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T를 이용한 전통 무용 지도의 가능성

        미타노리아키 ( Mita Noriaki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6 민족무용 Vol.9 No.-

        인터넷 기술을 바탕으로 원격회의를 진행하는 IT 최고의 기술「Video Conference System」을 통해, 「세계 최고(最古)의 전통 무용」인 가가쿠(雅樂, 일본의 아악)을 가르친다고 하는, 세계에서도 유래가 없는 한일 문화 교육 프로젝트가 오늘날 서울의 한국예술종합학교와 도쿄의 미즈호 가가쿠카이(瑞穗雅樂會)의 협력 하에 기획돼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일본의 가가쿠는 신에게 봉헌되는 의례음악(儀禮音樂)으로서의 일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일본인은, 가가쿠를「일본만의 독특한 전통음악 및 무용 예술」이라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 천수백년 간 계승되어 온 가가쿠는 실은 일본 고유의 예능이라기 보다는, 고대 중국과 한반도, 동남아시아에서 인도, 페르시아에 이르는 실크로드를 경유한 문화교류가 탄생시킨, 그야 말로「고대 아시아의 음악과 무용의 집대성」인 것이다. 가가쿠 중에『고마가쿠(高麗樂)』라 불리우는, 고대 일본이 한반도를 통해 유입한 음악과 춤이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는, 한국에서 고마가쿠춤의 전문가를 육성해 그들로 하여금 일본 연주가의 연주에 맞추어 고대 한국의 춤을 추게 하는「진정한 문화 교류」를 이루고자 기획된 것이다. 허영일 교수의 영단(英斷)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 도입된 본 시스템을 통해, 한일 우정의 해, 한국인을 위한 고마가쿠 레슨을 진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작년 9월,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크누아 홀에서, 다음 10월에는 도쿄 가쿠슈인대학 백주년 기념회관(學習院大學百周年記念會館)에서「고마가쿠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제1부, 허영일 교수와 미타노리아키 악사의 강연에 이어, 제2부는 일본 미즈호 가가쿠카이의 연주에 맞추어 한국의 무용가가 쌍룡무(雙龍舞)인「나소리(納曾利)」를 공연하였다. 고마가쿠의 진전한 귀향이라고 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그 후, Video Conference System을 이용한 수업은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정식수업을 통해 계속되었으며, 12월 초순에는 수강생 전원에 의한 가가쿠 공연이 이루어져,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물론 훌륭한 지도자에 의한 직접 지도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하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그러한 조건이 갖추어지지 못할 경우, 원격 레슨의 방법론을 숙지한 교육자가 있다면 Video Conference System을 이용한 지도는, 기대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에 틀림이 없다. 필자는 고대 아시아 음악, 무용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가가쿠」를 아시아인이 함께 향수(享受)하는 것이, 장래의 아시아 공조와 협력을 위한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더 나아가 정신적인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インターネット経由で遠隔地同士をつなぎ、遠隔会議を行う「Video Conference System」という最新のIT技術を利用して、「世界最古の伝統舞踊」である雅楽のダンス·レッスンを行うという、世界に類を見ない日韓文化·教育プロジェクトが、いま、ソウルの韓國藝術綜合學校と、東京の瑞穂雅樂會の間で進められ、確かな成果をあげつつある。 日本の雅楽は、神仏に捧げるための儀礼音楽という一面を持つ。そのため日本人のほとんどは、雅楽を「日本独自の伝統的な音楽・舞踊芸術」だと信じている。 しかし、日本で千数百年の間、連綿と継承されてきた雅楽は、実は日本固有の芸能などではなく、古代中国、朝鮮半島、東南アジアからインド、ペルシャに渡る、シルクロードを経由した文化交流が生んだ、まさに「古代アジアの音楽·舞踊の集大成」なのである。 雅楽の中に『高麗楽』と呼ばれる、古代日本が朝鮮半島から輸入した音楽と舞がある。今進められているプロジェクトは、韓国で高麗樂の舞人を育て、彼らが日本の演奏家の演奏に合わせて古代朝鮮の舞を舞う「本物の文化交流」の実現を目指すものである。 許榮一教授のご英断で韓國藝術綜合學校に導入された当該システムが、日韓友情年二〇〇五に向けての韓国人のための高麗楽舞楽レッスンを支えてきた。 そして昨秋九月にソウルのKNUAホールで、翌十月には東京·学習院大学百周年記念会館で「高麗楽シンポジウム」が開かれた。 第Ⅰ部、許榮一教授と三田徳明の講演に続き、第Ⅱ部は、日本の瑞穂雅樂會の演奏に合わせて韓国人の舞人が双龍舞「納曾利」を舞う。高麗樂、真の里帰り。歴史的な瞬間であった。 その後、Video Conference Systemを用いた舞踊レッスンは、韓國藝術綜合學校の正課の授業として継続し、十二月初旬には受講生全員による雅楽公演も実施し、大きな成果をあげた。 確かに、優れた指導者による直接指導は最良の教授法である。しかし、その実施条件が整わない場合、遠隔レッスンの方法論を熟知した教授者がいればVideo Conference Systemを利用したダンス指導は、人々の期待以上に強力な武器となり得ることは間違いない。 私は、古代アジア音楽·舞踊の集大成である「雅楽」をアジア人が共に享受することが、将来のアジアの共同・協調のための歴史的·文化的、そして精神的な礎石と成り得るものだと信じて止まない。

      • KCI등재

        예술진로 학생들의 사교육 현황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강병직(Kang Byoungjik),김향정(Kim Hyangjoung)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이 연구는 예술진로 학생들의 사교육 현황과 예술 사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예술진로 학생들에 대한 공교육에서의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충북 지역의 예술진로 학생들에 대한 예술 사교육비를 조사한 결과, 월 평균 609,000원이었으며 이들은 학교 예술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교육적 효과에서는 사교육이 더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진로 학생의 학부모 역시 예술 사교육이 학교 예술교육보다 입시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의 예술교육에서 맞춤형 지도의 강화와 연습실의 확충, 우수한 강사진 연결 및 영재교육과 방과후 예술 심화교육의 활성화, 교육비 지원 등이 주요하게 제시되었다. 특히 지방의 예술진로 학생들을 위한 공교육 지원이 부족하여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해결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education for art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private art education and to explore support plans in public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cost of private art education for art students in the Choongbook region is 609,000 won per month. In addition, we found that parents who wish to pursue a career in the arts also have the perception that private art education is more helpful for entrance exams than school art education. To resolve these issues, we recommend the reinforcement of customized instruction and expansion of practice rooms in schools, connecting with excellent instructors, activate gifted education and after-school arts in-depth education, and provide support for educational expenses. In particular, since there are regional gaps in support for art students, active efforts to reduce the gap will be needed at the local and national level.

      • KCI등재

        초등학교 학부모의 예술 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송하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8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private tutoring in the arts for elementary school parents. To this end, we tried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 formed in the lived experience of individual and social relationships by returning to the ‘Sache selbst’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Our findings show that arts private tutoring have a different pattern of participation from other subjects. Receiving private tutoring in the arts during elementary school is the foundation for enriching the quality of life as children grow up, a phenomenon accompanied by parents’ love and responsibility. Furthermore, it was also a tool for achieving academic achievement. It is worth noting that elementary school parents had great anxiety about falling behind in private tutoring. As mothers shoulder the burden of after-school education, parents expressed a hope that the quality of arts education would develop in public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가 인식하는 예술 사교육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초등학교 학부모의 개인과 사회적 관계의 체험 속에 형성된 본질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 사교육은 엄마의 예술경험과 좋은 삶을 위한 목적, 학교 교육의 회의적 시각이 복합적으로 혼재되어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예술 사교육은 자녀가 성장했을 때 삶의 질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기반으로써 부모의 사랑과 책임이 동반되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학업을 성취하기 위한 도구이기도 하였다. 한편, 초등학교 학부모는 학교 교육이 아닌 사교육에 뒤처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학교 예술교육의 내실화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새 패러다임, 학교예술교육과 예술영재교육의 과제

        주성혜(Joo Sunghye)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누구나 예술가이다.”라는 21세기 예술교육의 국제적 구호에 동참하고자 하는 학교의 예술교육은, 재능있는 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예술영재교육과 함께 철학 및 접근법이 대조적인 우리 예술교육의 법적·사회적 두 영역이다. 이들은 교육의 대상도 추구하는 인재상도 교육자에게 요구되는 역량도 달라 보이지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된 과제를 안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학교예술교육의 현장에는 매력있는 구호에 제대로 호응하지 못하는 교수·학습의 질에 대한 고민이 만연하고, 관습적 교수법을 고수하는 예술영재교육은 조기교육과 차별화되는 교육과정의 정립을 법 제도 출발 후 이십 년이 되도록 미루고 있다. 좀처럼 해결되지 않는 두 영역의 문제 앞에서 이 글은 문제의 정체성을 재탐색 한다. 학교교육의 새로운 도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절실하다면서도 간과되는 교육참여 예술가의 교수전문성이 무엇보다도 확보되어야 하고, 누구나를 위한 이 예술교육의 연구와 개발은 흥미롭게도, 특별한 아이를 위한 예술영재교육에서 역시 질적 완성도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The school arts education that subscribes to the international trend “Everyone is an artist”, is very different from gifted arts education in both philosophy and approaches. As the main categories of the arts education of Korea in legal and social aspects, these two arts educations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their intended audience, ideal talent, and required qualifications for educators. However, they share common concerns about what and how to teach. Concerns over education quality is pervasive in school arts education, while the traditional approaches for the gifted procrastinates developing curriculum to distinguish itself from early child education over two decades. This article reexamines the source of these unsolved issues. I argue that it is imperative that the artist’s ‘teaching expertise’ adapt to the new approaches in school arts education and suggest progressive approaches for the gifted, which reflect the global trend.

      • KCI등재

        국악작곡전공 관련 교과과정의 실태와 전망-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음악작곡과를 중심으로

        김정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8 한국예술연구 Vol.- No.20

        The curricula for the major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omposition consist of varied subjects, which count much more than in other university programs. In particular, continuing specialist subjects, such as traditional musical language, Western musical language, practice in electro-acoustic music, and composition workshops, have served to strengthen studentsʼ creative capabilities remarkably. However, the major subjects take up an inordinate amount of time so that students cannot make broader choices, which needs to be rectified. There is a need for more subjects to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knowledge of the humanities and logical thinking as well as their practical abilities. Although the masterʼs programs, since their establishment in 1999, have been producing outstanding individuals, the lack of doctoral courses has meant that the universityʼs distinctive programs do not continue on to the highest level. Hence, the establishment of doctoral programs at the university is long overdue. 1998년 전통원 개원 이후 20년 동안의 국악작곡전공 관련 교과과정을 검토 및 분석한 결과, 한국음악작곡과의 교과과정은 전공 관련 과목이 다양하고, 비중이 타 대학에 비해 매우 높다. 특히 ‘전통음악어법’, ‘서양음악어법’, ‘전자음악실습’, ‘창작워크샵’ 등의 연속적으로 특화된 과목들은 전공생산 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다만 필수과목의 비중이 높아 선택의 폭이 협소하며, 저학년에서 교양과목을 들을 여유가 부족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또 인문학적 소양과 논리적 사고를 성장시킬 수 있는 과목 및 실무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과목의 보완이 필요하다. 1999년 전문사과정(석사)이 설립되어 매년 우수한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박사과정이 신설되지 못하여 제반의 차별성 있는 교육과정이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의 박사과정 신설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면한 과제이다. 작곡의 비중은 점차 더 높아지고 있으며, 국악작곡 영역에서 각 대학의 독립된 과의 창설은 적극적으로추진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한국음악작곡과의 교과과정은 이러한 면에서 타 대학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근원적 문제점에 관한 고찰 - 국가주체가 인식하는 예술(가)의 존재의미는 무엇인가

        이우영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question the issues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established in 2012. One positively received aspect of the current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is that it provides a more systematic and formal approach to cultural arts and arts education. However,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ertification can be obtained simply by attending lectures as a college credit. In effect, this certification system is one in which anyone may be accredited, while adding an additional certification fee, which could be argued is nothing more than an additional tax on artists. It is crucial to reflect on this employment system that admits anyone with licenses and certifications to the world of art, convincing ourselves that it is fair, even, and reasonable to do so. We need to ask ourselves if that is the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본 논문의 목적은 2012년부터 시행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가지고 있는 불합리성에 관한 고찰에 있다. 본 제도의 시행 주체가 긍정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사안 중 하나는 ‘자격증’이라는 외피를 두른 제도적 개념과 ‘문화예술’, 그리고 ‘예술교육’이라는 모호한 직무군들의 결합인 것이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사는 단순한 학점 이수제에 의한 강의 수강 방식 취득이며, 이는 언제 누구라도 열려있는 자격제도라는 의미와 동시에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추가 교육료를 요구하는 국가 주도의 ‘예술인 과세제도’라는 인식을 지울 수 없다.

      • KCI등재

        세계 차원의 전통예술 사유에 대하여 - 유네스코 체제와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허용호(Heo Yongho)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21세기 진입을 전후해서 전 지구 차원에서 전통예술을 사유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류와 유네스코 체제가 그 사례이다. 두 사례는 전 지구 차원에서 전통예술을 사유하게 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바로 이점에 착안한 것이 본 연구이다. 논의는 유네스코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예술 논의를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무형문화유산의 유네스코 체제 곧,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대표목록 논의의 전개 양상, 구체적인 사례, 의의와 한계 등을 살폈다. 이어서 한류 현상에서 존재하는 전통예술의 양상을 살폈다. 한류의 전개 과정과 그 현상을 설명하려는 노력,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와 특징 등을 검토했다. 논의는 유네스코 체제와 한류 현상 사이의 비교로 이어졌다. 두 현상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지, 논의 전개 과정에서 만나는 지점은 없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는 2018년 벌어진 방탄소년단(BTS)의 <아이돌(idol)> 공연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를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한류 현상 차원과 유네스코 체제 차원이 전통예술을 매개로 교차하는 대표적 사례이고, 그 공연이 제기하는 문제가 범상치 않았기 때문이다. The phenomenon of the Korean Wave and UNESCO Regime both have in common the fact that they give the traditional arts a global reach.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discussions on traditional arts and UNESCO.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the development patterns, specific example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discussions related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re reviewed here. Subsequently, I looked at the aspects of traditional art existing in Hallyu,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llyu, efforts to explain the phenomenon, specific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The discussion led to a comparison between the UNESCO Regime and the Korean Wave phenomenon. I compare the two phenomena and highlight any commonalities.

      • KCI등재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시각예술 기반 시설 지원 방안 연구

        고용수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2

        본 논문은 지역소멸의 관점에서 시각예술 기반 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원 방안을 연구하였다. 데드크로스 현상과 OECD 국가 중 합계출산율 최저 국가인 한국의 지역소멸 현상과 시각예술계의 수도권 집중 현상을 점검하였다. 선행연구의 지역소멸지수에 따른 시각예술 기반 시설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관련된 국내 주요 지원 사업을 검토하고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지원 방안을 시각예술인의 인구댐 역할 지원, 관계인구 개념을 접목한 시각예술 기획자 및 작가 프로그램 지원, 재정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고향사랑기부제의 활용, 시설 간 연계 사업 추진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visual arts infra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extinction and explores proposals for future support. I examine the death cross phenomenon, the local extinction phenomenon in Korea, which has the lowest total fertility rate among OECD countries, as well as the concentration of the visual arts world in metropolitan areas. The visual arts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regional extinction index of previous studies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Major domestic support projects related to this were reviewed and limitations were identified. Support plans for this were proposed to support the role of visual artists’ population dam, supporting visual arts planners and artists programs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the relational populations, using the Hometown Donation System to increase financial independence, and promoting inter-facility projects.

      • KCI등재

        예술교육의 토대로서 ‘철학함’

        박연숙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8 한국예술연구 Vol.- No.20

        현행의 예술교육은 입시 위주 교과목에 밀려 명맥을 겨우 유지하고 있거나 소수 전공자를 위한 수월성 위주의 사교육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예술교육이 우리 사회의 무감각(anesthetic)을 일깨우고 개인과 사회의 활력을 불러 오는,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데에 매우 중요한 경험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면 재능 있는 소수가 아닌 모두를 위한 새로운 예술교육으로 변모되어야 할 것이다. 삶을 위한 새로운 예술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본고에서는 존 듀이의 철학을 근간으로 한 맥신 그린의 예술교육 사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린의 예술교육은 심미적 경험을 통해 ‘널리 깨어 있음(wide-awakeness)’을 얻어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예술교육은 상상력과 사고력을 바탕으로 질문하고 대화하는 탐구의 과정의 철학교육의 한 방법이다. 이는 예능교육이나 작품에 대한 지식 교육을 중시한 전통 예술교육과 차별화되는, 비판과 성찰을 기반으로 자아 성장을 위한 삶을 위한 예술교육이며 ‘철학함(doing philosophy)으로서의 예술교육’이다. The current paper offers a guideline for transforming arts education into that for the wider society by first examining the concepts of ‘the arts’ and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John Dewey’s philosophy, then contemplating upon Maxine Greene’s philosophy of arts education. At the heart of Maxine Greene’s arts education is the objective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ide-awakeness’ which, in turn, is achieved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Within this frame of thought, arts education itself is a process of inquiry. Such a process is, in effect, the methodology of philosophy education or ‘doing philosophy,’ that is based upon conversation and inquiry. This methodology of philosophy education that is a part of ‘doing philosophy’ can lead to a system of arts education that provides for everyone an awakening of the mind, fostering of creativity, and an ensuing life of vitality.

      • KCI등재

        한국의 ‘미적 근대성’과 디자인- 새마을운동의 디자인사적 의미

        최범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5

        As modernity in Korea proceeded involuntarily due to external shocks, modernity in Korea also shows a very different aspect from modernity in the West. The Saemaul Undong is a material-oriented modernization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ization in a condensed way, and in many ways is the origin of the present Korea. This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etermine Korea’s ‘aesthetic modernity’ and the character of design.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how Korea’s ‘aesthetic modernity’ is molded through the Korean modernization movement called Saemaul Undong, and how it is revealed through design that forms the aesthetic dimension of everyday life. On the other hand, by pointing out that the state-led design promotion has emerged at the same time as the design of everyday life that Saemaul Undong was born, I try to depict the overall character of modern Korean design.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Korean design. 한국의 근대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비자발적으로 시작된 만큼 한국의 근대성 역시 서구의 근대성과는 크게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중에서도, 서구의 근대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은 사회적 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까닭에 사회의 모든 영역이 경제로 환원되는 이른바 ‘환원근대’(김덕영) 현상은 한국 근대의 ‘미적 차원’을 이해하는 데도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서구 근대의 경우에는 정치, 경제와 같이 계산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현실 근대성 영역이 있는가 하면, 그와는 일정하게 독립된, 자율적 예술을 중심으로 하는 ‘미적 근대성’ 영역이 존재한다. 그러나 한국과 같은 ‘환원근대’ 상태에서는 독자적인 ‘미적 근대성’ 영역이 성립될 수 없다. 이러한 조건은 한국 근대의 미와 예술의 운명에 치명적인 작용을 한다. 이 연구는 새마을운동이라는 한국적 근대화 운동을 통해서 한국의 ‘미적 근대성’이 어떻게 주조되었고, 그것이 일상의 ‘미적 차원’을 형성하는 디자인을 통해서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리하여 새마을운동이 한국 현대 디자인의 한 기원임을 예증하면서 한국 디자인사 연구의 한 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