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TA 이후, 국내 수입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 변화

        임은선 한국수산경영학회 2022 수산경영론집 Vol.53 No.2

        The effect of change in exchange rates on an econom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to a small open economy like South Korea. I explore whether Free Trade Agreements (FTA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xchange rate-pass through import price of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Competition among FTA partners is enhanced after FTAs are effective. I expect that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hereafter, ERPT) into import price of fishery products (in terms of Korea currency) would be reduced since the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is an oligopolistic market. Specifically, I investigate two research questions with six South Korea’s FTA partners─Norway, Thailand, Peru, U.S., China and Vietnam. First, whether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 of fishery products from six FTA partners would decrase in the post-FTA era; seconds, the size of reduction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size of their market share in the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if it decrease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ERPT into import price from other FTA partners than Norway has been reduced after FTA,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owever, I do not find the evidence that the size of reduction is related to their market share. The findings in this study imply that FTAs have negative effects on producers’ economic welfare in South Korea’s fishery industry by reducing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as well as reducing tariff barriers. 환율의 변화가 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과 같은 소국 개방 경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s: 이하, FTA)이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입 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FTA가 발효되면, FTA 발효국들 사이의 경쟁은 심화될 것이다. 특히,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은 과점적 경쟁 (oligopolistic competition)을 하는 시장이다. 따라서 완전경쟁 시장과는 달리, 환율이 변하는 경우, FTA 발효가 원화 표시 국내 수입 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수산물 수입국가이면서 동시에 FTA 발효국인 노르웨이, 태국, 페루, 미국, 중국 그리고 베트남 등 6개의 FTA 발효국들로부터 수입한 전체 수입 수산물을 대상으로 첫째, FTA 발효 이후, 국내 수입 수산물 가격에 대한 환율전가도 크기의 감소 여부, 둘째, 만약 국내 수입 수산물에 대한 환율전가도가 감소하였다면, 각 FTA 발효국이 국내 수산물 수입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과 감소된 수입 수산물 환율전가도의 크기 사이에 부(-)의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6개의 FTA 발효국들로부터 수입한 수산물 수입가격의 환율전가도 크기는 노르웨이를 제외하고, FTA 발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감소된 수산물 수입가격의 환율전가도 크기와 FTA 발효국들이 국내 수입수산물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 사이에서 부(-)의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세장벽의 감소뿐만 아니라, 수산물 수입가격 환율전가도의 감소를 통해, FTA 발효는 국내 수산물 생산자들의 경제적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대미 수출 수산물의 유통경로 분석 연구

        박혜진,이정필 한국수산경영학회 2023 수산경영론집 Vol.54 No.3

        미국은 우리나라의 제3위 수산물 수출국으로, 전체 수출의 13.7%를 차지할 만큼 매우 중요한 수출대상국이다. 그러나 2024년 1월로 예정되어 있는 해양포유류보호법(MMPA) 수입 규제가 본격 시행될 경우 대미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이며, 원활한 대미 수산물 수출을 위해서는 업체별로 모든 품목에 대해 생산 또는 원료 수입부터 가공, 유통, 수출까지 단계별 과정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구비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로서는 생산자부터 유통업자,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이력 정보의 기록 및 관리와 관련된 국내 제도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으로 수출되는 주요 수산물의 유통단계가 얼마나 복잡한 형태를 띠고 있는지, 그리고 경로별 비중이 어떠한지 등 그 수출 실태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대미 수출업체 및 수출 현황을 조사하고, 유통경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United States is Korea’s important trading partner, ranking third (13.7%) in exports of fishery products in Korea. The impact on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if the seafood import provisions under the MMPA are implemented in 2024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documents proving production information will be required for all items when exporting to the U.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xports and export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major fishery product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Besides, there are currently no official system and procedures in Korea to prove production information for all fishery items, so we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by examining distribution channels for major export items to the U.S. In this study, five items including seaweed and halibut as domestic aquaculture items, tuna and squid as deep-sea fishing items, and fish cake using imported raw material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items for distribution channel investig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routes from production to processing, distribution, and export of each item and identified detailed distribution channel for major items exported to the U.S.

      • KCI등재

        북한 수산업의 변화와 특징: 생산량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진희권 한국수산경영학회 2024 수산경영론집 Vol.55 No.2

        북한 수산업의 생산량은 정점에 이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80년대 수산업 생산은 현황과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북한 수산업 전반에서 본 연구는 북한의 생산량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어업과 북한 어업의 변화와 특징을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생산량 변화 생산량 감소 상황에서 북한 수산업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첫째, 포획어업의 생산이 급감하였다. 둘째, 해조류의 생산이다. 농업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시마 양식의 생산량이 1970년대 이후 급증하였다. 셋째, 북한은 생산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수단을 다양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생산량 감소의 관점에서 본 북한 어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물 생산량에서 해조류 양식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 특히 그 비중이 높다. 다시마는 생산량이 많다. 둘째, 생산시설이 동해에 집중되어 있다. 셋째, 생산량이 적다. 원양어업과 해면을 이용한 어류양식을 한다. 넷째, 수산업의 생산은 장기적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한다. The production of the North Korea fisheries industry has been steadily falling since it reached its peak in the 1980s. The production of thefisheries industry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the North Korea fisheries industry as a whole. This study reviewed the production volume of the North Korea fishery and derived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 fisheries from the standpoint of production changes. Changes in North Korea's fisheries industry in the situation of falling p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on of capture fisheries has fallen sharply. Second, the production of seaweed farming increased.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of kelp farming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1970s. Third, North Korea is trying to diversify its production means to cope with the decline in prod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 fisheries from the viewpoint of falling p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seaweed aquaculture in the fishery output is excessively high.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kelp is high. Second, production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the East Sea. Third, there is little production of fish farming using deep-sea fishing and sea sponges. Fourth, the production of the fisheries industry is falling continuously in the long term.

      • KCI등재

        부산 해양 · 수산 관광지에 대한 중국관광객의 기대 및 만족도 연구

        이주예,장영수,박정아 한국수산경영학회 2018 수산경영론집 Vol.49 No.1

        Busan is a representative of ocean cities in South Korea, which attracts many Chinese tourists. As a number of Chinese tourists increase, Chinese tourists’ evaluations of sightseeing resources in Busan appear extremely important.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on Chinese tourists’ evaluations of sightseeing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inese tourists’ evaluations of Busan tourism. Chinese tourists who travel to Busan are chosen as research objects and several aspects including marine, fisheries and general tourism a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tourists’ overall satisfaction of the tourism in Busan. IPA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Chinese tourists’ evalua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variables on Busan touris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tal 19 of 25 variables) and the performance was lower than importance. This means the outputs of the various Busan tourism elements do not live up to their expectations. The findings show that Chinese visitors have high satisfaction on infrastructures of fisheries tourism (e.g. cleanness of aquatic product tourism facilities and sanitary state on fishery products), but low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contents (e.g. unique cooking method experience of seafood and traditional seafood cooking consumption). The factors of fisheries tourism (e.g. product services of fisheries tourism and the attractiveness of seafood in Busan) never affect thei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city 본 연구는 부산을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부산의 관광을 해양ㆍ수산 관광과 비 해양․수산 관광 요인으로 나누어 각 관광 요인에 대한 중국인 관광객들의 중요도-만족도(IPA) 분석을 통해부산 해양수산 관광자원의 가치를 분석하고, 부산의 해양ㆍ수산 관광요인과 비 해양ㆍ수산 관광요인이 부산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의 전반적 관광만족도와 재방문의사,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수산업관측사업의 가격안정화 효과 분석

        이상호,정원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22 수산경영론집 Vol.53 No.4

        이 논문은 주요 수산물인 김, 광어, 전복을 대상으로 수산업관측사업 이전과 이후의 가격안정화에 대해 계량분석을 시도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측사업의 효과가 발생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품목별 입식시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측사업 이후 다음 시기의 입식시점을 효과가 발생한 시점으로 가정하였다. 둘째, 관측사업 이전과 이후의 가격변이계수를 통해 안정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광어의 가격변이계수는 0.569에서 0.132로, 전복의 가격변이계수는 0.537에서 0.160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즉 광어와 전복은 가격안정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개선된 ARMA-T-GARCH모형을 통해 가격안정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광어와 전복은 수산업관측사업 도입 이후 실질가격의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으로 가격안정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가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WTO 시장개방 이후 김의 가격은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었지만, 일본 대지진은 가격변동성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어와 전복의 경우 WTO 시장개방과 일본 대지진 이후 가격이 안정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가격안정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어 가격 이외의 요인들 WTO 시장개방, 일본 대지진, 코로나19 등 수요 및 정책적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수산물 가격은 관측사업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독립변수를 고려한 분석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수산업관측사업은 수급 및 가격안정화를 통해 어업인의 안정적 소득을 보장하고 수산업의 산업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수산업관측사업을 통한 정보제공을 통해 어업인의 입식 및 출하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수급 및 가격안정화를 통해 물가안정이라는 국가경제 목표에도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미국 오레곤주의 수산업 특성

        김수관(Soo Kwan Kim) 한국수산경영학회 1998 수산경영론집 Vol.29 No.1

        본 연구는 미국 오레곤주의 水産業 特徵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오레곤의 상업적 수산업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2가지 주요한 契機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는 自給自足 次元에서의 연어생산을 수출품으로 변화시킨 연어통조림 생산기술의 발전이고, 둘째는 현대식 트롤어업이 도입된 점이다. 오레곤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구·어법은 트롤, 채낚기, 연승, 통발, 형망 등이며, 생산어종은 연어, 게, 새우, 참치, 대구 등이다. 1995년 오레곤은 약 2억4천 파운드의 수산물을 생산하여 미국 沿岸州 중에서 6위를 차지하고 있고, 生産金額에서는 12위를 기록하였다. 한편, 養殖業은 아직 성행하지 않아 그 생산품종 및 생산량은 微微한 실정이다. 그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양식시설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관계기관의 허가를 필요로 하는 등 행정상의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오레곤의 水産資源管理는 우리나라에 비해 암게의 어획금지, 통발 등 정치어구·어법에 대한 引網日數의 제한, 조개류의 판매가능시간의 제한 등 몇 가지 특징을 들 수 있다. 오레곤의 수산업관리제도(연안으로부터 3마일 이내)를 살펴보면, 아직 TAC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있으며 生産要素投入制限方式이 채택되고 있다. 즉, 상업적으로 허용된 어종을 어획하려는 어업자는 등록절차를 필히 거쳐야 어업행위를 할 수 있으며, 登錄數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특정한 어업(연어, 새우, 가리비 등)에 대해서는 행정관청으로부터 許可를 얻고 어업 행위를 해야 한다. 즉, 허가어업은 등록어업보다 더욱 제한적인 어업행위를 말하며, 許可權에 대해서는 자유로운 매매양도가 허용되어 있다. 수산물의 마케팅시스템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 지배적인 형태인 競賣制度가 도입되어 있지 않다. 즉, 모든 수산물은 개인적인 거래계약에 의해서 유통된다. 다만 마케팅경로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구성원은 일정한 登錄節次를 마쳐야 하며, 州內에서 거래되는 수산물의 일관된 통제나 관리를 위해 관계기관에 거래량을 필히 申告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仲都賣人은 주로 생산지의 수협(또는 내륙지 도매법인)과 도매상의 사이에 존재하나 오레곤의 중도매인은 마케팅경로 어디에든 존재하고 있다.

      • KCI등재

        지역별 수산물 공급지장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수산업 리스크 요인을 중심으로 -

        엄권오,이무희 한국수산경영학회 2022 수산경영론집 Vol.53 No.3

        In addition to simply providing quality food to the people, the fishery industry must be maintained and developed because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national food security, preservation of natural scenery, protection of national territory,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However, risk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s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have raised concerns abou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Since these risk factor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ex over time, 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related to the risk of the fishery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isk factors facing the fisheries at this point, to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regional fishery product supply shortage, and to draw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fishery product shortage per won was highest in Busan, followed by Gangwon, Gyeongnam, and Gyeongbuk. Considering the size of the local fishery industry, Busan had the highest supply shortage per 1% of local fisheries produc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special risk management and countermeasures for these regions since the effect of supply shortage in regions such as Jeonnam, Gyeongnam, and Jeju is large compared to other regions. 수산업은 단순히 국민에게 양질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도 국가 식량안보, 자연경관 보존, 국토수호, 지역경제 활성화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하는 산업이기에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또 발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최근의 기후변화, 환경파괴 등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리스크 요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규모화⋅복잡화되고 있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수산업에서의 리스크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수산업이 마주한 리스크 요인을 탐색하고, 지역별 수산업의 구조, 그리고 지역 수산물 공급지장이 야기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고, 이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지역 수산물 산출액 1원의 공급차질이 야기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부산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후로 강원, 경남, 경북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상이한 수산업의 규모를 고려하여, 지역 수산물 산출액 1%의 공급지장이 야기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마찬가지로 부산에서의 파급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전남, 경남, 제주 등의 지역에서 발생하는 공급지장효과도 크게 나타남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의 각별한 리스크 관리 및 대응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데이터 기반 정책지원 대상 우수 중소기업 발굴 방법론 연구: 국내 수산산업을 대상으로

        황순욱,천동필 한국수산경영학회 2018 수산경영론집 Vol.49 No.1

        The Korean fisheries industry is a traditional business, the majority of which ar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outh Korean economies in the past several decades, but it currently faces the limitations of growth potential and profitability due to declining workforce, aging populations, deteriorating fishery environments, climate changes, and rapid changes in the global industrial ecosystem. Many studies have suggested solutions for the fisheries industry in macro perspective, but there are rarely any studies taking the strategic approaches for the problem. If it is possible for governments to support the companies that are likely to increase their value-added selectively, it will break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more effectively. This paper introduces a study on the selection method utiliz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o find SMEs with potentials to increase profits and growth. We suggest selecting SMEs with high management efficiency and ability to utilize intangible assets as the target companies. We also suggest policy objectives for SMEs in the domestic fisheries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of DEA analysis and propose a data-based method for the policy decisions. 본 연구는 수산산업 대상으로 하는 정부정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한 정부지원 대상 우수기업 선정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미래의 이익의 질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영효율성을 지니면서, R&D를 통한 혁신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여겨지는 무형자산성과가 높은 수산산업 내 중소기업을 지원 대상으로선정하기 위하여 DEA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선정을 위해 KIS-Value DB의 2014~2016년 재무정보를사용하였고, 해양수산부(2015)가 제시한 수산산업 분류기준을 통해 국내 수산산업에 속한 543개 기업을 분류하였으며, DEA를 사용하여 국내 수산산업의 경영성과와 무형자산성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산업의 대분류기준으로 분석 범위를 설정하여 수산산업 전반의 상황을 살펴볼 수 있었으나, 수산업 내 중분류 기업들 간에 이질성이 높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각 중분류별로 분석한 후 전체를통합하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근대 회사의 초기 자본금 동향 분석: 수산회사를 중심으로

        김진백 한국수산경영학회 2022 수산경영론집 Vol.5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itial capital trend of newly-established fisheries compan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initial capital size of fisheries companies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viability of the fisheries companies as well as the utilization intensity of fisheries resour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initial capital size of fisheries companies was larger in the enforcement period of “Chosun Company Ordinance” than in its abolition period. The initial capital size of the Chosun-capital fisheries company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Japanese-capital fisheries compan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number of new fisheries companies funded by Chosun capital was less than the number of new fisheries companies funded by Japanese capital.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e Japanese fisheries companies had stronger dominance in the fisheries sector than the Chosun fisheries compani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at Japanese fisheries companies were more viable than Chosun fisheries companies.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수산회사의 초기 자본금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이 시기 수산회사의 수산 분야 지배력과 생존 가능성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조선회사령」 시행기 동안에는 33개의 수산회사가 신설되었으며, 그 중 일본 자본 회사가 24개로 72.7%를 차지하였고, 폐지기 동안에는 678개 수산회사가 신설되었으며, 그 중 일본자본 회사가 358개로 52.8%를 차지하였다. 「조선회사령」 시행기보다 폐지기의 신설 수산회사가 월등히 많았다는 것은 「조선회사령」이 회사 설립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조선회사령」폐지기에 조선자본에 의한 신설 수산회사의 비중이 시행기보다 증가하였다는 것은 「조선회사령」의 부정적 영향이 일본인보다는 조선인에게 더 많이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일본유용수산분류표」의 특징과 편찬 목적에 대한 분석

        서경순,이근우 한국수산경영학회 2023 수산경영론집 Vol.54 No.3

        『일본유용수산지』 편찬과정에서 미리 발간된 「일본유용수산분류표」는 수산 동식물을 하나의 표로 분류·정리한 첫 자료이다. 그러므로 이 「분류표」는 당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다만 동물학회는 이 「분류표」가 전통과 현대적 분류가 뒤섞여 있고, 오류가 너무 많다고 즉각 지적했다. 그러나 「분류표」를 작성한 야마모토 요시카타와 내용의 검토를 담당한 다나카 요시오는 전통적인 분류법의 신봉자도 아니었고, 현대 분류법에 대해서도 무지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당시 잘 알려진 동물 분류와는 사뭇 다른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예를 들어, 해양 생물의 상위 분류는 같은 수준의 분류 계급이 아니며, 문(門)과 강(綱)을 함께 쓰고 있다. 수충부에는 절지동물문, 극피동물문, 연형동물문, 강장동물문 등 여러 문(門)이 함께 들어 있다. 이처럼 당시 동물학계에서는 「분류표」의 동물 분류법을 납득하기 어려웠다. 이 특이한 분류법은 「분류표」가 유용한 수산물의 분류를 의도한 것이고, 학술적인 분류를 그대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모든 수산물의 학술적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산물의 수집·제조·수산업 종사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유용수산지 의 이러한 원칙은 일본수산포채지 나 일본수산제품지 에서도 확인된다. 수산물의 수집·가공과 관련해서 포유류인 고래를 잡는 방법과 고래를 해체하고 기름과 고기를 얻는 방법을 학술적 분류에 따라 보여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 책에서는 마른 오징어, 전복, 상어 지느러미, 해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당시 가장 중요한 수산물이 먼저 제시된 셈이다. 다소 기이한 분류표 내용을 보면 일본유용수산지 의 편찬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The ‘Japanese Useful Fisheries Classification Table’, published in advance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Useful Fisheries of Japan”, is the first data to classify and introduce fisheries animals and plants in a single table. Therefore, it had received public attention immediately. However, The academy of animal studies at that time quickly pointed out that this classification table was a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classifications, and that there were too many errors. However, Yoshio Tanaka, who was in charge of revising Yamamoto Arikatana, that wrote the classification table, was not an adherent of traditional taxonomy, nor was he ignorant of modern taxonomy. Nevertheless, the classification table,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well-known zoological classification at that time, was prepared. For example, the top classifications of marine organism are not at the same level, but rather a mixture of phylum and class, while the water insect contains several phylums, including Arthropoda, Echinodermata, Mollusca, and Coelenterata. As such,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animals in the classification table was hard to understand in the zoological academy at that time. The reason for this unusual taxonomy was that the classification table showed classification of useful fisheries products, not intended to convey academic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for the purpose of academic classification of all fishery products, b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tandard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engaged in the collection, manufacture, and aquaculture of fishery products. This principle of ‘Useful Fisheries of Japan’ is also ascertained in the “Fishing Methods of Japan” and “Fishery Products of Japan”. Regarding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marine products, it could have shown how to catch whales, which are mammals, and how to dismantle whales and obtain oil and meat, according to academic classifications. However, the first appearances in the book include dried squid, abalone, shark fins, and sea cucumbers. In other words, the most important fishery products at that time are presented first. The contents of the classification table, which is considered somewhat bizarre, show where the purpose to compile Useful Fisheries of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