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융합을 위한 지방학의 가능성-포항의 경우

        김윤규(Kim, Yun-k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이 연구는 문화융합을 위한 다양한 준거 가운데 지역적 특성의 융합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문화가 생산된 지역적 배경은 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소재에 대한 지역적 변화 역시 문화 연구에 불가결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국문화는 비교적 좁은 국토에서 민족적으로 큰 차이 없이 생산되었지만, 지역을 나누는 산과 강으로 인해 비교적 특수성이 살아 있는 상태로 향유되고 있다. 지난 역사에서는 지방의 면적과 인구분포가 균등하게 이루어져 있었고, 각 지방마다 우수한 지식인들이 자리잡고 있어서 지방 문화가 전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화시대로 접어들면서 인구의 편중이 심해지고, 현대에 들어와서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따라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문화의 편중도 심해지고 있다. 이렇게 편중된 문화는 한국문화 전체를 빈곤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다양성과 생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현상은, 국토의 균형 발전과 원활한 소통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지방학은 한국문화를 풍성하게 하는 유용한 통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이미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 전체를 아우르는 문화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전래의 지방학과 함께 세계적 한국학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방학의 한 사례로서의 포항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다. 포항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외래 지식인과 이주 산업인력의 교감을 연구하고 이로 인한 사회변동과 발전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포항이라는 한 지방의 사례를 넘어 한국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창구가 될 수 있다. 포항은 전통적인 농어업 사회에서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공업 사회로 이행해가는 과정에서 급속한 인구팽창을 경험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 철강 산업이 퇴조하면서 향후 포항사회의 재편성이 요청되는 상황을 맞았다. 이러한 포항을 세밀히 들여다보는 것이 한국사회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문화를 서울 중심으로 일원화하고 한두 가지 성격으로 특화하는 것은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는 방법이 아니다. 각 지방이 각 특성에 따른 문화적 발전을 이루고 그것을 기술하고 특화하여 다양한 문화현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 한국문화를 진정으로 발전시키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verg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criteria of culture convergence, is possible. Regional background of a cul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that culture, and regional change of the same matter is also an essential factor in culture studies. Although Korean culture was created without much diversity in relatively small territory, because of mountains and rivers that divide regions, Korean culture passed down with comparative regional specificity. In the past, area and population of all the regions were even and each region evenly had excellent intellects, so local culture of provinces played important role in national culture. However, as industrialization beg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tensified, and today, concentration of culture is also intensifying as population crowded around the capital city, following political and economic profits. Such intensely concentrated culture might impoverish the whole Korean culture. Cultural phenomena that bases on diversity and vitality can only be gained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of territory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In that aspect, local studies can be a valuable method to make Korean culture more abundant. Moreover, to converge Korean culture to embrace all the Korean people who are already spread out in the world,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should be done along with traditional local studies. Study of Pohang, as a case of local studies, is still in beginning stage. Based on Pohang s identity, studying development potential and social changes caused by communion with foreign intellects and immigrant industrial manpower can further be a window to view the whole Korean society, beyond mere province. Pohang experienced drastic population increase in the process of society change from traditional farming and fishing society to industrial society centered by steel industry. However, as steel industry is declining nowadays, Pohang is facing demand to reorganize its society. Carefully looking into this situation Pohang is at will help understand and prospect the whole Korean society thoroughly. Unifying or classifying Korean culture into one or two characteristics with Seoul being the core is not a great wa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well. A true way to develop Korean culture is to mainta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by developing, recording and specializing each region s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비대면 융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권현우(Hyunwoo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에서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융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을극복하고,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목적을 위해 2021년 7 월부터 11월까지 거쳐 온라인으로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또 다른 i”의 사례를 중점적으로살펴보았다. 당초 대면 교육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었으나, 펜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 기획, 설계, 시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운영되었다. “또 다른 i”는 VR과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실 세계의 나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나와 만나보며 또 다른 새로운 나를 찾아가는여정을 담은 프로그램이다. 본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한 소통으로 라포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기술과 예술이 융합한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운영결과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으로는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 참여자 간의 소통 문제,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적정 기술 수준 문제 등이 나타 났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램 준비과정에서 더욱 세밀한 준비와 시큘레이션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한시사점으로 비대면 온라인교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 요구, 비대면 상황에 맞는 라포 형성 활동, 다양한 플랫폼과소프트웨어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 기술과 결합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융합교육이 대면 수업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의 한 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non-face-to-face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practice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the case of “Another i”, the weekend art campus of Dream 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which was conducted online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e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as face-to-face education, but due to the pandemic, it was switched to non-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operated through four stages: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other i” is a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VR and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apport was confirmed through communication using an online platform, and a new development and operation c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onverges technology and art was presented.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results include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platform,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participants, and problems with the appropriate skill level in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ation is required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ed a change in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rapport form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on-face-to-face situations, continuous efforts to adapt to various platforms and software, and preparation of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mbined with technolog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so that non-face-to-face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can move forward as a new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 한국인 국어국문학 전공자들 대상으로 적용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강란숙(Kang Ran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2017년도 2학기 1학기 동안 실시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의 사례를 기반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최근 교육계에서는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방법은 바로 이러한 교육계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서 주로 공학 교육 분야에서 긍정적인 학습 효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학 강독 수업이 전통적으로 읽기와 언어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다는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고,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한국어학 강독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 멀티미디어 도구를 활용한 수업으로 재구성 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 강독 수업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설계 모형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학문적 관심이 목표언어ㆍ문화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자국 문화의 대비를 고찰하여 세계의 보편적인 정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상호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문제라는 점에 주목하여 ‘학생 창작형’의 캡스톤 디자인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목표를 ‘문헌탐색으로 기반으로 한 토론 역량 강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수업 영역들은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시각화 경험’과 ‘PBL 활동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셋째, ‘동료와의 협업 능력 향상’ 넷째, ‘발표 및 토론 활동들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 향상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캡스톤 디자인 설계 모형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 언어ㆍ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기존에 시도되지 않은 연구로서 차별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methodology of Capstone design on the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of the foreign student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case study of Seminar in Korean reading class applying to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S University’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7. Recently,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in the educational worl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alents. The use of capstone design has emerged as a result of such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and positive learning effects are mainly emerging in engineering education. I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learner s needs who participated in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for Korean native speakers in order to improve the fact that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is traditionally focused on reading and learning of language knowledge. Then, we reconstructed the class using multimedia tools according to the needs of learners. In this study, we designed the model Capstone Design for Students Creation . The important academic interest for foreign learners is to understand the universal emotions of the world by considering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and the contrast of their own culture. The goal of the lesson is to enhance the capacity of discussion based on literature explore. The lesson was divided into four areas. First, visualization experience . seco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PBL activities . Third, the ability to cooperate with colleagues. Fourth, it enhances the self expression ability throug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ctivities. The Capstone Design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capstone design model applicable to Seminar in Korean text reading class for foreigners. The capstone desig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a new study,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so far. Therefore, the capstone design model can be applied to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field of teaching for foreigner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 전통춤과 음악에 드러난 중국의 초(楚)문화 양상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한국 전통 춤은 우선, 심미적 이상으로 ‘대상무형, 천인합일(大象無形, 天人合壹)’의 이념을 추구하고, 심미적 품격으로는 ‘정중유동, 동중유정(靜中有動,、動中有靜)’의 특징을 추구한다. 춤 동작의 방식 면에 있어서는 섬세하고 조화로운 특성을 추구한다. 특히, 숨결과 염력, 지체와 영혼의 조화가 어우러지는 ‘이기대동, 이의대행(以氣帶動, 以意帶行)’을 한국 전통 춤의 특유한 성격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춤 이면의 이상, 품격, 특징에서 드러난 한국 전통 춤은 특정 문화 정신을 숭상하고 그들만의 예술을 구현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춤에 있어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정신을 반영하거나 삶을 구현할 때, 또는 예술화할 때 초(楚)문화 무속·도선(道禪) 사상을 흡수하여 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전통 판소리와 무악(巫樂) 등에서도 중국의 초문화 영향을 찾아볼 수 있으므로 한국 춤과 음악에서 드러나는 한국 고유의 정신과 초문화의 사상들이 어떻게 융합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는지 예술사적인 흐름에서 두 문화의 연관성을 해독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 미비했던 연구 분야인 한국 무용 및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예술에서 발견되는 중국의 초문화의 영향력을 역사학적이고 심미적인 접근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나아가 두 나라의 문화적 가치가 서로 연계되고 융합되었던 과거의 모색을 통해 현재와 미래의 문화예술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던지고자 한다. Overall,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pursued Daesangmuhyeong (大象無形)-the idea that a huge shape is intangible-and Cheoninhapil (天人合壹)-the idea that heaven and people are united-as an aesthetic ideal. On the other hand, it has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ungyudong (靜中有動)-the idea that miraculous enlightenment is thoroughly investigated in silence-and Dongjungyujeong (動中有靜)-the idea that serenity is in the movement-in the aesthetic dignity. The delicate and harmonious feature has been chased in its dance motion. In particular, the unique natu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s distinguished as Igidaedong (以氣帶動) and Iuidaehaeng (以意帶行), which means that breath and psychokinesis, as well as body and soul, are in harmony. Korean traditional dance revealed in the ideal, dignity, and characteristics lying behind it has revered the particular cultural spirit and given shape to their intrinsic art. This means that we can see the spirit that people sought as reflected in their dance or was manifested by being fused with the supercultural shamanism and Doseon idea related to geomancy, when people realized or sublimated their lives in art. Since we can also find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in Korean traditional pansori and shaman music, I recognized the need to interpret the connection between two cultures in the flow of art history, in particular, how the Korean unique spirit and supercultural idea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ance were blended and passed on. H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which can b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art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domestic research on this is inadequate) using the historical and aesthetic approach. Furthermore, I would like to deduc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and future culture and art by searching the past when the cultural value of the two was linked and fused.

      • KCI등재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産俗) 문화 비교 연구

        투라예바 딜푸자(Turaeva Dilfuza),이수진(Lee Su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이 논문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같은 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산속은 오래전부터 각 민족의 삶의 방식과 믿음을 통해서 조상들로부터 전해 내려온 습속이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호하는 가부장제 가족 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연구를 통해서 양국의 민족성이나 사회성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산속이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유교주의 영향을 받아 특히 16세기 남아를 선호하는 사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실크로드 교차지점에 위치하여 오랜 시간 다양한 문화와 교류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침략으로 고난과 역경의 시간을 보내며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해졌다. 양국 모두 전통적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형성해 왔으며 남아선호사상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사회적 구조 안에서 남아의 잉태를 기원하는 산속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양국의 산속을 ‘기자속’, ‘산전속’, ‘산후속’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해 보았다. 양국 모두 아이를 갖고자 희망하는 여인들은 일정한 대상물을 향해 기도 기자속이 있는데, 그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한국에서는 잉태를 위하여 수목, 산신, 부처, 암석 등에 기도를 하며, 아들을 이미 출산한 집안의 삼신상이나 속옷, 금줄에 끼인 고추 등을 훔쳐 잉태를 기원하는 습속이 있는데,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다산한 임산부의 다리 밑을 지나가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었다. 방식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출산한 부녀자에게 의지하여 아이 낳기를 기원하는 행위는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기자속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산전속에서도 한국은 오리고기ㆍ닭고기ㆍ자라고기ㆍ토끼고기ㆍ생강ㆍ마늘ㆍ문어 등의 섭취를 금지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낙타고기ㆍ토끼고기 등을 금기시 하여 금기 음식의 종류에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산모가 보고 듣고 먹고 느끼는 것이 태아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여 그에 따른 음식이나 행위에 금기를 가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산후속도 한국이나 우즈베키스탄 모두 출산 직후 산모를 외부의 침입이나 악의 기운으로부터 차단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드러난다. 한국에서는 고추나 청솔가지, 숯 등을 달아 외부와 차단하는 금줄을 달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대문 앞에 칼을 매단 금줄을 달아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산속 문화를 비교하여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전통문화를 점검해 보았다. 향후 양국의 문화이해 및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ildbirth customs in traditional Korean and Uzbekistan culture. Even though Korea and Uzbekistan are geographically far apart, they remain a part of Asian civilization.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these two distinct cultures retain some cultural similarities, such as in childbirth. Childbirth customs are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via learned lifestyles and beliefs. Childbirth customs in Korea and Uzbekistan favor patriarchal family systems, displaying a typical preference for sons over daughters. By comparing the childbirth custom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we can appreciate the na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from which the childbirth customs of these two countries have emerged. In Korean culture, where Confucianism was highly influential, a preference for boys emerged conspicuously in the 16th century. Uzbekistan as well, because of its unique location at the crossroads of an ancient trade route, the Silk Road, coupled with an extensive history of invasion from foreign forces, developed a cultural preference for boys. Thus, both countries have formed patriarchal family structures with boy preference customs. Given this social structure, both societies have formed various traditions that emphasize a desire to bear sons.

      • KCI등재

        일본 대학의 한국문화 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언 : 마쓰야마대학의 ‘한국문화 발표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영(Lee Min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일본에서 한국드라마나 K-Pop 등의 한국의 대중문화는 한국어 학습 동인의 최상단에 위치할 만큼 큰 영향력을 지녔다. 그러나 아직 일본 대학에서 이를 활용한 교재나 교수-학습 모형 등은 개발된 적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일본 대학의 한국문화 교육의 현실을 냉정하게 짚어볼 필요가 있었다. 먼저, 한국어 교재 및 한국문화 관련 교재 중 선행연구가 미처 다루지 못한 중요한 교재들을 분석함으로써 논의를 보다 정교하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현재 출판된 교재의 다수가 문화 항목을 거의 다루지 않거나단원의 목표어와 심각한 불일치를 보여 주었다. 이 과정에서 대중문화가 활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다음으로 마쓰야마대학의 문화 수업 중 특히 한국어2에서 실시한 ‘한국문화 발표수업’의 진행 방식 및 학생들이 발표한 문화 항목을 제시했다. 특히 수업의 진행 방식을 통해 한국문화 수업의 학습 단계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문화 정보의 습득 단계 ② 문화 이해의 단계 ③ 자문화와 이문화 간의 비교 및 대조의 단계 ④ 문화해석의 단계 ⑤ 문화의 수용과 소통의 단계가 그것이다. 한국어 교육과는 별개로 진행된 이 한국문화 발표수업을통해 학생들은 한국문화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문화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려는 자세를 갖게되었다. 앞으로 이 문화수업이 거둔 성과를 수용하고, 수업 내부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더욱 진전된 한국문화 수업의교육 과정이 설계되기를 희망해 본다. 문화교재의 개발 및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논의는 다음 과제로 넘긴다. Korean pop culture such as Korean dramas and K-Pop are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Japanese learner want to study Korean language. However, Japanese universities have yet to develop textbooks or teaching-learning models that utilize such Korean popular culture. First, This study analyzed Korean cultural items in Korean textbooks used in Japanese universities. As a result, most of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rarely cover cultural items, or showed serious inconsistencies with the target words of the unit. Moreover, Korean pop culture was rarely used in textbooks. Next, I reported examples of “Korean Culture Presentation Class” conducted in Matsuyama University’s Korean classes. Through those classes, I suggested ‘the learning stages of Korean culture class’. And through the classes, students were able to learn how to understand and actively communicate with Korean culture. I hope that the curriculum of Korean culture class will be designed better by accepting the achievements of those classes in the future and improving the problems within the clas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textbooks using popular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odel will b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tudy.

      • KCI등재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방안: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세령(Kim Ser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팬데믹(Pandemic) 상황이 끝없이 지속되면서,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일반적이었던 한국어교재 중심의 대면 교육을 온라인 기반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융합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언어 문화 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뉴노멀 시대, 한국어 교육에서도 코로나 이전의 교육을 넘어 새로운 기준을 모색하는 교육의혁신이 필요하다. 이에 H대 한국언어문화학과 ‘인공지능 시대의 스마트러닝’ 수업 사례를 통해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을 연계한 융합 교육내용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학생들과 교수자의 연결과 소통을 높일 수 있었던 원격 수업의 다양한 형태를 모색해 보았다. 한편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 속에서 SMART 기반 교육을 통해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역량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 문제 중심 학습)을 통해자기주도성, 연결과 소통,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컴퓨팅 사고 기반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수 있었다. 수업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모든 문항에서 수업 전보다수업 이후에 평균값이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범위에서 수강생들의관련 인식과 역량이 상승하였다. 한 학기 수업이 주요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대학의 사례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수준이나 목적, 교육환경이 다른 모든 대학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따르지만, 한국 언어 문화 교육과 스마트러닝, 인공지능의 융합 교육이 뉴노멀시대에 어떻게 실천될 수 있을지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사한 고민을 가지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탐색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코로나이후 급속한 교육환경 변화 속에 실습 중심의 융합 교육이 비대면으로 갑자기 운영되다 보니교육 인프라 면에서 여러 제약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As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continues, face-to-face education center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s been comm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acing difficulties in transitioning to online-based contactless education. This study thus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application plan of smart learning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contactless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era of new norm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novate education to seek new standards beyond education before the COVID-19 period. Using the case of “Smart Learn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H University, the content of convergence education link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examined, and various forms of distance classes that could enhance th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were explored. Through SMART-based education in the contactless online class environment, this class improved the overall competencies required for twenty-first-century learners. In addition, project-based learning or problem-based learning helped to develop self-directio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ollabor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To verify the class effectiveness,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In all the questions, the average value increased after each clas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n most of the questions, students perceptions and competences increased with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ge. It was confirmed that one semester’s learning was effective in achieving the main learning goal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focuses on a specific university; thus, it may not be generalized to all universities with different levels, purpos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Nevertheless, the study may offer practical help to researchers who seek new standard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similar concerns where in-depth research on how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mart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the era of new normal is insufficient.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VID-19, practice-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was suddenly conducted remotely; therefore,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education infra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태권도 수련의 영향 및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고찰

        고준호(Ko Junho),이선희(Lee Su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고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태권도 수련의 한국어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태권도를 활용한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 태권도학계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수련 효과에 대한 연구 중, 한국어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으며, 한국어학계에서도 문화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 제재가 논의되었지만 태권도를 활용한 연구는 모색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까지 다루어지지 않은 소재인 태권도를 활용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태권도 수련의 한국어 교육적 효과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태권도 수련은 일상생활문화, 성취문화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에 동기를 유발하고 태권도 용어가 주로 수사, 신체어, 방위사로 구성됨으로 인해 언어문화 학습에도 도움이 됨을 밝혔다. 아울러 태권도 기술 용어에서 사용되는 어휘는 모두 한자어나 외래어가 아닌 고유어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태권도 고유의 민족 문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고는 태권도를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으로 교재 및 시청각 자료를 통한 방법, 문화 수업을 통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더불어 더 효과적인 태권도 문화 교육을 위해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였다. 최근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고유의 민족성을 지닌 동시에 세계스포츠로 자리매김하며 세계성을 지닌 태권도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가 한국어 문화 교육 활용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as an approach to teaching Korean culture an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foreigners,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applied. Thus f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Taekwondo train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o foreign learners. Although various educational resources related to the cultural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research on incorporating Taekwondo to cultural education has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stems from address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through Taekwondo teaching, which thus far has not been examined.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effectiveness of Taekwondo train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o foreign students, Taekwondo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in daily and cultural life, bringing a sense of fulfillment. Moreover, Taekwondo terminology, which comprises numerals, body parts vocabulary, and localizers, motivates foreign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aekwondo consist of Korean words that neither originate from Chinese nor are loanwords; thus establishing the unique ethnic Korean Taekwondo culture. Correspondingly, the study outlined the methodology of cultural education by applying Taekwondo via textbooks, audiovisual resources, and in cultural class curricula. It further proposed the incorporation of video content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ective Taekwondo cultural education. As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element in teaching Korean has been emphasize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this research on Taekwondo, which reflects Korea’s unique ethnicity, will be utilized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Taekwondo has become a global sport.

      • KCI등재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박혜진(Hyejin B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과정과 다문화교육 간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7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 운영의 근간이 되는 국립국어원이 기획한 “표준 한국어”에서의 다문화교육 요소의 반영 양상을학습 내용 및 활동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내용 분석 기준이 되는 다문화교육 요소는 규칙/예절, 상호문화 이해, 도구로써 문화 사용, 한국문화 중심, 기타이다. “표준 한국어”는 한국 문화적 배경의 이해를 강조한 내용적 요소를 크게 반영하고 있었다. 활동 분석은 내용 분석에서 도출한 요소가 어떠한다문화교육 활동으로 반영되는지에 대한 분석으로 그 기준은 이해 활동, 체험 활동, 내면화 활동이다. “표준 한국어”에 반영된 대다수의 활동은 이해적 측면이었으며, 내면화적 요소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않았다. 따라서 교재 대상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소통을 비롯한 체험 활동을 더욱 반영하여야할 것이다. 교재의 다문화교육 반영적 양상은 전체적으로는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지지 못한것으로 보였다. 이에 “표준 한국어”가 ‘다양한’ 학습자들의 ‘다양한’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교재로 거듭날 수 있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incorpor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 elements in the content and objectives of “Standard Korean”, a textbook series for primary students in the 2017 Korean curriculum. The criteria for content analysis of ME include rules/etiquette; intercultural understanding; utilisation of culture as a tool; Korean culture-centred; and others. The textbook strongly emphasises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as a key content element. Ac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ree criteria derived from content analysis: comprehension, experiential learning, and internalisation. The activities predominantly leaned towards a comprehensive aspect. To better address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of the learner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experiential activities should be further incorporated. The reflective aspects of ME in “Standard Korean” appear to fall short of adopting a predominantly intercultural perspective overall.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uld evolve into customized resource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diverse cultures of a variety of learners.

      • KCI등재

        근대전환기 내한선교사의 선교사역과 한국문화이해: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1913)를 중심으로

        오지석(Oh, Jie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는 개항 후 한국에 와서 동학,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겪고 한일병탄을 함께 한 미국선교사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를 중심으로 선교활동과 한국문화 이해를추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안애리는 한국근대전환기 문화변용의 한축을 담당했던 외국인 선교사로서의 역할 뿐만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데 해외에 있는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사용했다. 안애리는 초기의 작품인 Fifty Helps의 부록에서 신입 선교사들에게 서구문화에 대해 갖기 쉬운 편견과 우월감에서 벗어나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주문한다. 이런 태도는 마지막 작품인 Inside Views of Mission Life에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한국의 근대전환기에서 서구인의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바라보지 말고 한국사회의 생활방식과 문화를 존중해야한다는 생각을 놓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에게 근대전환기 미국식 근대가 시험 되었던 평양에대한 관심을 불러준다. 우리는 안애리를 선교사의 부인, 교육가, 문학가로 기억하기보다는 19세기‘한국학’ 세우기에 동참한 한국학의 개척자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by Annie Baird, an American missionary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warring period of Korea (e.g., the Korean-Japanese war with Donghak,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Ae-ri Ahn used her intellectual connections abroad to introduce Korean culture, as well as her role as a foreign missionary who played a part in the transformation of culture during this Korean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appendix of her early work titled Fifty Helps, Ahn asks new missionaries to assume an attitude of respect for Koreans and Korean culture, and to set themselves free from the prejudice and superiority they tend to have toward Western culture. This attitude continues to feature in her final work,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and she does not miss the idea of respecting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instead of looking at Korean culture through the eyes of Westerners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 Thus, this study argues that Ahn should be evaluated as a pioneer of Korean studies wh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rather than remembering her as a missionary s wife, educator, and literary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