea and how tax and tax administration issues are thrown before us throughout the history process so far, we will be able to find the basic direction of solving the problems of tax burden and tax administration.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Recently, public dissatisfaction with the level of tax burden and tax and tax administration is high. As such, when we grasp the level of tax burden and how the current tax burden and tax and tax administration issues in Korea have been thrown before us so far, we will be able to find the basic direction of solving the problems of tax burden and tax and tax administration. We will be able to have a historical consciousness of our mission only when we find out what the real tax and tax administration issues that have been developed throughout history mean for the future history.

      • KCI등재후보

        조세포탈행위 처벌절차에 대한 연구

        박정우,마정화 한국조세법학회 2019 조세논총 Vol.4 No.4

        Among the tax offenses, the prosecution of cell death is a serious crime that adversely affects the tax environment, such as a decrease in national treasury imports and a burden on faithful taxpayers, as well as distorting the transactional order caused by misconduct. Despite this importance and punishment,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has been constantly questioned, even if the allegations of hematopoietic arrest were captured, the rate of implementation or punishment in criminal proceedings is very low. The real prosecution rate gap between tax cases and total criminal cases decreased from 20.1% p in 2010 to 2.0% p in 2017, but the real prosecution rate of tax cases is still lower than that of all criminal cases. In addition, the overall notice disposal rate is low around 50%, which may be considered because it is not prosecuted or advantageous than criminal proceedings proceeding even if the notice disposal is not implemented. The cause of this problem can be found in the investigation of tax offenses, and in the entire process of punishment of tax offenses.In order to clarify the crimes of crime,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nel in charge or cooperate with the prosecutors, and increase the level of fines for notifying the non-criminal proceedings. It should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system, such as mitigation, to increase the implementation rate of the notice disposal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secution rate and punishment. Furthermore, in order to clarify the necessity of prosecution of cell-cell offenses,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ax offense investig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ambiguity of “misconduct,” additionally proactively or passively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ncepts such as long-term expulsions or tax evasion. 조세범죄 중 조세포탈죄는 국고수입이 감소되고 성실납세자에 부담을 전가하는 문제 뿐만 아니라 부정행위로 인한 거래질서를 왜곡하는 등 납세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중대범죄이다. 이러한 중요성과 가벌성에도 불구하고 조세포탈의 혐의가 포착하더라도 형사절차로 이행하거나 처벌되는 비율이 매우 낮아서 처벌 실효성이 끊임없이 문제되어 왔다. 조세사건과 전체 형사사건의 실질 기소율 격차는 2010년 20.1%p에서 2017년 2.0%p로 상당히 감소되었으나, 여전히 조세사건의 실질 기소율이 전체 형사사건보다 낮은 상황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통고처분 이행률은 50%대 전후로 낮은데 통고처분을 이행하지 않았더라도 기소가 되지 않거나 형사절차가 진행되는 것보다 유리하기 때문인 점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조세범칙조사부터 조세범 처벌절차 전반에서 찾을 수 있는 바 범죄혐의를 확실히 입증할 있도록 담당인력의 전문성 제고 또는 검찰과의 공조체계를 강화하고, 비형사절차인 통고처분의 벌과금 수준을 완화하는 등 제도 취지에 맞게 운영하여 통고처분의 이행률을 높이면서 기소율과 처벌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조세범칙조사 절차의 출발점인 조세포탈죄의 성립여부 특히 “부정행위”의 모호한 요건을 명확화할 수 있도록 장기 제척기간 또는 조세회피와 같은 인접 개념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극적 또는 소극적 요건을 추가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공익법인 공익성과 조세균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공익성, 조세혜택 중심으로

        홍태화(Tae hwa Hong) 한국조세법학회 2021 조세논총 Vol.6 No.4

        민간 공익법인들이 국가가 감당해야할 공익사업의 일정부분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익법인을 통한 조세회피 수단이나 부의 세습 수단으로 악용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 이유로는, 첫째, 공익법인 설립허가가 행정관청의 재량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되고 세무상 공익법인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공익활동의 성과에 따른 조세형평성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세무상 공익법인의 공익성과 투명성 평가를 통하여 공익법인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그에 합당한 조세혜택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조세법상 공익법인의 공익성과 조세혜택에 대한 고찰을 하고 해외 주요국가의 조세법을 검토하여 조세법상 공익법인 체계구성과 공익성 검증 평가방법 공익성에 따른 과세 형평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법, 공익법인법, 법인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다양하게 열거된 공익사업의 범위를 조세법상 공익법인의 형태로 재구조화하여 국세조세법에 일원화하고 타 세법에서 인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새로운 명칭은 “조세비영리단체”, “조세비영리법인”, “조세공익법인”으로 정하고 법인을 평가하여 일정점수이상을 얻으면 상위법인으로 승급하고, 일정점수 이하를 받으면 하위법인으로 강등하는 방안을 제언 하였다. 둘째, 세무상 공익법인에 대한 공익성 평가기준과 평가 계산방법을 제시하여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공익법인의 등급을 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새롭게 구성된 공익법인별로 조세 혜택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① 조세비영리단체는 고유목적사업에 대하여 비과세하도록 하고, 수익사업에 대해서는 영리법인과 동일한 법인세율을 적용하도록 한다. ② 조세비영리법인은 고유목적사업비과세, 부가세면제, 이자・배당수입 환급가능, 수익사업 과세하되 법인세율을 인하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③ 조세공익법인은 고유목적사업비과세, 부가세면제, 이자・배당수입 면세, 수익사업이라도 공익목적사업이라면 면세, 기타 수익사업에 대한 고유목적전입액 100% 손금인정 등의 세제혜택, 최저의 법인세율 적용, 주식취득에 대한 한도 증대와 영국에서 시행하는 레거시제도를 도입하여 조세공익법인에 상속 재산 중 10% 이상을 기부하는 기부자에게 나머지 재산에 대한 상속세 10%를 감면해주도록 하여 조세공익법인에게 좀 더 많은 혜택을 강화하여 공익성에 따른 조세혜택을 주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공익법인의 공정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이 있으나 정성적인 평가와 선언적인 평가에 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무적으로 세무상 혜택을 부여하기 위한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방법을 구체적으로 수치화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따라서 공익법인의 정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조세법상 공익법인을 구분하였고, 공정성과 투명성에 따라 세제혜택을 차별화 하도록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Despite the fact that private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re in charge of a certain part of public works that the state has to bear, they are criticized for being abused as a means of tax evasion or wealth inheritance through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first, permission to establish a public interest corporation is decided by th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tax equit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public interest activities has not been properly achieved because the boundaries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re unclear for tax purpo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by stage through the evaluation of public interest and transparency for tax purposes, and to differentiate appropriate tax benefi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scope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under the domestic tax law and evaluation of public interest, and proposes a new proposal by studying advanced foreign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osed to restructure the scope of public services listed in various ways in the Civil Act,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ct, Corporate Tax Act, and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o define a definition in the National Tax Act and quote it in other tax laws. The new name will be “tax non-profit organization”, “tax non-profit corporation”, and “tax public interest corporation”. In the evaluation of corporations, if it gets a certain score or higher, it will be promoted to a higher corporation, and if it receives less than a certain score, it will be downgraded to a lower corporation. suggest Secon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calculation method for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ere presented to enable quantitative evaluation. Third, tax benefits for each newly formed public interest corporation are proposed as follows. ① Tax non-profit organizations shall be exempt from taxation on their own purpose business, and the same corporate tax rate as that of for-profit corporations shall be applied to profit-making businesses. ② Tax non-profit corporations are subject to taxation of intrinsic business expenses, exemption from VAT, refundable interest/dividend income, and taxation of profit-making businesses, but reduce the corporate tax rate. ③ Tax benefit corporations apply tax benefits such as special purpose business expense taxation, value-added tax exemption, interest/dividend income tax exemption, tax exemption if a profit-making business is a public service project, 100% deduction for other profit-making projects, etc., and the lowest corporate tax rate , increasing the limit on stock acquisition and introducing the legacy system enforced in the UK to give a 10% reduction in inheritance tax on the remaining property to donors who donate more than 10% of their inherited property to a public tax corporation. Many benefit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vide tax benefits according to the public interest.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the fairness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but they are limited to qualitative and declarative evaluations. In this paper,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fairness and transparency to provide tax benefits in practice can be specifically quantified. Therefore,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ax Act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of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nd a new evaluation method was proposed to differentiate tax benefits according to fairness and transparency.

      • 실질과세원칙의 적용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대법원 2012.1.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신용주 한국조세법학회 2018 조세논총 Vol.3 No.2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법률주의에 의하여 의회를 통과한 조세법이 규정한 내용에 의하여 조세를 부과할 때에 과세대상이 되는 소득 · 수익 · 재산행위 또는 거래의 귀속이 사실상 귀속 되는 자가 따로 있을 때에는 사실상 귀속되는 자를 납세의무자로 하여 세법을 적용하는 귀속자에 대한 실질과세의 내용과 부과의 대상이 되는 소득 · 수익· 재산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이나 형식에 관계없이 그 실질에 따라 과세한다는 과세대상의 실질적 과세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법률이 규정하고 있는 부과요건을 충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래의 명칭이나 형식을 달리함으로써 과세되지 않는 불공평을 제거하여 과세대상으로 파악하여 과세하는 적극적인 역할과 조세법이 규정하고 있는 과세요건의 내용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세하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소극적인 역할이 있는 바 실질과세의 원칙을 해석적용 함에 있어서 적극적인 면에 치중하면 그 과세대상 범위를 확대하여 조세법률주의에 의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칙가능성을 보장하려는 기능을 전혀 무시하는 이른 바 조세법률주의의 형해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법원 2012.1.19.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은 모 회사인 (甲)이 100% 출자한 자회사인 (乙) 및 (丙)이 투자한 손자회사인(丁) (戊)회사의 주식을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아니하고 (乙)과 (丙)이 법인격이 부인되는 법인이 아님에도 불과하고 모회사인 甲이 자회사인 (乙), (丙)을 통하여 손자회사인 (丁) 및 (戊)의 경제적 효과를 누린다 하여 모회사인 (甲)에게 (丁), (戊) 회사의 부동산을 간주 취득한 것으로 보아 간주취득세를 부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판결은 조세법률주의와 실질과세원칙이 상호보완적이고 불가분적인 관계에 있다하여 실질과세의 원칙에 대하여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법률에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세형평을 위하여 예칙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합목적적이고 탄력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조세법률주의의 형해화를 막고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하는 입장에 있는 것이라고 변명하나 거꾸로 모 회사가 자회사에 100% 투자하였으나 자회사가 다시 투자한 손자회사의 주식은 한 주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모 법인을 과점주주로 보아 손자회사 소유 부동산을 과점주주가 취득한 것으로 보아 간주 취득세를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고 있어 조세법률주의를 전형적으로 형해화하는 판결로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조세법률주의는 형법에 있어서 죄형법정주의와 더불어 납세자의 기본권인 인권과 재산권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조세법에서 과세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이를 해석적용 하는 것이고 의회를 통과한 조세법률의 실질적인 내용이 무엇이냐를 파악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조세법률에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세평등을 위하여 과세할 수 없는 것처럼 조세법에서 과세요건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질이 동일하다고 보아 과세하여야 한다고 하는 것은 실질적 법치국가의 실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결국 조세법률주의하에서 실질과세의 원칙은 납세자의 재산권 보장을 위한 조세정의의 실 ...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classified by the substantial tax of following taxable subjects: income, profit, or property that could be a subject when the tax is imposed by the tax law, which has passed the congres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or if there is a separate person who will be vested in income, profit, or property from a transaction will be selected as a taxpayer and must pay for related tax irrespective of the title or the form.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divides to either an aggressive role that would impose people who try to avoid tax by changing the title of transaction or the format, or a passive role that needs to solve the issue of taxing people who actually do not qualify under the tax requisition. If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focuses on an aggressive role, it may completely ignore the role of legal stability and not guarantee the possibilities of orders under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this may cause the problem that would lead to the titular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En banc judgment of the case number 2008 Do 8499 in January 19, 2012 from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Company A, a parent company, has reasonable responsibility to levy deemed acquisition tax, because although Company A doesn’t have any stock of Company B- a subsidiary company that Company A invested completely - and Company D and E, - affiliated company of Company C - Company A deemed property acquisition of Company D and E, stating that Company D and E has made economical effect through Company B and C even though Company B and C are not qualified as an incorporation company. But the judgment authorized assertively toward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because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and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are in complementary and inseparable relationship. Thus, the judgment can be justified that it will prevent to become a titular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even there isn’t any related regulation in the law, and secure effectiveness with teleological and flexible interpretation for the equity in taxation, within the range of not defaming legal stability and possibility of order. On the other hand, the judgment stated that it’s reasonable to levy deemed acquisition tax to a parent company, which was counted as an oligopolistic stockholder in this case, because it deemed property acquisition of an affiliated company, even if a parent company invested 100% to a subsidiary company, but doesn't have any stock of affiliated company that a subsidiary company invested. This judgment causes a serious problem of turning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neffective.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n criminal law protects civil rights of taxpayer and property rights, along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it verifies what the tax law requires for tax requisition, and applies to substantive contents of the tax law that passed the congress, aft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As tax can’t be imposed for tax equality even there isn’t any regulation in tax law, it is unacceptable to impose the tax because substances count as same and even the tax law doesn’t regulate as tax requisition; this inhibits realization of law-abiding country. Thu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under the principle of legislated taxation is a realization of tax justice to guarantee property rights of taxpayer.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is the general principle of foundation of law; it’s obviously inhered value concept in the law itself. Formally, the principle is regarded as appropriate as an effective method to work as passive role, in order to solve the contrast between the justice and application analysis of the law. Therefore, this judgment from the supreme court shows five problems. First, it’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is case and applying economical substance from economical obser...

      • KCI등재

        「법인세법」상 ‘실질적 관리장소’에 대한 연구 - 가상자산 사업자에 대한 과세실무를 중심으로 -

        남현우 한국조세법학회 2024 조세논총 Vol.9 No.4

        「법인세법」은 2005. 12. 31. 개정을 통하여 내국법인의 범주에 ‘실질적 관리장소’가 국내에 있는 법인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개정의 취지는 어디까지나 조세회피 목적으로 해외에 설립된 명목회사를 과세대상의 범주로 포섭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관련 법령에서 어떠한 경우가 ‘실질적 관리장소’에 해당하는지를 분명히 정하지 않은 탓에, 모호하면서도 추상적인 기준으로 판단되고 또 사실관계 판단에 따라 언제든 달리 해석될 수 있는 다소 불안한 개념으로 존속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법원은 「법인세법」상 ‘실질적 관리장소’의 존부를 판단하면서 OECD모델 조세조약 주석서에서 제시한 기준을 그대로 원용하고 있지만, OECD모델 조세조약 주석서의 기준은 조세조약상 이중거주자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으로 단일 국가의 거주자 판정을 위한 기준과는 일면 유사해 보이지만 분명히 상이한 개념에 해당하는바, 「법인세법」상 ‘실질적 관리장소’ 판정의 기준으로 그대로 원용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근래에는 조세회피 의도가 없는 외국법인의 경우에도 단지 중요한 의사결정 내지 관리활동이 국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이유만으로 ‘실질적 관리장소’가 국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확인된다. 하지만 조세회피 목적으로 설립된 외국법인을 전제로 ‘실질적 관리장소’ 개념이 도입된 점을 고려하면, 조세회피 의도가 없는 법인의 실질적 관리장소라는 문구는 그 자체로 형용의 모순이다. 또한 법문언에서 조세회피 의도를 요건으로 정한바 없다는 이유로 조세회피 의도를 요건으로 볼 수 없다고 해석한다면, 이는 비형식 논리학에서 말하는 전형적인 의도확대의 오류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법해석을 통하여 입법의 취지와 전면적으로 배치되는 대향적 요건을 창설하는 것이어서 사법입법의 한 행태라는 생각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의 입법론적 대안으로, ‘실질적 관리장소’의 판단의 준거를 위한 구체적 요건을 관련 법령에 입법하거나 조세회피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을 그 대상으로 명확하게 특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Through the revision on December 31, 2005, the Corporate Tax Act added a corporation in Korea with a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to the category of domestic corporations. The purpose of this amendment was to include nominal companies established overseas for tax avoidance purposes as a taxable category, but since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did not clearly specify which cases correspond to the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the reality is that it remains a rather unstable concept that is judged on an ambiguous and abstract basis and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judgment of facts. The court uses the criteria set out in the OECD Model Treaty commentary as it is while judging the existence of a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under the Corporate Tax Act, but the criteria of the OECD Model Treaty commentary are similar to those for determining residents in a single country as a concept for solving the problem of dual residents under the tax treaty, but they are clearly different concepts, which are considered inappropriate to be used as criteria for determining a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under the Corporate Tax Act. Furthermore, even in foreign corporations that do not have tax avoidance intentions, it is also confirmed that a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exists in Korea because important decision-making or management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Korea.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a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on the premise of an overseas corporation established for tax avoidance purposes, the phrase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to a corporation without tax avoidance intention' is itself a contradiction of formality. If the legal text interprets that the tax avoidance intention itself cannot be viewed as a requirement because the tax avoidance intention is not set as a requirement, it is considered a behavior of judicial legislation by creating opposing requirements that are entirely contrary to the purpose of legislation through legal interpretation. As a legislative alternative to the above problems, it seems necessary to legislate specific requirements for the criteria for the judgment of the 'place of effective management' in related laws or to clearly specify corporations established for tax avoidance purposes.

      • 거래내용에 관한 실질과세의 원칙의 적용 범위-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김완석 한국조세법학회 2016 조세논총 Vol.1 No.1

        While form and substance match for transactions that are under the purview of taxation laws in general, due to the increasingly complicated economic structures and tax avoidance practices, this is not always true in practice. In such cases, if taxation is executed simply for the form and the appearance of transactions, those without taxable capacity or subjects without taxable capacity are taxed, which harms to fairness of the tax burden. under the principle of substance over form, the facts of tax requisition must be identified and taxation laws must be interpreted with the economic meaning and the actual practice as the standard. The principle is at the core of practice and realization of equality of tax burden principle, which is the base of all taxation laws. Over the substance and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are all amorphous concepts, offices of taxation and taxpayers are in con- stant conflict over the application of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which is shaking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taxation laws. Since the Korean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08Du8499, Decided January 18, 2012, left the interpretation of “substance” as “economic substance,” the academia, courts, taxation offices, and elsewhere in the taxation profession have not been able to set a clear standard or stance on this issue. Moreover, taxation offices, which were empowered by the above Supreme Court decision, are expanding the amorphous concepts of substance and economic substance, in order to recharacterize transactions where possible to execute taxation. Meanwhile, the trends in legal precedents on substance over form principle on transaction contents show that sham transactions theory is used to deny tax evasion. Sometimes, Clauses 2 or 3 of Article 14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re applied for the denial, or the courts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said clauses at all, which show that the standards for application of the law are not clear. The author of the current paper believes that consistent legal decisions based on clear and transparent standards will be able to secure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for taxpayers. Next, legislators must also enact special anti-avoidance rules (SAAR) in order to regulate undesirable tax evasion, and the Article 14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hich is a general anti-avoidance rule (GAAR) should become more detail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its appl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a separate GAAR article other than the Clauses 1 and 2 or Article 14 of the Framework Act must be enacted, which will include paragraphs that deny detour transactions and step transactions stated in Clause 3 of Article 14 of the Act, as well as other inappropriate and abnormal practices or transactions. Furthermore, the paragraph that denies such tax avoidance behaviors must elaborate the conditions of the its application. 조세법의 규율대상이 되는 거래 등은 형식이나 외관과 실질이 부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제구조의 복잡화와 조세회피현상 등으로 말미암아 때로는 거래 등의 형식이나 외관과 그 실질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순히 거래 등의 형식이나 외관을 기준으로 하여 과세를 행하게 되면 담세력이 없는 자 또는 담세력이 아닌 것에 과세하는 결과로 되어 조세부담의 공평을 해치게 된다. 실질과세의 원칙은 조세부담의 공평이 이루어지도록 경제적 의의 또는 실질을 기준으로 하여 조세법을 해석하고 과세요건사실을 인정하여야 한다는 원칙으로서 조세법의 기본원칙인 조세평등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원리이다. 그런데 실질과세의 원칙에서의 실질이나 경제적 실질은 모두 불확정개념이기 때문에 실질과세의 원칙의 적용을 둘러싸고 과세관청과 납세자간에 다툼이 계속되고 있고, 조세법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이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대법원 2012.1.18. 선고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하여 ‘실질’을 ‘경제적 실질’의 의미로 해석한 이래 실질과세의 원칙의 적용범위와 관련하여 학계, 법원, 과세관청 및 실무계 어디에서도 명확한 기준 또는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위의 대법원 2008두8499 전원합의체 판결에 힘을 얻은 과세관청은 불확정개념인 실질이나 경제적 실질이라는 불확정개념의 확장을 통하여 가능하다면 거래를 재구성하여 과세를 행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거래내용의 실질과세의 원칙에 관한 판례의 동향을 보면 특히 개별규정이 없는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할 때 그 부인의 근거와 관련하여 가장행위이론을 내세우기도 하고, 때로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2항 또는 제3항을 적시하기도 하여 그 근거나 기준이 혼란스럽다. 그리고 납세의무자의 특정한 행위 또는 거래가 국세기본법 제14조 제2항 또는 제3항의 적용대상이 되는 조세회피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판단기준도 명료하지 못하다. 납세의무자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명확하고 뚜렷한 근거와 기준에 의한 일관성 있는 판결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입법자는 가능한 한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할 수 있는 개별규정을 두어 바람직하지 못한 조세회피행위를 규제하도록 하여야 하고, 일반조항인 국세기본법 제14조도 그 적용요건을 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 및 제2항과는 별개로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하는 일반규정의 조항을 신설하도록 하되, 그 신설하는 일반규정의 조항 안에 현행 제14조 제3항의 우회거래 및 다단계거래를 부인하기 위한 조항 외에도 부적합하고 이상한 형식의 행위나 거래를 통한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하기 위한 일반규정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세회피행위를 부인하는 일반규정의 적용요건을 좀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세청 심사청구제도 개편방향에 대한 고찰

        김신언 한국조세법학회 2025 조세논총 Vol.10 No.1

        행정심판제도 자체가 가지는 의미에 집중한다면 전문적·기술적 지식과 더불어 대량·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조세사건의 특성상 사법절차에 앞서 조세 법률관계의 쟁점을 정리할 수 있는 전심절차는 필수적 요소이다. 이러한 행정전심절차는 납세자 구제절차의 일환으로 절차적 정당성과 공정성을 확보하여 과세권의 남용을 방지하고 납세자 권익 보호라는 취지를 달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현재까지 우리나라 조세불복제도에 관한 학계나 국회 등의 연구를 종합하면, 필요적 전심절차로 인해 납세자가 신속한 재판을 받을 수 없게 되므로 조세불복절차의 필요적 전심절차를 축소하거나 폐지하자고 한다. 특히 조세심판원의 기능을 확대하는 대신 국세청의 심사청구를 폐지하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공정성과 신속성 등을 기준으로 납세자 권익을 보호하는 데 조세심판원 심판청구가 국세청 심사청구보다 우월하다는 증거는 없으며, 오히려 조세심판원의 재심문제와 재조사 결정처분의 남용은 사법절차를 준용하도록 한 헌법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 기존의 필요적 전심절차 치리기관 축소로 인한 납세자의 선택권 침해와 더불어 최근 인용률에서 국세청 심사청구가 조세심판원 심판청구를 역전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조세불복제도의 통합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세청 심사청구는 조세심판원과 달리 심사과정에서 직권시정 등을 통한 경정으로 납세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있어 행정청에 자기 시정의 기회를 제공하고 신속한 결정을 받게 하는 「행정심판법」의 입법취지에도 부합한다. 다만, 향후 국세청 심사청구는 전문성과 조직의 기능을 활용하여 조세심판원의 심판청구와 차별화된 제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사실관계 판단보다는 법령해석에 특화시킬 필요가 있다. If we focus on the meaning of the administrative trial system itself, due to the nature of tax cases that occur in large quantities and repetitions, along with professional and technical knowledge, a pre-trial procedure that can organize issues in tax legal relations prior to judicial proceedings is essential. These administrative pre-trial procedures shall achieve the purpose of preventing abuse of taxation rights and protecting taxpayer rights by securing procedural justification and fairness as part of the taxpayer relief procedure. However, researches by academia and the National Assembly on Korea's tax appeal system so far, taxpayers cannot receive a prompt trial due to the mandatory pre-trial procedures, so it is suggested to reduce or abolish the mandatory pre-trial procedures. Especially opinions are being collected to abolish the National Tax Service(NTS) examination request instead of expanding the function of Tax Tribunal.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Tax Tribunal is superior to national tax audits in protecting taxpayers' rights and interests based on fairness and promptness, and rather, the issue of retrial by Tax Tribunal and abuse of re-investigation decisions do not meet the demands of the Constitution to apply judicial procedures. Considering the problem of reducing the taxpayer's option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existing mandatory pre-trial procedures, and the fact that NTS examination request is reversing Tax Tribunal in the recent citation rate, the integration of the tax appeal system needs to be cautious. In particular, unlike Tax Tribunal, NTS examination request can protect taxpayers' rights and interests through ex officio correction during the examination proces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which provides administrative offices with opportunities for self-correction and receives prompt decisio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in the interpretation of laws rather than judging the facts so that future requests for examination by the National Tax Service is able to be maintained as a system differentiated from Tax Tribunal by utilizing their expertise.

      • KCI등재

        상속세에 관한 재산평가와 조세회피부인에 대한 검토 - 일본 최고재판소 2022년 4월 19일 판결을 중심으로 -

        황헌순 한국조세법학회 2024 조세논총 Vol.9 No.4

        이 연구는 상속세 부담을 회피하기 위해 상속인이 행한 조세회피에 대한 일본의 최고재판소 판결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하여 시가평가가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부동산이 저평가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지적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일본의 사법부는 어떠한 판단을 내렸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판결의 사실관계는 다음과 같다. 94세에 사망한 피상속인이 생전인 90세, 91세때 은행 등으로부터의 차입금으로 구입한 맨션(본건 각 부동산)에 대해, 상속인이 재산평가기본통달이 정하는 평가방법에 따라 그 가액을 평가하여 상속세 신고를 했다. 이에 대해 관할 세무서장은 본건 각 부동산의 가액은 위 통달의 규정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현저히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므로 별도 실시한 감정에 따른 평가액을 가지고 평가해야 한다(평가통달6 참조)고 하여 경정처분 및 과소신고가산세의 부과결정처분을 한 것이다. 이에 대해 납세자가 해당 처분에 대한 취소를 구한 사안이다. 이에 대해 일본 최고재판소는 “상속세의 과세가격에 산입되는 재산가액에 대해 평가통달이 정하는 방법에 따른 획일적인 평가를 행하는 것이 실질적인 조세부담의 공평에 반한다고 할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고 인정되므로, 당해 재산의 가액을 평가통달이 정하는 방법에 따라 평가한 가액을 상회하는 가액에 따르는 것이 상기 평등원칙에 위반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납세자는 세법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세부담에 있어 자신에게 유리한 법률행위를 행할 수 있다. 과세관청은 이에 대해 조세공평을 고려하여 납세자의 행위를 부인하려는 경우가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상속세 및 증여세 과세형평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제도의 논의가 있다. 조세평등주의는 조세법률주의를 통하여 실현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세법도 납세자의 재산권보장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을 간과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며, 본 글 역시 이러한 내용에 대하여 일본의 최고재판소 판결을 살펴봄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apan's Supreme Court ruling on tax avoidance by heirs to avoid the burden of inheritance tax,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 from this. In Korea, market valuation is a principle for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but in some cases, a problem has been pointed out that real estate is undervalued. We would like to examine what kind of judgment the Japanese judiciary has made in this regard. The target judgment was that the heir evaluated the value of the mansion purchased by the heir at the age of 94 with loans from banks at the age of 90 and 91,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 prescribed by the Basic Real Estate Evaluation. In response, the Supreme Court of Japan said, "If there is a reasonable reason to conduct a uniform evaluation of the property value included in the taxable price of inheritance tax according to the method determined by the assessment authority, there is a reasonable reason, so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the value of the property is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evaluated according to the method determined by the assessment authority." The act in this case significantly reduced the inheritance tax burden. This creates an imbalance that is difficult to overlook compared to other taxpayers, and is contrary to the fairness of the actual tax burden. Taxpayers may engage in legal acts that are advantageous to them in tax burden within the scope not contrary to the tax law. In response, the customs office continues to deny the taxpayer's actions based on tax fairness. In Korea, there are discussions on various systems to improve the taxation equity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It should be seen that tax egalitarianism is realized through tax legalism.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tax law is also aimed at guaranteeing the property rights of taxpayers, and this article is also meaningful to examine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of Japan on these contents.

      • KCI등재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일본 판결례의 검토를 중심으로-

        황헌순 한국조세법학회 2024 조세논총 Vol.9 No.2

        조세와 관련하여 헌법상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는 세법의 입법과 집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예컨대, 조세회피행위의 경우 조세법률주의를 중시하면 과세할 수 없다는 한계에 직면하며, 담세력에 따른 조세평등을 중시하면 이에 대한 과세가 가능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러한 과세는 ‘법률’에 따른 과세는 아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입법자의 입법을 통해서 해결하여야 하는 것이며, 행정부나 사법부의 법해석이라는 미명 하에 관련 규정의 해석범위를 초월하여 과세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의 관계는 조세평등주의가 조세법률률주의의 실질적 내용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우리나라와 법체계가 유사한 일본에서는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특정 납세자에게 고율의 세율에 기초하여 과세처분한 반면, 그 밖의 납세자들에게는 저율의 세율로 과세처분한 사안이 문제된 바 있다. 이 판결이 특히 주목을 받았던 이유 중의 하나는 고율의 세율적용이 타당하다는 것이었다. 그 결과 법령에 따른 적법한 처분과 법령에 반하는 저율의 조세부과처분에 대한 문제가 검토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첫째, 조세평등주의가 조세법률주의에 우선한다는 견해가 있다. 즉, 고율에 따른 과세보다 저율에 따른 과세가 다수라는 점에서 조세평등을 고려하여 해당 사안에서는 조세평등주의가 조세법률주의에 우선한다는 것이다. 이는 고율에 따라 과세된 납세자를 구제하기 위한 결과였다고 생각된다. 둘째, 조세법률주의의 실질적 내용으로서 조세평등주의는 집행 및 입법상 작동하는데, 입법 시에는 집행을 염두에 둔 평등을 고려하여 입법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해당 법조항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했으면 위 사안과 같이 과세처분이 달라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는 조세법률주의의 내재적 제약으로서 고율의 납세자에게도 기타 납세자들과 동일한 과세를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볼 때, 조세법률주의와 조세공평주의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양자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세법상 조세법률주의와 조세평등주의가 공통적으로 논의된다는 점에서 향후 우리에게도 중요한 사례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세법률주의의 내용을 이루는 조세평등주의에 있어서 수직적 평등 및 수평적 평등을 논의함에 있어서 그 실질적 내용으로서 법조문의 규율밀도 및 명확성에 대해서도 보다 깊이있게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 합법성의 원칙이라는 것이 법내용평등 뿐만 아니라 법적용평등에 있어서 조세법률주의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Regarding taxes,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in the constitutional law are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in the legislation and enforcement of tax law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ax avoidance, if no taxation without law is emphasized,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be taxed, and some believe that if tax equalitarianism is emphasized, taxation is possible. However, in conclusion, these problems must be resolved through legislative legislation, and it will not be allowed to go beyond the scope of interpret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by law enforcement or legal interpretation of the administration or the judiciary. In this re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is understood that tax equalitarianism constitutes the actual content of no taxation without law. On the other hand, among Japanese case, it is not a tax avoidance issue, but it has been a problem for certain taxpayers based on a high tax rate, while other taxpayers have been taxed based on a low tax rate. In this case, given that the application of a high rate is particularly reasonable, the issue of legal disposition under the law and the imposition of a low rate of tax contrary to the law was reviewed. In this regard, first, there is an opinion that tax equalitarianism takes precedence over no taxation without law. Considering tax equality, tax equalitarianism takes precedence over no taxation without law in this case, given that there are many taxes according to low rates rather than high rates. This is thought to have been the result of relieving taxpayers who are taxed according to the high rate, in that they cannot request equality of illegality. Second, it is a view that the principle of legitimacy starts from tax equalitarianism, not no taxation without law. In this way, it is believed that the above issue can be resolved smoothly. However, more diverse reviews of the history and other research are needed for this. Third, as a practical content of no taxation without law, tax equalitarianism works in enforcement and legislation, and in the relevant legislation, it should be legislated in consideration of equality with enforcement in mind. If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had been more clearly defined, the taxation disposition would not have changed as in the above case, which is an inherent constraint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high-rate taxpayers should be taxed the same as other taxpayers. From the above discuss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may be variou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ax equalitarianism. In particular, it will be necessary to look at the two as important examples for us in the future as they are commonly discussed in the tax laws of Korea and Japan. In discussing vertical and horizontal equality in tax egalitarianism, which constitutes the content of tax legalism, it is possible to examine in-depth the discipline density and clarity of legal provisions as well as how the principle of legality harmonizes with No taxation without law in legal content 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