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슬(Seul Lee),최경란(Kyung Ran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기술, 문화, 감성의 융합시대인 21세기의 문화산업은 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국가경쟁력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필수 요소이다. 전 세계적으로 주거환경디자인에 있어 북유럽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동양 문화권에 대한 오리엔탈리즘도 유행하고 있지만 한국적 디자인의 정체성 확립 및 다양한 상품개발까지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차별성이 뛰어난 디자인 진흥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적 디자인이 이슈화가 되면서 전통디자인의 원형을 단순히 응용하고 가공한 디자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적이라는 개념은 전통형식의 모방 및 재현이 아닌 근원적인 한국정서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써 1차적 형상의 계승이 아닌 정신을 현대화함에 의의가 있다. 한국적 디자인은 생활 양식, 문화의 계승 및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실천화에 따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의 주생활과 식생활 전반에 걸쳐 가장 오랜 시간 전해지고 있는 전통 대표 가구인 소반을 고찰하여 전통의 미를 유형화 하고, 현대 주거생활문화의 특성과 니즈를 이해함으로써 전통과 현대문화의 융합적 디자인을 꾀하였다. 또한 동양사상 중 전통 창조 원리인 천지인 사상을 재해석하여 테이블디자인에 접목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서와 문화가 어우러진 한국적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현대 주거문화의 좌식과 입식생활의 혼재를 거스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해결책으로서 문화적 통찰과 전통의 재해석을 통해 한국적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소반 뿐 아니라 전통 문화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여 현재 및 미래의 트렌드와 결합한다면 우리의 정체성과 미감을 원동력으로 하는 세계적 디자인의 창조가 가능하며, 이는 국가 이미지 제고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디자인 문화산업영역에서 위상을 드러낼 것으로 예측된다. The culture industry of the twentieth century, which is the age of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culture, and sensibility,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establishes competitiveness and identity of the nation focusing on the design field. While Northern Europe is dominat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design field all over the world, though the Orientalism from the Asian cultural area is on trend, the Korean design has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establishing its identity or of developing various products. Hence, the design promotion policy with superior differentiation on the Korean design has been required; so as the Korean design has come into the fore, simple applications and manufactures of the original traditional design are pouring out now. The notion of the Korean style, however, is aimed to reveal the original Korean sensibility, not simply to imitate or realize the traditional form; its significance lies in the modernization of the spirit, not the inheritance of the primary form. Also, perspective and identity of the Korean design can be obtained from collision or 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modern culture. In that way, the Korean design can be realized in a way of practicing through living style, cultural inheritance, and modern reinterpretation. This study thus, by considering the traditional representative furniture Soban which has been succe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l over the traditional living and eating lives, formalized the traditional beaut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living life culture, and pursued an integrated design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ultures. Also, this research reinterpreted one of the Asian philosophies, the traditional creation principle, the ‘Heaven-Earth-Human’ philosophy and grafted it onto the table design, and through these, intended to suggest a Korean design, accompanied with sensibility and culture.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suggest a Korean design through the cultural discernment and reinterpretation as appropriate solutions within the boundary that does not counter with the coexistence of the sedentary and standing style of modern living culture. If not only the Soban but also th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re studied and combined with the present and future trends, it is possible to create a world-class design driven by our identity and sense of beaut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not only help the image making of the nation but also reveal our status in the design culture industry field.
문화적 콘텍스트에 의한 한국 제품디자인의 특성 분석 연구
정채윤(Jung, Chae Yoon),장주영(Chang, Ju Young),윤지영(Yoon, Ji Young),박수진(Park, Soo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본 논문은 현대의 디자인에 한국문화가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되고 소비되고 있는지 그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문화 전이 디자인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분석의 틀을 토대로 한국 제품디자인의 문화층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문화의 의미와 문화 3층위 구조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예술의 현대디자인 적용 방법에 관한 논문들을 분석하여 한국예술의 현대 제품디자인 적용방법 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사례분석으로 한국문화 콘텍스트에 기반 한 현대디자인 제품 16개를 선정하여 문화전이 3층위 모델로 분석하였다. 물리적, 행동적, 성찰적 요소 가운데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방법은 행동적 요소의 생활문화 적용 측면에서의 재창조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전통문화의 맥락을 적용하되 장식을 위한 목적보다 현대생활의 실용적 · 기능적 측면에서의 상품 가치에 비중에 두고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찰적 요소에서 재창조의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는 전통적 가치를 재해석하여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통해 차별화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contemporary design and how it is expressed and consumed. Specifically, a design analysis model for cultural transfer will be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duct design by cultural level will be analyz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meaning of cul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ird level of culture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model of the application method for modern Korean product design was developed by analyzing papers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modern design of Korean art. As a case study, 16 modern design products based o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third-level cultural transition model. Among the physical, behavioral, and reflective elements, the most widely applied method was re-creation in the aspect of behavioral elements to living culture. It can be seen that this applies the contex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but is used by putting emphasis on the product value in the practical and functional aspects of modern life rather than the purpose for decoration. The re-creation method was also widely used in reflective elem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rying to differentiate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values to draw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improve the brand image through this.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이미숙(Mi Suk Lee),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문화적 콘텐츠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상품 경쟁력의 근원은 바로 디자인을 통한 문화 해석력과 창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용 텍스타일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만화, 비디오, 영화 등과의 연관성 있는 캐릭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의 캐릭터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 캐릭터도우리 문화의 고유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고감성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봄으로써 한국의 문학적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전래동화의 개념 및 특징, 전래동화의 교육·문화적 가치, 한국 전래동화의 역사 및 특징,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은먼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캐릭터별 디자인과 이야기 장면별 디자인을 한 후, 벡터 이미지로의 변형, 컬러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3종류의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등의 디자인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S 5.0과 Adobe Photoshop C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한국 전래동화 중 인지도가 높고 아동복 캐릭터 모티프로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디자인모티프로 선정하고 핸드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래동화 속 캐릭터와 장면별 디자인 한 후, 3종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Design 1은 “해와 달이 된오누이” 장면별 디자인을 모두 활용한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핸드 드로잉과수채화의 붓 터치를 강조하였다. Design 2는 전래동화이야기의 밤 장면들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과 달을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하였다. Design 3은 불규칙한 옐로우 도트 패턴에 오누이와 해와 달 캐릭터 이미지를 합성하여 따뜻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전개된텍스타일 디자인을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적인 시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서의 특징들을 갖고 있고 한국 전래동화 등장인물의 캐릭터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계기가 되었으며, 융복합형 문화 콘텐츠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용품이 개성화, 고급화, 패션화 되고있고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디자인 모티브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고감성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a time period of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simportant, the source of product competitiveness is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on through design. However, most of textiles for kids in Korea useanimation-, video-, movie-related kids characters, which are main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ies. Evendomestic characters do not reflect uniqueness of Korean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the possibility to use Korean literature elements as adesign source by applying Korean folktales with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s a motive andattempting high sensitive textile design for kids. For the methods and contents of study, first, this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textile design for kid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n, textiles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rother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was first made bydesigning the characters and story scenes of the story. Three kinds of textile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were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textile designs andsimulation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and the Moon’ was selected as a design motive fortextile design for kids as it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cognition in Korean folktales and be the mostsuitable for kids wear. Using hand drawing andwatercolor techniques, characters and story of thisfolktale were designed and three kinds of textile designwere suggested. Finally, the developed textile design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interior prop designs. Design 1 applied all scene design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the Moon’, represented a pretty and cute image, andstres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brush touch. Design 2 used the night scenes of the story andrepresented a fantastic image which suggests twinklingstars and the moon. Design 3 combined the brother andsister with the sun and the moon character imagesalong with an irregular yellow dot pattern andexpressed a warm and cute image. The developedtextile design 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 design.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folktaleswhich have no a fixed image have the nature of a designsource to develop textile design for kids to improvechildren`s creative perspective. Also it served as anopportunity to explore new methodology of textiledesign through character- making of Korean folktalecharacters and storytelling and confirmed the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cultural contents design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extiledesign for kinds in the motive of a Korean folktale inthe time period when kids goods have becomeindividual, advanced, and fashionable and lay stress on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e interpretation. Further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and high sensitive cultural products usingKorean folktales having limitless possibilities of adesign motive.
한국적 텍스타일 디자인 기획을 위한 K-Culture 트렌드 스타일 제안
정민희,윤세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2
디지털 기술의 눈부신 성장으로 세계 시장은 시⋅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초연결 시대로 진입하였다. 동시에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는 다원주의가 대두되면서, 주류문화의 개념은 축소되고 비주류 문화들이 상대적으로 조명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타자 문화에 대한 전 세계인의 사고방식이 변화하였고 미래의 소비자들이 영위하게 될 시장은 무한히 확장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90년대 말부터 확산되고있는‘한류(The Korean Wave)’와 이를 기반으로 등장한‘K-Culture’는 글로벌 시장에서 비서구 국가가 주도하는 문화적 역류(逆流)로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이다. 오늘날 세계 시장에서 K-Culture가 지니는 입지를 공고히 하고 그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국내 차원의 면밀한 논의와 분석이 수반된 명확한 정보를 제시하고 수출해야 한다. 이는 한국의 이미지가 세계 시장에서 하나의 독립된 문화 트렌드 스타일로 성장할 수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동시에 한국적 디자인의 독창성을 획득하고 보편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꾸준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한류현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K-Culture 트렌드 스타일을 제안하여 한국의 현대 문화 이미지가 합리적으로 반영된 한국형 텍스타일 디자인 기획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우선적으로 트렌드에 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흐름과 디자인 트렌드의 연관성에 관해 모색하고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문화 트렌드의 선행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류 이미지가K-Culture 트렌드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해고찰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유의미한 디자인 트렌드 정보를 도출, 분류하여 K-Culture 트렌드 인사이트를 제안하였다. 최종 연구 결과로서 “Share Traditional Value”, “Digital Territoire” 그리고 “Korean Hip”의 세 가지테마를 통해 우리나라의 생활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K-Culture 트렌드 인사이트를 제시하였다. 이들은 각각 우리나라의 전통과 디지털 그리고 생활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다양한 문화적 측면을 묘사하고 있다. 반면, 이들은 소통, 공감, 연대 그리고포용과 같은 공통적인 정서 또한 공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시대에 따른 경향성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의 문화 이미지에는 우리가 지켜온 전통 가치들이 지속적으로 내재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한류에 힘입어 다양한 한국의 생활 문화가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있는 현재, 본 연구는 한국 문화 이미지를 객관화하고 K-Culture를 보편적인 문화 트렌드 스타일로 확립하여 성공적인 한국적 디자인 기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아울러 연구에서 진행한 한국의 문화이미지에 대한 재고는 국내 디자인 시장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의 문화 주권을보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생각된다. With the rapid growth of digital technology, the global market has entered a hyper-connected era,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Concurrently, the emergence of pluralism, which embraces diverse cultures, has led to the diminishing concept of mainstream culture and a relative spotlight on non-mainstream cultures. Consequently, the global perception of various cultures has evolved, and the market in which future consumers will engage is expected to expand indefinitely. Against this backdrop, ‘Hallyu’ (the Korean Wave), proliferating since the late 1990s, and the ensuing ‘K-Culture’ have garnered attention as a cultural countercurrent led by a non-Western country in the global market. To solidify the position of K-Culture in today’s world market and ensure its sustainability, it is imperative to present and export clear information accompanied by meticulous domestic discussions and analyses. This approach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image of Korea to grow as an independent cultural trend style in the global market while also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origina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ity in Korean desig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inuously growing phenomenon of Hallyu and, based on its findings, propose K-Culture trend styles to lay the groundwork for Korean textile design planning that rationally reflects the contemporary cultural image of Korea. To achieve this, a theoretical analysis of trend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currents and design trends, presenting precedents of cultural trends in general use. Furthermore, the potential for the Hallyu image to be applied as a K-Culture trend was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synthesized to derive and categorize meaningful design trend information, culminating in the proposal of K-Culture trend insights. As the final research outcome, K-Culture trend insights were presented through three themes: “Share Traditional Value,” “Digital Territoire,” and “Korean Hip.” These themes reflect Korea’s traditional, digital, and lifestyle cultures, respectively, depicting various cultural aspects of the country. They also share common sentiments such as communication, empathy, solidarity, and inclusiveness, suggesting that despite changes in trends over time, the traditional values we have preserved remain embedded in today’s cultural image of Korea. Given that various facets of Korean lifestyle culture are currently capturing global attention, propelled by Hallyu,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establishing K-Culture as a universal cultural trend style and for successful Korean design planning. Additionally, the reevaluation of Korea’s cultural image conduc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offer a new turning point for the domestic design market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secure our cultural sovereignty in the global market.
궁서와 디와니서체 캘리그래피를 컬래버레이션한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연구
소피아 엘콜리,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1
Recently,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has been gaining great popularity in the Arab world and spreading rapidly. It has broken the cultural and linguistic barrier between the Koreans and Arabs through (Korean dramas, popular songs, movies, food, fashion, literature, language, etc.). Collaboration across cultures seeks to harmonize people with diverse cultures to benefit from each other and discover a new vision and concept for society. T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aborate two types of calligraphy scripts, “Korean Gungseo script” and “Arabic Diwani script” to innovate contemporary collaborative calligraphy designs for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Which reflects the Korean and Arabic cultural heritage beauty while preserving the identity of each culture and displaying its calligraphy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The collaborative designs will provide consumers with a new experience that grape their attention to unique designs. In addition, keep pace with the modern tren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Enhance opportunities to establish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in fashion industry and strengthen design competitiveness. The scope of the study is first, selecting two scripts that have the same commonalities in terms of the place of use in ancient imperial palaces and calligraphy characteristics. The Korean “Gungseo” script was used in the “Korean” palace,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as used in the “Ottoman palace”. As for calligraphy characteristics, both scripts are distinguished by the curved lines. Second, two words were selected “Love and Hope” for the design concept to be implemented in the selected textile & fashion design products to suit female consumers in the age of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se words were inspired by the “king’s Sejong” policy and philosophy to improve the lives of his people through love and hop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llaboration definition and types besides the history of Korean “Gungseo script”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ill be review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papers, books, specialized websites, museums, and other publication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en, designing motifs and sources will be developed by using computer graphics software Photoshop and illustrator, and simulations are conducted to produce prototypes. Analyzing the new collaborative design scripts through the four calligraphy elements such as the sensory element, the semantic element, the constitutive element, and the emotional element.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and fashion design products in collaboration between “Gungseo” and “Diwani” scripts. The two calligraphy styles above have their own distinct visual language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their collaboration can create a harmonious fusion of two different artistic traditions. Both calligraphy scripts have a rich tradition of flexible connection, the strokes are clear and the shape is neat, and there is a variety of thickness in which combining them can create a vibrant and dynamic visual Image. The first design suggestion with the word “Love” was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attention at the age of thirty. Women at this age are practical and effective, and warm-hearted. The second design with the word “Hope” was designed to attract customers in their twenties. People at this age are active, looking to the future, and enthusiastically promote the Korean wave culture. Finally, the newly collaborated calligraphy design is expected to open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to Korean and Arab consumers who are enthusiastic about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It is also hoped that the new collaborative designs can remove barriers and serve as a cultural bridge between Korea and Arab worl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expec... 최근 세계에서 한류가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 대중가요, 영화, 음식, 패션, 문학, 언어 등을 통해 한국과 아랍 사이의 문화적, 언어적 장벽을 깨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 간 컬래버레이션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조화롭게 만들며 서로 혜택을 주고 사회에 대한 새로운비전의 개념을 발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의 두 가지 서체를 컬래버레이션하여 섬유&패션제품의 현대적 캘리그래피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을 혁신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과 아랍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반영하면서도 각 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서체적 특성과 미학을 보여준다.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새로운 경험을 제안함과 동시에 섬유&패션 제품의 디자인과 구현에 있어 현대적인 추세에 발맞춤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패션산업의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을 구축할 수있는 기회를 선도하고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한다. 연구범위는 첫째, 한국(조선)과 아랍(오스만 튀르크) 궁중에서 각각 고대 황궁의 사용처와 특성의 측면에서공통점이 있는 서체인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를 선정하였다, 이 두 서체의 특징은 모두 곡선의부드러움이 강조된 것이다. 둘째,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담은 사랑(Love), 희망(Hope)을 콘셉트로 하여 20~30대 소비자에게 적합한섬유&패션 상품에 응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위한 국내외 선행연구를바탕으로 관련 논문, 박물관 자료, 서적, 인터넷, 기타각종 간행물 등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것으로시작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위해 두 서체의 공통점과특징을 살리고 4가지 요소로서 감각적 요소, 의미적요소, 구성적 요소, 감성적 요소를 파악하고자 했다.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 포토샵, 일러스트를 이용한디자인 리소스와 모티프를 전개하였고, 시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한글 궁서와 아라빅 디와니 서체의 컬래버레이션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시켰다. 위의 두 서체 양식은 그들만의 독특한시각적 언어와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협력은 두 가지 다른 예술적 전통의 조화로운 융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두 서체는 글자의 연결이 유연하며획이 깔끔하여 이를 조합하면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첫 번째 제안 ‘사랑’은.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감각, 따뜻한 가정의 느낌즉, 활동적인 30대 여성의 니즈를 부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두 번째 제안 ‘희망’은 역동적인 미래를 내다보며, 한류 문화를 열정적으로 증진할 에너지를 가진 20대들이 열광하는 한류문화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컬래버레이션한 캘리그래피 디자인이 ‘한류’에 열광하는 한국과 아랍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들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컬래버레이션한 현대 디자인 제품의 다양성을 통해 한국과 아랍 국가 간 장벽을 제거되고 문화적 다리가 놓여지길 기대한다. 이러한 이유로본 연구는 한국과 아랍권의 문화적 협력을 통해 섬유&패션 제품디자인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강조된다.
스마트 토이 유형별 어포던스 분석 - 유아용 코딩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과학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선진국에서는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형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미국의 경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모든 이에게 컴퓨터 과학을(Computer Science for All)’이라는 슬로건을 중심으로 코딩 교육에 적극투자를 하고 있고, 핀란드와 영국은 4-5세의 유아들이 코딩을 배우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2) 하지만 IT강국인 우리나라의 경우는 최근에서야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난 2015년에서야 개정된 교과과정에 따라 코딩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유아를 대상으로 한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아이들에게 새로운 언어와 사고법으로 놀면서 코딩 개념을 가르치는 다양한 유아 교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스마트기능이 탑재된 토이형태의 교구들이 학부모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타 교구에 비해 스마트 토이는 고가의 교구인데다 흥미위주로만 만들어진 교구들이 많아 문제해결 능력과 사고력을 증대시키는 요소와 유아들의 어포던스가 잘 반영된 교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코딩교육을 위한 스마트토이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국내 인터넷에서 판매순위가 높은 스마트 토이를 대상으로 어포던스 요소별로 사례 분석하고 코딩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감각적 어포던스는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타 과목에 비해 자신이 직접 만든 장남감이라는 인식이 강해 생명력을 느끼며 흥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물리적 어포던스는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직접 조립하고 연결하는 방식에 대한 흥미는 상대적으로 타 장남감에 비해 흥미도가 떨어지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In the era that the scientific technology is changing quickly, advanced countries are making many effor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ding education and train future talents. In the US, president Barack Obama is actively investing in the coding education focusing on the slogan ‘computer science for all’, and in Finland and England, children at the age of 4~5 are preparing for their future as learning the coding. However, South Korea, the IT power, recent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ding education and made the coding education mandatory through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Hereupon, various children teaching tools are appearing which teach the coding concept with the new language and thinking method as the concern for the coding education targeting children is getting higher. Toy-type teaching tools equipped with the smart function among them are attracting big attention from parents. However, since most smart toys are expensive and only focused on the interest compared with other teaching tools, they lack the elements which cultivate the problem-solving skill and thinking skills. The study on the teaching tool well reflecting the children’s affordance is poor now. Therefore, this paper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focusing on the smart toy for coding education, analyzed cases depending on each affordance element targeting the smart toys of which sale ranking was high on the domestic internet, and suggest a direction in which the coding education should proceed. As a result, the sensuous affordance showed a high figure and it was judged that if children felt the vitality of the toy friend they made in person, they had interest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affordance showed a low figure; it was analogized that the interest in a way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in person was less than the interest in other toys. The coding education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creativity and the problem-solving skill not the answer as changing from explaining to experiencing. And it is possible to approach deeply to the matter in which children will become interested continually beyond the one-shot learning focusing on the episode.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정(情)’과 ‘효(孝)’의 디자인 연구
선병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Korean emo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emotional consensus in advertising by expressing the condensed feeling that implies socio - cultural values of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vertising campaigns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sing Korean emotion, and to search for the messages of the advertisements embedded in them. Therefore, we analyzed the elements forming Korean emotions, and analyzed Affective, which represents Korean emotions in economic factors and Filial Piety in Confucian thought in cultural elements, through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vertising campaign of Orion Choco Pie expressed in Korean emotion. The ‘Affection Campaign’ has naturally digested simple and recognizable content. Orion has put Choco Pie in Korea's own affection called ‘Affection’ so that consumers can settle into one another. In addition, our nation emphasized affection, and it was able to convey the message of advertisement because it contained Korean character called affection. Secondly, Kyungdong Navien boiler ‘Filial Piety’ series advertisement expressed in Korean emotion. Kyungdong Nabeun boiler advertised the story of two propositions, “Parents in the country” and “Cool mind”, and it resonated with many people. In addition, 'Filial Piety' among Korean emotions is used as an advertising strategy to naturally recognize products to consumers, and it is an advertisement that once again awakens the Korean emotion in society. Affection and Filial Piety, which contain Korean emotions, are used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emo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while at the same time seeking new things in terms of social contribution. You will be able to lay the foundations for advertising with emotions. 광고는 환경에 적응적 일 때 그 효과도 충분히 발휘 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 가운데 소비자에게 가장 장기적이고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바로 그들의 문화, 즉 정서이다. 한국적 정서는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내포하는 응축된심정의 표현으로 광고에서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정서를 활용하여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광고 캠페인을 분석하여 그 안에 내재된 광고의 메시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를 연구하고, 연구를 통해 경제적 요소에서 한국적 정서를 대표하는 정(情)과 문화적요소에서 유교사상에 나타난 효(孝)를 도출하여 한국적 정서가 표현된 TV광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과 범위는 오리온 초코파이 정 캠페인의 ‘선생님 편’과 ‘삼촌 편’이며, 경동나비엔 효 시리즈의 ‘소 편’과 ‘연탄갈기 편’ TV광고이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 캠페인 광고는 소박하고 인정스런 내용을 자연스럽게 소화해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에 ‘정(情)’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아 소비자들이 서로 마음을 위로하는 매개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우리 민족은 정(情)을 강조하고 정(情)이라는 한국성을 담았기 때문에 광고의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경동나비엔 보일러 ‘효(孝)’ 시리즈 광고는 ‘시골에 계신 부모님’, 그리고 ‘차가운 마음’이라는두 명제에 속하는 처지를 이야기로 풀어내며 많은 이들로부터 효심이라는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한국적 정서 중 ‘효(孝)’를 광고 전략으로 삼아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게 상품을 인지시키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다시 한 번 한국적 정서를 일깨운 광고라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정(情)과 효(孝)에 나타난 광고는 변화해가는 사회, 문화에 따라 소비자에게 한국적 전통문화와 정서를 유지시켜 주는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동시에 사회적기여 측면에서 문화 창조로서 한국적 정서가 담긴 광고의 기틀을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중심의 현대 문화 상품의 지역성 특징에 관한 연구
포내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문화 소비의 고도화와 사용자의 요구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적 배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의 원칙 적용은기초적 진행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사용자와 문화 체험에서 문화 상품 수요의 특성상 지역별 시각에서 문화 상품의 분석설계와 판매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는 환경이 요청된다. 본문의 연구에 실증적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의 지역적 특징과 문화 상품 설계의 방식, 척도 및 융합의 미에 연구를 전개한다. 지역 문화 상품 설계는 대상 사용자의경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디자인 원칙과 과학적 통계 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는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를수집해야 한다는 설계 포지셔닝(Positing) 원칙을 확정했다. '사용자 중심'을 전제로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에 따라디자인의 다양한 단계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문화 상품을 디자인하는 전략을 결정한다. 대상 사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지역 문화와 문화 상품을 디자인으로 소통해야 한다. 문화 상품 디자인은 이미지를통합 및 변형하고 문화 상품의 문화적 차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사용자의 소비 행동을 제고하는 것이 현대 문화 상품의 가치와 의의이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현대 문화 상품의 디자인과 지역 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새로운 사고방식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기반디자인기술 활용 방안 연구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본 논문은 전통 기반 문화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지역기반디자인기술의 다양한 접근방식에 대한 분석과 발전가능성, 활용방안을 논의함으로써 21C 창조적 문화산업에 의한 다양한 영역의 지속적 디자인산업 성장을 위해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문화산업(Culture Industry)에 대한 이론적 고찰, 버네큘러디자인(Vernacular Design)과 신기술.공예의 결합(Integration between New Technology & Craft) 등 지역기반디자인기술의 포괄적 개념으로의 접근방식 및 사례, 유형 분석, 그리고 전통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방식의 고찰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하며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산업은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마켓 전반에서 블루오션으로 각광 받고있다. 둘째, 적정기술에 의한 버네큘러디자인(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이나 신기술.지역공예결합(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과 같은 방식의 제품은 독특한 경험을 추구하고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21C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문화산업제품 개발의 필요성 역시 증대되고 있다. 셋째, 전통의 현대적 재해석이 지역 나름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한 문화트렌드를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적정기술에 의한 버네큘러디자인과 신기술.공예의 결합 형태의 지역기반디자인기술 특화에 의한 다양한 국내문화산업제품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디자인기반기술 활용 방안으로 새로운 전략 제품디자인 개발과 더불어 하이엔드 명품으로의 상품화와 같은 구체적 전략과 실현 방안이 제시되어졌다. 본 연구가 국내 지역기반디자인기술 개발과 향후 문화산업디자인시장 확대를 위한 이론적.체계적 분석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sdefinite analysis materials for extensive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by creative culture industry in 21C in domestic through considering of culture industry based on tradition and analyzing a diversity approaches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al possibilities, and discussing about utilization schem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culture industry, an analysis on design types, causes, and approaches of a comprehensive concept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include vernacular design and integration between new technology & craft, and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a considering about a method of reinventing tradition and an utilization scheme.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culture industry utilized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s in the limelight as blue-ocean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global market. Second, increase a necessity of development in culture industry product applied method with 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 technology or 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is more in demand by consumers who are in pursuit of unique experience and express their personality in 21C as well. Third, reinventing tradition comprehensively represents culture trend which reflects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 in its way, and it is necessary for a variety of culture industry product design development in domestic due to the specific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such as a vernacular design by appropriate design technology and integration between craft and new technology. Finally, specific strategy and materialize plan such as a new strategy product design development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high-end luxury for culture industry activation as an utilization scheme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are proposed.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for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marketability of region-based design technology and futurity culture design industry in dome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