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재 개발과 방향

        ZHAO H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몇 년간 대내외적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세계화 국제화 시대라는 조류 속에서 높아지고 있어, 한국어 사용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교재 개발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1장에서는 연구에 앞서 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유형을 짚고 보았다. 2장에서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는 이유 및 전체 교재 구성의 원리와 함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의사소통 교수라는 현재의 외국어 교육 이론을 적극 수용하고 그에 맞는 교수 학습 내용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행중인 한국어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학습자나 정부의 필요성에 의해서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나타나는 교재 개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았다. 한국어 교재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타이틀로 교재의 등장과 전개과정 및 교재 변천사 시기 구분을 해 보았다. 한국어 교재의 역사적 흐름을 살피면,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형식 및 관련 요인들의 변화 방향을 알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교재 발전 방향을 알고 개선할 근거를 찾아야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한국어 교재의 역사를 살펴보는 작업은 중요하다. 대상별 한국어 교재에 대한 논의를 했다. 여기에서 대상이란 목적이 다른 부류를 말하는데,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의 유학생, 여성 결혼 이민자, 다문화 가정의 유아,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수 목적을 지닌 한국어 교재에 대해 서술했다. 한국어 교재 개발의 절차 및 유의점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재 개발이란, 교수 번인과 학습 변인을 고려하여 새로운 교재를 편찬하여 발간하는 것을 말한다. 앞서 검토했던 의의와 문제점 및 역사 등 을 고려해 실제 개발 절차와 그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몇 가지를 간략히 기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periods from the 12th century until the present.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divided chronologically and showed different contents in each period. A theme in the study i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nged in their format during the periods. A lot of topics, contents and information, teaching styles, student task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s are discus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six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the various foreigners. Also,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need more deeper studies and efforts for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s.

      • KCI등재후보

        시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송선주(Song Sun 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그 사회의 언어를 많이 배울 수 있는 것이 문학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작품중 시작품을 택하여 외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의 문학작품을 더 빨리, 더 쉽게 이해하고 익혀서 더 많은 한국어를 알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는 문학작품이 고차원적인 언어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한국어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한국 문학을 학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은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문학 작품, 특히 시작품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일부 활용되고 있다. 시 작품은 그 나라의 사상과 정서를 담고 있고, 운율적인 언어의 정제된 학습 자료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교육 등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높은 텍스트이다.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쉬운 것부터 접근해서 언어를 익히고, 감상을 통하여 한국인의 정서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시를 매개로 한 한국어 언어 문학의 중요한 의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목표인 한국어교육을 살펴보고, 시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한국어 획득의 가능성과 실제 생활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한다. 그래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업 목표와 학습자들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시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 방법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흥미를 부여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문학작품을 쉽게 이해하고, 한국의 정서와 관련된 언어교육에 효과를 가져 오는 학습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한국어 사용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본다. 연구 방법은 이론교육과 실제 현장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방법을 찾아 이론과 실제의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This has resulted in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xpanding. Therefore, focusing on communication methods has come up with for teaching Korean to foreigners beyond the fact that we stressed teaching grammar for years in the past.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y, importance shouldn't only be set on linguistic structure or morphology but also practicality in language. I have chosen a poetic genre of a literary work, which is very helpful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to make foreigners study Korean easier. This thesis is aimed at helping foreigners learn Korean sufficiently and use it practically in daily life through the studying of poetry as well as how to make use of it to teaching foreigners. This will lead to learners understanding, the profound distinctiveness of Korean due to poetry being a highly difficult product of language. Also, usage of literary works on teaching Korean will be another great key. Poetry has been partially used on teaching Korean. Since it is based on the nation's thoughts and emotions, poetry has the value of education as a refined learning material, to develop linguistic skills such as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It is a consequent significance of teaching Korean, through literary work. Therefore, studying with language education on a theoretical basis, this thesis will follow by finding the way to use Korean practically in daily life as well as the capability of gaining various skills by learning poems. It would motivate learners and bring more interest to them if the appropriate purposes and text were given in the field. Also, it would produc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use Korean in a diverse manner. This study aims find theories on education and thereby instructional methods in the field, and harmonize theory and reality.

      •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영희(Lee YoungHee)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5 No.-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여성 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이중언어교육, 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교육이 주를 이룬다.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재는 8종 13권이 개발되었고,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교재는 8종 38권이 개발되었다. 연구 논문은 2003년 이후 2010년 현재 152편이 발표되었는데, 학위논문이 70편, 학술지 논문이 82편이었으며, 2008~2009년에 연구의 71%가 이루어졌다. 주제별로는 다문화 가정 한국어교육의 내용학적 연구인 교수-학습 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2009년부터 웹 기반, 평가 등으로 다양화되었다. 향후 과제로 일곱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다문화 정책 및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비롯해서, 고급 한국어 수준의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해서는 이중언어교원 자격 부여를 비롯한 취업한국어교육 및 검정고시 한국어 등 보다 실질적인 과정이 고안되어야 함 등을 주장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과 함께 유아원, 유치원에서부터 초 · 중 · 고등학교까지 한국어 능력을 체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과 청소년들 대상의 흥미로운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is survey alms to review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ggests research task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usually focuses 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children who are par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13 books across 8 categories currently available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38 books across 8 categorie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the research trend, there were 152 papers published during 2003~2010, and among those were 70 dissertations and 82 academic journals. 71% of this research was published during 2008~2009. Analyzed by subject, most focused on research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subjects of research have become diversified since 2009. This paper suggests 7 casks, including; enriching the substance of multi-cultural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fostering bilingual teachers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high level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job-Korean and the state certificate examination-Korean, etc.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s paper suggests that bilingual education and a systematic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those children’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is necessary. Als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for teenagers is needed.

      • KCI등재후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연구 현황

        조영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8 한국어문화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가 어떤 영역을 중심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아 그 연구 결과를 수업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주 제에 부합하는 논문 477편을 선별한 뒤 유형(학위논문/학술지논문)별, 기능·영역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라는 용어를 세분화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학문 목적 학습자라는 용어는 아직까지 그 경계나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라 본고에서는 이를 학습 목적과 선행 학습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정립하였다. 더불어 학위 과정에 재학 중인 유학생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수업의 개설 현황을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별로 알아본 후 그에 따라 도출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세 가지로 살펴보았으며 그러한 문제점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about how and in what areas the research is conducted and app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ctual classes. To this end, a total of 477 papers that corresponded to the subject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were selected and then divided by type (thesis or journal article, etc.), function, and area. Also, in order to prepare the education methods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he term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needs to be subdivided for organization. However, since the boundaries and concept of the term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re not clearly defined yet, this study classified it by the degree of learning purpose and prior learning. In addition, the opening status of the clas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degree course was investigated by universities in Busan and then three problems of the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were derived and examine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problems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후보

        폐쇄형 SNS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방안 연구

        서영애(Seo Young 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2000년대 이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그 중에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한국어 듣기의 실제 수업 방법 또한 고려해 보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중·고급의 토픽 급수에 합격해야 해며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TOPIK 6급에 반드시 합격해야 한다. 전공 수업에 임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강의 내용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여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중도 탈락률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이 같은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문목적 한국어 수업은 물론 급수 취득의 어려움을 실생활 속에서 수시로 도움 받으면서 시험 대비도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스마트 폰을 생활 밀착형 듣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시도해 보았다. 학문목적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고급 수준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스마트 폰의 폐쇄형 SNS를 활용한 뉴스듣기를 하여,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스마트 폰의 폐쇄형 SNS를 활용한 뉴스 듣기는 한국어 듣기 교재와 연관된 내용을 선정하고 인지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고 듣기 후 단계에서는 타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Conside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which has risen sharply since the 2000s,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teaching methods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further schooling. In order to enter a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Korea, an intermediate and advanced topic qualification is required, and a TOPIK level 6 qualification is also required to obtain a certification of Korean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understanding of major subjects of Korean learners is remarkably low. In addition, there are many Korean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even the dropout rate of class is high. Given the situation present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 practical method that is useful for Korean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major courses for academic purpose without difficulty and to acquire the necessary TOPIK level. This paper, therefore, focuses on smartphone that have become a necessity of life today. The generalized smartphon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medium for improving the listening ability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case applied to the actual class, it was confirmed that listening to news using closed-type SNS(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smartphon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stening abilit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s a result, listening to news using smartphone-based SNS on the cognitive aspect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stening ability and contents of the listening material, and it will be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expanding to other areas after listening.

      •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 영향 요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장난(ZHANG N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2013년 교육부(http://meo.go.kr)가 발표한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 자료에 따르면 총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85,923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그중 중국인 유학생 수의 비율이 58.6%를 차지하고 있다. 이 통계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다양한 분야와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후 효과적인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의 한국어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나이·성별·전공·한국어 학습기간을 설정하고 각 변인과 학습의 관계를 객관적인 분석 수치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 방안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마련한 것은 이전 연구들과는 차별되는 의의가 있다. 1장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연구의 조사대상 및 방법, 자료처리 과정을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변인들의 분류변수별 차이를 살펴보고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쓰기교육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객관적인 자료 분석의 결과와 연구의 시사적인 의의에도 불구하고 표본의 한계와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과 수행능력이 제한되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본 연구가 이후에 진행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에 유익한 자료를 제시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교수하는 교사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연구 자료로 남길 바란다. 본 연구는 성별, 나이, 전공, 한국어 학습기간, 한국어 공부 목적 분류 변수에 따른 각 문항들의 응답 분포를 분석함으로서 분류 변수별로 연구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외국어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에서 나타나는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 학습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긍정적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According to statistics on foreigner students in Kore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ttp://meo.go.kr) in 2013, the total number of foreigner students in Korea was 85,923, and 58.6% were from China. These statistics suggest that careful research should be made in various areas and from diverse perspectives on Chinese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riting skills in Chinese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an effective writing education method. Age, gender, major, and the period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Korean language compet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learning was presented in objective numeric values. This study is also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stablished a theoretical frame for supporting Chinese students’ Korean language writing methods substantially. Chapter I presented the purposes and necessities of this study for Chinese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Chapter II examined the concept, meanings, and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views, and explored efficient writing education method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Chapter III explained the subjects, methods, and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using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Chapter IV analyzed survey results, examined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by category, and answered the research questions. Chapter V discussed the results, and proposed an efficient method of Korean language writing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Despite the outcomes of objective data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small sample size and the scope limited to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 Neverthel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to futur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and to be helpful to teachers in designing the process of writing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nd in teaching their students.

      • KCI등재후보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응웬 티 꾸잉안(Nguyen Thi Quynh Anh)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연구물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및 한국과 베트남의 언어 연구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향후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연구의 방향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베트남과 한국에서 발표된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 논문 수의 총 390편을 선정하여 일반 기준(논문유형별, 연도별)과 영역별(한국어 교육일반, 한국어 교육내용, 교수학습, 대조연구, 통·번역)의 두 가지 분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시사점으로 정리한다. 첫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최근 3년 안에(2017년, 2018년, 2019년) 발표한 논문 수는 176편으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전체 연구물의 45%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들이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었지만 질적으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 있다. 분석 대상인 전체 390편에 중에 박사학위 논문은 단 24편에 그쳐 베트남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보다 전문적이며, 심도 있는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영역별 동향 분석을 통해 보면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의 대부분은 개별어휘나, 한자어 대조 분석연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적 대조를 이룬 연구들이다. 그리고 한국(어)학을 전문으로 교육하고 있는 베트남 내 대학기관의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나 전문적인 교재개발에 대한 연구가 보다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앞서 연역적인 접근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Vietnamese learners and summarize its results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propos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390 studies published from 1995 to August 2019. Then, researcher classified them into two categories of yearly trends and research types with five genres includ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ontrastive Study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Vietnam has a quantitative growth. In specific, there were 176 papers published during the last 3 years(2017, 2018, 2019), accounting for 45% of the total published works from 1995 to present. However, although the number of research has risen sharply since 2005, many problems still need to be solved. Among 390 studies analyzed, there are only 24 doctoral thesis. This mean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Vietnam needs to be discussed deeply and professionally. Third, most of the Vietnam-rel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contrast betwee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language, either individual vocabulary or Phonological contrast. The lack of study related to Korean curriculum or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Lastly, to confirm that results, we analyzed and made the key-words network.

      • KCI등재후보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서영애(Seo, Young-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세계 속에서 경제 강국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은 국력과 더불어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한류 열풍 또한 한국을 세계 여러 나라 속에서 부각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 그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다. 한국어를 세계에 보급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한국어 교육의 확대로 이어지면서 국어기본법 제정 및 한국어 교육 운영지침,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등을 제정하고 정비하는 성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기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해외로까지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원의 자격과 처우에 대한 제도는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 제정과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는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교원자격제도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미비한 점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South Korea, which is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world, clearly shows the presence of various aspects along with its national strength. The institutional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global popularity of Korean Wave are also contributing to highlighting Korea. Due to this phenomenon, foreigners who have tried to learn Korean since the 2000s have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The government s efforts to spread Korean language to the world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System, etc. In spite of such as policy improvements, and als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tinually expanding overseas, however, the qualifications and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after 2000 s, and to suggest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measures.

      • 국제 한국어 응용 언어학 특집을 꾸미면서

        김남길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2

        1950년 후반에서부터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은 한국 언어학은 1960년 중반 이후 Chomsky의 생성 문법을 받아들임으로써 한국어를 자원으로 하는 한국어 언어학이 지금까지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왔다. 이와 비교하여 응용 언어학은 영어를 바탕으로 한 영어 교육이 중심이 되어 발달하여 왔다. 1988년의 올림픽 대회의 개최와 한류의 영향으로 외국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어 교육이 부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한국어 부흥을 가져오게 한 근본적인 원동력은 한국의 급격한 경제 발전과 안정된 정치 현상임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한국의 경제 성장은 한국 체류 외국인 노동자 수의 증가와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인구의 증가를 불러 왔으며 이와 더불어 외국 유학생의 증가는 한국어 교육의 팽창을 가져 오게 하였다. 한국어 교육-여기서 말하는 교육은 습득, 학습 및 교수를 포함한다-이 활발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다. 구미의 응용언어학 동향을 볼 때 언어 교육이 항상 응용 언어학을 이끌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응용 언어학의 대다수가 언어교육과 관계되는 연구 활동이다. 한국어 교육도 이러한 면에서 예외가 아니다. 대부분의 구미 언어학자들도 언어 교육과 관계되는 학문에 종사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어 교육은 대표적인 응용 언어학이다. 한국어 교육은 두말 할 것 없이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언어학이다. 이제부터는 외국어가 아닌 한국어가 중심이 되는 응용 언어학을 시작 할 때라고 믿는다. 한국어 응용언어학은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관계가 있는 모든 응용 학문을 포함하는 학문 분야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예로서 2010년 USC에서 있었던 제1회 국제 한국어 응용언어학 학술대회는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관계가 있는 많은 응용 학문들이 한국어 응용 언어학으로 출발하는 대회였다고 믿는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때 발표된 논문들을 한국어 응용 언어학 활동 분야로 나누어 볼 때 ‘제2언어 학습과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수법', ‘문체와 담화', ‘번역학', ‘재외 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학', 방송통신과 언어', ‘한국 한자음 연구' 등 다양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응용학을 시작함에 있어 응용 언어학이 무엇을 하는 학문인가를 살펴 보고 한국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언어학의 활동이 무엇을 할 수 있는 지를 알아 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위의 머리말을 필두로 다음과 같은 주제로 내용이 되어 있다

      • KCI등재후보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김지혜,심상민,윤경원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