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국무용연구’의 연구경향 분석

        유지영 ( Yoo J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지난 40년간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문적인 성취를 밝히기 위하여 분석적 시각에서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무용학회의 현황과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연구재단에서는 학회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으나 무용전문학회는 소폭 증가되었다. 둘째, 과거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은 여름무용학교와 같은 교육활동의 주제와 같은 맥락으로 개최되었다. 셋째,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에서는 ‘춤’보다 ‘무용’이라는 용어를 학문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2010년 이전에는 가면극에 나타나는 무용의 놀이성 연구가, 2010년 이후에는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체 학술지의 연구주제는 무용교육 분야에서도 ‘공연 문화로서의 무용예술 교육’, ‘한국무용 교육의 특성’, ‘무용예술 교육의 구조와 발전(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from the analytic viewpoint in order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for the last 40 years. To address the goal,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tatus of dance societies and the status of academic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and also applied text mining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first, alth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emands the integration of societies, societies specialized in dance have increased slightly. Second, the activities previously done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were held within the context like the top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stance, the summer dance school. Third,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tend to use the term, ‘dance’, more than ‘chum’ academically. Fourth, before 2010, research on the playfulness of dance found in the masque was often carried out whereas after 2010, research on dance targeting those majoring in dance was frequently done. Fifth, concerning the research topics of entire journals, in the area of dance education, too,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education on dance art as performing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the structure and plans of development(enhancement) for dance art education’.

      •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울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 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박해정 ( Hae Jung Par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로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교육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써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권 무용(학)과가 있는 6개 대학 한국무용전공대학생 29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첫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통문화인식도는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무용수행능력은 성별, 학년, 한국무용전공 지속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relates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undergraduates`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ir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 total of 293 questionnaires have retrieved. For the research processing, frequencie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hoc SNK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 As a result,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Second,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dance for each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except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undergraduates`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ere found.

      • KCI등재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안무적 특성에 따른 경향 분석

        최혜경,박미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유형의 특성과 안무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창작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술적 토대의 정립과 교육적 활용, 한국문화예술의 가치를 인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한국창작무용의 사적 흐름과 시기별 창작무용의 경향과 특성을 10년 주기의 4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창작무용의 초기는 전통무용의 원형을 지키는특성이 부각되어, 1기와 2기는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원형을 보존 및전승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3기를 기점으로 현대무용 및 세계화 추세의 영향으로4기는 현대적으로 수용, 변용된 한국창작무용이 주도하게 되었다. 안무적 특성으로, 1기는 한국무용의 특징인 곡선의 형태를 살린 춤 선이 많았으며, 2기와 3기는 한국창작무용의 새로운 시도로서 직선 형태의 춤 선, 4기는 전통한국창작무용의 특성이 뒤섞인 혼합된 춤 선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1기에서 4기까지 한국창작무용의경향은 전통무용의 특징을 살리면서 창작 요소를 가미한 형태의 춤 선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전통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변용, 새로운 한국창작무용의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안무가는 보다 과감하게 시대적 변화를 수용, 접목하여자신의 개성에 맞게 심화, 발전시켜 가면서 그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무용학 질적연구의 주제 및 동향 분석

        한만석 ( Man Seok Han ),신주영 ( Joo Young Shi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무용학에서 질적연구 주제 및 동향을 분석함으로서 그 특징들을 제시하특징을 분석하고 나아가 무용학 질적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은 한국체육학회지, 대한무용학회논문집, 한국무용교육학회지, 한국무용 기록학회지, 무용예술학회지에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게재된 총 1590편의 논문 중 연구자가 질적연구라고 밝힌 총7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아이즈너가 질적연구 원리와 방법으로 제안한 구조적 확실성, 공감적 타당성, 준거 적합성을 기준으로 검토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연구주제와 연구 동향(전통)항목을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2000년 이후 질적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무용학 연구주제의 다양화와 연구 기법들이 연구 되어야한다. This research is proposed to suggest academic characteristic and th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for dance studies via analysis of theme and trend on dance study fields. 79 qualitative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1590 papers which published on KCI Journals from 2000 to 2013. The qualitative research principle and method suggested by Dr. Eisner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is technique is based on structural certainty, empathic validation and suitability criteria. The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which consider research theme and research trend. The results were sorted by type of study which shown on Creswell(1998, 2005, 2007), Denzin and Lincoln(2005) and Wolcott(1992). Lastly, research theme were sorted by the national standard classified table.

      • KCI등재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 내용 탐색

        김연재 한국무용연구학회 2023 한국무용연구 Vol.4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와 핵심 개념 탐색에 관한 후속 연구로써 이에 대한 실천적 측면으로 교육 내용을 탐색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문헌분석을 통해 한국무용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교육 내용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연구 자료들을 토대로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인 신체소양, 인지소양, 심미소양을 기준으로교육 내용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신체소양의 교육 내용은 호흡, 동작, 표현, 조화의 내용을 아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인지소양의 교육 내용은 인지적 안목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은 음악, 철학, 역사, 전통과 관련된 내용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심미소양의 교육 내용은 한국무용의 한국적 공감을 갖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는 태도, 감정, 감성, 미학에 대한 교육내용을 말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한국무용의 교육 내용에 대해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균형 있게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

        김미경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an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Korean dance’ genre, by analyzing its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 of the ‘keyword’ presented in the published papers in the dance related journals since 1973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otal 2,483 Korean dance 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journals and the 4,569 key-word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for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and UCINET/NetDraw Program. The networks of the selected top 15 key-words with high frequencies from total key-word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roportion of co-occurrence, degree centrality index, and network map. The papers of Korean dance genre were most frequently presented the key-words related to research participants such as ‘female dance major college student, dancer and the elderly’. The type of dance was second frequently described key-word. The papers presented most frequently ‘traditional dance’, ‘folk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key-words in a row among the type of da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researches of Korean dance genre since 1973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Korean dance program’ on ‘participation, job satisfaction, self management, and devotion’ of the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dancers, and the elderly’. 이 연구는 1973년 이후 출판된 ‘한국무용’ 장르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한국무용’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발표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연관단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종 선정된 ‘한국무용’ 관련 논문은 2,483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논문으로부터 얻은 키워드는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최종 선정된 키워드 수는 4,569개이다. 학술논문의 네트워크는 동시출현(co-occurrence) 빈도와 비율, 연결중앙성(degree centrality) 지수, 연결망 지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관단어 분석은 전체 키워드 중 연결중앙성이 높은 상위 15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논문자료는 Excel system에 자료를 입력한 후 NetMiner와 UCINET/NetDraw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973년 이후 2019년 10월 현재까지 한국무용 관련 학술지 게제논문은 총 2,483편이 발표되었다. 둘째, ‘한국무용’ 장르 연구는 연구대상인 ‘전공 여자 대학생과 무용수, 그리고 일반 노인’ 관련 키워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전통무용’, ‘민속무용’, ‘창작무용’, ‘신무용’ 순으로 무용유형과 관련된 키워드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네트워크 기반 키워드는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전공자, 무용수, 노인, 참여 만족도, 직무 만족도, 자기관리,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 KCI등재후보

        시 텍스트를 활용한 무용창작 연구 : 백석 시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을 중심으로

        김하람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2

        This study is about original work of Dance Poem, which is combined dance as a composite arts and poem as the original form of text, based on artistic spirit. Dance Poem is defined in The Encyclopedia of Physical Athletics as expression an feeling that flowed into heart with body movement and emphasis of the new and free emotional expression; it equals movement of dance as an expressive art and characteristic of poetic language are identical context. This study aims plan of original work of dance revealing organic traits with literary structure of poem on the basis of these context mentioned above, and Dance Poem works as fusion genre which is created with combination poetic literature and dance. The study chose the poem "Namsinuiju Yudong Parksibongbang" by poet Baek Seok for the research. this work is one of Baek Seok's showpieces; that is descriptive story in which is put an aspect of the writer's experience to draw captivating and powerful esthetics of resignation; that has acknowledged the expression and unique of the poetic structure until now. The ways of creation using the poem, "Namsinuiju Yudong Parksibongbang", are these three. First, the consequentiality that narrator is oriented towards through making poem and narrative effect that is caused by the former. Next, the way that the speaker keep its distance to maintain objectivity, which is a method of poetic description and the other way that express a work with prose. Third, the intention of the poet that try to reveal indigenous Korean emotion using dialect as an native expression. In the work for this research, various characters are set and multiple poem texts are used on the basis of the three ways above as the frame for developing the story. In addition, so as to compare with this study, different examples of some dance performances using poem are demonstrated: "La Chambre" by Regis Obadia, Joelle Bouvier, "Another Home" by HaeJun Lee. From the comparison, the research deals with an aspect that try to express mainly and complement part in the work for the study. Dance is an art that put the intended word into movement, so it is showed implicative and metaphorical form like poem. The study tried variously something like dismantling the poem and dramatizing it, expecting dance performance is developed into the contents which give the audience a feeling and approach them more closer. So as to achieve that, this study put significance into expressing unique original work to meet artistic spirit of two area, dance and poem, and expand the spirit. For that reason, we try hard to enlarge choreographer's intention and poetic emotion,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the dance work through creating based on close approaching between poetic literature and dance. Finishing this abstract, we hope this research help to expand understanding the genre of Dance Poem and develop creating dance. 본 연구는 종합예술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무용과 텍스트의 원형인 시(poem) 문학을 작가정신을 기반으로 접목하는 무용시(Dance Poem) 창작에 대해 연구한다. 무용시(Dance Poem)는 시의 문학적 구조와의 유기성을 드러내는 방식으로서 주력하고 이러한 시와 무용의 결합으로 탄생하는 융합 장르로서의 작품창작 연구를 한다. 본 연구는 시인 백석의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을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작가 백석의 체험 단면을 담은 서술적 이야기로서 호소력 짙은 체념미학을 이끌어낸 대표작 중 하나인 이 작품은 현재까지도 그 표현과 형식의 독특성을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의 백석 시 텍스트를 분석한 창작 방안은 다음 세 가지다. 첫째, 화자가 시작(詩作)을 통해 지향하는 귀결성이며 그것이 가지는 내러티브적 효과이다. 둘째, 시적 서술 방식으로서 객관성 유지를 위해 거리를 두는 방식과 산문 형식의 줄글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셋째, 향토적 표현으로서 방언을 사용하고 한국적인 정서를 드러내고자 하는 시인의 의도이다. 이것을 내용 전개의 뼈대로 삼아 다양한 모습의 인물을 설정하였고 시 텍스트를 다양하게 활용하며 전개하였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무용창작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 시 텍스트를 활용한 무용작품의 사례를 소개하여 본 연구 작품과 비교하도록 한다. 무용작품 레지 오바디아(Regis Obadia)와 조엘 부비에(Joelle Bouvier)의 ‘방(La Chambre)’과 이해준의 ‘또 다른 고향’을 제시한다. 이로써 연구자의 작품에서 중점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요소와 보완하여야 할 부분에 대해서 언급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시와 무용의 작가정신의 확장의 차원으로서 독창적 창작물로 표현하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 안무자의 의도와 시적 감성을 확대하는 데에 주력한다. 시 텍스트를 해체하고 연극화 하는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며 무용 작품이 관객에게 정서를 전달하고 내용으로서 다가갈 수 있는 콘텐츠로 만들어지길 기대 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를 위한 입문교육 프로세스 및 연구 환경 개선방안 모색 : Amabile의 창의성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유지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2

        This study is to provide entry education process which is useful to research beginners and instructors to perform creative dance studies. First, creative components such as expertise, creative-thinking skill, intrinsic task motivation which Amabile(1997) suggested have been applied first to perform studies. Then, the situation of dance studies was detailed. Models to develop creative studies have been schematized. As a result, it has been schematized from acquiring dance studies areas to recognizing dance areas and detailed knowledge in terms of expertise. from integration with adjoint academic disciplines to integration with adjoint academic disciplines of dance studies in terms of the creative-thinking skill, from provoking intrinsic motive related to studies to provoking intrinsic motive of researchers in terms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nd in order to perform expressed creative study tasks, physical, mental, emotional external environments which were insisted by Amabile have been applied to research space, emergence, and environment for mood. Then fit to environment of dance studies, it was arranged to capable research design, instruction from expert, separate theories and practices. The way to improve research environment for dance studies was classified into study fund raising, study organization, study collaborating, and study culture. Here, first, for study fund raising,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is required to foster superior thesis presenters and long/mid-term support to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need to be intensified. Second, intensive investing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by founding and increasing contract labs and university labs in order to create study organizations. Third, academic societies for non-humane studies and joint academic contest should be recommended.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professors in dance studies major needs to increase to improve study culture so as to establish dignity of dance studies and extend educational period for it the in curriculum of the graduate course at university. 이 연구는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수행을 위하여 초보 연구자와 지도자에게 유용한 입문교육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무용학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목적이 있다. 먼저 창의적인 무용학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Amabile(1997)이 제안한 창의성 구성요인인 전문성(expertise), 창의적인 사고능력(creative-thinking skill), 과제동기부여(Intrinsic task motivation) 요인을 창의적인 연구수행에 1차적으로 적용한 다음 무용학 연구 상황으로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전문성은 해당학문 분야의 전문지식의 습득에서 무용학 영역인지 및 세부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창의적인 사고능력은 인접학문과의 융합에서 무용학의 인접학문 분야 융합으로, 과제동기부여는 연구수행과 관련된 내적 동기유발에서 연구자의 내적 동기유발의 과정으로 창의적인 연구 발현 모형을 도식화 하였다. 그리고 발현된 창의적인 연구 과제를 실제 수행하기 위하여 Amabile이 주장한 물리적, 정신적, 정서적 환경의 외부환경 요인을 각각 연구수행 공간, 연구 몰입, 연구 분위기의 연구 환경으로 대입한 다음 무용학 연구 환경 상황에 맞게 수행 가능한 연구 설계, 전문가의 지지, 이론과 실기의 분리로 구체화 하였다. 무용학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연구펀딩, 연구조직, 연구협력, 연구문화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펀딩 조성을 위해서는 우수논문 발표자 육성을 위한 상벌제도를 마련하여 개인과 조직에 중장기적인 지원을 강화해야 하고 둘째, 연구조직 구성을 위해서는 대학연구소 및 계약적 민간 연구조직 설립 확충을 통해 집중투자 구조를 조성해야하며 셋째, 연구협력을 위해서는 인문학 이외의 학문분야 학회와 공동학술대회 개최를 장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무용학 이론전공 교수의 수를 증강시켜 무용학의 위상을 세우고 대학원 과정의 커리큘럼에서 무용학 연구와 관련된 교육기간을 확장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1

        Korean-Dance for life is a concept categorized under dance for life. Defining the meaning of this term has made little progress beyond a notion as a Korean dance, in particular, a traditional Korean dance based on its genre featur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and intended to define the meaning of Korean-Dance for life based on the principle idea of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analyzing existing literatures. The details of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 of the scope and values of Korean-Dance for life, prospect as a new academic theme and vocational prospect that is a pending issue in dance community in Korea.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ystematic researches and operation of such activities as developing programs, training leaders and establish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 series of processes that connect the results from such activities to wage systems in order to define more concretely the prospect of Korean-Dance for life in academic field as well as professional careers. There are still many things to be resolved for Korean-Dance for life to be accepted as a part of academic dance area, providing new vocational opportunities. Even so, a number of matters can be carried out by the dance community if the community can see it in the broader scope of society. For the sake of the future of dance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ed dancers to fully realize the pending issues and present practical methods to ensure the development of Korean-Dance for life in a unified manner.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으로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