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상사학의 성찰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이 글은 해방 후 한국사상사학의 전개 과정을 제도, 담론, 실천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제도의 측면에서 한국 사회에서 생산된 ‘한국사상사’ 저술들을 일별하고 특징을 논했고, 담론의 측면에서 한국사상연구회에서 담론적으로 제기한 ‘주체’에 주목하여 사상과 주체의 관계를 살폈으며, 실천의 측면에서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 과정에서 논란된 ‘사회’에 주목하여 사상과 사회의 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제도권에서 한국사상사에 관한 저술들이 개설서, 총서, 교양서, 교재, 입문서 등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었으나 아직 엄정한 단행본 연구서가 출현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한국사상연구회의 한국사상 담론이 한국사상사의 반성과 주체의 재발견에 놓였고, 이러한 견지에서 동학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의 다양한 주체를 검출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는 주로 사회사상사를 지향했는데, 고대사상 분야에서는 교리사에서 벗어난 사상사가 추구되었고 조선후기 실학 분야에서는 사회경제사와 밀착한 사상사가 추구되었다. 전자의 경우 교리사 위주의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과 사회의 관련 속에서 사상사의 외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후자의 경우 이에 대한 비판으로 사회경제사에 포박된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사의 내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제언이 대두하였는데, 이는 모두 사상사 연구의 실천 과정에서 획득한 사상사 방법론에 관한 중요한 논점이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kind of books has been published or compiled as works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since the year of 1945? What kind of questions can we ask about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ubject which was central to basic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and also what kind of question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which was core to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y? From these questions this paper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not a few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primers, textbooks, introductory books, books of culture, series books and so forth, but strictly speaking, no professional research book covering all kind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appeared in public. Secondly,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made significant discourse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in the direction of two ideas of the reflec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and the re-discovery of true subjects of thoughts in Korean history. Donghak(東學) was considered exemplary enough to satisfy these two ideas, namely ‘reflction’ and ‘re-discovery’, and welcomed as such among contributors and editors of the above research society. Lastly,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tended towards social history of ideas, for instance,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 and the late Joseon Korea. In this case, the former research approached ancient thoughts out of religious doctrines, the latter research drove late Joseon thoughts into socioeconomic historical contexts in favor of the so called Shilhak(實 學). Both of them were in search of the external contexts of Korean thought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It was characteristic of early studies in the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history. However, the critique of the external context and the pursuit of the internal context came to grow up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oughts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tendency finally resulted in questioning the historical knowledge of Shilhak formed on the basis of the socioeconomic contexts.

      • KCI등재

        한말 일본유학생들의 자기인식과 계몽논리: 1900년대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

        이태훈 ( Tae Hoon Lee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5

        1900년대 일본유학생들은 자유로운 조건 속에 일본에 유학한 첫 번째 유학생집단이자, 스스로를 한국사회를 근본적으로 개혁할 주체라고 인식한 지식인 집단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한국사회의 남루한 현실과 계몽의 목표사이에서 한국사회를 근본적 개혁대상으로 사고하였고, 이는 한국사회와 한국민의 주체적 능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이어졌다. 또한 한국사회를 ‘근본적’ 개혁대상으로 간주하는 사고는 존재의미를 무시당한 한국사회의 반발을 가져왔고, 이는 다시 현실에 대한 유학생들의 실망으로 이어졌다. 결국 불안한 현실에서의 위상, 한국사회의 중견이라는 과잉된 자부심, 외면당한 한국사회에 대한 실망감 속에 유학생들은 내적으로 끊임없이 동요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일거에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정치적 모험에의 투신과 자기 자신만을 위해 살아가는 ‘이기적 삶’의 모습들이 점차 대두하였다. 한말 애국심의 고양을 주장하며, 근대국가로의 개혁을 열정적으로 제창한 일본유학생들이 자신들의 주장과 달리 대거 식민지배에 포섭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근대 문명국가와 낙후된 한국사회, 계몽주체로서의 자신과 근본적 계몽대상으로서의 한국인민이란 대립구도 속에 한국사회와 인민을 주체로 상정할 수 없었던 그들의 사고가 배태한 한계점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사회의 주체적 자립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민을 조작과 계몽의 대상으로 위치 짓는 사고에서 벗어나 계몽지식인 자신의 한계를 발견하고, 민의 주체적 의지, 조건에 기반한 새로운 사상과 활동의 전망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그것은 계몽의 절대적 주체라는 자기 인식을 비판적으로 극복하여, 한국사회의 현실로부터 사상을 재구축해야 함을 의미하였다. 한말 유학생단체의 간부로서 유학생집단이 갖고 있는 자기성찰의 결여, 거만한 계몽선지자적 모습을 비판한 조소앙이 민족운동에 투신하여 삼균주의를 제기한 것은 그런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Korean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around 1900s were the first group of students who went to Japan with their own free will. They also had proud as the enlightening leader of Korean nation. However, they saw Korean society and Korean people negatively not possessing an ability to make their own subjectivity. They believed that Korean society and people was an object of enlightenment, and should be radically reformed. As a result, they had serious tensions with Korean people, an object of enlightenment. The anxiety on their social status accruing from the discredits for their leadership in Korean community, and yet excessive proud for themselves, made these students disappointed and stratified from their earlier path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hey started to pursue a new political experiment and rather to focus on “private life.” It was not an accident that many study-abroad students abandoned their previous national vision and began to adapt themselves in colonial governance. It was the result of their despair in applying their theory to Korean society and people as an absolute object of enlightenment. The limits of these study-abroad students` movement required a further national vision that could reflect upon peoples` real life. One of the study-abroad students` leaders, Cho So-ang`s criticism on his fellow students for their lack of self-reflection, and his later dedication to nationalists` movement and enthusiasm for egalitarianism, thus, were from this historical less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제하 백남운의 부르주아 경제사학 비판과 맑스주의 역사인식의 형성과정

        이태훈 ( Lee Tae Hoo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4

        잘 알려져 있듯이 일제하 조선사회경제사연구를 개척한 백남운이 극복해야 했던 가장 큰 문제는 ‘조선사회정체성론’이었다. 그의 스승 후쿠다 도쿠죠가 주장한 ‘정체성론’은 조선역사의 발전과정과 조선민족의 현실극복가능성을 부정하는 논리였다. 식민지 민족해방을 목표로 조선역사를 연구했던 백남운이 피할 수 없는 문제였다. 그러나 백남운은 조선정체성론의 발상지인 도쿄상과대학에서 학업을 시작하였고, 1920년대 후반까지도 자신의 배운 역사방법론을 극복할만한 방법론적 체계를 갖고 있지 못했다. 더욱이 조선사회정체성론은 조선역사에 대한 주장일 뿐만 아니라 보편적 경제발전법칙에 대한 주장이었다. 조선사회정체성론을 극복해야 했던 백남운으로서는 조선역사에 대한 주장과 더불어 역사연구방법론을 함께 극복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였다. 불충분한 학문기반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한 백남운은 초기에는 후쿠다 도쿠죠의 방법론 안에서 조선역사의 정상성을 확인하려 하였다. 조선의 시장과 사회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었다. 그리고 이런 사례연구를 통해 후쿠다의 논리로도 조선역사의 발전을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사례를 통한 연구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가 연구한 사례로는 토지소유권의 미발달 같은 정체성론의 핵심문제를 반박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그의 주장은 후쿠다의 연구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었기 때문에 다른 증거에 의해 얼마든지 반박될 수 있는 것이었다. 후쿠다의 연구방법론을 근본적으로 극복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이런 한계를 알고 있던 백남운은 후쿠다의 방법론 저변에 존재하는 부르주아 사회과학의 본질과 경제사연구방법론의 한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그가 도달한 결론은 부르주아 사회과학의 본질은 사회내부의 모순관계를 부정하거나 인식할 수없는 지배이데올로기라는 것이었다. 또한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경제사연구방법론은 사회내부의 모순관계를 특수성과 형태중심논리로 은폐한다는 것이었다. 자신이 극복해야 할 경제사연구방법론의 근본적 한계가 특수성과 형태중심 인식에 있다는 생각은 경제사회관계의 발전과정을 ‘잉여착취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하였다. ‘잉여착취관계’의 보편적 발전과정을 해명하는 연구방법론으로 역사적유물론을 인식한 것이었다. 역사유물론의 핵심을 ‘잉여착취관계’의 발전과정으로 파악한 백남운은 ‘조선사회경제사’를 보편적 잉여착취관계의 발전사로 설정하였다. 즉 씨족공산제, 노예제, 아시아적 봉건제를 거쳐 근대 자본주의로 발전해 가는 보편성의 역사였다. 물론 그의 이런 주장은 아시아사회의 정체적 성격에 주목한 사회주의 지식인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잉여착취관계 발전’의 보편성이야말로 지배계급의 역사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의 핵심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였다. 학문연구를 통해 맑스주의에 도달한 그와 운동을 통해 맑스주의에 도달한 다른 사회주의 지식인들과의 차이점이었다. 그리고 이런 역사인식의 차이는 현실인식의 차이로 이어지며, 해방 후 조선공산당과 다른 국가건설론을 주장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As is widely known, Paek Nam-un, who opened the research area o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rule, had to overcome the so-called “theory of the stagnation of Korean society.” Paradoxically, Fukuda Tokuzo, one of Paek’s teachers was a pioneer of “stagnation theory” in which Fukuda denied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the history of Korea and even the prospect for Korean people’s future. Paek Nam-un studied in the Tokyo Commercial College (the precursor of Hitotsubashi University) where the theory of the stagnation of Korean society was initiated, and until the late 1920s he did not have any methodological framework to refute the historiography he was learning in Tokyo. The theory of stagnation of Korean society was not only an explanation for Korean history but also an assertion about more universal principle of economic development. This means that Paek, who had to disprove the theory of stagnation of Korean society, had also assignment to go beyond the historiographical paradigm itself surrounding stagnation theory. Conducting research with limited academic foundation, Paek Nam-un made effort to find out the ‘normality’ of Korean history within Fukuda Tokuzo’s theoretical framework. Especially through his historical case studies on Korean markets and social organizations, Paek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could be found and proved even in the perspective of Fukuda’s theory. However, Paek’s case studies had clear limitations because they could not directly refute the core assertion of stagnation theory like the ‘underdevelopment of landownership.’ Furthermore, Paek’s argument was still rooted in Fukuda’s theoretical framework and thus could be overturned by another cases or examples at any time. Paek had to get over Fukuda’s paradigm itself fundamentally. Paek Nam-un began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bourgeois social sciences and economic-historical studies on which Fukuda’s theory was based. Paek contended that the essence of bourgeois social sciences was dominant ideology, which was unable to recognize or acknowledge contradictions inside the society. Paek also asserted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of economic history as a part of the bourgeois social sciences had concealed the relationship of contradiction inside the society with the perspectives of uniqueness and formation. All his arguments led to a conclusion that the relationship of exploitation of surplus value should be central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conomic social relationships. He understood historical materialism as a framework for elucidating the universal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loitation relationship of surplus value.’ Paek Nam-un defined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Korea’ as a development history of the universal exploitation relationship of surplus value, which followed the universal course of primitive communist society, slave society, Asian feudal society, and modern capitalist society. Of course, Paek’s historiographical framework was criticized by socialist intellectuals who paid more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sian stagnation. However, Paek firmly believed that the universal development of ‘exploitation relationship of surplus value’ was an essential scientific framework to overcome the historiographical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Paek’s scholarly approach to Marxism was different from socialist intellectuals’ political Marxist movement. This divergence of historiographical understandings led to the distinction in recognizing the political situation, which resulted in Paek’s differentiated advocacy for state-building from that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