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의 안정성

        이도경,박재은,김경태,도명진,정명준,이과수,김진응,하남주,Lee, Do Kyung,Park, Jae Eun,Kim, Kyung Tae,Do, Myung Jin,Chung, Myung Jun,Lee, Gwa Soo,Kim, Jin Eung,Ha, Nam Joo 한국미생물학회 2014 미생물학회지 Vol.50 No.3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대부분의 외래종 유산균주는 다양한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감소 하였으며, 일부 외래종 유산균주(L. helveticus, 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에 의해 증식률이 크게 감소 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향신료와 프로폴리스가 한국형 유산균주만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외래종 유산균주가 사용된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마늘, 양파, 파, 프로폴리스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에 저항성을 가지는 생존력이 강한 균주로 판단되며, 한국인의 장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사료된다. their survival rates could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diet, stress, senescence, and antibiotic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spices (garlic, ginger, scallion, onion, Chungyang red pepper, and red pepper) which have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used frequently in Korean diet, and propolis on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s. As a result, most Korean probiotic strains were resistant to all spices tested and propolis, and the growth rates of some Korean probiotic strains (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 were even increased by specific spices or propolis. But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rates of most of european probiotic strains were reduced by various spices or propolis, and the growth rates of a few european probiotic strains (L. helveticus, S. thermophiles) were greatly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specific spices. Likewise, all commercial probiotic products including Korean probiotic strains were rarely affected by spices tested. However, european probiotic product tended to be greatly reduced by garlic, onion, scallion, and propoli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biotic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have the strong viability and resistance to various spices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so that they might be appropriate for Korean intestine.

      • KCI등재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추출 조건별 항균활성

        배정윤 ( Jeong Yun Bae ),장하나 ( Ha Na Jang ),하지훈 ( Ji Hoon Ha ),박종호 ( Jong Ho Park ),박진오 ( Jino Park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원산지별 감초(한국은 제천감초, 우즈베키스탄산, 중국산)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추출조건은 추출용매(30% EtOH, 85% EtOH), 온도(40oC,60oC), 시간(6 h, 12 h)을 조절하여 총 8군으로 설정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disc diffusion assay, broth macrodilution assay 및 kill time curve assay에 의해 평가 되었다. 각각의 조건별 추출물들에 대하여 disc diffusion assay에 의해 각 원산지별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인 추출 조건을 선정하였다. 한국산 감초추 출물(85% EtOH, 40oC, 12 h)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P. acnes에 대하여 2.5 mg/disc에서 19 mm을 저해하였다.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는 액체 희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원산지별 감초추출물의 MIC와 MBC는 한국산 감초추출물에서 각각 156 μg/ml과 1,250 μg/ml로 우즈베키스탄 감초추출물(625 μg/ml과 2,500 μg/ml)과중국산 감초추출물(625 μg/ml과 5,000 μg/ml)보다 가장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다양한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원산지별 감초추출물 중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조건과 원산지가 F군(85% EtOH, 40oC, 12 h)에서 추출한 한국산 감초임을 확인 했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합성 방부제를 대신할 천연방부제인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Glycyrrhiza uralensis and Glycyrrhiza glabra extracts, with their countries of origin as Korea (Jecheon), Uzbekistan and China, were prepared under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There were 8 extraction conditions which the licorice were subjected to, and all conditions had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temperatures and times. Antimicrobial activity on skin flora was evaluated comparatively by a disc diffusion assay, broth macrodilution assay, and kill time curve assay. Based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ir extract confirmed by disc diffusion assay, we establishe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he Korean licorice extract (85% ethanol, 40oC, 12 h) showed the best activity amongst the samples examined. In particular,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was the high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s (MBC) of the licorice extracts revealed that the Korean licorice (156 μg/ml and 1,250 μg/ml) had bett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at of the Uzbekistani licorice (625 μg/ml and 2,500 μg/ml) and the Chinese licorice (625 μg/ml and 5,000 μg/ml). Taken together, it was shown that Korean licorice extracted in group F (85% ethanol, 40oC, 12 h) ha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mongst the licorices from the other countries of origin.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are 85% ethanol, 40oC, 12 h, and that licorice has a potential application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cosmetics products, thereby replacing synthetic preservatives.

      • KCI등재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 정량 및 방부력에 관한 연구

        김혜진 ( Hye Jin Kim ),장하나 ( Ha Na Jang ),배정윤 ( Jeong Yun Bae ),하지훈 ( Ji Hoon Ha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감초성분인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에서 항균활성 성분인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하여 비교평가하였다. 또한 challenge test를 통하여 가장 뛰어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인 메틸 파라벤과의 방부력을 비교하였다.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assay를 통해 측정한 결과, Liquiritigenin과 isoliquiritigenin이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해 저해활성을 보였다. 특히 감초성분 중 큰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과 합성 방부제로 사용되는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의 최소저해농도를 비교한 결과 isoliquiritigenin이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HPLC를 통해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을 정량한 결과, 이들의 함량은 한국산 감초가 중국산 감초와 우즈베키스탄산 감초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산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Isoliquiritigenin의 B. subtilis, P. acnes, E. coli, P. aeruginosa에 대한 challenge test를 통해 메틸 파라벤 보다 isoliquiritigenin이 뛰어난 방부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로부터 감초 성분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고, 원산지별 감초(한국, 중국, 우즈베키스탄) 중 한국 감초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데 isoliquiritigenin과 liquiritigenin 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감초 성분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isoliquiritigenin은 파라벤류를 대체 할 수 있는 천연 보존제로써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corice’s active ingredients. Four samples of licorice ingredients (glycyrrhizin, liquiritin,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ix skin microorganisms. The bioassay applied for determining the antimicrobial effects employed a disc diffusion assa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the challenge test. The ingredient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Especially, isoliquiritigenin has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wo Gram-positive (Bacillus subtilis, Propionobacterium acnes) and two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ia. These samples had much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synthetic preservatives. Our results reveal that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could be useful compounds for the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agents for the preservation of cosmetics and foods. The two flavonoids, liquiritigenin and isoliquiritigenin, sourced from Korea, China, Uzbekistan, were quantified using HPLC.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Korean licorice has two flavonoids (liquiritigenin, isoliquiritigenin) in much higher quantities than was observed in the licorice obtained from the two other countries. Thus, isoliquiritigenin and Korean licorice extract represent new candidates for antimicrobial agents.

      • KCI등재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의 Bacteria 군집 분석 및 발효과정 중 Bacilli 포자 형성 규명

        안두현 ( Doo Hyun An ),김혜림 ( Hye Rim Kim ),정도원 ( Do Won Jeong ),( Jane M. Caldwell ),이종훈 ( Jong Hoon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2 No.2

        Bacteria 군집 차이를 이용한 신속한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 원산지 판별 가능성의 검토를 위하여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T-RFLP 분석은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주요 유산균의 빠르고, 재현성 있는 검출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종(species) 수준에서의 미생물 확인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bacteria의 검출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RFLP를 적용한 발효과정 중의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에 존재하는 bacteria 군집 천이 분석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고, Bacillus 속이 발효 후기까지 검출되었다. 또한 Bacillus 속은 발효 후기에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was adopted to explore rapid differentiation in the diversity and dynamics of bacteria in kimchi made in Korea and China for future application in kimchi origin discrimination. TRFLP analysis supported the reproducible and rapid detection of major lactic acid bacteria known to be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The taxonomic resolution level of this T-RFLP analysis was between the species and genus level, but was not specific enough for the detection of a bacterium found only in one origin, either Korea or China.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successions in kimchi samples from Korea and China analyzed by T-RFLP analysis occurred with a similar pattern. Bacillus spp. which were not detected in the early microbial studies of kimchi were constantly detected until the late fermentation stage of kimchi in our T-RFLP analysis and their existence was proved by culture-based identification. Additionally, sporulation of Bacillus spp. during kimchi fermentation was discovered.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미생물 발효차의 미생물 군집분석 및 비교

        김병혁 ( Byung-hyuk Kim ),장종옥 ( Jong-ok Jang ),좌재호 ( Jae-ho Joa ),김진아 ( Jin-ah Kim ),송승엽 ( Seung-yeob Song ),임찬규 ( Chan Kyu Lim ),김천환 ( Chun Hwan Kim ),정영빈 ( Young Bin Jung ),성기철 ( Ki-cheol Seong ),김희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1

        차는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음료로서, 그 종류는 불발효차(녹차), 반발효차(우롱차), 완전발효차(홍차), 후발효차 등으로 구분된다. 후발효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미생물 발효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본 연구에서 한국 후발효차(알가차, 단차)와 중국 후발효차(보이차 2종)에 우점하는 미생물 분석을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하였다. 후발효차에 우점하는 미생물은 α-proteobacteria에 속하는 Rhodobacteraceae와 Sphingomonas, γ-proteobacteria에 속하는 Pantoea가 우점하였다. 미생물 군집 cluster 분석결과, 한국 후발효차와 중국 후발효차는 다르게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우 흥미롭게도 한국 후발효차는 미생물이 우점하였고 중국 후발효차는 곰팡이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ea is the most popular beverage in the world. The three main types are green, black, and post-fermented. Post-fermented teas are produced by the microbial fermentation of sun-dried green tea leaves (Camellia sinensis).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oriental post-fermented teas (Korean algacha, dancha, and Chinese pu-erh) were investigated using 16S rRNA gene analysis. The dominant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post-fermented teas included the α-proteobacteria Rhodobacteraceae and Sphingomonas, and the γ-proteobacteria Pantoea. Cluste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icrobial populations present in both Korean and Chinese post-fermented teas grouped into the same class. Interestingly, the dominant microorganism present in the Korean postfermented teas was a bacterium, while for the Chinese post-fermented tea, it was a fungus.

      • KCI등재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

        박원민 ( Won Min Pak ),김꽃봉우리 ( Koth Bong Woo Ri Kim ),김민지 ( Min Ji Kim ),박지혜 ( Ji Hye Park ),배난영 ( Nan Young Bae ),박선희 ( Sun Hee Park ),안동현 ( Dong Hyun Ah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1.20 mg/g 및 11.70 mg/g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 모두 0.5 mg/ml 농도에서 83.68% 및 79%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금속봉쇄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왔으나 대조구인 EDTA보다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 농도에서 80% 이상으로 높은 효소 저해능을 보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능,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나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소재로서 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argassum micracanthum (SM) is a member of the family Sargassaceae and commonly occurs along the coast of Korea. Extracts from SM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and collagen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based on their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TPC),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metal-chelating effect. The TPC of SM ethanol and water extracts used in the study was 11.20 and 11.70 mg/g of dry sample, respectively. Both SM ethanol and water extracts had high DPPH radical-scavenging effect. The metal-chelating effect of SM ethanol extract (40.47% at 0.5 mg/ml) was high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23.28% at 0.5 mg/ml). With regard to the antiwrinkling effect, SM ethanol extract showe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50 value of 488.20 μg/ ml. Lastly, regarding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SM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45.08% at 5 mg/ml) than that shown by the water extract (21.29% at 5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 has the potential to be a resource with natural anti-melanogenesis, anti-wrinkle, and antioxidant effects.

      • SCOPUSKCI등재

        Biocatalysis and Bioprocess Engineering : Optimization of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by Enterococcus faecium JK29 Isolated from a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Hee Seon Lim ),( In Tae Cha ),( Hyunjin Lee ),( Myung Ji Se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γ-Aminobutyric acid(GABA)를 생산하는 희귀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총 147개의 젖산균을 확보한 후1% 글루탐산 나트륨(L-monosodium glutamate, MSG)를 사용하여 GABA를 생산하는 23개의 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2차 분리를 위하여 글루탐산 탈탄산효소(glutamate decarboxylase)와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기본 MRS 배지에서 48시간 배양 후 1.56 mM의 GABA를 생산하는 Enterococcus faecium JK29를 최종 분리하였다. E. faecium JK29에 의한 GABA의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였으며 그 결과 0.5% 자당(sucrose), 2%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5% 글루탐산 나트륨이 포함된 최적화 MRS 배지를 개발하였다. 최적화 MRS 배지를 활용하여 30oC, pH 7.5에서 48시간 배양을 한 결과 E. faecium JK29이 14.86 mM의 GABA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ins were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to obtain rare γ- 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LAB. Out of 147 isolates, 23 strains that could produce GABA with 1% (w/v) L-monosodium glutamate (MSG) were first isolated. After further screening of these rare GABA-producing LAB by analysis of the glutamate decarboxylase and 16S rRNA gene sequences, Enterococcus faecium JK29 was isolated, and 1.56 mM of GABA was produced after 48 h cultivation in basic de Man, Rogosa, and Sharpe (MRS) medium. To enhance GABA production by E. faecium JK29, the culture conditions were optimized. When E. faecium JK29 was cultivated in optimized MRS medium containing 0.5% (w/v) sucrose and 2% (w/v) yeast extract with 0.5% (w/v) MSG, GABA production reached 14.86 mM after 48 h cultivation at initial conditions of pH 7.5 and 30℃.

      • SCOPUSKCI등재

        Bioactive Compounds / Food Microbiology : Properties of Antimicrobial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CJW15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SSD8

        ( Xiaoming Liu ),( Jae Min Shim ),( Zhuang Yao ),( Jae Yong Lee ),( Kang Wook Lee ),( Hyun Jin Kim ),( Kyung Sik Ham ),( Jeong Hwan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청국장에서 강력한 항균력을 지닌 2개의 Bacillus 균주들인 CJW15와 SSD8이 분리되었다. 16S rRNA와 recA 유전자들 염기서열 결정에 의해 두가지 균주 모두 B.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다. CJW15는 B. cereus ATCC14579, Listeria monocytogenes ATCC19111, Lactococcus lactis ATCC11454 들의 증식을 강력히 억제하며 SSD8은 B. cereus ATCC14579와 Enterococcus faecium ATCC19953 증식을 억제하였다. 두 균주들의 항균력은 100oC, 15분 처리에도 감소하지 않았고 산성인 pH 3과 알칼리인pH 12에서도 안정하였다. 트립신, 펩신, 프로테아제 K, 프로테아제 효소처리에 의해 CJW15 항균력은 변화가 없었지만 SSD8 항균력은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두 균주 공히 surfactin, fengycin, iturin, iturinA와 같은 lipopeptide 생합성 유전자들을 지니고 있고 subtilin과 같은 박테리오신 유전자들도 지니고 있다. 또 두 균주들은 혈전용해능을 지니고 있다. Two Bacillus strains, CJW15 and SSD8, with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isolated from cheonggukjang. Both were identified as B. amyloliquefaciens strains after gene sequencing of rRNA and recA. CJW15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B. cereus (ATCC14579), Listeria monocytogenes (ATCC19111), and Lactococcus lactis (ATCC11454). In comparison, SSD8 inhibited the growth of B. cereus (ATCC14579) and Enterococcus faecium (ATCC19953).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two strains were not affected when exposed to a temperature of 100°C for 15 min and were quite stable in acidic (pH 3) and alkaline (pH 12) pH conditions. Enzymatic treatments (trypsin, pepsin, proteinase K, and protease) had no effect on the activity of CJW15, but reduced the activity of SSD8 by half. Both isolates possess gen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lipopeptides (e.g. surfactin, fengycin, iturin, and iturin A), and genes encoding subtilin, a bacteriocin. Moreover, both isolates have fibrinolytic activities as well.

      • SCOPUSKCI등재

        NF-κB와 MAPKs 활성 저해를 통한 미야베 모자반(Sargassum miyabei Yendo)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김민지 ( Min-ji Kim ),배난영 ( Nan-young Bae ),김꽃봉우리 ( Koth-bong-woo-ri Kim ),박선희 ( Sun-hee Park ),장미란 ( Mi-ran Jang ),임무혁 ( Moo-hyeog Im ),안동현 ( Dong-hyun Ah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에서는 미야베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와 croton-oil로 유도된 귀부종 동물 모델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SMYEE 50 및 100 μg/ml 농도처리 시,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NF-κB 활성 억제와 더불어 MAPKs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보였다. LPS에 의해 증가된 NO와 전염증성 사이 토카인의 분비량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SMYEE는 croton oil로 부종을 유발한 마우스모델에서 귀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조직의 진피 두께 및 mast cell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SMYEE는 염증 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 및 MAPKs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iNOS와 COX-2의 발현 및 전염증성 매개인자인 NO, IL-6, TNF-α 및 IL-1β의 분비를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미야베 모자반내의 항염증 효능 물질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 실험을 통해 미야베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을 밝히기 위한 분리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rgassum miyabei Yendo ethanol extract (SMYEE) using RAW 264.7 cells and croton oil-induced Balb/c mice. SMYEE inhibit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L-1β] and nitric oxide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addition, SMYEE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cyclooxygenase-2, and nuclear factor-kappa B. Further, SMYEE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such as extra 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p38, and c-Jun N-terminal kinase. In ear edema test, edema formation in the SMYEE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in the positive control and was similar to that in the prednisolone treatment group. Photomicrographs of mice ear tissue showed a reduction in dermal thickness and number of infiltrated mast cells.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SMYEE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via inhibition of nuclear factor (NF)-κB and MAPK activation and can be used as a natural source of anti-inflammatory comp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