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이윤정,김은정,김지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among co-authors, focusing 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JKPA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JKHEE), and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JKT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s and structural attributes of co-author networks, the centrality indices of researchers, and the academic influences and relationships among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o-authored works in the three journals was 72.5% through 79.5%, which is relatively high, and the percentage for JKTE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In case of JKPAE, the number of single author works was the highest, yet more two-author works were included in JKHEE and JKTE. Over 60% of the authors were professors in JKPAE and JKHEE, compared to 45.5% in JKTE, which indicates more diverse authors published in JKTE. For JKTE, the percentage of student authors was low, and the percentag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earchers, and others were higher than the other two journals. Second, the three journals’ co-author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nsity and average degree were highest for JKPAE, and lowest for JKHEE. JKHEE had twice as large the number of components than the other two journals,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size over 5 was also larger, with smaller mean distance and mean diameter. Third, the co-authors’ in-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node-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in the network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tial researchers in the fields. There were overlapping authors between JKPAE and JKTE, but not between JKPAE and JKHEE. Also, the influential authors among authors of JKPA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interactions among the researchers are needed in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integra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의 연구자 간 학술 네트워크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SNA를 활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 8월에 발간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NetMiner 4를 이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그 구조적 속성과 연구자들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저자의 학술적 영향력 및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학술지의 공저논문의 비율은 72.5%에서 79.5%로 높은 편이었으며, 그 중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공저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저자수 1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저자수가 2명이 가장 많았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8명 이상의 다수 저자가 공저한 논문도 많았다. 학술지 저자의 직업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60%이상이 교수였으나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45.5%로 교수 외의 저자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학생의 비율 낮으며,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교사, 연구원, 기타의 비율이 다른 두 학술지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둘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밀도와 평균 연결도는 실과교육 분야가 가장 높았고 가정교육 분야가 가장 낮았다. 또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컴포넌트의 수는 다른 두 학술지의 2배가 넘었으며, 5개 이상의 노드를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수도 많았고, 평균 거리와 네트워크 지름도 다른 학술지에 비하여 짧은 편이었다. 셋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계산하여 각 연구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공통저자가 많은 데 비하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과 공통된 경우가 많지 않았다. 또한 실과교육 분야의 저자들 중 영향력이 높은 집단은 대체로 기술교육 분야의 저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이 다양한 학문 공동체로서의 연구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통한 통합적, 융합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인용 분석

        이건남,이종범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ademic tendency(characteristic)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using Korea Citation index(from 2004 to 2008).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⑴ Impact factor(2-years, 3-years and 4-years)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sharp decline in 2008. ⑵ Immediacy index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sharp decline in 2008. ⑶ ZIF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sharp increase in 2008. Because proportion of self citation i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decline. ⑷ Kor-Factor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highest in 2006 and then decline. But, ranking of the journal was high side (12th) in education fields. ⑸ The number of citation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highest in 2006 and then decline. ⑹ Researchers need to try studies through the crossdisciplinarity approach between Practical Arts and Other fields of study. ⑺ It need to do literature review on the subject in properl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서 제공하는 인용정보를 분석하여 실과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및 실과교육학에 모학문과 관련이 있는 학술지를 인용 분석 및 비교하고 이를 통해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2004년에서 2008년까지의 영향력지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2년,3년간, 4년간 영향력 지수 변화가 모두 2008년에 급격하게 낮아진 것은 학술지의 자기인용률이낮아지며 동시에 전체 인용논문수 역시 2008년에 낮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영향력 지수가 2008년에 급격히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즉시성 지수는 2008년에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것은 현실변화와 지식의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자기인용제외 지수(ZIF)는 2008년에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 본 학술지를 자기인용한 비율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2004년에서 2008년까지의 한국형 인용지수(Kor-Factor) 변화를 보면, 2006년을정점으로 2008년까지 감소하고 있지만 교육학 영역에서 학술지 순위는 12위로 질적으로 우수한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2004년에서 2008년까지의 전체 인용논문수는 2006년을 정점으로 하여 2008년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연구 주제의다양성 측면에서 학회 차원 혹은 실과 관련 분야 연구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실과와 관련된 학문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 분야의 연구들도 인용을 할 수 있을 만큼의 수준을 갖추고,다양한 학제적 연구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권위있는 연구 문헌을 인용하는 것은 해당 연구의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 등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사전 문헌조사가 더욱 많이 이루어져야 하며,이는 학술지의 인용지수를 증가할 수 있는 직접적인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농업분야 연구동향 분석

        이기철(Lee, Ki-Cheol),양정혜(Yang, Jeonghy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의 목적는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농업 분야의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1985년부터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102권의 학회지가 발간되었으며, 그 중 농업 분야의 연구는 145편이 발표되었다. 발표된 논문을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된 시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 각 교육과정 시기 중 7차 교육과정 적용시기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2)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식물을 주제로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농업교육과 환경에 대한 연구로 나타났다. 3)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문헌연구와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학회지의 주제어로 제시된 단어를 워드클라우드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해보았을 때,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육이라는 주제어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7차 교육과정과 2007 교육과정에서는 환경, 2009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 시기에는 농업이라는 키워드가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농업 분야는 학회지 논문 전체의 12.6%에 해당 되는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in the agricultural field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began to be published in 1985. Currently, 102 academic journals have been published, of which 145 studies in the agricultural field have been publish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ublished papers based on the time of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1) the most papers were published during the 7th curriculum period among each curriculum period. 2) When looking at the research topic,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plants as the subject, followed by studies on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3) When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centering on the research method, it was analyzed that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conducted the most. 4) When analyzing the words presented as the keywords of the journal using the word cloud analysis method, the keyword education appeared most frequentl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he keyword environment in the 7th curriculum and 2007 curriculum, and the keyword agriculture appeared many times in 2009 curriculum and 2015 curriculum. The agricultural field of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ccounts for 12.5% of the total academic papers,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after the 7th curriculum.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rtion of research related to agr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 in recent studies.

      • KCI등재

        2009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본 실과 교과에 대한 도전과 전망

        전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is study debates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NCR) focusing on the perspectives and position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PAE academic communities including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ssociation criticized the mistakes of 2009 NCR such as failing to diagnosis of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and problems and to meet the educational values, aims, and directions to raise wholesome future citizen. As a member of the PAE academic communities, researcher analyzed the challenges and futures of PAE in the 2009 NCR. This opinion posing article includes: a. the 2009 NCR's major agendas, b. procedures of the notification through the reform focusing on the PAE and the reactions of PAE academic communities, c. 2009 NCR's major contents and their influences on PAE's future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re-define disciplinary identity and pride of PAE and/thus to broaden scholars' perspectives for future education. 이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개정의 시점과 그 내용에 비추어 실과 교과의 관점과 입장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의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한국실과교육학회를 중심으로 한 실과교과공동체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들이 우리 사회의 교육 문제를 잘못 진단하고 있으며, 또, 우리 교육이 지향하는 전인교육의 철학이나 가치, 방향과도 맞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입장에서 이 연구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교과에 던져진 도전은 무엇이며, 개정 후 실과교과는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지를 참여관찰자 관점에서 사실과 맥락을 분석하며 전망하여 보았다. 구체적으로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개정 논의의 출발에서 고시까지 어떠한 절차를 통해서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한국실과교육학회를 중심으로 실과교과공동체는 어떠한 활동들을 전개하였는가, 셋째, 2009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골자와 여러 쟁점의 고찰을 통하여 이것이 실과교과에 주는 의미와 도전은 무엇이며, 이로 인해 실과교과의 미래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이다. 이러한 고찰 과정은 2009개정 교육과정 하에서 실과교과의 자존심과 정체성을 재확인하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것으로 보며, 그럼으로써 우리 교육의 현실을 재조명해 보고, 우리 교육의 미래를 생각하는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을 것으로 본다.

      • 실과교육 선진화를 통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향상

        한국실과교육학회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8

        - 2009년 하계 학술대회 - 개최일: 2009년 8월 6일(목) 10:00-16:00 개최지: 공주교육대학교 청목관 주 제: 실과교육 선진화를 통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향상 기조강연: 미래형 교육과정의 방향과 실과교육의 선진화 방안 강연자: 강홍준(중앙일보 교육개발연구소 소장) 주제발표 I: 실과교과를 통한 역량 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 발표자: 임언(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제발표 II: 핀란드의 교육제도 및 정책 발표자: Stefan Lee(주한핀란드 대사관 수석보좌관) 주제발표 III: 실과교육의 선진 교육 사례-북유럽의 교육현장_ 발표자: 장형원(MBC PD) 자유발표........국가사회적 요구와 실과교육의 선진화 방안(9편)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이춘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4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each subject is starting to develop the new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ail direction of developing Practical Arts (here after PA) education in order to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viewpoi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how should we select the curriculum developing method of PA subject? 2) How should we reflect th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future? 3) How should we arrange the contents overlap of each subjects? 4) How should we keep the relevance of contents? 5) How should we connect the sequence between PA subject and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Accomplishing the purpose, the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review of literatures and deliberation thin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aim, PA's curriculum developing method should be adopted process-oriented curriculum rather than content-oriented curriculum. Second, it is difficult to reflect whole core competencies in PA curriculum, but PA's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specialized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and career developing power. Third, content duplication of each subject should be suggested a solution to teach connection PA with other subjects. Fourth, PA's content relevance should be optimized content validity, content volume, content level, content scope, and content environmental component. Finally, in the aspects of sequence, the subject should be connected between PA subject and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level of contents and subject name. In order to unify the subject name, specially, PA's related person should be attended communication channel, and considered teacher training system.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필요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여 실과 교육과정 입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식은 어떠해야 하는가? 둘째, 미래 핵심역량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셋째, 교과 간의 교육내용 중복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넷째, 실과 교육내용의 적정성을 어떻게 가질 것인가? 다섯째, 실과와 기술·가정 교과 간의 연계방법은 무엇인가?연구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숙고적인 방법도 병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실과 교육과정의 개발 시, 개정된 교육과정의 의도를 살리기 위해서는 내용중심의 실과 교육과정 개발보다는 과정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을 도입해야 한다. 둘째, 실과 교육과정에 미래 핵심 역량을 모두 반영할 수는 없지만 실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진로개발능력 등은 교육과정 개발 시에 강조하여 특화해야 한다. 셋째, 교과간의 교육내용 중복 측면에서, 실과의 목표와 특성에 맞는 것이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그러나 유사하게 중복되는 것이라면 분명하게 타 교과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넷째, 실과 교육내용의 적정성에서는 내용의 타당성, 내용의 양, 내용의 수준, 내용의 연계․계열, 적정성의 환경요인에서 적정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초등 수준에서 실과 교육내용, 중등에서의 기술 교육내용, 가정 교육내용을 영역별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되, 필수 이수 교육내용과 선택 교육내용을 동시에 제시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과와 기술·가정 교과 간의 연계 측면에서, 실과 교육내용의 계열성, 초등과 중등에서 교과 명칭의 연계를 가져야 한다. 실과의 기술, 가정, 농업 영역의 내용과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정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주제나 활동중심으로 구안해야 한다.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 개발 및 분석

        김민경,이시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the analysis criteria that can analyze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and provide the helpful preliminary data for choosing Practical Arts textbook by analyzing the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from an authorized book at school scen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s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fter the extracted items were verified with face validity by five specialists, the analysis criteria of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guide books of two publishers in 5th and 6th grade were analyzed by 3 professional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ly, Holistic Education contents were extracted into 8 items respectively ‘Humanity development', 'Respecting one's individuality', 'Learning by experience', 'The liberty of choice', 'Democracy', 'Planethood', 'Earth's biosphere', and 'Spirituality' as the analysis criteria of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s were analysed into 5 items, respectively 'Physical approach', 'Imagery approach', 'Thoughtful approach', 'Cooperation', and 'Comprehensive approach'. Second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of the 2 publishing companies were not significant in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 on the basis of developed analysis criteria. But big differences of the two publishers could be found both in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 In conclusion, as Practical Arts textbook was being changed into an authorized textbook, each textbook of publishers showed the limitation in that it didn't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s to analyzing Practical Arts textbook from one view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regarded that Holistic Education perspective will be helpful as a way in choosing Practical Arts textbook which me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본 연구에서는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라 실과교과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 준거를 개발하고 검인정 도서로 전환된 실과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실과교과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을 추출하여 전문가 5인에 의해 추출된 항목에 대한 안면 타당도로 검증한 후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분석준거에 근거하여 실과교육 전문가 3인에 의해 2개 출판사의 5학년과 6학년 실과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로서 홀리스틱 교육 내용으로는 ‘인간성 개발’, ‘개성 존중’, ‘경험 학습’, ‘선택 자유’, ‘민주주의’, ‘지구시민’, ‘지구생명권’, ‘정신성’의 8항목을 추출하였고,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으로는 ‘신체적 접근’, ‘이미지적 접근’, ‘사고적 접근’, ‘공동작업’, ‘종합적 접근’의 5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개발된 분석준거에 근거하여 2개 출판사의 실과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에서 출판사 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에서는 두 출판사 모두 대단원별로 차이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과교과서가 처음 검인정 교과서로 전환되면서 각 출판사의 실과교과서가 각각의 뚜렷한 특성을 가지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아직까지 실과 교과서를 하나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과교과서를 개발하고 각 학교의 특성에 맞는 실과교과서를 선정할 때 홀리스틱 교육 관점이 하나의 방법으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실과교육의 문제점

        손장호,금지헌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problem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in implementing practic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blems to 9 teachers open-ended questionnaire was u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eachers think that the practical, work-oriented, real life, career education was important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eachers hoped that the philosoph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ould be overall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A lot of teachers had negative perception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problems inside the school were a lack of teachers’ recogni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acility and equipment, assistants. Fourth, problem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was the [Science/Practical Arts] subject,inadequate on-site, a lack of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Fifth, problems outside the school were collective selfishness in the professors and indifference of the office of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실과교육의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구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과교육을 실천하고있는 교사 8명, 교감 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질문지는 실과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연구한 기존의 문헌을 고찰하여 크게 실과교육의 방향, 인식,문제점(내부환경, 교육과정, 외부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실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현재 실과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실천,노작, 실생활, 진로의 성격에 동의하고 있었으며, 실과교과교육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학교육전반에실과교육의 철학이 반영되길 바라고 있었다. 둘째, 실과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는 실과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주변 교사는 실과교육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생각하는 학교내부에서의 실과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학교구성원들이 실과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며 교사의 실과교과 지도 역량의 부족, 시설 및 교구의 부족, 인력지원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가 생각하는 실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문제점은 과학/실과군에 따른위기, 현장 부적합성, 개발과정에서의 교사참여 부족 등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가생각하는 학교외부환경 측면에서의 실과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실과 학문영역간 이기주의, 효용성이낮은 대학원과 교육행정기관의 무관심이었다.

      • KCI등재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류청산(Cheong-san Ryu)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practical arts subjects. The goal was to develop a model for creative convergence classe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autonomous achievement standards in information education as introduced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The study shifted its focus toward literature research methods, emphasizing document-based research to overcome the time limitations usually associated with fieldwork. First, the analysis of the comparison table between the current and new curriculum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formation education and autonomy achievement standards.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verview further highligh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outlined humanistic qualities and core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 study delved into change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areer education, and safety education, examining and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esired human qualities and core competencies corresponding to each domain's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Next, the study integrated the autonomous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information education content element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Finally, a practical arts subject-centered instructional model was proposed, developed, and presented with cases. While ‘Digital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are associated with the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and the autonomous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newly introduced practical arts subject are closely connected to elective subject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s and Data Science,elementary schools place relatively stronger emphasis on integrating subjec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mpared to middle schools. Therefore, the study focused on exploring ways to creatively integrate information education taught in grades 5 and 6 with practical subjects, other subjec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se activities may includ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autonomous hour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find broader application in open classes for parents and colleagu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rigger educati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chool autonomous activities. 이 연구는 실과 교과의 관점에서 신구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신설된 정보교육의 자율 성취기준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창의·융합 수업의 모형을 탐색해 보기 위해 추진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이 확정된 지 채 1년이 되지 않은 시점에 이 연구가 추진되었기 때문에, 현장 연구나 실험 및 조사 연구를 추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문헌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추진하였다. 먼저 교육부가 제시한 현행 교육과정 대비 신구 대조표를 분석하여 실과의 정보교육과 자율 성취기준 관련 변화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고찰하였다. 아울러 범교과 학습주제와 진로 및 안전교육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실과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영역별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에 대응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을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이어서 실과의 정보교육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자율 성취기준을 통합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초 자료를 바탕으로 자율 성취기준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실과 중심의 창의·융합 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그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은 중등의 정보교육 과정과 연계되어 있으며, 이번에 신설된 초등학교 실과의 자율 성취기준은 중등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인 인공지능 기초와 데이터 과학 과목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는 교과와 비교과의 융합이나 범교과 활동이 중등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조되고 있으므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연계보다는 정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실과와 다른 교과, 또는 비교과 활동인 창의적 체험 활동이나 학교 자율시간 등과 창의적으로 융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부모 및 동료 장학을 위한 공개 수업, 범교과 활동, 계기 교육, 창의적 체험 활동, 학교 자율 활동 등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실과교육과 손잡이 분류를 위한 손 활동에 대한 연구

        정지윤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1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that is not dependent on the specificity of the handles,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education according to handl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analyzed with reference to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Analys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by hand activity of hand classification method was analyzed by analyzing hand activities based on the major part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illustration, photographs in the 12 textbooks of the 2009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and hand activities of handle classification methods, hand activities of Handle Classification activities were 7 in education activities of 'home management' education area, 12 in education activities of 'food life' education area, 5 in education activities of 'clothing life' education area, 5 in education activities of 'technical science' education area, 6 in education activities of 'life science' education area, 2 in education activiti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rea, 5 in education activities of 'career' education area. According to the study area, there were 12 'food life' education area, followed by 7 'home management' education area, 6 'life science' education area, 5 'clothing science’ education area, 5 'technical science’ education area, 5 'career’ education area and 2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rea. A total of twelve chapters of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included 17 activities.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s highly related to the hand activities of the handle classification method. Practical arts education activities are highly related to hand manipulation ability. And, practical arts have many educational activities to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of life by using tools. 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preparation and research for tools and training method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handles. For this purpose, it suggests the preparationof tools as well as the use of tools for left-handedness, the ongoing research and effort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ools for left-handedness include left-handed pencils, left-handed pencil sharpeners, left-handed pencil grips, left-handed springy notes, left-handed scissors, left-handed measures starting from the left, left-handed knives, Left-handed toothbrushes, left-handed plates, left-handed computer mouses and computer keyboards. 손잡이의 특수성에 구애 받지 않는 실과교육으로 통해 실과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과교육에서 손잡이에 따른 교육의 필요성 및 방안은 실과교육에 관련된 저서, 연구논문 등을 참고로 분석하였다.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을 중심으로 실과교육과정의 교육활동을 분석한 연구는 2009 교육과정 실과 6종 교과서 12권의 교육내용, 삽화, 사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실과의 학문 영역별로 각 학문 영역의 대단원들을 중심으로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실과교육과정의 교육활동과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들의 연관 정도를 실과의 학문 영역별로 분석해 본 결과, ‘가정관리’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7개, ‘식생활’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12개, ‘의생활’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5개, ‘기술과학’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5개, ‘생명과학’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6개, ‘정보통신’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2개, ‘진로’ 교육영역의 교육활동에서는 5개의 손잡이 분류 활동과 관련한 손 활동이 있었다. 학문영역별로 볼 때, ‘식생활’ 교육영역이 12개로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정관리’ 교육영역이 7개, ‘생명과학’ 교육영역이 6개, ‘의생활’ 교육영역이 5개, ‘기술과학’ 교육영역이 5개, ‘진로’ 교육영역이 5개, ‘정보통신’ 교육영역이 2개의 순이었고, 실과교육과정의 교육영역 12개 대단원을 종합해 보면, 17개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어 실과교육과정의 교육활동과 손잡이 분류 방법의 손 활동은 아주 높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과 교육활동들은 신체에서도 손의 조작 능력과 연관이 크고, 도구를 이용하여 생활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활동이 많아서 손잡이를 고려한 도구나 교육방법에 대한 준비나 연구의 필요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왼손잡이용 연필, 왼쪽으로 돌리는 연필 깍기, 왼손잡이용 연필 그립, 왼쪽에 스프링이 달린 노트, 왼손잡이용 가위, 왼쪽에서 0점이 시작되는 왼손잡이용 자, 왼손잡이용 칼, 왼손잡이용 칫솔, 왼손잡이용 식판, 왼손잡이용 글러브, 왼손잡이용 컴퓨터용 마우스와 컴퓨터 키보드 등의 왼손잡이를 위한 도구의 준비뿐만 아니라 도구 사용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양성기관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