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교육 가능성 탐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정아(Shin Jung a)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2 No.-

        Now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education about Korean cultural factors is requi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This means not cramming Korean culture to foreigners but role of communication to make them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adjust well to life in Korea. In particular, language culture education emphasizes to grow communicative ability, and the application of literatures enable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knowledge about society and culture where the language is used, and discourses and behaviors fit to the criteria of the language community. Literature shows an individual s way to behave in some situations by contextualizing it, and provides useful insights about relations, emotions, attitudes, and the like. The method to suggest through contexts in cultural education, can raise cultural ability to be familiar with the targeted culture and to utilize the culture in linguistic activities beyond knowledge about the culture. Especially, Korean illustrated books among literature genres, contain various sub-cultures which are not seen easily in daily lives as well as the entire culture such as language, religion, and ethnicity with the stories including special situational contexts in visual images.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culture seen in illustrated books include naming culture, honorific expressions, high context culture, appropriate speech-acts of asking and refusing, etc. High context culture can compose an intact discourse or phrase even a necessary element is omitted, and in some cases, when an element is omitted, it may be more naturalistic. In high context culture, in order to figure out the core contents of communications, it is necessary to be interested in the situation more than the message. Especially, in relations with family or friends, they already know the other party s message even though he or she does not mention it, they would reduce words with more limited language, and depend on the scenes or the situations more. Foreign learners would be able to understand and be familiar with Korean s language culture through learning from illustrated books. Honorific expression, one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shows Korean people s emotions. Korean s honorific expression is used to express for respecting the other party properly fit to the context of its usage. Based on illustrated books, to contemplate Korean s ways to think, to tell about the reason why Korean honorific expression is various and complex, and to learn various usage of we and diverse greetings by Korean would play a meaningful role for their adjust to life in Korea. If the culture of naming is learnt in the contextual situation of illustrated book, it is easy to understand and effective for foreign learners to remember it. Culture is not just confirmed when meanings in dictionaries in the language used in literature texts, it is necessary to instruct them to understand the contexts of language culture and basic culture mixed in a literature work. Foreigners aim to acquire culture is to adjust well to life in Korea, and its most basic requirement depends on acquiring language culture.

      • KCI등재

        독일 한국학과와 한독 문화교류 - 베를린 자유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곽정연 ( Goak Jeang-yea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100

        한국 독어독문학과와 독일 한국학과는 양국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인력을 양성한다는 점에서 한독교류의 토대를 마련한다. 본고는 한국과 독일의 문화교류에 초점을 맞추어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고찰하여 한국 독어독문학과와 학계 그리고 한독문화교류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과는 국내외 기관 및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한국학의 학문적 방법론을 정립하며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학제 간 연구로써 한국학의 기초를 마련하고, 방문학자, 학술대회, 특강, 저서, 언론을 통해 담론을 확산한다. 이로써 독일이 한국을 이해하는 데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고, 교류를 수행할 후속세대를 키운다. 또한 자유대학 한국학과는 북한 대학과의 학술교류를 통해 남북이 교류할 수 있는 학술적 공간을 만든다. 한독 간 문화교류를 강화하기 위해 한국 독어독문학과는 방문학자 제도를 활성화하여 글로벌 맥락에서 독일을 고찰하는 다학제적 연구를 수행해야 하고, 한국과 독일의 유관기관과 독일 한국학과와의 연구와 교육 협력 그리고 학생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경제 규모 세계 10위 국가로서 한국이 세계 여러 나라와 문화교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국제사회에서 적합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외국어문학과의 균형적 발전을 주요과제로 삼아야 한다. Die Germanistik in Korea und die Koreanistik in Deutschland bereiten eine Basis für den koreanisch-deutschen Austausch, indem sie den wissenschaftlichen Nachwuchs ausbilden und durch die Erforschung der beiden Länder eine wissenschaftliche Grundlage für die Beziehungen beider Länder schaffen. Mit Fokus auf den kulturellen 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untersucht vorliegender Beitrag den Entwicklungsprozess und aktuellen Stand de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Berlin und leitet Implikationen für die Germanistik in Korea sowie den Kultur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ab. Das Institut fü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Berlin arbeitet mit in- und ausländischen Institutionen und Forschern aus verschiedenen Bereichen zusammen, und betreibt eine interdisziplinäre Forschung zwischen Sozial- und Geisteswissenschaften. Damit etabliert es eine wissenschaftliche Methodik für die Koreanistik und festigt damit auch den Status der Koreanistik als wissenschaftliches Fach in Deutschland. Das Institut für Koreanistik an der Freien Universität fördert den Diskurs über Korea durch wissenschaftliche Konferenzen, Sondervorträge, Bücher, Medien u.s.w. Darüber hinaus bietet es einen akademischen Raum für den innerkoreanischen Austausch durch die universitäre Zusammenarbeit mit Nordkorea. Germanistik-Institute in Korea sollten Gastwissenschaftler einladen, multidisziplinäre Forschung über Deutschland im globalen Kontext betreiben, mit dem Institut für Koreanistik in Deutschland Studierende sowie Forschungs- und Bildungsinhalte austauchen und mit den Institutionen in Korea und Deutschland zusammenarbeiten, die den Kulturaustausch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fördern. Als Land mit der zehntgrößten Volkswirtschaft der Welt sollte Korea Experten aus verschiedenen Ländern der Welt in ausgewogener Weise ausbilden, um den kulturellen Austausch nachhaltig voranzutreiben und damit eine angemessene Rolle in der internationalen Gemeinschaft zu spielen.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독어학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5년간 발표된 독어학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권민재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4 독일언어문학 Vol.- No.103

        본 연구는 한국독어학회가 창립되어 학술지 독어학 제1집이 출간된 1999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독어학 관련 6개 학술지에 실린 2,329편의 독어학 관련 논문들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1,968편의 독문요약에서 추출한 명사를 중심으로 실행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이다. 분석 결과 최근 25년 동안 한국독어학 연구는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성과와 발전을 이루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응용 분야와 언어구조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의사소통적 행위와 대조적 측면의 연구도 적지 않았다. 연간 게재 논문 수는 학계 연구자 수가 감소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는 추세에 있지만, 연구 분야는 점차로 세분되고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독어학 연구가 언어구조에 대한 순수 이론 분야를 넘어서 텍스트언어학, 사회언어학, 심리/인지언어학, 코퍼스언어학 등의 응용 분야로 확장되어 인접 학문과 긴밀하게 소통하는 역동적인 학문 분과로 발전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독어학 연구가 어떠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5년 주기별로 통시적 분석을 시행했을 때 주기별로 주목받은 핵심 키워드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LGL 대분류에서 언어구조, 의사소통 행위, 대조적 측면, 응용 분야 네 개 영역에서 중심성 지표가 높은 핵심 키워드를 살펴보았고, 중분류에서는 어휘의미론, 통사론, 텍스트언어학, 코퍼스언어학을 비교하여 각 영역에서 전형적인 키워드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Diese Arbeit untersucht die qualitative und quantitative Entwicklung der germanistischen Linguistik in Korea in den letzten 25 Jahren und die Schlüsselwörter, mit denen sie sich im Hinblick auf die sprachliche Netzwerkanalyse der deutschen Zusammenfassungen auszeichnet. Im Rahmen dieser Studie wurden insgesamt 2.329 Aufsätze aus sechs verschiedenen koreanischen Zeitschriften gesammelt, die sich mit Germanistik befassen. Durch die diachronische Analyse wurde festgestellt, dass die germanistische Linguistik in Korea sowohl quantitativ als auch qualitativ große Fortschritte gemacht hat. Ihre Forschungsthemen wurden kontinuierlich vertieft und erweitert. Statistisch gesehen dominierten die Untersuchungen zu Anwendungsbereichen und Sprachstrukturen, was 66.25% entsprach. Danach folgten die Untersuchungen in Bereichen des kommunikativen Handelns und der kontrastiven Aspekte, die sich auf 20% beliefen. In der Anfangsphase beschäftigte man sich häufig mit den Themen der Sprachstrukturen, aber in den letzten Jahren konzentrierte man sich mehr auf die Anwendungsbereiche. Aus 1.968 deutschen Zusammenfassungen wurde zuerst die Kookurrenz zwischen Schlüsselwörtern statistisch gemessen. Mithilfe einer sprachlichen Netzwerkanalyse wurden die Schlüsselwörter herausgefiltert und nach ihrer Zentralität im Netzwerk aufgelistet.

      • KCI등재

        Nonverbale virtuelle Kommunikation - Textbasierte Emoticons in Südkorea und Deutschland

        강태호,쉴로트만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3 독일언어문학 Vol.0 No.61

        이 논문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한국과 독일의 비언어적 신호들이 어떤 형태를 취하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 비교하고자 했고, 이때 특히 텍스트 이모티콘들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먼저 컴퓨터 전문가들만의 소유물이었던 채팅이 어떻게 대중화, 다양화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간단히 살폈고, 채팅 언어의 언어학적 특성들을 개괄했다. 그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경제 논리에 따른 축약과 구두성 및 일상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사이버 채팅 상황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한국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은 주로 수직적인 ‘동아시아 스타일’을, 독일의 경우는 수평적인 ‘서양 스타일’을 따르는 특성을 보였다. ‘동아시아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수직형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눈과 손 형태 표현이 가능한 반면, ‘서양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주로 입 모양을 중심으로 변화한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는 독일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수줍음 또는 수줍은 웃음을 의미하는 이모티콘들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에 기인하는 듯하다. 이러한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은 독일의 경우와는 달리 한국에 거짓말을 뜻하는 이모티콘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 분석을 통해 분명히 드러난 점은, 이 이모티콘들의 해독을 위해서는 순수하게 언어학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언어학적, 문화언어학적 측면들까지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의 문자 언어 사용은 미디어의 글로컬한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형태를 띠며 발전해 왔으며, 여기서 지역성 Lokalität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비언어적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강태호 ( Tae Ho Kang ),디륵슐로트만 ( Schlottmann Dirk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3 독일언어문학 Vol.0 No.61

        이 논문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한국과 독일의 비언어적 신호들이 어떤 형태를 취하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 비교하고자 했고, 이때 특히 텍스트 이모티콘들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먼저 컴퓨터 전문가들만의 소유물이었던 채팅이 어떻게 대중화, 다양화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간단히 살폈고, 채팅 언어의 언어학적 특성들을 개괄했다. 그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경제 논리에 따른 축약과 구두성 및 일상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사이버 채팅 상황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한국의 텍스트 이모티콘들은 주로 수직적인 ‘동아시아 스타일’을, 독일의 경우는 수평적인 ‘서양 스타일’을 따르는 특성을 보였다. ‘동아시아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수직형으로 배열되어 다양한 눈과손 형태 표현이 가능한 반면, ‘서양 스타일’ 이모티콘들은 주로 입 모양을 중심으로 변화한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는 독일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수줍음 또는 수줍은 웃음을 의미하는 이모티콘들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에 기인하는 듯하다. 이러한 동양적 또는 유교적 사고방식은 독일의 경우와는 달리 한국에 거짓말을 뜻하는 이모티콘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독일의 텍스트 이모티콘 분석을 통해 분명히 드러난 점은, 이 이모티콘들의 해독을 위해서는 순수하게 언어학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언어학적, 문화언어학적 측면들까지도 고려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결국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의 문자 언어 사용은 미디어의 글로컬한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형태를 띠며 발전해 왔으며, 여기서 지역성 Lokalitat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독일어와 한국어의 장소지시어 연구(Lokaldeixis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성상환 ( Sang Hwan Seong ),현희 ( Hee Hyu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6 독일언어문학 Vol.0 No.71

        본 논문은 독일어와 한국어의 장소지시어의 비교에 관한 연구이다. 독일어 hier, da, dort와 한국어의 장소지시어 여기, 저기, 거기를 중심으로 지시어의 종류와 쓰임에 대해 비교분석을 행한 후 두 언어의 장소지시 어가 번역된 용례에서 어떻게 구체적인 실현이 되는가를 코퍼스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독일어를 전공하는 독일어능력 중급이상의 한국어모어화 자들을 대상으로 독일어 장소지시어 습득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에 체류하며 한국어를 습득하는 독일인모어화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한국어의 장소지시어를 어떻게 구사하고 있는지도 간단한 습득실험을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독일어의 장소지시어인 hier, da, dort의 쓰임에서 전통적으로 3등분하는 연구와 2등분하는 연구가 있었는데 독일어가 한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한국어의 ‘저기’에 해당하는 독일어표현이 여전히 체계적인 등가물로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장소지시에 있어 체계적인 3가지 구분에 대한 논증이 빈약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독일어를 습득하는 한국어화자들의 경우 독일어의 da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독일인들의 경우 대화상대의 관점을 반영하는 한국어의 ‘저기’에 대해 ‘여기’와 ‘거기’ 에 대립되는 체계적인 구분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상을 지시할 때 주체적인 원천지점(Origo)으로 화자만이 중심이 되는 독일 어와 대화상대 및 대화참여자에 대한 관점이 추가적으로 문법화되어 있는 한국어사이의 체계적인 문법간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해당 표현들의 독일어교육이나 한국어교육에도 적극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구체시와 언어의 힘 - 반복기법을 중심으로

        이군호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4 독일언어문학 Vol.- No.103

        기존의 전통적 시어와 달리 언어의 기능을 축소하고 최소화시킨 이른바 ‘재료 Material’로서의 언어는 구체시의 출발점이자 핵심이다. 본고에서는 두 개의 논점을 중심으로 구체시를 고찰하고자 한다. 첫 번째 논점은 물질적 재료로서의 언어가 창작에 투입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철자나 단어의 ‘반복(Iteration, Wiederholung)’을 하나의 기법으로 간주하고, 이를 중심으로 15개 작품을 분석하며 몇 가지 반복의 유형 혹은 패턴을 제시한다. 두 번째 논점은 구체시가 어떻게 내용과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구체시의 언어는 기존의 서정시가 보여주지 못한 새로운 시의 지평을 개척했다. 구체시에서 언어의 힘은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드러나며, 그 중요한 기반의 하나는 언어적 반복기법과 시각적 디자인의 결합이다. 구체시의 물질화되고 재료화된 최소한의 언어수단을 통해서도 전통적 서정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하는, 그리하여 의미시로서의 존재가능성을 부여해주는 힘이 구체시에는 내재한다. 그 힘의 근원이 언어재료를 시각적으로 배열하는 다양한 반복기법에서 도출될 수 있음을 본고에서 확인해본다. Konkrete Poesie geht von den sprachlichen Elementen als konkretem Material aus, sucht sie von ihrer Funktionalität zu erlösen und kombiniert sie unter Verzicht auf jede Aussage oder Mitteilung neu. Es gibt zwei Aspekte, die für die Untersuchung der Konkreten Poesie im vorliegenden Aufsatz von zentraler Bedeutung sind. Der erste Aspekt betrifft die Art und Weise, wie Sprache als Material in die Dichtung eingesetzt wird. Dabei wird die Methode der Wiederholung von Buchstaben oder Wörtern als Technik betrachtet, und 15 Werke werden mit Schwerpunkt auf diese Technik analysiert. Schließlich werden verschiedene Typen oder Muster der Wiederholung vorgestellt. Der zweite Aspekt ist, wie konkrete Poesie Inhalt und Bedeutung vermitteln kann. Zusammenfassend lässt sich sagen, dass die Sprache der Konkreten Poesie einen neuen Horizont der Poesie eröffnete, den die traditionelle Lyrik nicht erreichen konnte. Die Kraft der Sprache kommt in der Konkreten Poesie auf andere Weise zum Ausdruck als im Falle konventioneller Methoden, und eine ihrer wichtigsten Grundlagen ist die Kombination sprachlicher Wiederholungstechniken und visueller Gestaltung. Konkrete Poesie hat wie die traditionelle Lyrik die Kraft, auch mit minimalen materialisierten sprachlichen Mitteln vielfältige Interpretationen zu ermöglichen. Im vorliegenden Aufsatz bestätigt sich, dass die Quelle dieser Kraft aus verschiedenen Wiederholungstechniken abgeleitet werden kann, die sprachliche Materialien visuell anordnen.

      • KCI등재

        『한국어 공교육 교육과정』변화와 개선 방향

        양영희(Yang, Young-hee) 한국언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학 Vol.107 No.-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2012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2017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doing so,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ovid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irst, in respect to educational changes in the curricula,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Secondly, it is also indica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reinforced. The current study interpreted that these changes have been made in an attempt to enhance foundation competence in order to minimize learning loss for school-age learners. Based on these evaluation, two suggestions are made: first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categories of learners should be diversified. Both <2012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2017 Korean Language Curriculum> encompass various learners of multicultural immigrants, international students,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tudents from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and students who have lived abroad. This study devises two categories: learners who hav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learners who don’t have Korean language ability based on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e. By inventing two different categories, it is possible to apply different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for different groups of learner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distinguishes contents focusing practical Korean from academic Korean. For practical Korean contents, they should be organized to enhance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everyday life and learn classroom Korean expression. For academic Korean, it should be appropriate to organize educational contents which enhance fundamental learning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mmunity-identity competence of learners who have Korean language competence.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비판적 점검과 교육적 대안의 모색

        황예인(Hwang Ya-ein),최어진(Choi Eo-jin),최홍원(Choi Hong-won) 한국언어문학회 2021 한국언어문학 Vol.118 No.-

        This study aims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 that enables Korean learners to become the subject of cultural activities and form cultural identity through cultural education, starting from the awareness that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remains static culture. To this end, it was proposed to reconceptualiz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and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interculturalism. In addition, based 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procedures and tasks were designed to solve this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education, it was proposed to change the viewpoint from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was perceived as culture as a substance, to culture as a process and action. Next,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pointed out the problems of 1)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cultural knowledge, and 2) educational design with insufficient medi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cultures. This is a view that views culture as a fixed entity, and has limitations in that the dynamism of culture is not reflec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cedure of cultural education was presented in five steps for educational design according to interculturalism. And, two types of tasks were proposed using GRASPS so that they could be practiced educationally.

      • KCI등재

        Zur pragmalinguistischen Revision des Kulturemansatzes als Modell fuer den Unterricht in deutscher Sprache und Kultur

        김유리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4 독일언어문학 Vol.0 No.25

        본 논문은 함부르크의 저명한 언어학자였던 Oksaar교수의 “문화소 모델”이 가지는 실제적이며 전체적인 대화 상황 (Kontext)을 고려하지 않으며, 문장안에서의 대화의도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Sprechakt” 중심의 전통적인 화용론이 가지고 있는 대화분석의 한계를 비판하고, 전체적인 대화 상황과 기능 (Funktion)을 고려한 “Sprechhandlung" 중심의 확장된 화용론의 견지에서 “문화소 모델”을 재조명하여 독일어와 문화 연구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한국에서도 이미 90년대에 두 학자를 통해 외국어교육에 문화소 교육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아직도 “문화소 모델”은 한국에 독일어와 독일문화교육에 적용이 되고 있지 않고, 독일에서 조차도 문화소와 행위소의 불분명한 개념정의와 전통적 화용론적 입장이 가지는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상황과 기능에 대한 제시의 결여로 인해 교육적인 측면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모델이 구체적으로 한국교육현실에 적용이 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요청 또는 인사와 같은 특정한 "문화소"를 바탕으로 하는 확장된 화용론적 입장의 실제적인 대화 상황에서의 경험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연구에서 특히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문화소가 실현되는 실제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이에 대한 문화간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이다. 이런 상황적인 요소로 는 문화소가 실현되는 행위소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화자간의 사회적 요인 (예: 사회적 신분, 나이, 성별, 친분) 이라든가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관 (예: 학교, 회사, 교회, 관공서등)의 특수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상황적인 요소들이 실제의 언어와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연구를 바탕으로 한국과 독일의 경우를 비교한다면 한국학생들의 실제적인 독일 언어와 문화를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이러한 연구는 상호문화적 경제커뮤니케이션이라든가 정치 커뮤니케이션등으로 그 응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독어학의 확장된 화용론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실제 커뮤니케이션의 분석을 기초로 “Sprechhandlung”에 기초한 행위지향적 교수법을 옹호한다. 또한 실제적인 커뮤니케이션 연구결과물을 고려하여 제작된 한국과 독일 문화에 적절한 의사소통을 연습하는 문화간 역할극,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이 프로그램의 제작을 위해서 실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비디오로 촬영하고, 그것을 보면서 자신의 행동과 독일인들의 행동을 비교하는 것은 효과적인 이(異)문화 적응 교육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