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적 설계 프로세스 기반 산업기술전시 스토리라인 연구

        김혜영(Kim, Hye 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이공 분야의 교육에서는 융합과 실천 및 과정 학습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과학관의 전시주제도 산업기술 영역까지 확대되었지만, 방법론에 대한 학습 과정을 전시영역으로 도입하려는 시도는 아직까지 행해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황에서 이공학적 연구개발 방법론을 접목한 새로운 전시 모델을 탐색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적 설계 프로세스를 스토리라인으로 하는 전시 모델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융합적 연구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산업기술 전시의 스토리 구성과 공학 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이론을 종합하여 분석틀을 정리하였다. 둘째, 분석 틀을 기준으로 최신의 산업기술 전시 콘텐츠 사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진행하여, 공학적 설계 프로세스의 전시 스토리라인 도입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다학제적 연구 결과로서 구현 가능한 공학적 설계 프로세스 기반 전시 모델의 존(Zone), 동선, 스토리라인, 콘텐츠 구성을 제시하였으며, 보완되어야할 콘텐츠의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관 전시가 보다 실효성 있는 교육효과를 거두기를 기대하며, 제시한 전시 모델이 다양한 이공학적 주제 영역을 전시함에 확대 도입되기 위해서는 후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is a growing need for convergence, practice and learning about process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centers have been introduced exhibitions about industrial technology. However, they have not imported methodology of industrial and technology in their theme. This research attempted to combine exhibition with methodology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integrated study is to draw a new exhibition model that its story line expresses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is thesis was conducted as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activity. Firstly I synthesized the story structure of industrial technology exhibition and theories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to make framework for analysis. Secondly I analyzed contents in latest industrial technology exhibitions as representative case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to the exhibition story line. As a result, I proposed the story-line with zones and visitor’s flow for the exhibition based o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addition, I suggested the contents compositions as examples and the direction of contents development. Based on this result, I hope that the exhibition of science center will have more effective educational effect. Also, subsequent research is needed to extend the presented exhibition model into themes from various fields of science and engineering.

      • KCI등재

        한류 콘텐츠의 올바른 중국시장 진출 방안 연구

        정광철(Jung, Kwang Chul),조성룡(Cho, Seong Ryong),노형신(Roh, Hyung Shin),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들을 살펴보고, 한류 3.0시대에 방송드라마, 영화, 3D, CG/VFX, 전시,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광고, 공연 등 한국문화콘텐츠산업의 올바른 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국내 문화산업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 (Depth Interview) 와 표적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중국의 문화산업계가 한국 측에 원하는 실질적인 내용의 수요조사연구를 실행하였다. 최근 중국 문화산업의 주요 Issue는, 중국 정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미래 미디어산업의 활성화와 자국문화산업의 보호를 위해, 인터넷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에 기반을 둔 뉴미디어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중국 정부는 온라인 동영상업체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중국의 문화소비자들에게 큰 붐을 일으키고 있는 입체 3D와 홀로그램 등과 같은 첨단 영상기술을 통한 미래 뉴미디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서 매우 고심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심층면접에 참여한 중국 문화산업 전문가들은 한국의 문화콘텐츠 전문가들이 기존 방식처럼 단순히 콘텐츠 자체의 대중국향 수출 보다는 한국 문화콘텐츠 제작시스템, 기술, 인력 등의 복합적인 교류와 다양한 한중합작과 공동제작을 통한 중국자체적인 문화콘텐츠 제작참여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이처럼 중국측 문화전문가들은 과거와 같은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일방적 수출이 아닌 한중양국 문화산업의 상호교류와 상대 시장에 대한 호혜적인 상호진출을 통해서 중국시장의 개방과 합리적인 수익분배에도 의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격적인 한류 3.0시대에 들어선 2014년 올해를 기점으로, 방송, 영화, 음악, 전시, 공연, 광고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합작 활동들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바, 이 연구를 기초로 중국 문화산업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올바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이후 한류 4.0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main issues of Chinese culture industry and contents market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Film and broadcasting cultur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searching and 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This study also tried to know what Chinese culture industry market leaders want to get really from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conclusion Chinese culture industry"s experts want that Korean culture business and industry policy should not focus on direct and simple export of culture contents itself to China but focus on making Chinese contents with Chinese culture industry people through exporting Korean culture contents making system and mutual exchanging between Korean culture experts and Chinese culture experts. They need more and more detail informations on Korean culture making system and culture experts and companies. They expect strong strategic partnership with Korean culture contents partners as a real friend, also.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Chinese culture market managers are willing to give a reasonable profit share of Chinese market limited to Korean. Especially more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between two countries would start in this year, 2014 with Hallyu 3.0. So,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Korean-Chinese joint culture projects in the view point of Chinese culture market experts. This study will show the very basic strategy to go into Chinese culture market for Korean culture industry including film, drama, exhibition, performing art, advertising, game, animation, etc and helpful insight to Korean culture policy makers for Hallyu 4.0.

      • KCI등재

        해외전시산업 육성정책 비교연구

        김경훈(Kim, Kyung Hoon),박정희(Park, Jeong He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최근 우리나라에서 전시산업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지원 및 육성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역전시산업 선진국들의 국제경쟁력의 원천을 찾기 위해 한국, 독일, 미국, 홍콩, 중국, 대만, 싱가포르 각 국가의 전시산업과 관련된 정책과 지원제도를 분석?비교하여 이들 각국의 무역전시산업 국제경쟁력의 노하우를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선진국의 전시산업과 국내 전시산업의 현황파악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부가 육성하고 있는 전시회가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선진국의 전시산업 육성전략을 중심으로 각국의 경쟁력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연구의 배경 및 범위에 관해 기술하였다. 문헌조사와 전시산업진흥회에서 발간된 국내 전시산업 통계 조사를 기초로 현재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둘째, 전시산업 현황과 중요성에 관해 기술하였다. 과거 국가성장전략이 제조산업 기반인 반면 현재는 지식기반 산업 성장전략을 우선시하는 전략으로 변화됨을 기술하였다. 셋째, 국내와 해외의 전시산업 육성과 특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해외 전시산업의 육성과 특징을 각 국가별로 전시회 개최현황, 전시산업 성장추세 및 지원현황을 중심으로 알아볼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기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전시산업의 육성정책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최근 전시산업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시회가 국제 전시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확보방안은 첫째, 정부의 전시산업에 대한 정책적지원이다. 둘째, 전시산업의 국제화지원이다. 셋째, 전시산업의 서비스강화이다. 마지막으로 해외바이어 DB센터 전담조직이 필요하다. Recently in Korea awareness of the country"s exhibition industry has expanded and a range of support and promotional strategies have been put for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know-how in terms of each nation"s trade exhibition industr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related to the exhibition industries of Singapore, Taiwan, China, Hong Kong, the US, Germany and Korea in order to track down the source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trade exhibition industry of advanced nati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focuss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exhibition industry as well as that of advanced nations. The objective is to present strategic measures by making a cross-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with a focus on the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exhibition industry in advanced na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exhibitions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ly, introduction of the background and scope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will be presented based on statistics on the Korean exhibition industry found at the "Association of Korea Exhibition Industry" as well as an investigation of existing literature. Secondly, present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exhibition industry and its importance. A description of the change in strategy from the previous national growth strategy toward one placing a priority on knowledge-based industry growth will be presented. Thirdly, a run down of the promotion and characteristics of both Korean and overseas exhibition industries. Focus will be given to the state of support for and growth trends in terms of the holding of exhibitions and the exhibition industry itself with regard to the promotion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nation"s exhibition industry. Fourth, this study will describe in general terms the promotional policies for the exhibition industry as well as drawing the implications involved, with a focus on the previously presented content. Finally, we will presented measures enabling the expansion of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exhibitions in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industry focussing on the present state of the exhibition industry.

      • KCI등재

        문화체화 컨텐츠기반 전시산업디자인의 위계구조와 가치

        한석우(Han, Seok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1 No.-

        문화체화 컨텐츠는 융합영역을 심화시키고 전시산업발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며 이것은 컨텐츠웨어 기반구축으로 미래 과학전시구현에 필요한 문화가 체화된 컨텐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문제로서 이는 국가의 경쟁력을 증진시키는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컨텐츠웨어가 구현된 전시산업 연구의 목적은 문화체화컨텐츠 기반 전시산업의 위계구조와 가치 창안을 위해 과학문화전시디자인 응용기술력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필요 충분조건을 정립하는데 있다. 이것은 문화체화컨텐츠전시산업(C&CEI)의 실증적 방향을 실현하며 전시를 통한 체험 및 학습에 필요한 다원적인 창의적 환경을 조성하는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전시산업 가치정립에 따른 위계체계간의 관계설정과 속성별 구성규명 및 요소 분석과 함께 그 역할과 위상을 재정립하고 전시디자인 연관요구사항의 타당성 검토를 통해 필요조건을 최적화하였고, 그 표본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창조기회를 확대하고 아울러 전시정책 및 전략 수립과 함께 C&CEI의 체계 및 조건에 대한 객관적, 보편타당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C&CEI가 지녀야 할 위계구조의 규범을 추출하였고 이를 통해 전시산업 가치형성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필요충분조건을 검증하였다. 또한 전시산업디자인분야의 신개념과 컨텐트웨어 및 정체성을 진단하여 통섭적인 C&CEI의 패러다임 실현을 위한 가치를 재해석하였다. Union of relevant areas of cultural contents, sustainable competitiveness for development of exhibition industry,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for future science exhibition based on contents-ware, and maximization of values of the identity are arising as key issue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study on the exhibition industry for contentware is to establish applied technology of scientific and cultural exhibition and design and maximiz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hierarchy structure and value creation of exhibition industry based on cultural contents. This aims to establish a practical direction of C&CEI and prepare multiple creative environments for experience and study based on exhibition. The meathod for research establishes relations of basic hierarchy structure, constitution and factor analysis, and roles and status of exhibition industry, maximizes necessary conditions through the review on propriety of relevant requirements of exhibition and design, and creates a sample model for it. Thus this research expands opportunity of creation in this industry, establishes policy and strategy of exhibition, and offers objective and universally valid basis for structure and conditions of C&CEI. This research created the principle of hierarchy structure for C&CEI and sequentially demonstra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to establish the value of exhibition industry. This research also confirmed new concepts, contentware and identity of design in the exhibition industry and diagnosised the values for establishment of paradigm of C&CEI again.

      • KCI등재

        전시관 사인디자인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연(Lee, Ji Ye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21세기의 전시관은 수동전시에서 체험중심으로, 관리자 중심에서 관람객 중심으로 전문화되고 있다. 그중 교육적인 전시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전시사인물은 전시의 해설을 위한 정보를 담은 매개체이며 전시물이나 관련 전시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시각적인 정보전달 매체이다. 이러한 전시사인물은 전시 정보와 관람객의 커뮤니케이션을 소통시키는 중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시사인물을 디자인하는 것은 정보를 디자인하는 것이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전시를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므로 신중하게 기획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사인물의 존재가치와 역할의 중요성을 연구하고 관람객 중심의 효과적인 전시사인물을 기획하기 위해 충남 서천에 위치한 국립생태원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연구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과 3장은 전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시사 인물이 정보전달 매체로서 갖춰야할 이론적 배경을 연구했다. 제 4장은 최근 건립된 국립생태원의 전시사인물 사례조사를 통한 현황분석과 개선사항에 대한 문제점을 모색하였다. 제5장은 전반적인 연구의 결론과 개선방향에 대해 밝힌다. Museum in the 21st century are increasingly being specialized to shift their focus from a passive display of artifacts to an experiential display and from managers to audiences. Exhibit signs in museums that considerably contribute to educational exhibitions constitute media that contain explanatory texts of exhibitions, and they are necessary information delivery visual media to help understand exhibits and related exhibition details. Exhibit signs, which are the most fundamental interpretation media in a museum, play a central role in communicating exhibition information to viewers. To design exhibit signs tantamount to designing information, and to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is crucial for exhibitions’ educational role; thus the designing of exhibit signs should be carefully planned. Thus,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again on the value and important role of exhibit signs, and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visual-perception expression and of efficient expression with a view to devising a successful viewer-centric communication method.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1 presents research backgrounds, purposes, methods and scope. Chapter 2 and 3 examines a theoretical study of exhibitions to study exhibition as a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area of exhibition graphics, as well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exhibit signs as information delivery media. Chapter 4 examines an analysis of exhibit signs of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and areas of improvement for exhibit signs. Chapter 5 deals with this research"s overall conclusion and improvements.

      • KCI등재

        첨단영상기술을 이용한 전시관 구축

        김지영(Kim, Chi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순천은 순천만 국가정원, 순천만생태공원을 통해 자연과 생태를 중심으로 도시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순천만생태공원 내의 순천만 자연생태관 · 천문대는 이러한 순천만의 자연과 생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나 현재 전시관의 낙후된 시설과 뒤쳐진 전시내용으로 관람객과 지역민의 관심과 흥미를 끌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순천만 자연생태관 · 천문대에 현대적 첨단영상기술을 이용한 전시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영상콘텐츠를 개발함으로 보다 흥미로운 전시공간을 창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시관 구축을 위해 기존전시개념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자유로운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창의적 공간, 융 · 복합적 매체를 아우르는 통일된 공간, 모든 연령층에게 감흥을 주는 흥미로운 공간이 되도록 전시관을 구축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연구의 배경과 범위에 대해 기술하였다. 자료조사는 문헌조사, 학회자료검색, 인터넷검색등이며, 현장조사는 현지탐방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둘째, 현재 개발 중인 최첨단영상기술을 알아보기 위해 다이나믹 영상컨트롤(DIC)시스템, 프로젝션 매핑, VR 체험시스템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의 과학전시관과 국외의 첨단자연과학박물관의 사례조사와 첨단영상장비가 구축된 지역의 실감미디어지원센터를 탐방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지인 순천만 자연생태관 · 천문대 현지답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담당자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첨단영상기술을 적용한 전시 시스템구축과 다양한 영상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첨단영상매체를 이용한 전시관구축은 지역청소년들에게 창의적 사고와 지적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지역 주민들에게는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며, 지역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자연과 생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이고 감동적으로 전달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역에 건립된 전시관에 첨단영상기술 적용과 영상콘텐츠 개발을 통해 흥미롭고 창의적인 전시공간을 구현함으로 지역 전시관 활성화에 적게나마 기여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Suncheon has built a city image centered on nature and ecology through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nd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The Eco- Museum and Astronomical Observatory in the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has been construct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information about the nature and ecology of Suncheon Bay. However, it is not attracted to interest of visitors and residents due to the outdated facilities and lagging exhibition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more interesting space by constructing an exhibition system using modern high - tech image technology and developing various contents in Suncheon Bay Eco-Museum and Astronomy Observatory.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hall, it has to move out from the used exhibition concept, and build a creative space that brings out free thinking, an unified space that encompasses fusion and complex media, and an interesting space that gives inspiration to all ages. The research method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background and scope of the study were described. Data investigation refers to literature investigation, Internet search and investigation of data from society, while filed study took place through field visits and interviews. Second, studied of the Dynamic Image Control(DIC), Projection Mapping, VR experience system, which are high-tech technology. In addition, it surveys the case studies of nature and science museums in domestic and overseas, and also studied high technology by visiting immersive media center founded in the region. Third, it understand status quo through interview with the person in charge, and on-site survey in Suncheon Bay Eco-Museum and Astronomy Observatory, the place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it is applied high-tech technology and various video contents.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halls using advanced image technology will bring creative thinking and intellectual curiosity to local youths, provide new attractions to local residents, and convey information about nature and ecology to local visitors in an effective and moving way.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xhibition halls by the exciting and creative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dvanced video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visual contents.

      • KCI등재

        울산박물관 전시패널 융합 연구

        이정은(Lee, Jeong Eun),최고운(Choi, Ko W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2

        박물관 관련 연구가 주로 학생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과 박물관 전시패널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20대를 중심으로 전시 소통의 매체로 활용되는 패널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향유 비율이 높은 20대를 박물관에 유입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그들의 패널 선호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대 45명에게 울산박물관 타이틀패널 12개를 제공한후, 선호패널과 비선호패널을 선정하고, 그 이유에 대해 질문하였다.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박물관 패널 중 선호도가 가장 높은 ‘울산 자동차산업’ 패널은 비 선호도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하였고, 가장 선호도가 낮은 ‘광복 이후 울산’패널은 선호도 부문에서 전체 12개 중 11위를 차지하여, 20대들의 분명한 선호도와 비선호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패널 선호도의 범주는 콘텐츠, 설명방법으로 나뉘었다. 선호패널의 경우 전시의 내용적 측면보다 그 내용의 설명방법에 따라 선호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200자 이내의 ‘명료한 기술’ 이 가장 선호되었다. 비선호패널 역시 설명방법이 더 높은 주목도를 받았는데, 패널 내용의 ‘비체계적 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패널의 설명방법에 대한 다양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패널 내용은 통일성을 가져야 하며, 전시패널을 통해 그 박물관만의 특징을 알 수 있을 때 선호도가 높아졌으므로, 타 박물관과는 차별화되는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울산박물관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나, 다방면의 박물관 패널을 분석하기 위한 패널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일조하였다. 향후 연령대별 전시패널 이해도를 연구하여 전시 소통의 기제로서 진일보한 패널 연구가 나오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starts with the fact that museum researches are primarily focused on the subjects of students and so exhibition panels are less focused than other subjects. The purpose is to examine young visitors’ panel preferences. Therefore, 12 Ulsan Museum title panels were provided to 45 people in their 2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preferred panel ranked the lowest in non-preference, and the lowest preferred panel ranked 11th out of 12 in the preference category. Second, the preference was higher depending on the method of explaining and among them, “clear writing” with less than 200 characters was the most preferred. In case of non-preferred panels, non-systematic composi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Based on these findings, various panel’s explanation methods were neede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panel should be unified and should include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museum. This study will lay the threshold for further panel researches, although there was a limit to analyzing only Ulsan Museum.

      • KCI등재

        COVID-19에 따른 융복합 섬유·패션 전시산업의 실태와 향후 전망

        김수지(Kim, Suzie),이현옥(Lee, Hyunok),구양숙(Ku, Yangsu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섬유·패션 전시회의 활성화와 성공적인 전시회를 개최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전후로 변화된 국내 섬유·패션 전시회의 융·복합적 사례와 섬유·패션전시회의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10명의 섬유·패션 전시 전문가에게 COVID-19의 섬유·패션 전시회의 실태와 향후 전망에 대하여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확산으로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었다. 둘째, 온·오프라인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전시회가 대세가 되고 있다. 셋째, 전시회에서 친환경·지속가능성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넷째, 전세계 어디서나 시즌의 구분없이 제품 구매가 가능한 전시회가 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실태를 바탕으로 섬유·패션 전시회의 전망을 살펴보면 첫째, 패션테크가 활성화 되어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전시회와 융합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E-커머스 마케팅의 활성화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이 확대될 것이다. 셋째, 비대면 소비의 확산으로 무인 서비스가 강조되는 리테일테크가 강세일 전망이다. 넷째, 세계적으로 트렌드인 친환경과 탄소제로,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전시회가 대세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섬유·패션 전시산업을 예측하여 향후 정부 지원 정책 및 섬유·패션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and the successful exhib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cases of exhibitions that have changed before and after COVID-19,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and discuss improvement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to draw results by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experts in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on the actual condi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OVID-19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accelerated as the importance of fashion and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second, the exhibition form has been changed to a hybrid exhibition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third, the number of exhibitions with the concept of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has been increased; fourth, the online exhibition made it possible to purchase products from anywhere in the world, thereby revitalizing exhibitions without distinction of seasons. Thus, suggestions from the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tech is revitalized, and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converge with the exhibi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online conten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e-commerce marketing; third, retail technology, which emphasizes unmanned services due to the spread of non-face-to-face consumption, is expected to be strong; fourth, the exhibition should realize zero carbon which is a key trend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for the present and the foreseeable future. Hence, the results can be useful basic research data for predicting the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 industry in the Post COVID-19 era, and establish futur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 KCI등재

        공간 디자인이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김영수(Kim, Young Soo),정동빈(Jeong, Dong Bin),김경훈(Kim, Kyo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Space Design)의 결과물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인 산업전시 공간을 기업과 소비자 입장에서 접근하였고, 전문전시회 중 B to B 거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자본재, 요소, 관련 기술 및 소재 등을 공급하는 기업들의 전시회 참여 목적 및 공간디자인을 해석하여 공간디자인과 함께 어떤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지 모색했다. 공간디자인과 참가업체 마케팅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공간디자인이 마케팅에 미치는 직ㆍ간접적 효과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 연구결과로 입증된 전시회의 마케팅 효과에도 불구하고 전시회 참가비용은 기업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참가비용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스디자인은 전시회 관람객이 참가기업의 부스 방문 시 고려하는 다양한 요인 가운데 중요도가 떨어져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였다. 전시회 참가기업의 업종에 관계없이 전시품의 수준이 부스 방문에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으로 꼽혔다. 업종별로도 부스디자인 수준이 부스 방문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었다. 부스디자인이 참가기업의 호감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제품구입이나 참가업체와의 상담 및 계약,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낮았다. 전시회의 마케팅 성공 여부는 부스디자인의 형태와 수준으로 판단하긴 어렵다. 오히려 높은 수준의 전시품과 구매력을 갖춘 관람객을 비롯하여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업체의 참가 등 전시회의 질적 우수성에 비중을 높여야 한다. 전시회의 높은 마케팅 효과를 감안하여 참가업체의 참가비용에서 공간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을 적정하게 조절하여 전시회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이 더욱 효과적이다. 전시회 관람객을 대상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한계성은 추후 전시회 참가업체 대상 연구로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made an approach to the industrial exhibition space, which is a medium of marketing communication, from the position of an enterprise and consumers through the output of Space Design, and conducted it with focus on B2B transactions among specialized exhibi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nquired into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space design by interpreting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and space design of the enterprise which supply capital goods, elements, related technologies and materials, etc. This study aimed at drawing the direct/indirect effect, produced by space design, on the marketing by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space design and participating enterprises’ marketing. Despite the marketing effect of the exhibition, which was proved by preceding research results, the reality is that exhibition-participating expenses work as considerable burden on enterprises. Particularly, booth design, which is forming the most proportion among the participating expenses, was found to have insufficient influence on visitors due to the decline in its importance among diverse factors influencing visitor’s decision to visit a booth. Regardless of the business category of participating enterprises in the exhibition, the standard of exhibits was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factor in visiting a booth. Even by business category, the standard of booth design rarely had an influence on booth visit. Booth design had an affirmative influence on participating enterprise’s preference, but its influence on product purchase or business talk & contact with a participating enterprise or price was found to be extremely low. It’s difficult to judge marketing success or failure of an exhibition by the form and standard of booth design. Preferably, this study infers that it’s necessary to put much weight on qualitative excellence of an exhibition, which consists of participation of an enterprise in possession of excellent technologies, exhibits with higher standards and high-quality visitors with purchasing power. This study suggests that it’s more effective to set up the plan for expansion of participation in exhibition by optimally regulating the proportion of space design in participating expense to increase marketing effectiveness of an exhib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alysis of which based on the visitors to an exhibition only, requires supplementation through the follow-up research work on participating enterprises in the exhibition.

      • KCI등재

        한국의 이동통신 3G 핵심기술을 적용한 산업기술계통사 연구방법론에 관한 연구

        변민주(Byun, Min Ju)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본 연구는 한국 이동통신 3G핵심기술을 적용한 산업기술계통사의 방법론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산업기술 콘텐츠의 가치를 발견하고 전달하기 위함이며, 이 연구를 통해 산업기술계통사의 연구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했다. 산업기술사의 계통사의 연구는 산업기술의 중요한 계통을 통해 혁신적인 기술과 소비가동시에 이루어지는 연계 구조이다. 이 연구는 산업기술사 및 계통사의 이론적 접근과 산업기술사례의 적용이라는 이원적 형태의 구조를 이룬다. 본 연구의 산업사례로 한국의 이동통신 3G 핵심기술을 적용했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산업과 학계 간의 소통의 통로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동통신의 3G 핵심기술의 계통은 시스템의 핵심기술 분류 체계와 실용화를 위한 표준모델개발을 위한 요소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휴대폰 표준모델개발의 요소 기술은 단말기, 단말기 모뎀, RF 부문, 음성 부호화기 및 영상 서비스, 기지국 제어국, 망 접속 장치이다. 산업기술계통사의 원리를 적용한 산업기술사의 콘텐츠 구축 과정들은 다른 분야의 산업기술사의 콘텐츠를 개발할 때,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론으로서, 산업기술사를 연구하고 창작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is is a study on Research methodology about Industrial Technology Systematic History applying 3G Core technologi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discover and communicate the value of industrial technology content, and to propose research methodologies for the study of Korean Industrial Technology Systematic History. Research of Industrial Technology Systematic History is a link structure between innovative technologies and consumption at the same time through an important system of industrial technology. This study has dual structure that of theological study of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history and case study of industry. In the case of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3G core technologie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in Korea. Through this project it is hoped that the passage of the communication industry and Academia. The system of 3G core technologies for mobile communication is based on the component technology of the system and the component technology for developing a standard model for standardization. Element technology for mobile phone standardization models is terminal, terminal modem, RF division, voice coding and video service, station control station and network connectivity. This process building of Industrial Technology History Content applying the Principles of Industrial Technology Systematic History is a practical and applicable method when developing Industrial technology History in other field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ractical to research and create an industrial technology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