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자상거래학회지 : 10년 간(2000-2009)의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전자상거래학의 발전방향 모색
서수석,최상래,이종호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9 전자상거래학회지 Vol.10 No.4
전자상거래와 관련분야의 학문연구 및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된 (사)한국전자상거래학회가 올해로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였다. 그 동안 본 학회의 학제적 학술활동을 통한 이론의 정립, 업계 사례연구 및 실태분석, 관련정책 수립 및 제안을 통한 대 정부활동 등은 전자상거래 분야의 발전과 확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은 (사)한국전자상거래학회 10년간의 학술활동을 정리하고, 특히 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인 .전자상거래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해 향후 전자상거래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본다. 이는 (사)한국전자상거래학회가 전자상거래 분야의 독보적인 학회로 발전하기 위한 학문적 토대가 될 것이다.
심상진(Shim, Shang Jin)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9 전자상거래학회지 Vol.10 No.1
전자상거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물류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물류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등장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많은 물류기업들이 채택 하고 있는 물류방식은 전자상거래방식 보다 재화를 생산자로 부터 소비자에게 단순 운송하는 오프라인 방식에 의존 하고 있으므로 국제 물류환경변화에 적응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전자문서교환, 창고관리시스템, 운송관리시스템, 첨단화물 운송정보 등 전자상거래 기반을 구축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물류정보시스템의 기반확대, e-SCM, 물류서비스의 다양화, 물류전문인력의 육성, IT기술투자확대, RFID 등이 선행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물류와 전자상거래의 관계는 기업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제하에 한국 물류기업의 발전방안을 논의 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의 물류기업들이 전자상거래제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물류비를 절감하면서 국제경쟁력을 제고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logistic service providers are confronted with changes in their respective market environment. Customers expect to improve their business processes by outsourcing their logistic while saving cost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mpirically confirm the importance for logistic providers to incorporate e-commerce and adapt their core inform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ir customer’s requirements. As a result, integrating e-commerce not only improves the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enables faster business processes, offers higher flexibility and provides better service levels, but essentially is a key to stay competitive. After all, implementing e-commerce as a core competence will ensure significant growth and result into lower costs in the long term.
곽영암(Kwak Young-Arm)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7 전자상거래학회지 Vol.8 No.2
e-Commerce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Korea since 2000. Unfortunately, the more volume of e-Commerce is increased, the worse risk of e-Commerce is simultaneously increased too, from which we understand the role of insurance relating to e-Commerce is highly required to cover loss or damage of the said risk. In the circumstances, this paper presents Activation Plans of e-Commerce Insurance after review of several problems under Korean domestic situation of e-Commerce. Problems relating to e-Commerce Insurance are divided into two sides, i.e. insurance aspect and non-insurance aspect as follows : - for insurance aspect, 1)too much Insurance Goods relating to e-Commerce, 2)lack of underwriting experience of risk, 3)monopoly and no exchange of relevant information, then for non-insurance aspect, 1)easygoing unconsciousness of all kinds of users, 2)heavily lack of qualified technician for e-Commerce security, 3)spreading stagnation of relevant e-Commerce Laws, 4)no national unifying center of risk management. Meantim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ctivation Plans of e-Commerce Insurance are presented as follows : - for insurance aspect, 1)creating "Package Insurance" which can be covered all kinds of e-Commerce, 2)aggressive underwriting of e-Commerce"s risk, 3)sharing and exchange of insurance information, then for non-insurance aspect, 1)strengthening consciousness of all kinds of users, 2)supply of qualified technician for e-Commerce security, 3)settlement endeavor of relevant Laws, 4)foundation of national unifying center of risk management. 첨단기술의 발달로 전자상거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네트워크로 하나가 된 세계에서 전자상거래는 시간ㆍ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제약없이 수많은 종류의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단점도 발견되고 있는데, 이렇게 전자상거래 사용자들을 위협하고 있는 위험으로는 해킹, 개인정보 유출ㆍ도용, 전자금융 사고, 컴퓨터범죄 등으로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고 그 피해 또한 막대하다는데 심각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 관련위험들을 담보하는 전자상거래 관련 보험의 현황을 살펴보고 보험측면과 비보험측면으로 나누어 제반 문제들을 도출한 후에 이에 대한 활성화방안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insurance utilization for recent case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 on e-commerce
Kwak.Young-Arm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9 전자상거래학회지 Vol.10 No.2
전자상거래 규모는 전 세계적으로도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전자상거래 규모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전자상거래의 당사자인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위협적인 컴퓨터기반 범죄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자상거래에 상존하는 여러 가지 치명적인 위험 중에서도 효과적인 위험관리의 일환으로 최근 전자상거래 중 발생한 개인정보유출사고에 대한 보험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전자상거래 직접 당사자인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를 위하여 위험관리측면에서 보험활용은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The volume of e-commerce has been rapidly increased by far in Korean and worldwide as well. Unfortunately the more the volume of e-commerce increases, the more unpleasant threats also increases to the both parties seller and buyer.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tudy insurance utilization for recent event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 in view of risk management by insurance goods related both commercial company and customer on e-commerce.
농산물 공동브랜드 및 지리적 표시의 실태와 전자상거래활성화전략
권기대(Kwon, KiDae),김신애(Kim, ShinAe)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10 전자상거래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와 브랜드 경영시대를 맞아 한국의 농산물 공동브랜드 및 지리 적 표시에 대한 실태와 전자상거래활성화전략을 제안하였다. 한국의 농산물 공동브랜드 는 2006년말 현재 총 6,552개에 이른다. 이 중에 지방자치단체 또는 다수의 생산자 조 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동브랜드는 1,437개로 전체 브랜드의 21.9%이며, 공동브랜드 의 약 62.7% 수준인 902개가 등록되어 있다. 반면 농산물의 지리적 표시는 임산물을 포함해서 2009년 기준하여 총 86개가 등록되어 있다. 지리적 표시의 농·임산물은 운영 주체가 생산자조직연합이나 영농조합법인이 주류이므로 공동브랜드에 해당된다. 명실 상주 공동브랜드는 그 개발 주체가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브랜드 와 어떤 갈등적 요인이 있으며, 어떻게 잘 조화시킬 것인가에 관한 전자상거래활성화전 략을 제시하였다. 즉, 전자상거래시대를 맞아 농산물 공동브랜드는 공급자의 관점에서 구매자로부터 높은 가격협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며, 공급자의 소득증대에 기여하 고 되고, 공동브랜드의 구매확산에 따른 고객의 충성도를 구축할 수 있으며, 경쟁공급 업자들의 시장진입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결정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E-Commerce Strategy on agricultural co brand and geographical indication of our's country at the brand management era. Recently agricultural co brands run into 902 PCs/62.7% of total 6,552 PCs according to statistical research of 2006 year. and geographical indication of agricultural and forest product reach 86 PCs. It's belongs to co brand due to the subject of operation is just producer organization association or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 Co brand and geographical indication furnish critical means on higher price negotiation from buyer, income increment of suppliers, higher customer's loyalty from buying diffusion of co brand and market entry barrier of competitors.
서수석(Seo Su-Seok),이종호(Lee Jong-Ho)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4 전자상거래학회지 Vol.5 No.1
본 논문은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의 평가를 위한 모델을 설계하고 실제 평가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평가 모델의 개발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사용하여 영역별 가중치를 산정한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본 도구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웹사이트 평가를 통해 현재 많은 개인과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서비스 향상 그리고 개인과 기업 또는 조직의 생산성 향상과 이윤의 극대화 방은 등, 전자상거래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ble to judge whether the objectives of electronic commerce website were performed successfully by evaluating the core-process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basic environ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 integrated. Therefore, on this research we divided electronic commerce website evaluation into core-process evaluation, information technology infra and basic environment evaluation, and divided 3 factors into more detail evaluation areas and evaluation items.
전자상거래 전문 컨설턴트 교육 - 정규교육과 평생교육 차원의 접근 : 전자상거래 전문 컨설턴트 교육
서순모(Seo Soon-Mo),이종호(Lee Jong-Ho)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8 전자상거래학회지 Vol.9 No.3
지식서비스산업 활성화에 따라 전자상거래 전문 컨설턴트 수요는 증가하는데 비하여 공급은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관련연구 또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문 컨설턴트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과 전문자격 등 이를 지원할 정책마련과 지원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지식기반사회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선도하기 위한 전자상거래 전문 컨설턴트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집중 조명해 보았다. 또한 전자상거래 컨설턴트 육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 및 자격증 제도의 정책을 제안하였다. Knowledge service Industry activated, depending on the demand for E-Commerce(EC) expert consultants, but consultants is a serious shortage of supply. Related Research is also very low. EC curriculum and EC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and EC bringing up policy of professional consultants are urgently needed. In this papers, knowledge-based society in order to facilitate EC activated, importance and need of EC professional consultant education was emphasized. In addition,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 for the growing up of EC consultant was proposed policies.
윤덕병(Yoon, Deok-Byeong)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9 전자상거래학회지 Vol.10 No.2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발전은 정보통신산업의 시장과 수요자와 비즈니스거래 관계에 있는 전 산업에 까지 새로운 시장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기존시장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를 하나의 새로운 시장으로 묶는 이른바 사이버 마켓(Cyber Market)의 출현이라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 발전이 기업과 일반 소비자에게 큰 효익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지만 인터넷과 전자상거래가 모든 면에서 긍정적일 수는 없다. 특히 각국의 과세주체인 정부는 국경개념이 없는 인터넷에서 고유의 권한을 발휘하기 힘들어지는 딜레마에 빠지게 되고, 그 대표적인 것이 정부의 고유권한인 조세부과징수권이 사각지대라고 할 수 있는 조세분야이라고 할 수 있다. 각국의 과세원칙들이 지역적 개념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될수록 기존의 과세원칙은 많은 문제점을 나타낼 수밖에 없고 더 나아가 과세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 과세문제의 국제적 동향과 우리나라의 조세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이 가능한지를 소득세 중심으로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In this study, I will first diagnose the expected income taxes problems resulting from the proliferating electronic commerce, and after comparing and looking into the problems of our country's tax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discussion results and tendency of the income taxes problems of the previous vigorously progressing problems of electronic commerce, I would like to present a direction to improve these matters.
A Study on Improvement of Arrangement and Formation of insurance goods in insurers' homepages
Kwak, Young-Arm(곽영암)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11 전자상거래학회지 Vol.12 No.1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전자상거래와 이러한 전자상거래 관련 위험을 담보하는 전자상거래 보험의 필요성과 중요성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관련 보험의 판매 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손해보험사에서 운영 중인 홈페이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혼란스러운 보험상품 분류와 게시, 보험상품과 보험용어에 대한 검색능력의 미흡 및 취약, 홈페이지 접속시 너무 번거로운 절차와 팝업창, 제한적인 보험상품 관련 정보와 자료, 전자상거래 관련 보험상품의 다양성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고, 이들 문제에 각각 대응하기 위하여 상품분류에 대한 원칙의 재정립과 통일안마련, 새로운 검색기술의 적극적인 도입과 모니터링 강화, 기술개발을 통한 사이트 접속방법개선, 정보와 자료의 개방과 공유 노력이 필요, 그리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전자상거래 관련 보험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With extremely rapid internet growth, needs of insurance customers have been swiftly changed in buying insurance goods and services, and insurers also have been aggressively corresponded to their tough needs. Consequently uncountable and numerous insurance goods they unexpect have been furnished by the insurers on homepages. However, to the contrary of the insurers' intentions or wishes, these uncountable and numerous insurance goods line-up leads many confusion and inconvenience to insurance customers up to now in reading and selecting insurance goods. Under the above circumstances, this paper studied any possible problems and troubles showed on insurers homepages as regards arrangement and formation of e-commerce insurance goods, an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y possible improvement of the same on insurers' homepages for the both parties.
통상환경의 글로벌화에 따른 전자상거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전자무역을 중심으로 : 통상환경의 글로벌화에 따른 전자상거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이승관(Lee Seung-Kwan) 한국전자상거래학회 2006 전자상거래학회지 Vol.7 No.4
IT의 발달로 글로벌 전자상거래의 인프라가 Seamless하게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한 통상환경의 변화로 자국의 IT기반하의 전자무역의 글로벌한 협업적 발전을 위한 핵심적 추진체로서 전자무역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FTA의 활성화에 따른 무역원활화(trade facilitation)의 활성화 등의 영향도 가속화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전자상거래의 글로벌 스탠더드(Global Standard)를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전자무역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전자무역의 글로벌화 추진가능성을 연구함으로써 바람직한 글로벌 전자상거래 인프라를 기반으로한 전자무역산업으로의 발전을 통하여 전자상거래의 H/W와 S/W측면에서 상호 융합화(Convergence)가능성 제고와 글로벌 통상환경에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선점전략을 확보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한다. Recently, we faced with formidable challenges surrounding global commerece environment. In an era of globalization and of an open and interdependent economic system, and FTA agreement of a country in a long distance can influence the other country"s economy unexpectedly. The rapid expansion of regionalism has resulted in the creation of blocs of the global economy, so that those countries not belonging to one or more blocs can be discrimiated. Though signed on the bill of FTA with Chile, Korea is actually alienated from major stream of the blocs. Therefore, Korea government makes efforts to contract more FTAs with countries such as US and Japan, others. FTA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method to secure expor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erefore, we need to exactly understand critical issues and the long-run effort of FTA.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important issues and potential strategies relating to electronic commerce in Korea"s FTA with other countries. In these means, relationship between FTA and e-Trade are closely related to global business chance. In these means, we should use FTA potentials for encouraging global commerce by e-Trade and develop e-FTA in the foreseeable future. To meet the demand of Korea"s e-Trade, global e-Trade should be implemented and the the global network is needed for the completion of e-Trade. In doing so, we can secure global e-Trade marketing infrastructure and platform for broadening our global competitiveness and common prosperity. As soon as possible, our efforts to expand global e-Trade competitiveness meet with global standard and harmonize FTA"s fundamental prin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