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외보호를 경험한 학대피해아동의 권리에 관한 질적연구

        윤수경,이상균,YOO JOAN PAEK,이봉주,김세원,김현수,장화정,김경희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have been substantiated as victims of child maltreatment abuse with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and to examine how the rights of children are being properly observed.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9 children and adults who had experience of the out-of-home placement of the child protection system due to child maltreatment.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alytic methods. Results: Eleven themes corresponding to five categorie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ere derived from the analytic results of th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garding how the rights of abused children are properly observed with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sufficient supports for food, clothing, shelter, and education were provided. However, children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concerns during the decisionn making processes with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Second, the children experienced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or violence exposure among peers in out-of-home placements. Third, the children did not receive adequate support services for family reunification or independent living before aging out of the system. Forth, due to the rules of foster care, the freedom to contact family members and friends outside the system and the freedom to choose their leisure activities were limited. Conclusions: Analytic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s rights were not properly observed i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hild protection system should consider childrens’ intentions and thoughts d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Implications of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를 받은 학대피해아동이 겪었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분리보호의 과정에서 아동의 권리가 어떻게 준수되고 있는지 피해아동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아동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를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 및 성인 19명을 대상으로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주제를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제시한 아동권리 영역으로 분류한 후, 아동권리의 보장 정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면담분석결과 가정외보호를 받은 학대 피해아동의 경험에서 도출한 11개의 주제는유엔아동권리협약의 5개 영역에 해당되었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은 의식주와 교육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보건복지와 교육에 대한 권리는 적절히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보호체계 전반에 걸쳐 아동의 의사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았고 가정 복귀 후 재학대를 당하거나 시설 내 또래간의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생활에서의 규율로 인해 외부와의 연락이나 여가생활에서의 자유가 제한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아동에 대한 폭력 및 가정환경 및 대안양육, 시민적 권리와 자유, 여가 및 문화영역에서의 권리가 적절히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가정외보호를 받은 학대피해아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보호체계 내의 분리보호과정에서의 권리 준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아동권리의 사각지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동학대라는 심각한 권리침해를 경험한 피해아동이 보호체계에서 또 다른 권리침해를 경험하는 이중적 침해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아동의 의사를 반영하는 보호체계의 운영방안 마련이 시급하며, 주요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결론에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간의 조건’과 아동권리인식

        김정래 한국아동권리학회 2020 아동과 권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participation priorityover othersMethods: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kinds of rights and Vita Activa by ArendtResults: The paper has examine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s rights, i.e. provision,protection and participation (3P) in the light of the human conditions established byHannah Arendt. 3P are correspondent with natality, mortality, and plurality respectively,while natality is to be focused on so that children actually exercise their own rights withoutany unnecessary universality from the adults’ point of view. The universality arisen fromthe Enlightenment Project should be eschewed to protect from the Grand Social EngineeringProject which can deteriorate their own authentic lives as well as their rights entitled. Fromthis, the value of family should be taken seriously, not universally but privately, and alsoif school is to be a link between their private and public lives, the role of school shouldbe concerned with their well-being present and future. Children’s participation should notbe overevaluted in terms of the universal aspect of human rights. Finally the human conditionshould be taken seriously in order that children’s rights can be actually improved intheir real lives. Conclusions: Over-emphasis on rights-based arguments for children’s participation shouldbe restrained within the categories of r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e children’s rights. 연구목적: 올바른 아동권리 인식의 정립을 위하여 아동권리를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에비추어 논의하였다. 방법: 아동권리를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과 관련시켜 철학적으로 논의하였다. 결과: 첫째, 재화-보호-참여의 아동권리인식 3단계인 3P는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인 탄생성, 사멸성, 다원성에 상응한다. 아동권리의 증진이 참여에 무게를 두면서 이행되는 것은타당하지만, 재화와 보호의 측면을 소홀히 할 수 없다. 둘째, 아동권리의 보편성의 미명아래 아동의 삶의 제 조건을 평등하게 하려는 시도는 아동의 삶을 더욱 열악하게 하며동시에 아동권리 증진에 역행한다. 셋째, 인간의 조건에 비추어 아동권리는 탄생성을 담고 있는 가정과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가교인 학교에 초점이 맞추어져 논의되어야 한다. 넷째, 권리지상주의의 연장에서 아동참여를 지나치게 호도하는 일을 경계해야 한다. 다섯째, ‘인간의 조건’에 합당한 아동권리를 모색하기 위한 노력은 아동이 실질적으로 향유하고 행사하는 권리의 속성에 비추어 경주되어야 한다. 결론: 아동권리인식을 보편성에 근거하여 성급하게 참여에 초점을 맞추는 데에는 세심한배려를 요구한다.

      • KCI등재

        아동·보호자·교사의 아동권리인식 수준 비교 연구 '아동 최선의 이익'을 중심으로

        임세와,양옥경,배은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20 아동과 권리 Vol.24 No.4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focusing on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 with a basic knowledge of children's right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79 children, 649 guardians, and 200 teachers in two metropolitan cities and one local city.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one-way ANOVA and Schffe's metho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mean scores on the scales between groups. Result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n the basic knowledge for children's rights were the lowest among children. Second, the level of importance and the support of children's rights were the lowest among guardians when compared to children and teachers. Third, the perception on children's right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as identified. While adults emphasized survival and protection, children as rights-holders, supported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autonomy. Conclusion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perception gaps on children's rights existed between children and adults.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strategy for children's rights education needs to be developed toward a regular and universal way for rights-holders and duty-bearers. To increase awareness for children rights based attitud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rengthening practical contents, which is engageable to real life in education curriculum, and an integrated educational strategy for an education target including children, guardians and teachers to achieve effective resul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 보호자,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권리배경지식 및 중요도, 아동최선의 이익에 기반한 아동권리인식을 확인하고 집단별 인식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방법: 아동 1,179명과 아동의 보호자 649명, 아동의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동 최선의 이익에 대한 인식 측정을 위해 8가지 에피소드를 활용하여 구성한 비네뜨(vignette)를 포함하였다. 결과분석에는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Dunnett T3 사후 검증을 사용하였다. 결과: 아동권리배경지식에서는 아동의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아동권리중요도 및 아동 최선의 이익에 대한 인식에서는 보호자의 인식 수준이 낮았다. 보호자와 교사는 대체적으로 생존과 보호를 중시한 반면 아동은 자율성과 자기결정을 지지하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아동 대상 보편적이고 정기적인 아동권리교육이 요구되며, 아동과 보호자, 교사 간 교육 시 통합적인 교육 전략을 통해 권리주체인 아동과 의무이행자인 성인의 아동권리인식이 함께 증진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아동권리교육의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도 아동권리와 협약에 대한 정보 전달 뿐 아니라 자신의 경험 및 일상과 아동권리를 연결해보고 연습해볼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세와,양옥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동일한 한민족 역사와 분단 이후의 이질성을 보이는 남북한의 특수한 관계 속 공통으로 존재하는 아동권리협약에 초점을 두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과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남한 주민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아동권리협약의 보편적 실현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의도표집방법과 자기평가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 성인 14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남한 성인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144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최종 287개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차이검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에는 성별, 연령, 북한탈출시기, 인권교육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아동권리협약인지도는 ‘여성’과 ‘인권교육을 받은 집단’의 인식이 높았다. 둘째, 아동권리중요도는 ‘30-40대’의 인식이 높았고 10-20대가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북한탈출시기 관련 ‘2000-2009년’ 집단의 인식이 높고, ‘1999년 이전’ 집단의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생존권’은 가장 중요하고 잘 지켜지는 권리이며, ‘참여권’은 중요성에 비해 가장 보장되지 않는 권리였다. 넷째, 인권교육경험은 아동권리협약 인지도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아동권리중요도와 아동권리보유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인권교육기회는 모두가 동등하게 보장받아야 하는 권리이며 특히,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아동권리실현을 지향하는 한국 사회에서 인권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북한이탈주민 대상 인권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북한식 인권개념을 재구조화하여 보편적인 인권 규범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실천지향적 접근이 이뤄져야할 것과 북한이탈주민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및 북한거주시기 등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 접근이 이뤄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아동권리모니터링 제도운영에 관한 고찰

        김형욱 한국아동권리학회 2011 아동과 권리 Vol.15 No.1

        Built around an examination of the activities of the Children's Rights Monitoring Center and the Kawasaki City children's Rights Committe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oint out some useful directions for the monitoring of children's rights. To this end, the author reviews a large body of relevant literature and information and with ample expertise on this subject carries out a dynamics study. Some of the important implications found for the monitoring of child rights are:1) the monitoring bodies should be given independence, for which legal and other necessar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ensure institutional effectiveness; 2) an administrative process for the monitoring of child's rights must be established, and reliable methods of monitoring will have to be developed for wide participation of administrative worker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experts, as well as children, 3) as part of the monitoring work, assessment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child's rights and; 4) the monitoring of child's rights should be carried out in a multi-layered, inter-organizational structure which involves efforts from community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and responsibl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본 연구는 한국의 ‘아동권리모니터링센터’와 일본의 ‘가와사끼시아동권리위원회’의 활동분석을 통해 아동권리모니터링 제도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관련 자료 및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제도운영과 관련한 실천적 경험을 토대로 동태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두 사례의 활동에 대한 해석과 분석을 통해 아동권리모니터링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첫째, 제도운영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주체적인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입법조치 및 효과적인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아동권리 모니터링의 과정을 정립하고 아동을 포함한 행정직원․민간단체 및 전문가 등의 참여형 모니터링 방법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모니터링의 내용으로서 아동의 권리에 근거한 평가지표를 생산하고 활용해야 한다. 넷째, 아동권리모니터링은 지방자치단체, 국가, 아동관련 국제기구로 이어지는 중층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상호 유기적인 연계와 협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연구동향 고찰 : 1990년대 이후 아동권리 연구의 총체적 분석

        이춘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22 아동과 권리 Vol.2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21년까지 32년 동안 발표된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조항에 근거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분석기준은 유엔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하였으며, 아동의 범위 및 내용을 벗어나거나중복된 연구를 제외하여 1990년부터 2021년까지 1,028편의 자료가 선별되었다. 선별된자료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참고하여 연구 수, 연구방법, 연구대상, 유엔아동권리협약 조항별, 생태체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권리 관련 연구의 수는 1990년을 시작으로 2014년까지 약 1∼41편 이내로 매년 꾸준하게 발행되다가 2015년을 기점으로 2021년까지는 57∼95편의 양적인 성장을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에서는 문헌연구(51.2%), 양적연구(35.1%), 질적연구(9.2%), 혼합연구(4.5%)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크게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하였는데, 아동대상연구(81%)가 가장 많았다. 넷째, 유엔아동권리협약 조항은 19조 아동학대와 관련 있는폭력과 학대(24.4%)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42조 아동권리 알리기(18.1%), 26조 사회보장제도(5.5%) 순이었다. 다섯째, 아동의 생태체계 중에서는 미시체계(47.6%) 연구가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거시체계(44.3%), 중간체계(4.4%), 시간체계(2.6%), 외체계(1.2%) 순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약 30년간의 아동권리연구를 유엔아동권리협약 조항에 근거하여 아동을 둘러싼 생태체계관점에서의 재조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아동관련 종사자에 대한 아동권리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아동권리교육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이호균,고유희,김철홍,장화정,전미선,조인섭,황옥경 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아동과 권리 Vol.18 No.3

        This study, which mainly focuses on ways to systematize children’s rights training by the suggestions of reform measures, aims to rais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empower the capacity of those who work with or for children when they implement their job. Those who work with or for children a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raining and identify problems. To raise the necessity of studying, the recommendations given by the United Nation’s Committee on Children’s Rights are described first, and then some cases of children’s rights ombudsperson's reports are introduced. For this study, data from government reports, statistics, and related literature studies including some web-sites ar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raining and its problems are raised and reform measures a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s rights training is inadequate in each sector. Hence, legislative measures need to be equipped to set a systemic educational foundation both in school and on the job training. Diverse strategies such as training programs, the supplementation of skilled trainers, public relations through mass media, and so on need to be developed. 본 연구는 아동관련 종사자의 아동권리인식을 증진하여 각 분야에서 아동권리 이행 역량을 높이고자 아동권리교육 제도화를 중심으로 아동권리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아동관련 종사자를 7개 분야로 구분하여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사항 및 아동권리옴부즈퍼슨 보고서를 기반으로 아동권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정부 보고서 및 통계, 관련 문헌 및 홈페이지 등의 자료를 통해 분야별 아동권리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 비교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각 분야별로 체계적인 아동권리교육이 미흡하며, 입법적 조치 및 양성·직무과정을 통한 교육제도 기반 마련과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인력 확충, 홍보전략 등의 다양한 방안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아동권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아동의 권리의식ㆍ권리활동, 개인적 능력,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허남순,고윤순,이정남,장선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2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ildren's monitoring program for children's rights on recognition of rights, personal ability, and social relations of the children. The subjects were 11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hildren's monitoring program for children's rights and 108 students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the comparison group in Gangwon-Do. The monitoring program included regional and province children's congress, children's forum, school liaison, visiting oversea's fields, and cultural visits.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get the data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For analyses, t-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means of the measure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ticipant group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rights recognition at home, in school, social activities for rights, leadership skill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ose of non-participant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 scores of collective efficacy. It seems that self-initiative, participatory program format with education on children's rights, monitoring activities for right-violating cases and harmful environments, campaign, policy recommendation activities was helpful for the participa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field agencies with useful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program for children's righ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veral recommendations to expand children's monitoring program for the children's right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아동권리 모니터링프로그램이 아동의 권리의식․권리활동, 개인적 능력,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18개 시군에서 아동권리모니터링활동에 참여한 학생 116명과 비참여학생 10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권리의식·권리활동(가정에서의 권리의식, 학교에서의 권리의식, 사회에서의 권리활동), 개인적 능력(리더십기술, 문제해결능력, 자아존중감), 사회적 관계(사회적 책임감, 집합적 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 간의 평균점수 t-test 결과, 집합적 효능감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모니터링프로그램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아동권리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에게는 자기주도적 참여형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의 아동권리교육, 권리침해사례 및 위해환경 모니터링활동, 캠페인, 정책제안, 동료와의 소집단활동, 네트워크활동이 유익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이 주체적으로 참여한 아동대상 모니터링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여 아동권리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에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한 점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권리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혜림,김성천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2

        This study of the issues related to the rights of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used delphi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essential rights of these children, issues that can be resolved and main issues of rights arising from specific developmental stages. According to delphi survey, the most essential rights for currently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in Korea are right to stay in Korea, right to live with their parents,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equality, and right to social welfare, in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On the other side, the issues which are highly probable to be addressed are right to receive proper education,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live with parents, right to equality, right to social welfare, and right to stay, in order of decreasing probability. It appear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of these issues and the probability of their resolution among the respondents(t=5.8, p<.001).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expert groups and individual unregistered immigrant children showed differences for various developmental stages(early childhood, childhood, adolescence). 본 연구는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집단심층면접, 미등록 이주아동의 개별 심층면접 등을 활용하여 미등록 이주아동의 중요한 권리영역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와 면접결과는 다음과 같다. 델파이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 한국의 미등록 이주아동에게 중요한 권리는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부모와 살 권리’,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등의 순인 반면, 현실적으로 해결가능성이 높은 권리영역은 ‘교육받을 권리’, ‘보호받을 권리’, ‘부모와 살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 ‘사회복지의 권리’, ‘체류할 수 있는 권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별 중요성과 그 해결가능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든 권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8, p<.001). 또한 미등록 이주아동과 전문가 면접결과, 미등록 이주아동의 권리문제는 발달단계별(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아동권리를 존중하는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최정화,김정화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children's happiness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 rights-respecting parenting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83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who attend daycare centers in Jeollanam-do. Results: First,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respect for rights and child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mo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ect of rights, and the child's sense of well-be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hild's gender. Secon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spect for rights and child's happiness reveal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raising rights and child's happiness. Third, respect for righ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well-being. In addition,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and positive parenting among sub-factors of respect for right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well-being.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at parenting behavior in respect of a mother's child's rights affects a child's sense of well-being.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child'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the positive parenting of parents were important in the parenting behavior that respected child's rights.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based on child right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happiness through respect for parental rights. 연구목적: 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권리존중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권리존중 양육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방법: 전라남도 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383명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권리존중 양육 행동, 아동의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권리존중 양육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동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학력, 아동의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권리존중 양육 행동과 아동의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권리존중 양육 행동과 아동의 행복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권리존중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권리존중 양육 행동의 하위요인 중에서 의사결정 참여와 긍정적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어머니의 권리존중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녀의 권리를 존중하는 양육 행동에서 자녀의 의사결정 참여와 부모의 긍정적 양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모의 권리존중 양육을 통해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해 아동권리에 기초한 부모의 양육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