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Exploratory Reflection and Research Challenges on ‘Convergence Coaching’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3 융합코칭저널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of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before a full-scale discussion on 'convergence coaching' can take place, and to suggest research questions that we believe will be needed to further develop the discussion. To accomplish this goal, I have search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convergence coaching’. Based in part on the researcher's field coaching experience, I examined the domestic coaching market and field conditions related to 'convergence coach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convergence coaching' continues to grow due to the increasing needs of customers due to social changes and the nature of coaching itself. Second, I operationally defined ‘convergence coaching’ and, based on prior research, categorize three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convergence between key coaching topics, convergence between coaching modalities and methods, and convergence between coaching and other disciplinary. Third, as a future research question, I sugges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ow does convergence coaching work, how effective is it, when does it occur, and for whom? These include: identifying ways to expand convergence coaching to meet growing customer demand; reviewing the academic literature on convergence coaching, including the conceptualization, operationally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of convergence coaching, development of measures to validate effectiveness, and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coaching research by emphasizing the need for 'convergence coaching', attempting an operational definition, categorizing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and presenting future research issu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owever, this discussion is limited by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the subjective views of the researcher. In the future, further work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y reveal new facts about the utility, diversity, and dynamics of convergence coaching. 본 연구는 ‘융합 코칭’(Convergence coaching)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몇 가지 사항들을 탐색하고, 향후 추가적인 논의 전개 과정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는 연구과제들을 제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융합 코칭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연구자의 현장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융합 코칭과 관련된 국내 코칭 시장과 현장의 상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변화에 따른 고객의 요구 증대, 코칭(학) 자체의 특성상 융합 코칭의 필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융합 코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융합 코칭의 유형을 세 가지(주요 코칭 주제 간 융합, 코칭 진행 형태 및 방법 간의 융합, 코칭과 다른 영역 간의 융합)로 구분했다. 셋째, 향후 추가로 연구해야 할 과제로, 융합 코칭의 작동 기제와 효과성 검증, 융합 코칭의 발생 시기와 대상자 등의 연구과제를 제시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선제적이고 정교한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즉, 고객 수요 증대에 부응하는 융합 코칭 확대 방안 마련, 융합 코칭과 관련된 학술적 검토 사항들, 예컨대 융합 코칭의 구성 개념, 조작적 정의, 구성요소 발견, 효과성 검증을 위한 척도 개발, 유형구분과 특성 파악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융합 코칭의 필요성 강조, 조작적 정의 시도, 융합 코칭의 유형 구분 및 향후 연구과 제를 한국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확장에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런 논의는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진행된다면, 융합 코칭의 유용성, 다양성과 역동성 등에 관한 새로운 사실이 추가로 밝혀질 것이다.

      • [논문발표 2] 한국 코칭 산업의 미래 예측을 위한 코치의 만족 수준과 전망에 관한 고찰

        조성진,이나영,최소은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코치들의 만족 수준과 향후 코칭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코치협회 소속 631명의 코치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21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 응답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코치들은 자신의 코칭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만족하는가장 큰 이유는 코치로서 보람을 느낀다는 것이었고 코칭 수입이 적다는 점을 가장 불만족스럽게 생각했다. 둘째 한국 코치들은 월평균 100만 원 미만의 수입을 올리는 자들이 가장 많았고 향후자신의 코칭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 한국 코치들은 현재의 코칭 수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지만 코칭이 자신과 타인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타인에게 권유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넷째 한국 코치들은 향후 코칭 시장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했고 가장 전망 있는 코칭장르는 라이프 코칭과 비즈니스 코칭이라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코치들은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장 많은 한국 코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만족 수준과 코칭 산업에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했고 한국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코치들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코칭 산업의 지속적인 활성화와 선 순환적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과제를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 questions from August 22 to August 31, 2022 targeting 631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n Coach Association active in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oach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oaching activities. The biggest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they felt rewarded as a coach, and the most dissatisfied was that their coaching income was low. Second, Korean coaches had the highest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and expected their coaching incom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rd, Korean coaches responded that although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coaching income, they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because coaching helps them and other’s change and grow. Fourth, Korean coaches optimistically predicted the future coaching market, and responded that life coaching and business coaching were the most prospective coaching genres. Lastly, Korean coaches considered job cre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for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aches, and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of coach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we presented the task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and the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ecosystem in Korea.

      • 한국 코칭산업의 미래 예측을 위한 코치의 만족 수준과 전망에 관한 고찰

        조성진(Seong-Jhin Joh),이나영(Na-Young Lee),최소은(So-Eun Choi)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융합코칭저널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코치들의 만족 수준과 향후 코칭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코치협회 소속 640명 (회수율, 98.6%)의 코치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21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 결과, 여성이 421명(66.7%), 40대가 225명(35.7%), KAC 취득자가 318명(50.4%), 석사학위 취득자가 218명(34.6%), 그리고 ‘3년 이상 ~ 5년 미만’ 경력자가 245명(39.8%)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코치들은 자신의 코칭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코치로서 보람을 느낀다는 것이었고, 코칭 수입이 적다는 점을 가장 불만족스럽게 생각했다. 둘째, 한국 코치들은 월평균 100만 원 미만의 수입을 올리는 자들이 가장 많았고, 향후 자신의 코칭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 한국 코치들은 현재의 코칭 수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지만, 코칭이 자신과 타인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타인에게 권유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넷째, 한국 코치들은 향후 코칭 시장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했고, 가장 전망 있는 코칭 장르는 라이프 코칭과 비즈니스 코칭이라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코치들은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장 많은 한국 코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만족 수준과 코칭 산업에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했고, 한국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코치들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코칭 산업의 지속적인 활성화와 선 순환적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과제를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 questions from August 22 to August 31, 2022 targeting 631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n Coach Association active in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oach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oaching activities. The biggest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they felt rewarded as a coach, and the most dissatisfied was that their coaching income was low. Second, Korean coaches had the highest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and expected their coaching incom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rd, Korean coaches responded that although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coaching income, they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because coaching helps them and other’s change and grow. Fourth, Korean coaches optimistically predicted the future coaching market, and responded that life coaching and business coaching were the most prospective coaching genres. Lastly, Korean coaches considered job cre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for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aches, and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of coach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 [논문발표 5] ‘융합 코칭’에 관한 탐색적 고찰

        조성진 한국융합코칭학회 2023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3 No.1

        본 연구는 융합 코칭 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몇 가지 사항들을 탐색하고 향후 추가적인 논의 전개 과정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는 연구과제들을 제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융합 코칭 에 관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검토했고 부분적 으로 연구자의 현장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융합 코칭 과 관련된 국내 코칭 시장과 현장의 상황 등 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변화에 따른 고객의 요구 증대 코칭 학 자체의 특성상 융 합 코칭 의 필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융합 코칭 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선행 연구 를 바탕으로 융합 코칭 의 유형을 세 가지 주요 코칭 주제 간 융합 코칭 진행 형태 및 방법 간의 융합 코칭과 다른 영역 간의 융합 로 구분했다 셋째 향후 추가 연구를 위해 융합 코칭 의 작동 기재와 효과성 검증 융합 코칭 의 발생 시기와 대상자 등과 관련된 연구과제를 제시했다 이런 연 구결과를 바탕으로 고객 수요 증대에 부응하는 융합 코칭 확대 방안 마련 융합 코칭 에 관해 학 술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항 즉 융합 코칭 의 구성 개념 조작적 정의 구성 요소 발견 효과성 검증 을 위한 척도 개발 유형 구분과 특성 파악 등에 관한 선제적이고 정교한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융합 코칭 의 필요성 조작적 정의 시도 유형 구분 및 향후 연구과제를 국내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확장에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런 논의는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향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추 가 작업이 진행된다면 융합 코칭 의 유용성 다양성과 역동성 등에 관한 새로운 사실이 추가로 밝 혀질 것이다.

      • [논문발표 4] 노년기 배우자 사별로 인한 스트레스 회복 후 성장 지향적인 삶의 과정 연구: 예술과 코칭 융합

        김정화 한국융합코칭학회 2023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3 No.1

        본 연구는 노년기 배우자와 사별한 명의 연구대상자들 여 에게 까지 개월 총 회기 동안 문화예술 코칭을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코칭을 연구에 참여한 사별자들에게 적용함으로 사별자들이 슬픔을 극복하는 하나의 매개 수단으로 보았다 본 연구자는 문화예술 자체를 비언어와 비구조적 도구로 사용함으로 치유의 목적이 아닌 성장과 의미 를 목적으 로 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사별의 아픈 슬픔에서 부정과 의미 찾기 의 감정을 오가며 사별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감정의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모습을 볼 수 있었 다 둘째 문화예술 코칭 접근은 연구참여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문화예 술 코칭 매개는 사별자들의 가족간의 사회적인 관계 및 교류를 증진하는 데에도 이바지하였다 셋 째 문화예술 과정의 시간은 연구참여자들에게 사별자와의 추억들을 회상하며 연구참여자들 간에도 서로에 대한 정서적 지지로 자매간의 우애를 돈독히 하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 년기 사별자들의 적응을 돕는 성장지향적인 문화예술 코칭 프로그램 뿐 아니라 좀 더 다양한 접근 으로 지원될 때 노년기 사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부적응을 해소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을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융합코칭저널 Vol.1 No.2

        본 연구는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 현황을 파악한 후에, 해당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 및 문제점들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2년 11월 말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25편의 코칭 리더십 관련 연구들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 편수는 2011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코칭 리더십 효과를 검증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다 이때 가장 많이 활용된 결과(종속) 변수는 혁신 행동과 조직몰입이었고, 매개변수는 자기효능감과 감성 지능이었으며, 조절 변수는 직무 자율성이었다. 둘째,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에 가장 많이 인용된 것은 Stoweel(1987)의 견해였으나(88편, 70.4%). 그는 코칭 리더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코칭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제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의 견해를 그대로 인용한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결과는 타당성과 신뢰도에서 태생적인 한계와 오류를 포함할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자들의 잘못된 관행의 답습은 최치영(2003)과 최은정(2005)의 연구에서 비롯되었고, 그 이후부터 2022년 11월 말까지 상당수의 국내 연구자는 그들의 잘못된 견해를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근거 없이 자신들의 논문에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의의, 한계와 문제점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이바지했고, 향후 코칭 리더십 연구에서 지향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후추 과제도 함께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relevant research. To this end, a total of 124 articles related to coaching leadership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on coaching leadership in Korea showed an increasing trend after 2011, and the majority of the paper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leadership. At this time, th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dependent) variables were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ameters were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derating variables were job autonomy. Second, it was Stowell's opinion(1987) that was most frequently cited coaching leadership studies in Korea. However, it turns out that Stowell neither operationally defined coaching leadership nor suggested the components of coaching leadership. Therefore, the result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which quoted his views as they are, inevitably include inherent limitations and error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the erroneous error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ers in Korea originated from the studies of Chi-Young Choi (2003) and Eun-Jung Choi (2005).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researchers directly quoted their erroneous views without objective and logical 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coaching research in that it has considered the limited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and has suggested the direction to be pursued in future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 [논문발표 3]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허와 실

        조성진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2

        본 연구는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현황을 파악한 후에 해당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 및 문제점들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2년 11월 말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24편의 코칭 리더십 관련 연구들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 편수는 2011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코칭 리더십 효과를 검증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다. 이때 가장 많이 활용된 결과 종속 변수는 혁신 행동과 조직몰입이었고 매개변수는 자기효능감과 감성 지능이었으며 조절변수는 직무 자율성이었다. 둘째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에 가장 많이 인용된 것은 Stowell(1987)의 견해였으나 그는 코칭 리더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코칭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제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의 견해를 그대로 인용한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결과는 타당성과 신뢰도에서 태생적인 한계와 오류를 포함할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자들의 잘못된 관행의 답습은 최치영(2003) 과 최은정(2005)의 연구에서 비롯되었고 상당수의 국내 연구자는 그들의 잘못된 견해를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근거 없이 자신들의 논문에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제한적인 의의 한계와 문제점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이바지했고 향후 코칭 리더십 연구에서 지향할 방향을 제시했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과제도 함께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relevant research. To this end, a total of 124 articles related to coaching leadership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on coaching leadership in Korea showed an increasing trend after 2011, and the majority of the paper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leadership. At this time, th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dependent) variables were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ameters were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derating variables were job autonomy. Second, it was Stowell's opinion(1987) that was most frequently cited coaching leadership studies in Korea. However, it turns out that Stowell neither operationally defined coaching leadership nor suggested the components of coaching leadership. Therefore, the result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which quoted his views as they are, inevitably include inherent limitations and error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the erroneous error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ers in Korea originated from the studies of Chi-Young Choi (2003) and Eun-Jung Choi (2005).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researchers directly quoted their erroneous views without objective and logical 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coaching research in that it has considered the limited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and has suggested the direction to be pursued in future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 [논문발표문 1] 코칭학의 현재와 미래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5

        본 연구는 코칭 연구에 관한 현주소를 파악하고, 나아가 코칭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연구과제들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코칭 관련 선행 연구들과 코칭동향 분석 논문들을 살펴본 후에, 학술적·실용적·교육적 측면에서 향후 추가로 연구해야할 과제들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코칭의 기본적인 개념과 성격, 코칭의 구성요인과 세부 요소들, 코칭 효과의 깊이와 범위 확대, 코칭 언어와 용어의 정리와 표준화, 코칭 리더십의 구성개념과 구성요소 및 척도개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통합 등과 같은 연구과제들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용적 측면의 연구과제들은 코치들과 연구자들의 산학 협력체제 구축, 코치의 역량 향상을 통한 전문성 제고 방안 마련, 코치 자격의 공신력 확보와 관련 제도의 신뢰성 제고 방안 등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측면의 연구과제들은 코칭 전문가 양성을 위한 표준교육모델 마련, 코치 인증 프로그램을 평가할 합리적인 기준 마련 등이다. 향후 이런 연구과제들에 관한 다각적이고 꾸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코칭학의 이론체계나 토대 구축은 한층 쉬워질 것이다. 본 연구는 코칭학의 체계적인 토대 구축에 필요한 여러 가지 연구주제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가져왔다. 하지만 연구자의 주관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aching research and further explore the research tasks necessary for coaching to establish itself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To this end, after examining previous coaching studies and coaching trend analysis papers, tasks to be further studied in the future were derived from academic, practical, and educational aspec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tasks in the academic aspect include basic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aching, the factors of coaching and detailed elements, expanding the depth and scope of the coaching effects, organizing and standardizing coaching language and terminology, coaching leadership constricts and components, scale development of coaching leadership, integr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etc. Second, research tasks in the practical aspect include establishing a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between coaches and researchers, preparing a plan to enhance professionalism by improving the coach's competency, securing public confidence in the coach's qualifications, and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related systems. Lastly, the research tasks in the educational aspect are to prepare a standard education model for nurturing coaching experts, and to prepare reasonable standards for evaluating coach certification programs. If multifaceted and steady research on these research tasks is conducted in the future, it will be easi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or foundation for coachology. This study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that it presented various research topic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foundation for coacholog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do not completely exclude the subjectivity of this researcher.

      • [논문발표 2] 평가 코칭 모델이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K 기업을 중심으로

        고정용 한국융합코칭학회 2023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사평가 현장의 현실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평가 미팅을 위한 평가 코칭 모델 을 개발하는 것이다 부담스럽고 피하고 싶은 평가 미팅이 아닌 기다려지고 찾아가 만나 고 싶은 평가 미팅이 된다면 평가자와 피평가자 모두 만족스러운 평가 미팅이 되고 평가제도를 통 해 기업이 얻고자 하는 목적도 이루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소기업 사의 정규직 직 원들이었다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코칭 모델을 적용하여 평가 미팅을 진행하기 전에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대한 사전설문을 진행한 후 평가자를 대상으로 평가 코 칭 모델 교육과 코칭을 실시하여 평가 코칭 모델을 이해하고 체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평가 미팅을 진행하였고 그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동일설문을 통해 그 변화의 정도 를 알아보고자 계획하였다 해당 설문은 추후 진행할 예정이며 설문결과가 나오면 연구결과에 반영 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평가 코칭에 관한 선행 연구가 전혀 없는 현실에서 새로운 평가 코칭 모델을 개발하 고자 한 측면에서 기존 연구를 확장한 측면이 있으나 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는 점에서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추후 더 많은 기업에 적용하면서 데이터를 쌓아갈 필요성이 있으며 평가 코 칭 모델 적용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적 접근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코칭 적용과 시스템 구축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3 융합코칭저널 Vol.2 No.1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자립 지원방안의 하나로 코칭을 통한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선행조건을 발굴하고, 실제로 그들의 자립 지원 현장에 도입할 수 있는 ‘융합 코칭 시스템’(3C1T)구축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부 선행 연구와 연구자의 현장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자립준비청년 지원사업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코칭 모델’ 과 그것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차원의 틀(frame)을 제안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립준비청년이 당면한 현실과 자립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및 코칭의 다양한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자립준비청년 지원사업(또는 프로젝트)에 코칭을 도입하는 것은 시의적절하고 유효한 방안이다. 둘째, 자립준비청년의 자립과 성장 지원을 위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코칭 모델은‘i-G·R·O·W 코칭 모델™’이다. 셋째, 이 코칭 모델이 자립준비청년 지원 현장에 도입, 안착하기 위한 선행조건은 참가자의 자발성 촉진과 독립성 함양, 지속적인 사후 관리와 관계성 발달 지원, 전문코치 역할의 중요성 인식, 그리고 무료 코칭의 한계를 보완할 사전 대책 마련 등이다. 본 연구는 코칭 영역에서 자립준비청년에 관한 국내외 선행 연구가 전혀 없는 현실에서 그들의 심리적·정서적 지원 및 사회적 지지 체계를 마련하는 방안의 하나로 코칭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실행방안 일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이바지했다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해당 코칭 모델을 자립준비청년의 실제 지원 현장에 적용한 후 발생한 효과 검증을 향후 연구과제로 미루었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라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requisites for establishing a coaching-based support system as one of the self-reliance support strategies for self-reliant youth. It proposes a ‘Convergent Coaching System' (3C1T)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upport for self-reliant youth by drawing on relevant prior research and the researcher's practical coaching experience. In doing so, it suggests a ‘Caching model’ applicable to programs supporting self-reliant youth and outlines the necessary framework at the system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nsidering the challenges that self-reliant youth face in their current reality and during their process of self-reliance, along with the various effects of coaching, introducing coaching into the support programs (or projects) for self-reliant youth is a timely and effective approach. Secondly, the coach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to support the self-reliance and growth of self-reliant youth is the 'i-G·R·O·W coaching model'. Thirdly, the prerequisites for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this coaching model in the field of supporting self-reliant youth include fostering participants' autonomy and independence, providing continuous post-program support and relationship developme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rofessional coaches, and developing pre-emptive measure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free coach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existing coaching research by addressing the absence of prior research on self-reliant youth in the coaching domai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 explore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coaching as a means to establish a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them. Additionally, it presents some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filling a gap in the existing coaching literature in this area.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researcher's perspective is subjective sinc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that occurred after applying the coaching model in the actual support field for self-reliant youth has been deferred as a future research t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