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열적 교류의 사회심리: 공손성과 서열관계 스트레스

        문찬기,한규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7 No.4

        Hierarchical relationship is a very prominent feature of Korean society. We conducted three empirical investigations on this phenomenon from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Study 1 and 2 examined the politeness behavior in writing a letter as affected by the status of interacting partner’s relative status (senior/ equal/ junior in Study 1 and senior/ junior in Study 2).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between the interacting parties and the effect of gend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etters written to the superior was more polite and all adopting honorifics than those written to the junior/equal in placing a request (Study 1) and in declining a request placed on (Study 2). This hierarchy effect was equally strong both gender and hold even when the relationship is close although the extent was decreased (Study 2).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politeness behavior (Brown & Levinson, 1987). This robustness of hierarchy effect regardless of context is not accountable from a strategic use of politeness. We must attend to the normative power of hierarchy observed in Korean society. Study 3 investigated the phenomena related to relational stress of hierarchy. 200 college respondents rated their feeling of discomfort to each of the behavior violating interactional norm by the partner. The relationship with partner was close or distant and senior or junior.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the violations were committed by juniors or acquaintances,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degree of hierarchy relational stress. These three studies conceptualized hierarchical relational stress as common in daily relationship.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psychology should attend to the honorifics for its observation is necessary for a normal flow of communication among Korean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for the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conflict and politeness and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한국사회 대인교류의 중요한 특징인 서열성이 사람들의 심리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보고자, 공손성과 서열관계 스트레스를 연구하였다. 연구1과 2에서는 일상생활에서 강하게 작동하고 있는 서열사회의 행동적 규범(공손성, 존비어의 적절한 사용)이 상대방의 상대적 서열(윗 사람, 또래, 아랫 사람)과 친소관계에 따라 변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상대방이 윗 사람일 경우, 아랫 사람일 경우에 비해 부탁을 하는 글의 내용(연구 1)과 상대방의 부탁을 거절하는(연구 2) 글의 내용에서 공손성이 높게 나타났다. 공손성에 미치는 서열성의 효과는 성차가 없었으며, 상대방과의 사회적 거리감이 높은 경우에는 물론, 거리감이 적은 (친한) 사이에서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구의 공손성 이론(Brown & Levinson, 1987) 및 관련 연구들과 차이를 보이며, 한국사회에서 서열성에 의한 공손성의 차이는 개인의 전략적 선택이기 보다는 규범적으로 나타나는 것임을 보여준다. 연구3에서는 서열관계의 통상적인 규범에 부적합한 상대방의 행위를 접했을 경우에 느껴지는 불편감을 서열관계 스트레스로 보고, 이의 작용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변인으로 관계의 서열성과 친소감의 효과를 상황각본을 이용한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대학생 200명(남: 88, 여: 112)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람들이 받는 서열관계 스트레스는 상대방이 아랫 사람일 경우에 크며, 얼굴만 아는 사이일 경우에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존비어를 매개로 소통이 이루어지는 한국인의 교류에서 서열성 관련 사회심리를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논의가 한국사회의 갈등을 이해하고, 존비어 사용에 수반되는 사회현상의 문제점을 포착하는데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계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2

        본 논문은 청소년들의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을 설명하는 권위주의성격이론, 사회정체감이론 및 현실갈등이론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는 권위주의경향성, 사회정체성, 현실갈등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사회 다문화수용성의 증진을 위한 교육방안의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3,185명의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인노동자, 국제결혼가정자녀, 새터민, 조선족 등에 대한 태도에 권위주의적 공격주의, 한민족정체성, 현실갈등인식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현실갈등인식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설정 및 내용구성 시 외국인이 한국사회에 들어옴으로써 한국사회가 위험해지거나 한국인의 것을 빼앗아 갈 것이라는 막연한 두려움에 대하여 객관적 정보와 중립적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내용임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Korean adolescents' attitude to minority groups. For this purpose, 3,185 Korean adolesc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such as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Korean identity, feeling of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and attitude to foreign laborers,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North Korean refugee, and Chinese Koreans in Korea. As the results,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was found a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the three factors to explain the attitude to minorities in the Korean society. This results sugges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Korean majority adolescents has to primarily focus not only on the feelings of realistic conflict perception but also on the vague fear toward minority groups by providing the objective information and neutral perspectives.

      • KCI우수등재

        한국의 사회적 위기사건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 지각된 직접 노출·간접 노출 간 다집단비교

        이나빈,민문경,안현의,천혜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9 No.3

        When societal crises occur(e.g., natural disasters, politically motivated assassination, or mass killings during anti-government movements), people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with others in person or via social media. This is referred to as social sharing. Our study aimed to find out how social sharing mediates the memory of such major events and the individuals’ capacity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identity(i.e., event centrality).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differences among memory characteristics (vividness,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valence) as they are mediated by social sharing which eventually may help or hinder the individual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lives.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s who perceive that they directly experienced the event (e.g., had be present at the scene, was a victim or knew the victim closely) versus those who were indirectly affected (e.g., watched on the new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f Korean major societal events experience, and used the scales from 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Sutin & Robins, 2007) and Central Event Scale (Bernsten & Rubin, 2006) to test for our hypotheses.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was n=286, and indirect exposure group was n=532. Results from the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ocial sharing fully mediated vividness and the event centrality in a indirect exposure group only. And social sharing partially mediated emotional intensity and event centrality in both groups. Especially, in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the effect of emotional intensity on social sharing is more high than a indirect exposure group. In the case of negative emotional valence,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whereas indirect exposure group did not. Further discussion is included regard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주요 사회적 위기사건들에 대한 개개인의 기억특성이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사회적 공유가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검증하고, 사회적 위기사건에 직접 노출된 집단과 간접 노출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1065명을 대상으로 제시한 한국의 주요 사회적 사건 목록 중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가지 사건을 정하도록 하고, 그 사건에 대한 기억특성 및 사회적 공유(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사건 중심성(Centrality of Event Scale)을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는 사회적 위기사건을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 선택한 818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후 ‘자신이 선택한 사건을 직접 경험했는지’를 묻는 문항에 응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818명의 자료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N=286)과 간접 노출집단(N=532)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서 연구모형에 유의한 경로계수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이 사회적 공유를 완전 매개하여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쳤다. 정서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공유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 정서강도와 사회적 공유의 직접 관계가 더욱 높았다. 부정정서의 경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가 부정정서 수준과 사건 중심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직접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판 DSM-5 성격검사(PID-5)의 신뢰도와 타당도

        신소영,황순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0 No.3

        This research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 - which is based on ‘Pathological personality traits’, the core criterion of DSM-5 Section Ⅲ personality disorder - after translating it into Korean language. The test comprises of 5 domains - negative affect, attachment, antagonism, disinhibition, psychoticism - and each domain comprises of 25 detailed facets, and there are total 220 questions (219 in the Korean version).To 607 adults over the age of 18, along with the Korean version of PID-5, the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and PSY-5 wer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collected data. As the result of analyses, first, the Korean PID-5 showed appropriat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Secondly, reviewing the factor structure, the facets of negative affect domains, attachment domains and psychoticism domains were identical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However, the facets of antagonism domains and disinhibition domains were difference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Thirdly, the Korean version’s PID-5 face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personality disorder’s core personality traits. Fourth, the Korean version’s PID-5 facet showed relative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SY-5’s related scales. The results above show that, although there are partial differences to the results of preceding overseas research, the PID-5 is measuring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various personality disorders in this country relatively well,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tool for evaluating DSM-5 Section Ⅲ personality disorders. 본 연구에서는 DSM-5 Section Ⅲ 성격장애의 핵심 준거인 ‘병리적 성격 특질’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DSM-5 성격검사(The Personality Inventory for DSM-5; PID-5)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검사는 부정적 정서성, 애착상실, 적대성, 탈억제, 정신병적 경향성이라는 5개의 ‘영역(domains)’으로, 각 영역은 다시 25개의 세부적인 ‘양상(facet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20개(한국판은 219문항)의 문항으로 되어있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607명에게 한국어판 PID-5와 함께 성격장애 진단검사, 정신병리 5 요인 척도(PSY-5)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한국판 PID-5의 내적 일관성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이었다. 둘째, 요인구조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 정서성 영역(domain), 애착상실 영역, 정신병적 경향성 영역의 양상(facets)은 원판의 요인구조와 동일했다. 그러나 적대성 영역과 탈억제 영역의 양상은 원판의 요인구조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PID-5 양상은 각 성격장애의 핵심 성격 특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한국판 PID-5 양상은 PSY-5의 관련 척도와 대체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외국의 여러 선행연구 결과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기는 했으나 PID-5가 국내에서도 다양한 성격장애의 중요한 특징들을 대체로 잘 측정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DSM-5 Section Ⅲ 성격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 사회 불안 수준의 변화 : 개인 표상과 사회 표상

        이종택,최인철,박수애,김범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2 No.1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1) to explore the change pattern of societal anxiety and 2) to examine the major anxiety-inducing issues in Korean society. In study 1, we surveyed 301 respondents about their perceptions of societal anxiety and anxiety-inducing issues at various times. In study 2, we analyzed newspaper articles that dealt with societal anxiety published between 1973 and the present. Data analysis shows that survey respondents recalled a gradual increase in societal anxiety but predicted a decrease in societal anxiety in the future. This change pattern of subjective experience of social anxiety was supported by newspaper analysis in Study 2.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social anxiety induced increased from the past to present. We discuss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본 연구에서는 사회 불안 수준을 예측하고 사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사건들의 발생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우리 사회의 사회 불안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01명을 대상으로 연구 1을, 2개 신문을 대상으로 연구 2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 모두 지난 10여 년간 우리 사회의 사회 불안 수준이 점진적으로 높아졌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미래의 사회 불안 예측은 현재보다 사회불안 수준이 더 낮을 것으로 판단하여 미래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은 과거에는 정치적 사건이 그리고 현재에는 경제적 사건이 많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미래의 경우에는 정보 관련 사건이 사회 불안에 더 많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한편, 신문기사분석을 실시한 연구 2에서는 과거에 비해 현재에 가까워올수록 사회 불안과 관련된 기사의 수가 더 많아 우리 사회의 사회 불안 수준이 점점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 개념, 방법, 흐름과 주제

        김명철,민경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4

        Creativity is one of the most profound needs of humanity as it allows realization of optimal experience and self-actualization. However, despite its social interest and acknowledged importance, creativity has been underinvestigated as a scientific research topic in the field of psychology. One main reason for this disregard is that researchers are suspicious of the validity of the definition and of its methodology which is largely grounded on the psychometric tradition of creativity research where creativity is defined as a divergent think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creativity that is defin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as a creative process and the individual who produces both nevel and useful products are appropriate as a scientific research topic. Especially,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of creativity that follows this sociocultural concept and methodology contributes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its own special way. In this article,we describe definition, methodology and research trends of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i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is field of study. We review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in a special attention to the meaning of each study as we structuralize its trends as (a) Theories for process and system, focusing on creating process' temporal and procedural integrity and its social system; (b) Theories for context and motivation,covering the effect and context of creator's state motivation, flow and emotion; and (3) Theories for group process, focusing on creating process where more than one creator is involved, that define factors that make a group become creative in an effective way. Finally, based upon the relation between three trends, we discussed the contribution of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to understand creativity itself as a whole and to understand korean creativity. 인간의 근본 욕구이자 최적 경험이며 자기실현인 창조성은 그 중요성과 사회적 관심에 비해 과학적 심리학의 연구주제로서는 위상이 낮은 편이다. 그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연구자들이 창조성 개념의 정의와 그 측정 방법의 타당도에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것인데, 이는 창조성을 확산적 사고 능력, 즉 창의성(創意性)으로 정의하는 심리측정론적 개념과 그 방법의 타당성 문제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 반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새롭고 유용하다고 합의되는 산물을 생산하는 개인과 창조과정의 특징으로 창조성(創造性)을 정의하는 창조성의 사회문화적 정의 및 방법은 과학적 연구 주제로 타당하며, 특히 이러한 개념과 방법에 따르는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는 창조성에 대한 온전한 이해에 독특하게 기여한다. 이에 본 논문은 창조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 창조성의 사회문화적 개념과 그 연구방법을 살펴보고,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 흐름을 개관한다. 특히 각 연구의 함의에 주목하여 (1) 창조과정의 절차적 전체성에 주목하고 창조의 사회적 체계를 강조하는 ‘과정과 체계의 창조성 이론’, (2) 내적 동기 및 몰입을 중심으로 창조자의 동기와 정서가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창조에 적합한 마음 상태를 만드는 환경요소를 탐구하는 ‘맥락과 동기의 창조성 이론’, 그리고 (3) 2인 이상의 창조자가 관여하는 창조과정에 주목하여 집단의 효과적 기능 조건을 탐구하는 ‘집단 과정의 창조성 이론’의 세 가지 흐름으로 구분하여 각 연구주제를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흐름의 상호관련성을 바탕으로 창조성의 사회심리학적 연구가 창조성의 넓고 깊은 이해에 기여하는 바를 강조하고, 한국사회의 창조성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정태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을 역사·문화적 분석을 통해 그 원천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근대 이전 전통적 한국사회가 가지는 여러 특성 중에서 집단주의적 성격과 관련된 요인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사회가 가지는 집단주의적 성격을 두 가지 측면에서 알아보고, 그 원천에 대한 역사·문화적 접근의 이론적 틀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 구체적으로 전통사회의 지리적 및 행정적 조건과 관련해서 서민들의 삶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 촌락의 구조와 통치의 측면을 알아보았다. 또한, 전통사회의 경제적 특징으로 수도작(水稻作) 중심의 농경생활과 그와 관련된 다양한 협동노동관행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통사회 운용의 이념적 기틀을 제공한 유교가 촌락민에게 보급된 경로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여가와 관련해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를 알아봄으로써 노동 이외의 시간에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삶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서 한국사회가 보이는 집단주의의 원천을 논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trace by historical and cultural approach the roots of collective features held by Korean society. For this goal,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the factors which were related to collective characteristics within the contexts of pre-modern Korean society. First, structur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Korean villages, which implemented strong impacts on the lives of the villagers, were examined. Second, as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society, agricultural life centered on rice cultivation and its relevant practices of cooperative working were reviewed. Also, the processes how Confucianism, which offered ideological framework of governance on the pre-modern society, was infiltrated to the residents of the villages were examined. Finally, their life was studied by observing yearly practices and folk plays in relation to leisure. Given all of these, the sources of Korean collectivism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원 검사와 단축형 검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상민,조은실,박용천,최기홍,서동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6 No.4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of 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Short Form was conducted and verified whether it was equivalent to the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 of the original form. Collected 1,059 people data for BDPI validation study was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10 high-order factor score of General personality 5 and Maladaptive personality 5 factor. In BDPI original form, latent group was determined as three groups. and BDPI short form’s latent group was determined as three groups like the orignal form. These three groups were named as “well-adjusted personality group”, “ordinary personality group”, “maladaptive personality group”. As a result, the score distribution of each group of the two forms were similar each other like that score distribution was found before, the percentage agreement between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was 86.89%, and the Cohen’s kappa coefficient between the original form and the short form was .778, showing a significant level of agreement.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scores according to three latent groups of the short for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scores of the high-order 10 factors according to the latent group was confirmed, the two groups with no score difference in general personality tra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adaptive personality trait. The latent groups predict differently Self-Report Standardized Assessment of Personality- Abbreviated Scale(SAPAS-SR) score, which proved prediction validity of BDPI-SF. The score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aladaptive personality group predicted the high SAPAS-SR average score. Finally,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Bright and Dark Personality Inventory, BDPI)의 단축형 검사의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원 검사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와 동등한지를 검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에는 총 1,059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형 다차원 성격검사의 5개의 일반 요인과 5개의 부적응 요인 상위 10요인 점수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BDPI 원 검사의 잠재 집단은 세 집단으로 나타났고, 단축형 검사도 원 검사와 동일하게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진은 세 집단을 적응형 성격 집단, 보통 성격 집단, 부적응형 성격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두 검사의 각 집단 별 점수 분포를 확인해본 결과 유사한 점수 분포가 나타났으며, 원 검사와 단축형 검사의 퍼센트 일치도는 86.89%로 높은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고, Cohen’s kappa 계수는 .78로 상당한 수준의 일치도를 보였다. 단축형 검사의 잠재 집단에 따른 성격 요인 점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일반 성격 5요인과 부적응 성격 5요인 모두 집단에 따른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잠재 집단에 따른 상위 요인 10개의 성격 요인 점수의 차이를 확인했을 때 일반적 성격 특성에서 점수 차이가 없던 두 집단이 부적응적 성격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도출된 세 집단이 실제 부적응 성격인 성격장애 점수를 예측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판 축약표준성격평가-자기보고형(SAPAS-SR) 점수를 종속변수로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에 따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부적응형 성격 집단이 SAPAS-SR에서 가장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섭식관련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조성실,박기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 among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to thinness,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in adolescent girl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ognitive distortion mediate that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s affect binge eat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51 female adolescent composed of 206 middle school girls and 345 high school girls were involved in the study and responded to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vised Personal Style Inventory, Tripartite Influence Scale-Revised, The Mizes Anorectic Cognition Scale and Bulimia Test Revised were used to measure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s,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Mediated effect of cognitive distortion among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s and binge eating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girls discriminated into binge eating group and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Bulimia test revised scores. The result of compared two groups was that binge eating group have a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BMI),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s, cognitive distortion than normal group. Second,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and cognitive distortion were related significantly to binge eating. Third, The result of mediated analysis were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and cognitive distor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inge eating behavior and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fully mediating model of the cognitive distortion fitted the data. In other words,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 indirectly affect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by through cognitive distor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지향성,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 섭식관련 인지왜곡과 청소년 여학생의 폭식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왜곡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여학생 55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중학생은 206명, 고등학생은 345명이었다. 연구의 주요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성격양식 질문지(PSI-Ⅱ), 삼자영향 척도(TIS-R), Mizes의 인지왜곡 척도(MACS),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T-R)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성 폭식증 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청소년 여학생들을 폭식경향 집단과 정상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폭식경향 집단에서 신체질량지수(BMI),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 폭식행동 간 관련성이 유의하였다. 셋째, 매개분석 결과,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이 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인지왜곡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섭식관련 인지왜곡을 매개로 하여 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긍정적 태도 척도 개발과 타당화

        현경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3 No.2

        This study explored the components of positivity that help adult Koreans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elf and the society.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was conceptualized as a core characteristic of positivity that enables one to find meanings in and/or to create meanings for the self and the society in which one lives. Thus positive cognitive tendencies such as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were hypothesized to promote self-acceptance, self-belief, self-control, adaptation to and acceptance of the society. Based on these conceptualizations of individuals' positivity, preliminary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itive attitude scale was attempted, using 352 college students and 401 adults. As expecte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6 factors, which were named as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self-belief, self-control, social adaptation, and acceptance of society. Among these factors, however, self-belief factor was excluded because its items were found to be loaded with other factors as well, and becaus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5 factors model better than the other one. The final 5 factor scale was found to be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imilar positive traits of the self as well as with psychosocial well-being variables in an expected direction, suggesting that the scale has good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As for incremental validity, positive attitude scale augmented prediction of positive emotion and stress-related reactions beyond a self-esteem measur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line of research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역경에서나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을 탐색하고 그 구성개념에 따라 긍정적 태도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긍정성을 자신과 자기가 속한 사회를 다각도로 살펴 긍정적 측면에 주목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인식성향과 그에 따른 긍정적 태도로 규정하였다. 한국인의 긍정성은 긍정적 관점, 자기긍정성, 사회긍정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긍정적 시각을 촉진하는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소신, 자기조절, 사회적응, 사회수용과 같은 특성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론추출 방식과 경험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척도문항들을 선정하였으며, 서울과 대구지역의 대학생 373명과 일반 성인 401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론적 예측과 일관되게 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하지만 이중 자기소신 요인은 해당 문항들에서 타 요인에 중복 부하된 것이 많이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요인의 적합도가 6요인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요인의 순수성과 척도의 간명성을 위해 제작과정에서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긍정적 태도 척도는 긍정관점 요인 1개(다각화), 자기긍정성 요인 2개(자기수용, 자기조절), 사회긍정성 요인 2개(사회적응, 사회수용)로 구성되었다. 제작된 척도의 구성타당도, 내적합치도 및 구인, 예측, 증분 측면에서의 타당도는 적절하게 나타났다. 예측대로 이 척도는 자존감, 희망감 등의 긍정적인 자기특성 변수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심리사회적 안녕 변수들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긍정적 정서 및 스트레스 관련 변수들에 대한 자존감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긍정적 태도의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