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동남아 국제개발협력 연구 동향 분석: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 고찰

        김소연 ( Kim So-yeun ),강하니 ( Kang Ha-nee )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2

        2000년대 이후,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본격적 확대와 더불어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활동과 연구 또한 상당한 발전을 경험해 왔다.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는 단기간 내에 양적으로 성장하였으나, 비판적이고 대안적인 시각에서 기존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 연구는 제한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비판적 동남아 지역연구로서의 국제개발협력 연구 심화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출판된 동남아시아 지역 관련 국제개발협력 연구의 시기별, 주제별 특성 등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학술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이슈를 다룬 논문 수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공적개발원조(ODA)를 넘어 개발협력, 국제개발로 연구영역이 확장되었으며, 세부 연구주제들도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동남아 지역의 현지 사례를 통해 국제개발/개발협력의 인식론적 깊이를 더하는 연구는 아직 소수에 불과하여, 그간 학술연구의 폭은 넓어졌으나 깊이는 깊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한국의 동남아지역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현실비판적/기초학문형 (비판적/대안적) 연구가 지닌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현재 실용적 관점 중심의 국제개발협력 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명확히 직시하고, 비판적 시각에서 주류 담론과 레짐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 현지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발/발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고민과 성찰을 다룬 학제적 연구의 발전 가능성 또한 제시한다. Domestic debat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has hitherto been rather more focused on the narrow topic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therefore,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enquiries for the former’s effective implementation have dominated the field as a result. However, such lack of foundational debates on ‘development’ has rendered the field inept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development landscape since the new millennium both globally and in Southeast Asia. With this particular problematique in mind, the paper argues for the utility of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in enriching theoretical debates in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studies. In doing so, we analysed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published since 2000, of which theme concern international development with a specific geographical focus on Southeast Asia. The result shows that such publication and the thematic issues have witnessed rapid quantitative growth since 2007 - while the nature of the publications still clearly remained practical and practice-oriented for effective execution of ODA. We therefore propose the critical Southeast Asian studies to overcome the problematique above by emphasising more inter-/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hat challenge the hegemonic paradigm in the field.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동남아 담론 분석

        김희숙 한국동남아학회 2019 동남아시아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 된동남아관련기사들의시기별, 지면영역별특징을빅데이터분석방법의하 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중의 인식을 유도하고 특정한 관점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언론에 의해 생산된 기사들은 그 자체로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동남아와 관련하여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주도 적인 담론을 ‘동남아 담론’으로 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관련 기 사들에 대한 어휘 빈도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약 30년간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동남아 담론에 대한 지면 영역별 기사 수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된 동남아 관련 기사 들이주로국제및경제, 문화영역에편중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통해한국의언론담론속에서동남아가중국과미국, 일본등의강 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주로 경제적 관계와 관련하여 주시되어왔음을 보여준다. 특기할 만한 현상은 정치면 기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 에서 동남아 자체의 정치가 아닌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는 점 이다. 전체시기에 걸쳐 ‘북한’은 정치면 기사 고빈도 어휘목록에서 1위를 차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가 남북한 외교의 각축장으로서 주시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또한 언론의 동남아 공간 담론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과의 경제적관계비중이높은일부국가들에대한편중성이크다는점이다. 이러한현상 은 동남아 연구의 대상 지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온 사실과 일정 정도 차이 가있는것으로, 언론및대중담론과학술담론사이에간극이나지체는없는지 를 살펴 이와 같은 편중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동남아학계의 과제로 남았다.

      • KCI등재

        한·일간 경제적 상호의존관계와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 영향 분석

        김완중(Wanjoong Kim)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2019년 일본정부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발표 배경을 검토하고, 일본정부의 조치에 대응하여 일어나고 있는 한국의 일본제품에 불매운동 및 향후 한국의 ICT 관련 수출감소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세계투입산출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를 총선과 같은 일본내 정치적 상황과 더불어 동북아지역내 일본의 주도권 유지를 위한 한국 견제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양국의 상대국에 대한 불매운동은 양국의 부가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불매운동의 양상이 비슷하다면 한국보다는 일본의 손실이 더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양국의 불매운동에 따른 부가가치 감소 폭이 양국 부가기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일본보다는 한국이 더 켰다. 또한 본 연구는 양국의 불매운동에 따른 양국의 부가가치 감소보다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부품소재 조달 차질에 따른 한국의 ICT관련 세계수출 감소가 양국 및 세계 부가가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클 수 있음을 보였다. 일본의 수출규제로 한국의 ICT 관련 세계수출이 감소할 경우,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미국 등 한국과 국제분업관계에 있는 여타 국가들 역시 상당한 부가가치 감소를 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금번 한국과 일본간 무역갈등은 단순히 양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적인 문제임을 의미하는 바, 대응 또한 양국뿐만 아니라 국제사회가 함께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양국간 무역갈등이 장기화 될 경우, 양국의 상대국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및 한국의 ICT 관련 수출감소에 따른 직접적인 손실을 넘어, 양국의 경제주체들의 자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게 될 것이며, 그 경우 세계적 손실은 훨씬 더 확대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를 고려할 때 양국 정부는 이번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자국 경제주체들의 경제적 불안감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backgrounds of Japan’s export curb to Korea and analyzes the impact of the export restriction on value added of the countries. The action of Japanese government in July 2019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s well as Japanese domestic politics, national election. Through the action, Japanese government wants to show her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northeast Asian economies and her ability to be able to keep Korean economy under her control. Japan’s the export restriction gave rise to Koreans’ boycotting Japanese goods and servic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Japan’s action could reduce Korea’s ICT related exports to the world market. If the trade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continue in tho long time, domestic demand of two countries also could be stagnant because of economic agents’ anxiety of their future. These reactions of the two countries’ economic agents would have negative impact on value added in both countri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egree of boycotting the partner country’s products is similar in the each country, the loss of value added in Japan would be larger than in Korea, but the degree of negative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would be bigger than on Japanese economy. It is also found that the negative value added impact of decrease in the Korea’s ICT related products could be bigger than the negative impact of each country’s boycotting the partner country’s products in both countries. The negative value added impact in the two countries would spill over to the other countries because the world economies are linked each other through production fragmentation and demand.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worst situation in the aspect of value added is that the two countries’ domestic demand would be stagnant because of the trade conflicts. According to the study, although it is desirable for the both countries to end the trade conflicts as soon as possible, if it is not possible the governments should make effort not to give rise to more anxiety of each country’s economic agents.

      • KCI등재

        동남아시아의 WTO 무역분쟁 연구: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에 따른 특성 및 과제를 중심으로

        나희량 ( Ra Hee Ryang ) 한국동남아학회 2016 동남아시아연구 Vol.26 No.4

        본 논문은 동남아시아의 WTO 분쟁 추이와 그 특징 및 시사점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2000년대 들어서 동남아시아의 후발주자인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등이 WTO에 가입하게 되고 본격적으로 세계경제체제에 통합됨에 따라 동남아시아는 WTO의 다자간무역질서 속에 밀접하게 연결되게 되었다. 이는 동남아시아 개별국가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아세안경제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통합의 차원에서도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동남아시아의 WTO 분쟁의 연도별 추이를 보면 세계와 대동소이한데 이는 동남아시아의 WTO 분쟁도 세계의 전반적 흐름 속에서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동남아시아는 1995년 WTO 출범 초기 WTO 분쟁해결절차의 활용에 비교적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2000년대 이후 소강상태를 보였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을 중심으로 다시 적극적으로 WTO에 제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피소의 경우에도 2010년대이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세계적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보호무역주의가 다시 대두되는 상황에서 개별국가들은 자국의 무역의 이익을 최대한 담보하기 위해 WTO 분쟁해결절차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동남아시아의 경우에도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대응한 개별국가 및 역내경제전체 차원의 대응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동남아시아의 역내무역이 증대됨에 따라 경제적 상호밀접도 및 상관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WTO 분쟁이 발생할 경우 개별국가의 분쟁사례에 대한 이해는 해당국가의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직적, 수평적 가치사슬로 묶여져 있는 역내국가들에게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별국가들이 처할 수 있는 유사한 WTO 분쟁 상황에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합한 무역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호무역의 색채가 강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인도네시아가 2010년대 이후 WTO제소 및 피소 대상 주요 국가가 되었다. 적절한 개혁과 개방을 통해 WTO 협정을 위배하지 않고 피소를 피함으로써 불필요한 분쟁으로 인한 비용을 줄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TO trade disputes of Southeast Asia, and looks for the features and policy implications. The trend of the disputes of Southeast Asia shows similarities with that of the world. After 2012, owing to the prolonged global recession and trade protectionism, WTO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are likely to grow expecially in Indonesia and Vietnam. Considering the increasing Southeast Asia`s regional trade and increased economic interactions, the individual dispute cases need to be understood and utilized not only for the country but also for the region. Individual countries can minimize the cost of dealing with the disputes and can establish the appropriate trade policy. Furthermore, through the reform and opening up, Southeast Asia would be able to avoid unnecessary disputes reducing the costs caused.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Vietnam`s case study to see the lessons and implications to deal with the disputes. Vietnam raised two subsequent complaint against U.S.`s imposition of anti-dumping duties on imports of frozen shrimp. For both occasions Vietnam achieved favorable results. This case gives lessons that Southeast Asian countries,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developing or regime-change country, need to take advantage of WTO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so called `rule of law` to maximize the gains from trade. For this, Southeast Asian countries need to share the information and know-how of WTO dispute and strengthen the network and cooperation between the countries.

      • KCI등재

        제한된 문화자본과 정체성의 혼종화: 한국전공 베트남 청년세대의 현실과 대응

        육수현 한국동남아학회 2019 동남아시아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제한된 문화자본으로 역할 하는 한국전공을 선택함으로써 얻게 되 는 베트남 청년세대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들은 한국전공을 통해 남들 보다 빠르게 그리고 많은 경제적 이득을 얻고 사회적 관계를 확장할 수 있었지 만, 한국기업에서 경험하는 민족적 차별과 글로벌 엘리트가 아닌 심부름꾼이 되는 환경 그리고 반주변부 언어로서의 한국어가 가지는 제한성 때문에 불안 한미래를가질수밖에없는현실에놓여있기도했다. 이러한 환경은 베트남 청년들이 정체성을 좀 더 역동적으로 선택하고 규정 짓 게 만드는 역할을 하였는데, 수동적 자세로 수용하기보다 한국어를 도구적으 로 활용하거나 베트남 사회와 스스로를 경계 짓는 등 그들만의 방식으로 정체 성을 강화하게 하였다. 그 과정에서 한국전공 베트남 청년세대의 정체성이 혼 종화되어나타나는것이다. 또한한국전공을선택한후겪게되는일련의경험 들은 정체성이 혼종화되는 과정 속에서 한국전공 베트남 청년세대가 한국적 문화코드를 통해 한국과 한국기업의 이미지와 정보를 유통시켜 재생산하는 주체적 저항행위를 일상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력으로도 작용하 게된것이다.

      • KCI등재

        동남아시아의 정치체제와 자연자원 사이의 상관관계

        박정훈 ( Jung Hoon Park ) 한국동남아학회 2012 동남아시아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09년까지의 시계열횡단연구(cross-sectional time series) 자료를 이용하여 동남아시아의 각국의 자연자원에 대한 의존도와 정치체제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동남아시아는 중동과 서부사하라 아프리카와 더불어 전 세계에서 가장자연자원이 풍부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나, 관련된 연구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 그다지 축적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며, 그나마 단일 사례 혹은 국가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자연자원의존도와 정치체제와의 경험적 연구들에서 주장된 인과 관계들이 동남아시아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에서도 한 국가의 자연자원에 대한 의존도의 증가가 민주주의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자연자원 의존도로 사용하였던 두 가지 지표인 총 수출 대비 자연자원 수출비율과 국민 총생산 대비 자연자원 수입비율 모두 민주주의 수준을 종속변수로 상정한 각 모델에서 음의 상관계수를 보여주었다.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졌던 주요 이론들인 지대추구(rent-seeking), 지대국가(rentier state), 근대화(modernization)이론을 대표하는 통제변수들을 사용한 대부분의 결과 역시 기존 문헌의 주장을 뒷받침 하고 있다. 그러나 내전 발발과 이슬람을 비롯한 일부 통제변수들의 경우에는 기존 민주화 관련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동남아시아의 지역적 특수성을 보여주는 결과는 후속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형 복지정책모델 구축에 관한 소고

        윤문구(Mun Gu Yoon)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1 No.2

        21세기는 아시아의 시대라고 불리워지고 있듯이 최근, 아시아가 세계의 시선과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러한 배경에는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과 인구 변동의 급변이란 요인을 들 수 있다. 경제 위기 이후, 아시아 각국은「아시아에 의한 아시아의 재발견」이란 인식과 함께 「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미 경제 분야에서는 FTA를 중심으로 새로운 아시아의 경제통합 방향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속에서 일본과 한국을 비롯,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기존의 서구를 중심으로 한 복지모델과는 다른 동아시아형 복지모델 구축에 관한 논의도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지나지 않으며 또한 논점에 있어서도 통일성이 결여 되어 있다. 그러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아시아각국의 저출산, 고령화 현상을 고려할 때, 아시아의 문화와 사회에 적합한 복지모델의 구축은 아시아의 사회안전망(social safety net)이란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에서는 동아시아형 복지모델의 구축을 위한 서론적 고찰로서 1990년대 이후 선진 복지 국가에서 정책모델로 추진하고 있는 「워크페어」정책을 중심으로 동아시아형 복지모델의 구축을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존의 동아시아형 복지모델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생산적 복지론을 중심으로 서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워크페어 이론과 비교하여 유사점과 상이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4장과 제 5장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생산적 복지론을 수정한 워크페어 이론을 적합한 현실적인 모델로서 가정하여 그 타당성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동아시아형 복지모델의 구축을 위해 앞으로 남겨진 과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As it is said that Asia has become the focal point of the 21st century, Asia has been attracting the world eyes and interest, and this is mainly driven by the economic growth of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the sudden fluctuation of the population change. Since the economic crisis, with the recognition of "Asia rediscovery by Asia", there have been a lot of discussions on the "Asia community" and already in the field of economy, experts have been seeking new direction to integrate Asian economy around centered on the FTA. With the needs of the times, discussions about building the East Asian type of welfare model came to appear in each East Asia country as well as Korea and Japan and this East Asian welfare model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elfare model of Europe. However, this kind of discussion is too early to stage and also lacks unity in the point at issue. Still,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welfare model optimal for Asian culture & society in the perspective of Asian social safety net considering that each Asian society has been rapidly facing with the low birth rate & demographically aging phenomenon. With this identified problems in mind, in this report as the prefatory study to build East Asia type of welfare model, I examined the construction of the East Asia type welfare model mainly on the "workfair" policy which has been pursued as the model policy since 1990`s by many countries with the advanced welfare policies. I investigated the existing theory on the current type of welfare model of East Asia in chapter 2 and in chapter 3, and mainly focusing on the productive welfare theory, I analyzed the similarities & differences comparing with the western workfair theory. In chapter 4 & 5,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I assumed that the revised workfair theory of the productive welfare theory is the optimal, realistic model and evaluated its validity. Finally, I pointed out the challenges to be solved to establish East Asia type of welfare model.

      • KCI등재

        상좌불교권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더딘 경제성장의 사회,문화적 원인에 대한 고찰

        조흥국(Hung Guk Cho) 한국아시아학회 2011 아시아연구 Vol.14 No.1

        아시아의 경제를 논할 때 일반적으로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포함하는 동 아시아가 20세기 후반에 큰 경제성장을 이룩했다고 본다. 그러나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1970년대까지의 경제성장에 있어서 한국, 대만, 홍콩 등 동북아시아의 신흥공업국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뒤처졌다. 그 원 인은 토착 원주민들이 경제 활동에서 적극적이지 않았던 동남아시아의 전통적 인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 전통적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불교신앙의 영향과 ``느슨한 사회구조의 체계`` 그리고 이와 연관된 소위 ``어업 의존적`` 사회구조를 들 수 있다. 불교신앙의 영향과 관련하여 내세지향적이며 물질적 탐욕과 부의 축적을 경계하고 카르마에 근거를 둔 운명결정론을 강조하는 불교신앙이 적어도 동남아시아 상좌불교 국 가들의 농촌사회에서 토착 원주민들이 경제적 활동에 있어서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느슨한 구조의 사회체계`` 와 ``어업 의존적`` 사회의 개념과 관련하여서는 특히 동남아시아의 상좌불교권 국가들에서 그 사회 구성원들이 보다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과 활동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집단적인 협동과 나아가서는 국가에 대한 정체성이 약하며 그 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의 경제성장에 대한 열의가 상대적으로 적다고 본다. The discussion on the economy in Asia generally tends to lay stress on the great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comprising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However, Southeast Asian states, excepting Singapore and Brunei, fell considerably behind some NICs in Northeast Asia, especially South Korea, Taiwan, and Hongkong, in economic growth at least until the 1970s. The tardiness in economic growth in especially Myanmar, Thailand, Cambodia, and Laos, the so-called Theravada Buddhist countries in Southeast Asia,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traditional sociocultural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region`s indigenous peoples generally were not active in economic activity. As traditional sociocultural factors are suggested the influences of the Buddhist belief, the so-called ``loosely structured social system,`` and the so-called ``fishery-dependant`` social structure. As for the Buddhist factor, it is argued that the Buddhist belief based on the otherworldliness and fatalism which warn against material greed and even the accumulation of wealth has not encouraged indigenous Buddhist peasants to take up positive attitude in the economic life. Using the concepts of ``loosely structured social system`` and ``fishery-dependant`` social structure, it is suggested that the peoples in the Theravada Buddhist countries who are more individualistic in the way of thinking and living are generally weak in collective cooperation and even in national identity so that they do not have so much enthusiasm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ir own countr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ICT ODA 정책 비교: 베트남 전자정부에 대한 관여를 사례로

        허원영,김남은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1

        Beyond the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Southeast Asia and Northeast Asia, connectivity is increasing, and this trend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long with this "regional expansion in spatial dimension," a "regional expansion in technological dimension"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ICT to various parts of society is also taking place. Against this backdrop,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 and Japan's ICT ODA toward Southeast Asia. First, while ICT capabilities and willingness to provide ODA to Southeast Asia are comparable, Japan has an advantage in overall ODA capabilities while South Korea has an advantage in ICT capabilities. Second, South Korea is the country to promote ODA projects centered on ICT infrastructure and facility projects, and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continues with the administration's diplomatic strategic support. Third, Japan has primarily carried out ICT ODA projects centered on technological cooperation and human exchange, and it emphasized the cyber security aspect of ICT ODA with the security strategy differed from South Korea. Souch Korea can obtain two policy implications. First and foremost, ODA toward Southeast Asia must be increased on a continuous basis. The lack of ODA capabilities of South Korea can limit the scope of movement in promoting ODA strategies using ICT, an area where South Korea has an advantage. Second, a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ICT infrastructure and facility-oriented ODA strategies can play a role in reducing sustainability, so it is necessary to learn Japan's ICT ODA policy, which focuses on long-term technological cooperation and human exchange.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의 지리적 거리를 뛰어넘은 연결성(connectivity)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의 방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여기에는 '공간적 차원에서의 지역 확장'과 함께, ICT 분야가 사회 각 분야에 적용되면서 파생되는 '기술적 차원에서의 지역 확장' 또한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한국과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ICT ODA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 역량과 동남아시아에 대한 공여 의지는 유사한 반면, 전체 ODA 공여 역량과 ICT 공여 역량에서 한일은 서로 반대 지점에서 우위에 있다. 둘째, 한국은 일본에 비해 ICT 인프라 및 설비 프로젝트 중심의 ODA 사업 추진이 일찍부터 이루어져 왔으며, 정권의 외교전략적인 뒷받침 속에서 민간과의 협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지고 있다. 셋째, 일본은 주로 기술협력 및 인적 교류에 중점을 둔 ICT ODA 사업을 진행해 왔는데, 안보전략적인 측면을 염두에 두고 ICT ODA의 사이버 안보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한국과의 차이로 나타났다. 한국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함의는 두 가지이다. 첫째, 대 동남아시아 ODA의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한국의 절대적인 공여 규모의 부족은 한국이 우위에 있는 ICT를 이용한 ODA 전략을 추진하는 데 있어 운신의 폭을 좁힐 수 있다. 둘째, ICT 인프라 및 설비 중심의 ODA 전략은 기존 연구의 지적대로 지속가능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기적인 기술협력 및 인적 교류에 중점을 두는 일본의 ICT ODA 정책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의 동남아연구 성장과 포괄성 문제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 2018 동남아시아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한국의 동남아연구를 포괄적인 방법으로 검토하고 우리 학계의 당 면과제를 새로 설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발 간된 모든 학술적 성과(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및 단행본)를 아우르는 연구 총 량 추이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연구 역사, 연구 축적 경향, 연구자 규모로 나뉜다. 연구 역사는 우리의 인식보다 더 오래되었고 탈중심적이었다. 연구 축적은 점점 더 다원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전문연구자의 수도 예상보 다많았다. 이렇게새로이발견된한국의동남아연구동향은우리학계의포괄 성 증대라는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양적으로 끊임없이 성장하고, 학문적으로 방대하게 펼쳐지고, 국적도 초월하는 한국의 동남아연구 추이에 비하면, 우리 동남아학계는 협소하고 정체되어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한국동남 아학회가 포괄성을 증대하려면, 분권적이고 자율적인 소규모 연구회들을 개 설하고, 동남아 출신 국내 대학원생들을 초대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의 접점으 로서 대학 거점을 확산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