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유형과 가치 및 사회적 지배성과의 관계연구

        심민보 ( Min Bo Sim ),안범현 ( Bum Hyun Ah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0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와 내담자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심리유형과 가치 및 사회적 지배성과의 관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33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가치와 사회적 지배성 사이에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연령에 따른 가치추구 면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쾌락 가치의 경우, 20대가 30대와 40대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도전 가치에서 또한 20대가 30대, 40대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에 전통 가치에 있어서는 40대가 20대보다 더욱 많이 추구하는 가치로 분석되었다. 셋째, 심리유형은 몇 가지 가치유형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외향과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힘, 쾌락, 도전이며, 내향과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일치이다. 감각과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일치이고, 직관과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도전, 자기방향, 박애이다. 사고와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힘, 성취, 자기방향이며, 감정과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쾌락, 박애이다. 판단과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자기방향, 일치, 안전이고, 인식과 관계있는 가치유형은 쾌락, 자극, 박애이다. 사회적 지배성은 심리유형 중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인식하고, 기존의 정보와 자료를 중요시하는 감각과 상관관계가 있다. 넷째, Jung의 4가지 심리기능에 따라 가치추구 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쾌락 가치에서 SF>ST, NF>ST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도전에서NF>ST, NT>ST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자기방향에서 NF>ST, NF>SF, NT>ST, NT>SF, NT>NF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4가지 기질에 따라 가치추구 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쾌락가치에서 SP>SJ, NF>SJ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도전에서 NF>SJ, NT>SJ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자기방향에서 NF>SJ, NF>SP, NT>SJ, NT>SP, NT>NF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일치에서 SJ>SP, SJ>NF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안전에서 SJ>SP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for social workers and their clients through the relation study of psychological types, values and social domina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39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values and social dominance as sex.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ursuit of values as age. In the case of the value type of hedonism, the 20`s was grad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30`s and 40`s, and in the case of the value type of stimulation, the 20`s was also grad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30`s and the 40`s. On the other hand, it is analysed that tradition was more pursued by the 40`s than the 20`s. Third, psychological types are related to some value types. The value types that were related to Extraversion were power, hedonism, and stimulation, the value type that was related to Introversion was conformity. The value types that was related to sensing was conformity, the value types that were related to Intuition were stimulation, self-direction, and benevolence. The value types that were related to Thinking were power, achievement, and self-direction, the value types that were related to Feeling were hedonism and benevolence. And, the value types that were related to Judging were self-direction, conformity and security, the value types that were related to Perceiving were hedonism, stimulation, benevolence. Social dominance was related to Sensing among the psychological preferences, which perceives realistic and concrete information,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existing information and data.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pect of pursuit of values as the four psychological types of Jung. In the case of the value type of hedonis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showed SF>ST, NF>ST. In the case of the value type of stim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showed NF>ST, NT>ST. Also, in the case of the value type of self-dire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results showed NF>ST, NF>SF, NT>ST, NT>SF, NT>NF. La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pect of pursuit of values as the four temperaments. On regarding the value type of hedonism,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presented, which showed SP>SJ, NF>SJ, on regarding the value type of stimulation,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lso represented, which showed NF>SJ, NT>SJ. On regarding the value type of self-direction,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presented, which showed NF>SJ, NF>SP, NT>SJ, NT>SP, NT>NF. And, on regarding the value type of conformity,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presented, which showed SJ>SP, SJ>NF, on regarding the value type of security,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presented, which showed SJ>SP.

      • KCI등재

        심리경향에 따른 의사소통유형 분석 : Jung 과 Satir 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상순,심혜숙 한국심리유형학회 1998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심리경향에 따라 자주 나타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을 밝혀, 집단상담이나 가족치료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심리경향과 의사소통을 결합시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기제로써의 의사소통유형이 개인의 성격유형을 특징짓는 심리적 경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그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시내 4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으로서 MBTI와 의사소통유형검사에 성실히 응답한 3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도구 중 의사소통유형검사는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심리경향에 따라 의사소통유형이 달라질 것인가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해 심리경향을 주축별, 기질과 기능별, 열등기능별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성별에 따라 스트레스 상황에서 의사소통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것은 같은 성격유형일지라도 남녀의 성에 따라 성격의 표현양상이 달라지듯이 의사소통 표현방식애도 차이가 있는지를 아울러 밝혀 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주축별 심리경향인 의향과 내향, 사고와 감정, 판단 과 인식의 경향에 따라, 기질과 기능의 경향에 따라, 그리고 주기능과 열등기능에 따라 긴장상태에서 표현되는 의사소통유형에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도 긴장상태에서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 of the communication stances by the psychological tendency.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33 male and 186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in Pusan, and they were given two tests. The instruments are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and Communication Stance Tes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extroverted,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congruent response and low is super-reasonable one, and in introverted,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super-reasonable response and low is blaming one. 2) There i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stances according to sensing and intuition 3) In thinking,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super -reasonable response and low is placating and irrelevant one, and in feeling,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irrelevant response and low is blaming one. 4) In judging,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placating response and low is blaming one, and in perceiving,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irrelevant response and low is placating one. 5) According to temperament,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n SJ is congruent and placating response, in SP is irrelevant one, in NF is congruent one, and in NT is congruent one. 6) According to function,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n ST is super-reasonable response, in SF is irrelevant one. 7) According to inferior function, communication stances are different significantly. 8)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super-reasonable response and low is placating response one in male, and high percentage of communication stance is congruent response and low is super-reasonable one in femal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re is difference of the communication stances by the psychological tendency and the gender.

      • KCI등재후보

        성격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 연구

        정예린 ( Yelin Jeong ),원미진 ( Mijin Wo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2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2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 유형 및 학습 유형의 분포와 양상을 살피고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교 언어 교육 기관 학생들과 국내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유형 선호도를 알기 위한 설문조사는 Willing(1988)의 ‘How do you learn best?’라는 학습 유형진단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적 학습 유형> 구체적 학습 유형 > 권위적 학습 유형> 분석적 학습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 유형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이용하여 분류한 뒤 4쌍의 지표별로 특정한 학습 유형을 선호하는 것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성격 이외에 개별 변인(성별, 연령,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 거주 기간, 학습자 숙달도, 문화권)이 학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유형에 대한 차이는 두 가지 하위 차원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관형 학습자가 감각형 학습자보다 구체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판단형 학습자가 인식형 학습자보다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적 학습 유형은 성격, 거주 기간, 문화권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학습자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습 유형임을 알게 한다. 또한, 동·서양 문화권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을 때, 판단형의 학습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동양권에서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한다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앞서 판단형(J)-인식형(P) 지표와 분석적 학습 유형 간 유의미한 결과를 지지하였고 학습 유형과 성격 유형 간의 연관성을 좀 더 뚜렷하게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MBTI 성격 유형 분류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유형과 효과적인 교수 방법까지 예측 가능하다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가진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계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aspects of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of Korean learne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To this end, students from university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275 Korean language learners attending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SPSS/win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urvey to know learning type preferences used Willing (1988)'s Learning Type survey called 'How do you learn best?'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in order of Communicative > Specific > Authoritative > Analytical Learning Type. We stud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a specific type of learning for each of the four indicators after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In addition to personality, individual variables (gender, age, learning period in Korean,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arner proficiency, and culture) were analyzed to affect the type of learning. Differences in learning types by personality type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two sub-dimensions, indicating that intuitive learners prefer specific learning types to sensory learners, and judgmental learners prefer analytical learning types to perceived learners. In particular, analytical learning type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ersonality, duration of residence, and culture, making us aware that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learner variables.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learners according to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at judgmental learners preferred analytical learning types in an overwhelming number of Eastern regions, which earlier supported meaningful results between judgmental (J) and analytical learning types. This study means that MBTI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can lead to predictable learning type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preferred by Korean learners, and expects to use them in Korean classrooms with diverse backgrounds to plan effective education methods.

      • KCI등재

        MBI 성격유형과 독자의 심리적 성향의 관계

        임성미 한국심리유형학회 200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8 No.-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 기능을 유형화한 MBTI 성격유형과 독자의 심리적 성향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개별적 읽기 지도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첫째, MBTI기능 유형과 기질 유형에 따라 독자의 심리적 성향에는 차이가 있는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서울시 소재 남자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149명과 여자 중학교 1, 2학생 152명, 총 300명을 표집하여 MBTI 성격유형 검사와 독자의 심리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선호성 지표(E-I, S-N, T-F, J-P)와 독자의 심리적 성향(읽기 흥미, 읽기 태도, 읽기 목적, 읽기 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저기에 대한 선호는 내향형(I)이, 책을 읽는 빈도는 판단형(J)이 높았다. 책은 사고형(T), 신문은 판단형(J), 만화는 인식형(P), 잡지는 외향형(I)이 많이 읽고 있으며, 즐겨 읽는 책 내용도 선호 지표 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읽기 태도는 판단형(J)이 점수가 높았으며, 읽기 목적은 사고형(T), 판단형(J)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읽기 효능감은 H, J 선호 지표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MHTI 기능 유형(ST-SF-NT-NF)과 기질 유형(SJ, SP, NT, NF)은 읽기 흥미와 부분적인 의미 차이를 나타냈다. 기질 유형은 읽기 빈도와 관계가 있었으며, NT는 책과 신문에서, NF는 만화를 많이 읽고 있었다. 즐겨 읽는 책에서도 기능, 기질 유형별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기질 유형과 읽기 태도 역시 뚜렷한 점수 차이를 보였으며, 읽기 목적은 기능·기질 유형 모두와 의미 있는 관계가 있었다. 읽기 효능감은 기질 유형인 NT, SJ, NF, SP 순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MBTI(R) 보고유형과 최적유형의 관계연구

        신영규 ( Young Gyu Shin ),김재형 ( Jae Hyoung Ki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0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5 No.-

        본 연구는 MBTI 검사결과로 드러난 보고유형과 내담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절하다고 평정한 최적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BTI 자격교육 초급과정 참가자 499명을 대상으로 MBTI 검사결과와 최적유형 설문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고유형과 최적유형에서 4가지 선호 모두 일치하는 비율은 57.9%, 3가지 선호에서 일치하는 비율은 30.1%로 나타났다. 보고유형에서 최적유형으로의 변화의 방향은 사고형(T)에서 감정형(F)으로, 판단형(J)에서 인식형(P)으로, 감각형(S)에서 직관형(N)의 순으로 변화가 두드러졌다. 가장 혼란스러워 하는 지표의 경우는 TF 27.5%, SN 23.2%, JP 16.6%, EI 1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진정한 유형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해석과정과 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을 모색하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MBTI를 활용한 유형 학습과 진정한 자기이해를 돕는 해석과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유의할 점과 MBTI 실시와 해석을 하는 전문가의 역할을 재고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between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ported type(Indicator results) and best-fit type to be based on the client`s self-knowledge. Subjects were 499 adults who participated in MBTI Qualifying program(Step I). 57.9% had no change between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that is, all four preference scales were the same, and 30.1% had one scale change between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 Significantly more subjects shifted from T to F, J to P, and S to N in this study. Scales that clients were in confusion were in order of TF 27.5%, SN 23.2%, JP 16.6%, EI 13.8%. This results can help lots of clients to be hard to find out true type grasp the best-fit type. First of all, this study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to try to find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of MBTI and workshop program`s method. Thus, this study tries to reconsider the directions of workshop programs, the interpretation process to help a client to identify his or her actual type, and the administrator`s role to have charge of the MBTI administration and interpretation.

      • KCI등재

        심리유형(MBTI) 과 교류분석(TA) 의 심리치료적 접목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박종삼 한국심리유형학회 1997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4 No.1

        본 연구는 융의 심리유형과 번의 교류분석(TA)이론이 심리치료를 위해 어떻게 접목(절충, 종합 등)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제시하는 문헌연구이다. 융의 핵심적 성격이론의 개념들과 심리유형과의 관계를 고찰한 후, 다시 교류분석이론의 핵심적 개념들과 비교분석하므로써 두 이론의 절충 또는 종합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심리유형(MBTI)이 분석심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심리치료이론으로서의 MBTI를 검토하였다. 융과 번은 모두 정신분석학파에 그 뿌리를 두고 있어서 기본적 인간에 관한 이해나 성격이론에서 유사한 점이 많았다. 비록 융은 치료의 초점이 무의식에 있고 번의 초점은 의식세계에 있다고 하지만 역동적인 측면에서 볼 때, 의식·무의식의 역동적체계로 보는 관점은 비슷했다. 치료모델이나 치료방법에서 많은 부분들이 절충적으로 접목될 수 있으며 어떤 것은 창조적 종합까지도 할 수 있다는 이론적 준거를 모색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tends to formulate a theoretical frame of reference for synthesizing type theory(MBTI) and Transactional Analysis for psychotherapy. Some of the maj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Jung's personality type theory and Eric Beme's TA theory are examined by comparing a few important constructs selected from both theori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seems to be no fundamenta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man between two theories because of their basic orientation in psychoanalysis. Second, since two theories have enough common grounds and elements in theory of psychotherapy, a creative synthesizing approach is possible. However, when irreconcilable differences exist between two theories, an ecclectic approach is recommended. Third, MBTI as a theory of psychotherapy does not always follow the principles of Jung's analytic psychology. MBTI seems to develop its own psychotherapy model more based on the conscious field than the unconscious. This allows a sound ground for synthesizing MBTI and TA for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 KCI등재

        혼합형 학습을 적용한 MBTI 진로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유형 관련 진로 이해 및 동기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성기원 ( Giwon Sung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7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8 No.1

        이 연구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수방법 중 하나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혼합형 학습 방식을 적용한 MBTI 진로프로그램이 e-러닝이나 면대면 학습을 적용한 MBTI 진로프로그램에 비해 대학생의 심리유형 관련 진로 이해와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BTI진로프로그램에서 혼합형 학습, e-러닝, 면대면 학습으로 학습한 집단 간에는 심리유형 관련 진로이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연계된 혼합형학습과 전통적인 면대면 학습이 e-러닝에 비해 심리유형 관련 진로 이해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수업 전략에 온라인 수업 전략을 함께 복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내용에 대한 맥락적 이해의 가능성을 높이고 보다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참여를 끌어냄으로써 긍정적인 작용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MBTI 진로프로그램에서 혼합형 학습, e-러닝, 면대면 학습으로 학습한 집단 간에는 학습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형 학습으로 학습한 집단의 학습동기는 e-러닝으로 학습한 집단과 면대면 학습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면대면 학습으로 학습한 집단의 학습동기는 e-러닝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들은 혼합형 학습이 면대면 학습보다 개인적인 흥미나 목적과의 관련정도에서 더 나은 교수방법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습자의 노력의 결과와 기대에 대한 일치감에서도 더 만족스러운 교수방법으로 인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혼합형 학습에 대한 활용과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추후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와 스마트 기기, SNS와 같은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상호 간 의사소통하며 학습할 수 있는 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BTI career program based on blended learning connected with online and offline, which is one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effective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areer comprehension and motivati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MBTI career progra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Type-Related Career Comprehension among the groups that did blended learning, e-learning and face-to-face learning. The blended learning with online and offline connected and the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were effective in the aspect of career comprehension compared to e-learning, which implies that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offline class strategy and online class strategy can enhance the possibility of learners`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ir learning contents and can attract their voluntary and free participation. Second, in MBTI career progra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motivation among the groups who did blended learning, e-learning and face-to-face learning. The academic motivation of the group that did the blended learning was higher than the other 2 groups, and the group that did face-to-face learning showed higher academic motivation that the group that did e-learning. Especially, the learners recognized blended learning as the better instructional method than face-to-face learning in the degree of relation with personal interest and purpose, and in consistency about the outcome and expectation of their efforts, they recognized it as the better instructional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blended learning strategies need to be used more often.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ab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models that enable learners to study while communicating each other anytime and anywhere by using various tools such as mobile device, smart device and SNS.

      • KCI등재

        대학생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유형과 성격유형과의 관계 연구

        박제일,임승환 한국심리유형학회 2002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9 No.-

        본 연구는 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를 내방하여 상담을 받은 53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호소하는 문제유형과 성격유형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내담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적절한 상담대처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내담자들이 호소하는 문제유형과 성적유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해보면, 내담자들이 호소라는 문제유형은 "학업 및 진로문제", "성격문제", "정서문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 분포는 전체 분포에 비추어볼 때, "내향형"과 "직관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고, 성격유형과 내담자들이 호소하는 문제유형과의 관계에서는 ISTJ, ISTP, INFP, INTJ, INTP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유형에게서 문제를 호소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이유와 그 대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상담장면에서 성격유형별 대처방식에 대한 적용가능성에 대해 좀더 확대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537 students who had counseling sessions in university students counseling center as the groundwork of applying appropriate counsel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client's personality type, on the basis of the analyses of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problems students complained about and their personality types. For this purpose, analyses were proceed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reffered problem types and personality types of student clients in university. In summary, the problem types clients complained about appeared as "problems in schoolwork and career", "problems in personality", and "emotional problems" in order. Compared with the whole personality type distributions, "Interversion" and "iNtuition" types occupied higher rates than other types, concretely, ISTJ, ISTP, INFP, INTJ, and INTP types showed higher frequencies in common than others.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reason why the problem complaining rates showed higher levels in these types and the strategies of the counselors to cope with these types of clients appropriately.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search the applicability of strategies of counselor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client's in counseling setting.

      • KCI등재

        심리유형(MBTI) 과 성격적응유형의 관계 : 임상적 상담 적용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박종삼 한국심리유형학회 199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6 No.1

        본 연구는, MBTI를 상담, 심리치료에 적용할 때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성격적응유형(Personality Adaptation Type)과의 절충가능성을 검토하는 이론적 탐색연구이다. MBTI의 선천적 경향성은 후천적 요인들에 의하여 변조(falsification)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런 변조가 어떤 유형으로 정형화되어 나타날 것인가의 질문이 생긴다. 초기 아동기의 후천적 요인(특히 부모의 양육양태)과의 상호작용은 정형화된 여섯 가지 성격적응유형이 나타나는데 이 이론은 MBTI의 변조된 유형을 설명할 수 있는 기초이론이 될 수 있다. 실증적 연구의 설계를 모색하는 본 이론적 연구는 MBTI의 태도, 기능, 16가지 성직유형과 Schizoid, Antisocial 등 여섯 가지의 성격유형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MBTI의 연계와 그 임상적 가치를 실증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is theoretical study attempts to establish diagnostic and treatment values of MBTI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BTI and personality adaptation types (DSM-III-R, Ware 1978, 1983; Joines, 1986). Based on the psychoanalytic tradition, a theoretical foundation of other study assumes that indivisuals utilizes six basic personality adaptations(Schizoid, Antisocial, Paranoid, Passive-Aggressive, Obsessive-Compulsive, Hysteric)as a result of their early life experiences such as family dynamics and early interaction with the world(i.e., parents). $quot;Joines Personality Adaption Questionnaire$quot; and MBTI are assesment tools which will be used for future clinical study. The results of these assessments will be analyzed based on MBTI 16 Type, attitudes(E.I.) and functions (S.N.T.F). This theoretical study revealed that by combining MBTI with Personality Adaption, diagnostic and treatment values of MBTI could be improved by clarifying falsification phenomenon of type.

      • KCI등재

        아동의 성격유형과 동화 속 인물에 대한 독자반응의 관계

        간정선 ( Jungsun Gan ),정옥년 ( Okryun Jung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5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6 No.-

        본 연구는 아동의 MBTI 성격 유형과 동화 속 등장인물에 대한 독자 반응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6명의 초등학생을 선정하여 MMTIC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아동이 수행한 독서 토론 자료를 수집하여 아동의 4가지 선호 지표와 독자반응, 성격의 기능유형과 독자반응, 성격의 기질 유형과 독자반응 관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차례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격 선호 지표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외향형은 내향형에 비해 토론활동에서 발언 횟수가 많았으며, 감각형은 부분적인 것에 집중, 책임의식이 표출되었다. 반면 직관형은 자유스럽고 전체적인 것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사고형은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객관적이면서 원인 결과를 분석하는 반면, 감정형은 등장인물에 대해 감정적, 주관적 해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판단형은 목적의식을 분명하게 표출하는 반면, 인식형은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해 허용적, 개방적 반응을 보였다. 둘째, 성격의 기능 유형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ST유형은 성실, 근면, 책임감, 전통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을 해석하였으며, SF유형은 헌신, 인화, 책임, 화해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을 선호하였다. NF유형이 등장인물에 대해 열성, 통찰, 인화, 성장의 가치관으로 바라본 반면, NT형은 독창성, 지식추구, 논리의 가치관으로 등장인물의 행동을 해석하였다. 셋째, 성격의 기질 유형에 따른 독자 반응에서는 SJ유형은 SJ의 MBTI 일반적인 특징 중 안정지향의 욕구, 성실 책임의 욕구를 나타내었으며, SP 유형은 자유, 충동의 욕구, 나눔의 욕구, 협상가적 경향을 드러내었다. NF와 NT의 유형에서도 MBTI 일반적 특징 중 자신과 타인의 성장지향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와 지식추구, 논리적, 객관적 성향, 자신감 실현의 욕구를 각각 나타내었다. 추후 연구방향이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시사점과 함께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personality types and their response to the characters in fairy tales. A total of six 6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readers’ response to fairy-tale characters were consistent with general features of the preferred directions, function type, and temperament type of personality. Second, child readers preferred fairy-tale characters whose types were different from their types and wanted to be like those characters, which suggest that it be educational and effective to expose children to different fairy-tale characters. Third,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consideration other people’s behavior or thinking in reality. The reading has potentials to become the springboard for the children’s personality development. Lastly, since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ader response patterns differ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both children’s personality types and fairy-tale characters when parents read the fairy-tale books to their children. Future direc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