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GIS 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을 지원하는 플렉스 기반 모바일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조숙경,김성희,김종훈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In u-GIS environments,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consumer(user) oriented service system based on existing GIS and LBS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mobile phone. In the past, development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dependent on various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From now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ndependents on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Also, it changes from service oriented GIS provider(specialist) to service oriented consumer. For the satisfaction of this requirement, we propose a design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using FLEX for creates standard execution file. The standard execution file is able to apply various mobile phone. And we propose a management method of picture contents combin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provided it firstly. In this system, it provides facilities that display map, manage location, manage contents, manage mash-up, manage map data. And then it provide facility of swf generation for display result map on mobile phone. In this paper, we are implemented the proposed system and seen same results in various mobile phone. The created *.swf file provides same result at any time, anywhere, anyone in spite of different zoom level and different display screen. u-GIS 환경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기존의 GIS,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이다.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기종과 통신사에 따른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다양한 버전 개발과 GIS 전문가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서 단말기와 통신사에 종속되지 않는 일반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요구 사항이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양한 모바일 단말에 모두 적용 가능한 표준적인 실행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플렉스 기반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며,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위치 정보와 연계한 사진 컨텐츠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지도 표출에 관련된 기능, 위치 관리 기능, 컨텐츠 관리 기능, 매시업 관리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결과물을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출하기 위해 swf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구현을 통해 각각 다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동일한 결과를 표출함을 증명하였다. 생성된 실행 파일은 다른 사양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서 확대 배율과 디스플레이 화면에 따른 동일한 이미지 지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는 장점을 가진다.

      • 3차원 GIS 기반 실시간 비디오 시각화 기술

        윤창락,김학철,황치정,김경옥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3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cesses, analyzes and presents various real-world 3D phenomena by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of real-world terrain, facilities, etc., and working with visualization technique such as VR(Virtual Reality). It can be applied to such areas as urban management system, traffic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disaster management system, ocean management system, etc,.,In this paper, we propose video visualization technology based on 3D geographic information to provide effectively real-time information in 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lso present methods for establishing 3D building information data. The proposed video visualization system can provide real-time video information based on 3D geographic information by projecting real-time video stream from network video camera onto 3D geographic objects and applying texture-mapping of video frames onto terrain, facilities, etc.. In this paper, we developed semi-automatic DBM(Digital Building Model) building technique using both aerial image and LiDAR data for 3D Projective Texture Mapping. 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urrently provide static visualization information and the proposed method can replace previous static visualization information with real video information.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in location-based decision-making system by providing real-time visualization information, and moreover, it can be used to provide intelligent context-aware service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은 실세계의 다양한 3차원 현상을 처리, 분석, 표현하는 기술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으로써, 지형, 시설물 등을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로 구축하고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등의 시각화 기술과 연동하여 도시, 교통, 환경, 재해, 해양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의 실시간 정보 제공을 극대화하기 위한 3차원 지리정보 기반 비디오 시각화 기술 및 이를 위한 3차원 건물정보 데이터 구축 기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차원 지리정보 기반 비디오 시각화 기술은 네트워크 비디오 카메라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3차원 지리정보에 투영(Projection)하여 지형, 시설물 등에 텍스처 매핑하는 기술로써 3차원 지리정보에 기반한 실시간 비디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3차원 투영 텍스처 매핑(3D Projective Texture Mapping)을 위해 항공영상과 LiDAR 데이터를 융합하여 반자동으로 수치건물모형(DBM: Digital Building Model)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기존의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정적인 시각정보를 실시간 비디오 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위치에 기반한 현재의 시각적 정보를 의사결정에 즉시 반영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지리정보 기반 지능형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 지식경영의 인식도와 정보기술 활용도가 정보시스템 통합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상진,박용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2 情報시스템硏究 Vol.11 No.1

        Recently the paradigm of business management has changed. The businesses have restored to ERP or BPR to integrate their information system. But now they are trying to find out a new competitiveness in tacit knowledge of individuals. The creative company has come to put much weigh on the value of their employee's "non-patternized" knowledge. And this trend has seen a development into a theory of knowledge management in which "non-patternized" knowledge, along with explicit knowledge, is also considered as a source of competitiveness.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recogni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will have influence on the integration of the integrating the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system into a new phase, this study carries out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on management achievemen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has an effect on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system and management achievement. The asset of knowledge, however, has little effect on them. This means that the recognition of the asset of knowledge alone can't affect the management achievement, but when combin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it can have influence on the management achievement. Thus, a company has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with this, a company can have a business management based on management achievement and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system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ecogni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 company has to promote it business achievement by integrating the information system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recognizing knowledge management. 오늘날 기업의 정보처리시스템의 도입과 운용의 형태는 급속한 정보기술의 발전과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되어왔다. 정보시스템 초기단계의 형태인 프로세스 계층구조에서 탈 중앙집중식 독립형태, LAN중심 시스템의 형태로 변화되었고 메인프레임과 연결된 LAN중심의 시스템 형태에서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복합형 협력처리 시스템의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신경철, 1997). 또한 지금까지의 기업 정보시스템이 조직과 업무에 따라 부문별 단위 시스템의 형태로 분산 운용되어 왔기 때문에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보시스템 통합에 대한 노력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업내의 영업, 생산, 구매, 자재, 회계 등 모든 조직과 업무가 IT로 통합되어 실시간으로 모든 정보를 통합 처리하려는 기업의 정보시스템 통합은 현재 많은 기업에서 도입하여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시스템의 통합은 단순히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의 통합뿐만 아니라 정보자원인 데이터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정보자원인 데이터는 곧 기업의 자산이라는 인식과 함께 정보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관리기법도 개발되었다. 더 나아가서 기존의 정보자원 뿐만 아니라 조직의 모든 구성원이 갖고 있는 잠재적인 암묵지까지도 지식으로 창출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의 개발까지도 시도되는 지식경영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지식경영이란 지식의 새로운 지식창조로 신․구지식을 통합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지식 분배 및 명시적 지식끼리의 결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Nonaka & Takeuchi, 1995). 또한 Wiig 등(1997)에 의하면, 지식경영은 기업 지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활동으로써 개념화, 반영, 실천, 재검토, 지식자산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Nonaka 등(2000)은 지식창조를 위한 4가지 순환과정모델(SECI: Socialization, Externalization, Combination, Internalization)을 제시하였는데, 지식관리는 지식창조를 위한 4가지 순환과정에 의한 종합적이고 역동적인 것으로 이러한 순환과정이나 전환과정에는 정보기술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지식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정보시스템의 필요성도 제시하고 있는데, 정보시스템에서 취급되는 정보의 형태는 문자․숫자 등으로 이루어진 정형적인 것뿐만 아니라 개인적 경험, 이미지, 조직문화, 풍토 등과 같은 암묵지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정보시스템의 통합은 아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모양의 자료를 서로 연결하여 상호호환적으로 데이터를 검색하고 조회함으로써 정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보시스템의 통합은 기업 내외의 정보자원 뿐만 아니라 조직의 모든 구성원이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통합하고 공유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여 경쟁우위를 획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단순통합이 아니라 보다 폭 넓은 정보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통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식경영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식경영인식도와 정보기술 활용도가 정보시스템 통합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기업의 경쟁우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u-GIS 환경에서 효율적인 공간 정보 유통을 위한 S-XML 변환 기법

        이동욱,백성하,김경배,배해영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In u-GIS environment, we collect spatial data needed through sensor network and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real-time processed or stored. When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is requested on Web based applications, it is transmitted in XML. Especially, when requested information includes spatial data, GML, S-XML, and other document that can process spatial data are used. In this processing, real-time stream data processed in DSMS is transformed to S-XML document type an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web receive S-XML document through Internet. Because most of spatial application service use existing spatial DBMS as a storage system, The data used in S-XML and SDBMS needs transformation between themselves. In this paper, we propose S-XML a transformation method using caching of spatial data. The proposed method caches the spatial data part of S-XML to transform S-XML and relational spatial database for providing spatial data efficiently and it transforms cached data without additional transformation cost when a transformation between data in the same region is required. Through proposed method, we show that it reduced the cost of transformation between S-XML documents an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web to provide spatial information in u-GIS environment and increased the performance of query processing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u-GIS 환경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공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실시간 처리 및 가공 또는 기 저장 되어 있는 정보와 함께 유통된다. 웹 기반 응용서비스 등에서 인터넷 망을 통한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표준 문서인 XML로 전달된다. 특히 요청되는 정보에 공간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공간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GML, S-XML 등의 문서가 사용된다. 이 과정에서 DSMS에서와 같이 실시간 처리된 스트림데이터는 S-XML 문서 형태로 변환되고, 웹 기반의 공간정보 응용서비스는 인터넷 망을 통해 S-XML 문서를 전달 받는다. 대부분의 공간정보 응용서비스는 저장시스템으로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S-XML 데이터와 SDBMS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간의 상호 변환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의 캐싱을 이용한 S-XML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공간 정보 유통을 위한 S-XML과 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와의 효율적인 변환을 위해, S-XML에서 공간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을 캐싱하고, 동일 지역의 공간데이터에 대한 변환이 요구될 경우 캐시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별도의 변환 비용 없이 변환한다. 제안 기법을 통해 u-GIS 환경에서 공간정보의 유통을 위한 S-XML 문서와 이를 이용하는 웹 기반 공간정보 응용서비스 사이의 변환 비용을 감소하였으며, 성능평가를 통하여 질의 처리 성능이 향상됨을 보인다.

      • 매핑 규칙을 활용한 GML 3.0 엔코딩 시스템의 개발

        이용수,한기준,김동오,손훈수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3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5 No.1

        취근 여러분야에서 지리공간 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각자 구축해 두었던 각종 지리공간 정보를 개인∙조직 나아가 사회∙국가 간에 자유롭게 유통 및 활용하려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해 OGC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리공간 정보를 손쉽게 상호 운용하기 위해 이질적인 환경의 지리공간 정보를 XML로 엔코딩하여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GML 명세를 제시하였으며, ISO/TC 211에서도 GML을 채택하여 국제 표준으로 추진 중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정보 상호 운영 방법인 GML 3.0을 분석하고, 엔코딩 과정을 좀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바꾸기 위해 엔코딩 방법을 정의하는 매칭 규칙을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지리공간 정보를 GML 3. 문서로 엔코딩할 수 있도록 매핑 규칙을 활용한 GML 30. 엔코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엔코딩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해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ZEUS를 사용하였다. Recently, because of the extensiv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the requirement for the east circulation and utilization of the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s among the individuals, organizations, societies and countries is raised. In order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OGC(Open GIS Consortium) proposed the GML(Geography Markup Language)Specification that defines the XML encoding rule about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addition, ISO/TC 211 adopted the GML specification to make it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d the GML 3.0 specification in detail that ca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n we suggested and applied the mapping rule that define the encoding method to improve the encoding process easily and efficiently. Finall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GML 3.0 constructed in spatial databases into the GML 3.0 document. Especially, we used ZEUS as a spatial database system to test our encoding system in this paper

      • KCI등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복합 상품 구성을 위한 지능형 여행 정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의미론적 웹 서비스 중심

        이현정,손미애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6 지능정보연구 Vol.12 No.2

        In this research, we are suggesting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for traveling which is focusing on product bundling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from various resources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for products structure to easily integrate according to customers’ requirements because traveling product is integrated by various traveling resources like airline, hotel reservation, and so on. To guarantee of traveler’s mobility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we need product bundling and modification process to configure products and semantic web service which supports ontology based traveling information system to support immediate integrating of traveling information from various resources. In this research, we offer a product bundling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It is based on the semantic web service, with several components (single products) to reconfigure a bundle of traveling products.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동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의 유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지능형 여행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여행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 획득을 돕기 위해 단일상품 묶음을 통한 복합상품 구성과 시맨틱 웹 서비스에 기반한 정보의 구조적 표현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여행정보시스템에 연관된 상품들은 호텔, 항공사, 자동차대여, 여행지 정보, 음식점 및 Business Trip 등으로 여행자의 요구 및 상황의 변화에 맞게 연관상품의 복합상품구성을 위한 지능형 여행 최적 정보시스템의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행서비스 지원을 위해, 첫째 여행자의 요구에 따른 단일상품의 복합상품화를 위한 방법론(Product bundling and modification)을 제안하였다. 둘째, 복합상품을 구성하기 위해 개별 정보시스템에 이질적인 형태로 저장되어있는 단일상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시맨틱 웹 기반 정보의 구조적 표현에 관하여 제안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WL 기반의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따라서 온톨로지 기반의 여행정보시스템은 향후 시맨틱 웹서비스 기반의 지능형 여행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초석으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정보기술 역량과 기업 성과 간 관계 재고찰: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 도입 효과를 중심으로

        오세환 ( Se Hwan Oh ),백현미 ( Hyun Mi Baek ),이새롬 ( Sae Rom Lee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6 情報시스템硏究 Vol.25 No.1

        연구목적 기존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정보기술 역량과 기업 성과 간 관계에 대해 다양한 관점의 많은 연구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공통된 결론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 도입을 중심으로 정보기술 역량을 파악하여 정보기술 역량과 기업 성과 간 관계에 대한 재고찰을 시도한다. 연구설계/방법론/접근법 기존 관련 연구들은 1990년대나 2000년대 초반의 다소 오래된 기업사례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ERP를 도입한 처리그룹과 이에 상응하는 통제그룹을 적절히 매칭하지 못한 채 양자 간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료 및 분석 방법 측면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0년대후반 들어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들을 중심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matching) 및 이중차이분석(difference-in-difference) 방법을 적용하여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과 이에 상응하는 미도입 기업을 체계적으로 매칭하고 이들 간의 기간 간 성과 차이를 분석한다. 결과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 도입 기업과 미도입 기업 간 수익성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의 전유가 경쟁력을 제공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 표준화된 정보시스템의 등장과 더불어 단순히 정보시스템 도입 만으로는 더이상 경쟁 우위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ough man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ers have made various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from diverse perspectives, we have not come to a conclusion yet with some mixed results. In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adoption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ystems by firms as a proxy measure for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y, we reexamine whether the association is significantly positive. Design/methodology/approach Previous research on this topic had some limitations to the samples and analysis method. Some research focused only on the 1990s or early 2000s, and other studies failed to adequately compare the impact of ERP adoption on firm performa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is research, extending previous analysis approaches with the matched sample comparison of IT leaders and the control group, we attempt to apply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combination with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with a sample of Korean firms that adopted ERP systems in the late 2000s. We match ERP adopters and non-adopters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compare their financial performance with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ion between the pre- and post-adoption periods. Findings According to our analysis, we find no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RP adoption and firm performance in profit ratios. This research shows that, contrary to the era of proprietary information systems, standardized information systems today have no additional competitive advantages over competitors.

      • 의료정보시스템의 기술 및 시장 동향 분석을 통한 주요 이슈 도출 및 향후 발전 방향 고찰

        이종택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1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의료 환자의 수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날마다 새롭게 개발되는 갖가지 의료 기술들의 대부분이 컴퓨터와 연관된 기술이다 보니, 초 단위로 만들어지고 있는 수많은 정보를 정리, 분류 및 활용할 수 있는 의료정보시스템 (HIS, Health Information System)의 사용이 필수가 되었다. 빠르게 발전하는 IT 기술에 따라 의료 공급자뿐만 아니라 의료 수혜자인 환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IT 기반의 환경 구축을 위해 시스템 안정성, 모비일 기반 기술, 클라우드 시스템, 제품 이윤 극대화, 제품 사용자 확대로의 방향으로 의료정보시스템이 발전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은 결국 u-헬스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해양 지리정보 피쳐 카탈로그 작성에 관한 연구

        홍상기,윤석범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6 No.1

        Standards are essential to facilitate the efficient use of GIS data.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 TC211's 19100 series and various technical specifications from OpenGIS Consortium are some of the examples of efforts to maintain the interoperability among GIS applications. Marine GIS is no exception to this rule and in this context, developing standards for marine GIS is also in urgent needs. Using the same meaning and definition for the features commonly found in marine GIS applications i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interoperability among systems. One of the key requirements for maintaining the standard meanings for features is to build a common feature catalogue.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feature catalogue and describe the ways in which the feature catalogue can be organized. To identify the common features found in various marine GIS applications, a comprehensive search has been made to collect and analyze the features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To maintain the interoperability with the National GIS (NGIS) system, the features used in various NGIS applications have been analyzed as well.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are used to create a comprehensive list of common features for marine GIS. This paper then explains the common feature catalogue for marine GIS and the provides the appropriate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s for the common features. In addition, a registration tool for registering the common features into the standard registry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Web-based tool can be used to input features into the feature catalogue by various applications and also to maintain a standard-compliant feature catalogue by standard agencies. GIS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GIS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국제표준화기구 산하 지리정보전문위원회(ISO/TC211)에서 제정중인 ISO 19100 시리즈 표준들과 OpenGIS 컨소시엄에서 만들어내고 있는 각종 명세서(Specifications)는 표준화를 통한 지리정보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해양GIS 분야의 표준화도 이런 맥락에서 시급한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해양GIS 사업에서 구축되는 데이터에 대해 일관된 의미를 사용함으로써 각 사업간 연계를 원활히 하고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양지리정보에 대한 공통 피쳐 카탈로그(Feature Catalogue)가 필요하다.본 논문에서는 피쳐 카탈로그의 전반적인 개념 및 구성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국내외의 다양한 분야와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해양지리정보 피쳐들의 목록을 조사·분석하였다. 그리고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에서 사용되고 있는 피쳐들의 목록을 조사·분석하여 해양지리정보시스템(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국가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피쳐들의 목록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해양 지리정보 공통 피쳐들을 도출하고 피쳐의 분류체계, 코드체계를 제시하였으며, 도출된 피쳐들을 공통피쳐 카탈로그로 작성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도출된 피쳐들을 표준 등록소에 등록할 수 있는 XML 스키마를 개발하였으며 XML 스키마를 토대로 피쳐들을 표준 등록소에 등록할 수 있는 등록 도구를 개발하였다.

      • 시맨틱 웹 기반 학술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이미경(Mikyoung Lee),정한민(Hanmin Jung),류범종(You Beom-Jong)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인터넷 상의 정보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연구자들은 정보 검색을 통해 연구, 개발 정보를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다. Google Scholar나 기존의 학술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면 하나의 주제에 대해 많은 논문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이런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고 그와 관련된 정보를 재 검색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KISTI에서 연구 중인 시맨틱 웹 기술 기반의 정보서비스 시스템인 OntoFrame은 연구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하기 쉽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는 학술정보 분석-융합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본 시스템은 학술정보 지식을 온톨로지화시켜 시맨틱 웹 기술인 추론을 통해 여러가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미리 제공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OntoFrame의 학술 정보서비스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의어에 대해 개체기반 자동완성 기능을 제공하여 검색 결과의 신뢰성을 제공하고, URI를 통한 개체 식별 기술로 동명이인을 구분 할 수 기능을 제공한다. URI기반 검색을 통해 개체 중심적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개체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체에 특화된 서비스로 주제어가 입력됐을 때는 주제연구 동향, 주요 전문가, 연구기관, 연구자 그룹, 연구자 네트워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구자가 입력되면 해당 연구자의 주요 연구 분야, 연구 성과물 및 관련 연구자, 유사 연구자 등 다양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OntoFrame은 반복적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여 사용하기 쉽고 직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중심의 학술정보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Although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Web rapidly increases, improvement of search engines does not satisfy the needs of researchers for surveying R&D information. Even Google Scholar usually shows about one million documents for a given research topic. As 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semantic web technology, OntoFrame takes aim at a framework for providing analysis and fusion services of academic information. A new type of information service is required that can find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researcher, and then connect, combine and analyze it to provide as much value to the user as possible. To address this need, we have developed a prototype of a knowledge-driven semantic portal that provides an analysis service o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using OntoFrame. OntoFrame provides, based on semantic web technology, several semantic and analytic services such as year-based topic trends in academic information, related topics, topic-based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researcher network, statistic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academic information. OntoFrame improved by repeated usability evaluations. This system is evolving toward user-centered Scholar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