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사ㆍ조직연구의 발전과 미래 과제 - 인사ㆍ조직연구 게재논문과 한국인사ㆍ조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이경묵(Kyungmook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3

          본 논문은 1990년 창립된 한국인사?조직학회의 학술지인 인사ㆍ조직연구가 한국 인사조직 연구 분야의 발전에 공헌한 점을 평가하고, 앞으로 한국 인사조직 분야의 추가적인 발전을 위해 수행해야 할 미래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사?조직연구의 창간호부터 2007년 12월에 출간된 제15권 제4호까지 게재된 218편의 논문과 한국인사ㆍ조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에 수록된 47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결과를 “한국인 사조직연구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1993년 인사ㆍ조직연구 특집호에 게재된 4편의 논문에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앞의 4편의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 인사조직 분야 연구의 문제점 해결에 인사ㆍ조직연구가 지금까지 어떤 공헌을 해 왔는지를 평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인사ㆍ조직연구가 수행해야 할 미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the Korean Jounal of Management and providing future directions of the journal. The Korean Academy of Mangement were established in 1990 to encourage rigorous reseach in management area, which emcompass organizational behavi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dustrial relations, and strategic management. The academy began to publish its flagship journal-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in 1992. In 1993, the journal published four papers that investigated major trends in management research, identified major problems, and provid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compared three sets of papers : (1) papers analysed by the above mentioned four papars, (2) 218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and (3) 478 papers presented in the conferences of the Korean Academy of Management.<BR>  Articles in the journal and papers presented in the conferences are classified by several criteria. First, the fields of research are divided into 6 categories : micro organizational behavior, macro organizational theory, human resource management, industrial relations, strategic management, and research method. Second, I classify the major research topic of the articles in each fields of research. Third, conceptual papers are differentiated from empirical ones. Fourth, major research designs are separated into 5 categories : literature review, case research method, survey data method, experimental design, and others. Fifth, data and methods that were used by empirical papers are classified by several criteria : (1) cross?sectional data vs. longitudinal data, (2) data collection methods : survey questionnaire, interview/observation, experiment, secondary data source, and others, (3) level of analysis : individual, group or team, organization, population, and cross level analysis, and (4) sources of data from single organization, multiple organizations from the single industry, and multiple organizations from multiple industries. The fifth criteria are not applied to classify 478 papers presented in the conferences.<B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journal has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quality research papers in management fields. The journal has maintained its highest level of standards among Korean journals in management reseach field in screening papers. To be published, papers should have strong theoretical argument and/or rigorous research method. The journal contributes to enhance the quality of management research conducted by Korean management researchers. Second, the journal failed to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new theories or the emergence of theories applicable to Korean situations. Though the four 1993 papers asked for these kinds of papers, there are few articles in the journal that can be classified as those kinds of papers. Third, the journal has only limited contribution in encouraging research on diverse topics. The research topics investigated by the articles in the journal have been diversified. However, it cannot be solely attributed to the journal since researchers could have naturally responded to the changes in hot research topics caused by major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Fourth, the journal has not contributed in encouraging research papers that utilize case research method, experiment, or longitudinal data. Since the journal has pursued methodological rigor, a very large portion of articles have used multivariate analysis with large survery data.<BR>  Based on the findings, possible new directions of the journal are discussed. First, the journal should deal with an issue about how to accommodate conceptual papers, papers investigating new research topics, and papers developing theories that can help Korean companies. If the journal sticks to the methodological rigor, it cannot accommodate those papers. One solution can be using special issue to publ

      • KCI등재

        『인사조직연구』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한 소고

        이영면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3

        This review suggests a development direction for academic journals covering the subject of management including 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KJOM). In contrast to the original purpose of KJOM as defined by the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KAOM), current research on management has been found to provide little practical value to the management field in Korea. Business executives do not typically read the publications and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s are rarely cited by other researchers. In addition, there are few actual submissions for publication. As such,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way the journal is operated by the KJOM. First, the KJOM should strive to become an academic journal that integrates practically with businesses and society at larg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value of not only empirical papers but also non-empirical papers. Third, stricter standards should be applied to repetitive empirical research, and flexible standards should be applied to innovative papers. Fourth, the sample composition for empirical analysis should represent all the employees in Korea. Fifth, empirical data should be expanded from regular workers to various types of non-regular workers. Sixth, paper reviewers should encourage authors to identify innovative perspectives and discus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ir research. Seventh, the editor-in-chief should go beyond the authority of the area editor and set the direction of the KJOM. Lastly, new indicators such as the Korean Social Impact Factor may be developed to diversify viewpoints for excellent papers. 본 소고에서는 『인사조직연구』에 게재된 논문에 대해 필자의 주관적인 생각과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인사조직연구』를 비롯한 인사조직 분야의 학술지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의 『인사조직연구』는 학회 창립 초기에 한국인사조직학회의 설립 취지나 『인사조직연구』 발간 취지와는 달리 한국기업과 조직의 인사조직관리에 긍정적인 기여를 못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기업의 실무자들도 잘 읽지 않고, 그렇다고 연구자들도 많이 인용하지 않는 학술지로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서 투고가 많지 않아, 결과적으로 게재율도 높은 편이다. 이러한 경향이 앞으로도 계속된다면 『인사조직연구』는 잘 읽히지도 않고 투고도 많지 않은 학술지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며, 기업에 대해서는 시사점도 부족하고, 논문을 위한 논문이 게재되는 학술지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인사조직연구』는 앞으로 어떻게 나가야 할 것인가? 첫째는 기업과 사회와 함께 하는 학술지가 되어야 한다. 기업이 끊임없이 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실증논문만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한 논문에 대해 가치를 인정하고 한국적 경영학을 정립할 수 있도록 기여해야 한다. 셋째, 반복적인 실증분석 연구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고, 혁신적인 논문에 대해서는 유연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 넷째,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 구성에서는 대표성을 가져야 한다. 다섯째, 실증분석 대상은 기존의 정규직 중심에서 플랫폼 노동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여섯째, 투고논문에 대한 심사위원을 다양화해서 창의적 관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강화해야 한다. 일곱째, 편집위원장은 영역별 편집위원장의 권한을 넘어서서 학술지의 방향을 설정하고, 새로운 이슈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수한 논문에 대한 관점을 다양화해서 한국 사회 영향력 지수(Korean Social Impact Factor)와 같은 지표 개발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환기의 한국 인사조직연구

        이경묵(Kyungmook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2

        이 논문은 한국인사ㆍ조직학회에서 연구사업으로 추진한 “전환기의 인사조직연구”의 결과물로 출간하는 이번 특별호와 관련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는 네 가지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첫째, 특별호가 추진된 경과, 특별호 출간을 위한 심사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둘째, 한국 인사조직 분야에서의 이론개발의 필요성을 한국인사ㆍ조직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과 인사ㆍ조직연구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인사조직분야 연구자들이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이론의 정의와 역할, 이론개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넷째, 본 호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이 논문들이 미래 이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토론과 결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four issues regarding this special issue. First, the process through which this special issue was planned and published is described. Second, to emphasize the need for theory building in the community of Korean management scholars,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or presented in the conferences of the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are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e lack of theory building in the community. Third, definition and roles of theory, and directions for theory building in the community are discussed. Fourth,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issue are summarized and compared. Lastly, content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 KCI등재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측정문항개발 연구

        류수영(Su Young Ryu) 한국인사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4

          The study aims at developing a valid measure device for Korean Confucian values, a device that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Three processes verifying statistics were necessary. First, 113 items have been extract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newspaper articles from 1990 to 2006 that deal with Korea"s value systems. Second, Q-sort technique by five experts on Eastern philosophy selected items reflecting typical Confucian values among 113 items. 40 items have been selected through this process. Next, two experts on Eastern philosophy inspected the meaning overlapping and the ambiguity among items to delete 3 of 40 items. Thir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ross-validity test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37 items.<BR>  565 samples were collected by snowball sampling, out of which 507 (age range from 19-57 years) have been analyzed. Of the samples collected, 285 were university students and 222 job holders-teachers,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ers, accountants, police officers, consultants, researchers, etc. while 205 were female and 302 male. Firstly, all samples were spilt into two groups, 253 for the common factor analysis (CFA) and 254 for the cross-validity test. The result of CFA with oblique rotation shows that 29 items are valid and these items construct two factor structures. Nex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identifying the cross-validity. This result support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wo factor structures obtained from CFA (see〈Table 1〉).<BR>  Korean Confucian values consist of two factors. The first factor called virtuous completion (“仁, ren”) stresses cultivating self and maturing personality. Self and personality here encompass 22 items: Belief, conscience, ethic, sincerity, responsibility, endeavor attitude, diligence, generous mind, self-reflection, modesty, discretion in speaking and acting, liberality, faith, courtesy, reciprocity, integrity, harmony, principle, education, simplicity, filial piety, and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 Combined, these items often lead to a typically Korean sentiment of “情, qing”.<BR>  The second factor named ‘social order" consists of 7 items and is made related to the exteriority and the content. Righteousness (“義, yi”) and courtesy (“禮, li”) are highly emphasized as the important managing principle in ancient Confucian societies. Formality of rituals, attendance at common rites, orthodoxy of a family line, ancestral rites, traditions, respect and obedience to the old, and justification: These 7 items are comparable to the hierarchical human relationships in collective societies cited in previous comparative cultural researches.<BR>  My finding shows that Korean value systems are much more similar to Chinese counterparts than to Western ones, for instance seen in Rockeach"s value survey. Korean value systems mainly reflect collective values and emphasize rituals, family, and human relations. They hardly include individualistic values such as independence, liberty, and equality. However,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Korea and China have developed different values for the maintenance of different social orders: The courtesy for Korea and the Middle Way (“中庸, Zhongyong”) for China.<BR>  Two factors that formed the values of humanity and courtesy are highly inter-related, to the extent that humanity necessarily accompanies courtesy. Thus, when one of the two is missing, one"s action would hardly get social justification. As an ethical system emphasizing one"s self maturity, Confucianism is indeed primarily concerned with relations among actors and objects. These values are expected to influence not only individual"s preferences, self-shaping or human relations, but also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본 연구는 한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가 개인의 선호도 및 자아형성뿐만 아니라, 개인간의 상호작용방식과 사회구조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한국인의 지배적인 가치인 유교적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문항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문헌자료와 1990년부터 2006년까지의 언론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특성과 관련된 문항들을 내용분석을 통해 113문항을 추출하였고, 그 중에서 100문항을 전문가에게 Q-sort하게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40문항 중에서 의미의 중첩성과 모호함을 나타내는 3문항을 제거한 후, 37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교차타당성(cross-validity)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를 반영하는 29개의 측정항목들이 선택되었고, 이들 문항들은 개인의 도덕함양(仁)과 사회질서유지(禮와 義)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교가 행위자와 대상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개인의 인격적인 성숙을 강조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관계학문적 특성과 윤리 철학적 속성을 반영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연구에서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와 다른 변수들과의 관계를 밝히는 실증연구의 설문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 조직정체성이 조직기반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교차수준 분석 연구

        장용선,조대환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조직수준의 조직정체성과 조직사회화가 개인수준의 조직기반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변수는 조직맥락 요소인 조직정체성 및 조직사회화와 개인의 조직기반자존감이다. 지금까지 조직기반자존감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긍정적인 조직정체성을 지닌 조직구성원들은 높은 수준의 조직기반자존감을 갖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구성원들은 조직사회화를 통해 조직의 가치와 규범을 학습한다. 본 연구는 조직수준에서 조직정체성과 조직사회화의 상호작용이 개인수준의 조직기반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교차수준으로 분석하였다. HLM 분석결과 조직정체성은 조직기반자존감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정체성 강도와 조직사회화의 상호작용은 조직기반자존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조직 경영자들은 자신들의 조직과 다른 조직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적정수준의 차별성을 확보하여 강한 조직정체성을 조직에 뿌리내릴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은 강한 조직정체성과 함께 효과적인 조직사회화 전략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조직정체성을 내재화시켜 구성원들의 조직기반자존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RISS 인기논문

        코로나 19 이후 언택트 조직관리에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인가?

        이제현,설현도,김승곤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미증유의 감염사태를 피해 비대면·비접촉 생활인 이른바 ‘언택트(untact)’는 선택의 가능성 없이 수용해야 하는 새로운 사회적 규범이 되었다. 기업에서도 스마트워크(Smartwork)가 이전보다 더 빠르게 확산하면서 자동화시스템의 확대, 비대면적인 업무 형태, 경영의 분권화, 채용시스템 변화, 조직문화, 아웃소싱 등이 새로운 업무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기업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조직과 인재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다. 리더는 스마트 워크를 통해 변화하는 근무환경, 비대면 근무자의 활용과 성과관리에 보다 중점을 두고, 이를 위해서는 리더의 공감 능력을 강화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공정하고 정확한 평가를 위한 보상 제도를 수립해서 구성원이 객관성을 인정하는 성과관리 기술이 요구된다. 즉, 스마트 워크의 장점은 활용하고, 단점은 보완된 새로운 업무환경에 필요한 리더십 연구가 필요해졌다. 코로나19가 촉발한 스마트 워크의 보편적 도입에 대해 대부분의 기업은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 및 체계적인 조직 관리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지 못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논의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또한 미흡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 워크에 관한 문헌 및 를 기반으로 스마트 워크 상황에서 조직의 경영 관리적 측면에서 무엇이 달라지고, 리더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며,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를 위해서는 어떤 것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지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워크에 필요한 리더역량과 리더십의 요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