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승희,이효신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 2학년 자폐성 장애학생 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하여 부적응행동(자해행동, 방해행동, 공격행동)의 감소와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업 상황에서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능분석 후 중다요소적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행동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의 단계로 실시되었으며, 국어시간과 재량시간에 자료가 수집되었다. 중재 종료 2주 후에 1주일동안 쉬는 시간, 창의적 재량시간에 일반화 검사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대상학생의 부적응행동(자해행동, 방해행동, 공격행동)은 감소되었으며 중재의 효과는 중재 종료 2주 후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에서 충분히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teacher's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maladjusted behavior of an autistic student in the 2nd year of high school program at special school and the influence of the mediation of maladjusted behavior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natural classroom environment of a special school. The preference evaluation of the subject student and the functional analysis were executed, and a multi-ele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plan was established and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mediation was commenced.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teacher's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maladjusted behavior of an autistic student, maladjusted behavior was divided into self-injury, disturbance, and aggression, and a multi-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he targeted behavior of baseline, mediation, and generalization stages were measured through partial interval recor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Multi-ele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a natural classroom environment of a special school reduced the maladjusted behaviors (self-injury, disturbance, and aggression) of the subject student. (2) After the comple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effect of reduction in maladjusted behavior was generalized for other situations.

      • KCI등재

        멀티미디어 기반의 또래 모델링-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인순,정대영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상황이야기와 또래 모델링의 패키지 기법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학생은 4명이었으며, 대상 1명당 또래 학생 2명씩을 포함시켜 3명을 1개조로 하였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부모와 담임교사의 면담을 거쳐 대상을 선정하였고, 관찰을 통해 목표행동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채택하였으며, 연구자가 근무하는 교실에서 주 5~6회기씩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행동 발생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냈으며, 기울기, 자료의 중복 비율 및 사회적 타당도를 검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학생 4명이 정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비슷한 양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행동이 증가되었고 문제행동은 감소되었으며, 일반화상황에서도 그러한 행동변화의 경향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기반의 상황이야기와 또래 모델링을 복합화한 기법은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행동을 증가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또래를 포함시켰으며, 실험실 조건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방안의 현장 적용의 방법을 확대하고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and multimedia-based peer modeling on social communication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Four target students were in four triads, each of which was composed of one target student and two peer students. Total number of 55 sessions were made, each with 10 minutes of social story understanding and 20 minutes of intervention. Multiple probe design was utilized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periods according to each target student's social communication and problem behavior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with slight difference but similar aspect, all four students showed increased social communication and decreased problem behaviors, and that was maintained in the generalization situat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rvention method of social story combined with multimedia-based peer model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social communication and decreasing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 KCI등재

        자기관리 전략이 고기능 자폐성 장애 아동의 일과시간대별 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도예리,이효신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자기관리 전략을 통하여 고기능 자폐성 장애 아동의 일과 시간대별 행동이 외부 자극에 의한 통제에서 내부적 자기 통제로 변화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남학생 1명으로 고기능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동이다. 적용된 설계는 준거변경설계로서 목표행동 수행을 위해 주어지는 외부적 통제 수단인 언어 촉구 수를 줄여감에 따라 대상아동의 행동이 그 수준으로 감소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목표행동은 일과시간대별로 5가지의 행동을 선정하여 각각 조작적으로 정의하였으며 자기관리 전략을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중재도구를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선정된 5가지 목표행동 모두에서 설정된 촉구 준거 수의 변경에 따라 행동이 그 수준으로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어, 자기관리 전략이 목표행동 변화에 원인으로 작용함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관리 전략이 고기능 자폐성 장애 아동이 흔히 갖기 쉬운 자극 의존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이 집단의 아동이 보다 독립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of self-management to form the independence of students,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teacher-centered intervention on child with the high functioning autism who have high dependence and need teachers' intervention by lack of independence. For this, subjects with the high functioning autism of age eleven years old whose social ages are seven years four months were selected in daily works on five time zones of attending time, break time, snack time, class time and wrap up time by strategy for self-management. After three investigation of baseline, and seven writing training for writing down Yes/No before use self-recording sheet were performed. After that, during arbitrating period, three times per week for independent behavior performance to reduce outside dependence gradually, prompt that suggested per every fourth time was limited eight, five, three time, and once to use plan for standard change on this study. Children should write down yes (+) of performing the task behaviors in the limited number of prompt, and no (-) of no performing, and let them to count down the number of stickers on the wall or watch the video which were taken to check correctly at self-recording sheet whenever prompts were given. To more motivate arbitration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ffect of positive response, self-reinforcement was taken. Result after study, the self-management method was effective to reduce the dependence for the outside instruction, and lead the independence performance of behaviors in daily time zones.

      • KCI등재

        장애아동 형제자매와 비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대영,홍화진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형제자매와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심리적 안녕감을 비교하였다. 장애아동의 형제자매 200명과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 150명이 임의로 표집되었다. 배부된 설문지 중 328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통계분석에 적합한 282부가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 심리적 안녕감에서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들 중 남자집단이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모-자녀 의사소통에서, 여자집단이 정서지능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 5학년 집단에서는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자아탄력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6학년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에서 장애아동의 형제자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형제순위에서는 손위와 손아래집단 모두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부모-자녀 의사소통, 심리적 안녕감에서, 그리고 손위집단에서는 정서지능에서 비장애아동의 형제자매가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ndomly sampled 200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50 one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n the copies of a questionnaire form were distributed to all of the siblings. Among the distributed materials, 282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male sibling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especially,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ha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le, the female siblings of the former childr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siblings of the latter children. Concerning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grade, 5th-grade sibling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all of the variables, except ego-resiliency and 6th-grade ones of normal children were such in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those respondents who are either younger or older than their sibling without dis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s for parent-adolescent, father-adolescent an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도명애,유현숙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을 구체적으로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울산시, 경북,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420개 기관의 유아교육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은 소망적 사고 추구, 정서 완화적 추구,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다. 1)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연령변인은 어린이집교사는 40대에서 정서 완화적 대처, 유치원 교사는 20대에서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종교변인은 종교가 없는 교사 모두에게 문제 중심적 대처, 종교가 있는 어린이집 교사는 소망적 사고 추구, 유치원 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와 소망적 사고 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변인에 있어서, 10년 이상 어린이집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유치원 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에서는 연수에 참여한 유아교육교사 모두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2) 유아배경 및 교육 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발달지체 중도인 영유아에게 어린이집교사는 사회적 지지 추구, 유치원교사는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발달지체를 가진 영유아수 3명 이상의 통합학급 교사에게서 정서 완화적 대처가 높게 나타났다. 학급 유형에서는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어린이집 교사에게 소망적사고 추구, 유치원 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에서 높게 나타났고, 기관유형에서는 어린이집 일반 학급교사에게 정서 완화적 대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가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유아교육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적 향상위한 포괄적인 정보가 될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crete investigation into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00 teachers from 420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Cities of Busan, Daegu, Ulsan and the Provinces of Kyungbuk and Kyungna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pe with the job stress with high skill, which appeared as wishful thinking, emotional relievable seeking,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y, and emotional relievable coping strategy. The teachers of the day care center in their 40's highly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while those in their 20's of the kindergarten cope with the job stress problem-centered. Teachers with no religion handle their job stress with problem-centered strategies, while those with religion in day care centers pursue wishful thinking, and in kindergarten,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wishful thinking strategy.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within 10 year above experiences seek social support highly, while kindergarten teachers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which also show high to all those who practiced special educational program. According to the variable study of the child's backgroun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ay care center teachers highly seek social support, while the kindergarten teachers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Teachers with more than 3 disabled children take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in both of the day 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The day care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take wishful thinking strategies, while the kindergarten teachers seek emotional relievable strategies. The variables by the types of educational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coping strategies in emotional relieving among the teachers in regular classes. The study can provide foundational resources to problem-solving concerning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and the more future research with various job stress and the coping strategies accordingly is to be required for more informational and specific knowledge in the field.

      • KCI등재

        Factor Structures of ADHD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이정림,강경숙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DSM-Ⅳ-TR)의 진단 항목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요인구조는 (부주의, 과잉행동-충동성) 한국 아동에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대표할 수 있는 범주인지를 검토해 보는 것이었다. 한국 초등학생 1,663명(남아 904명, 여아 759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48명의 담임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학급 전체아동의 행동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통계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구조(부주의, 과잉행동-충동성)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세 가지 구조(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설명할 수 있는 보다 더 적절한 구조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two dimensions of behavioral features of ADHD, described by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Ⅳ (DSM-Ⅳ), are applicable for Korean children with the disorder. The behavior of 1,663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904 boys and 759 girls) was rated by their 48 teachers using a 5-point scal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though DSM-Ⅳ proposes a two factor-model to explain the behavioral features of ADHD,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 three-factor model of ADHD may be more applicable for Korean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아동의 수업참여 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

        민지영,김은경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학급에 입급된 ADHD 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1명의 ADHD 아동을 선정하였고,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대상 아동에 대한 체계적인 기능평가에 기초한 다요소중재(선행사건 및 배경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후속결과 중재, 체제변화 교수)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중재는 모든 활동상황에서 ADHD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이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중재는 모든 활동상황에서 ADHD 아동의 공격행동이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ADHD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수업참여행동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통합 교육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on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of the child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subject was a child with ADHD who was a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is study,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was conducted. The positive behavioral supports(intervention of antecedents and setting events, alternative behavior instruction, consequences and system chang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unctional assessment with accuracy toward a target child and implemented. Evaluation was made for 15-minute observation session of education activities using a partial-interval recording system per sess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data we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was effective in that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a child with ADHD in increased all activity situation. In particular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and the aggressive behaviors of a child with ADHD were identified as being effectively controlled by using the simple token tool. Second, the intervention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aggressive behaviors of a child with ADHD in all activity situation.

      • KCI등재

        ADHD 아동을 위한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현진,허자영,김영화,송현주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조기 개입 방안 마련을 위해 인지증진훈련과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이 병합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문헌연구와 현장전문가, 교사, 학부모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회기의 아동 프로그램과, 10회기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경기, 전남, 강원, 경북의 7개 지역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을 구성한 후 사전, 사후 주의력장애진단시스템(ADS), 한국판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K-ARS), 사회기술평정척도(SSRS), 부모양육효능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결과에 대한 T-test와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증진,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아동의 시각충동성 및 청각부주의 감소와,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부주의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증진,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사회기술 증가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부모로서의 효능감 증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즉,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상 감소와 바람직한 사회기술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양육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사점과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ssessment with field experts, teachers and parents and conducted, and the 20-session of cognitive enhancement -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and the 10-session of parent training program were constructed.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a counseling center in 7 different areas. 26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13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other 13 were alloted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rated on the ADS, K-ARS, SSRS, Parenting Efficacy Scale, and Parenting Stress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enhancement -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ffected positively in the reduction of participated children's visual impulsitivity, auditory inattention, and overall inattention which is rated by their parents. Second, the program influenced positively in the enhancement of social skills among participating children. Lastly, while parenting efficacy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participating parents upon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Overall, the cognitive enhancement-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parent training program for their parents positively affected in those children's symptom reduction and social skills, and also increased their parents' parenting efficac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머니 민감성에 영향을 주는 정서와 유발변인에 대한 질적 분석

        김은실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민감성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정서와 유발변인들을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QR)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2세에서 4세 이하의 자폐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어머니 16명이였다. 연구결과는 6개의 정서와 21개의 유발변인으로 분류되었는데, 어머니의 민감성을 촉진하는 정서로는 기쁨과 즐거움, 희망감, 편안함 등이 있었다. 기쁨과 즐거움을 유발하는 변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긍정적 자아감, 새로운 일의 경험, 비 장애형제의 성장 등이 포함되었으며, 희망감을 유발하는 변인으로는 아동의 성장, 양육의 유능성, 부모교육, 미래에 대한 희망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편안함을 유발하는 변인으로는 신체적 편안함, 장애의 수용, 경제적 여유 등이 포함되었다. 어머니의 민감성을 방해하는 정서로는 우울, 화나 짜증, 불안이 있었는데, 우울을 유발하는 변인들은 심리적 무력감, 주변 사람들의 부정적 시선, 신체적 질병, 자존감의 저하 등이 있었으며, 화나 짜증을 유발하는 변인들은 주변사람들의 이해부족, 아동의 부적응 행동, 경제적 어려움, 가사의 부담, 비 장애형제에 대한 부담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불안을 유발하는 변인에는 미래에 대한 걱정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민감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otions and factors fostering and hindering maternal sensitivity in children with autism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Subjects were 16 mothers of children of 2-4 years old with autis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rist, 6 emotions and 21 factors affecting maternal sensitivity were induced. Second, emotions fostering maternal sensitivity were pleasure, hope, and comfort. The factors causing pleasure were social support, positive self-concept, new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siblings. The factors causing hope were the growth of the child with autism, parenting nursing competence, parent education, and hope for the future. And the factors causing comfort were feeling well, accepting disability, and financial leeway. Third, emotions hindering maternal sensitivity were depressive feeling, anger or frustration, and anxiety. Depressive feeling were caused by helplessness, people's negative attitude, physical disease, and decreasing self-esteem. Anger/frustration were caused by misunderstanding of people, maladjusted behavior of children, economic difficulties, heavy load of housework, and burden of non-disabled siblings. And anxiety were caused by worries about the futur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을 강화하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최은주,김춘경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중요한 보호요인인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사회적 관계를 맺는 것에 가장 기본이 되고 필수적인 요소인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을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문학매체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00 시에 소재하는 방과 후 아카데미에 다니는 저소득층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각 8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정서표현· 정서조절을 강화하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60분, 총 15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정서표현 척도, 정서조절 척도, 또래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각 각 사전, 사후, 한 달 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표현, 정서조절,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rough literature which is effective in strengthening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control. Peer relationships are important to the children because good relationships with others can be protectors to their lives.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s follows. Eight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ere selected from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y were in an after-school program in a city, Kyeong-nam province. They participated in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to strengthen their abilities about expressing and controlling their emotions. It was execut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each session, fifteen times in total. They were tested three times: pretest, posttest, and one month later, follow-up test. And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Emotion Control Scale, and Peer Relationships Scale were used in order to check their changes. In brief, this literature therapy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s and controlling their emotion. Also,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remained after that. Lastly, it turned out that this literature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y and its effect had lasted a month afte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