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학의 자성과 도시지리학의 나아갈 길

        남영우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We are in the midst of a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21st century. At this time, we are ready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Urban Geography Society and firmly establish the identity and position of geography as a field of study. It seems to have reached the point of time when it is don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ee the geographical knowledge actively used in all fields of humanity and nature at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society, but it has problems in the whole geography. Urban geography tends to focus on identifying urban structures and urban system. Of course, urban geography includes urbanization, urban system theory, global city theory, urban economy theory, urban ecology, urban landscape theory, etc.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urban geography is a field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civilization, since it is the city that created human civilization. 우리는 21세기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지리학이 많은 도전 앞에 시련을 견디고 있는 시점에 20주년을맞이한 한국도시지리학회가 중심이 되어 통일을 준비하고 학문분야로서 지리학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하게 다져할 시점에 이른 것 같다. 그러므로 본 학회 창립 20주년에 즈음하여 지리학적 지식이 인문, 자연 모든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모습을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지만 지리학 전반에 걸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물론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론 이외에도 도시화 및 도시체계론을 비롯한 도시입지론, 세계도시론, 도시경제론, 도시생태론, 도시경관론 등의 각론을 포함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시구조론과 도시체계론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과제는 인류의 문명을 창출한 곳이 도시이므로, 도시지리학은문명론과 직결될 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UN HABITAT III의 새로운 도시의제(New Urban Agenda)가 한국 도시지리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최재헌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본 논문은 해비타트 III 회의에서 도출한 새로운 도시의제가 도시지리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76년부터 3차례 개최된 해비타트 회의는 도시연구와 정책수립에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핵심주제도 해비타트 I의 적정 주거와 기초 서비스 제공 등으로 부터, 1996년 해비타트 II에서는 지속가능한 인간정주와 주거권으로 확대되었고, 2016년 해비타트 III에는 모두를 위한 도시라는 포괄적인 주제를 다루면서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여 ‘새로운 도시의제’라는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 새로운 도시의제에서는 도시화를 성장의 동력으로 인식하고 도시계획과 설계를 통한 도시문제 해결, 인간중심과 인권중심의 사고로의 전환을 강조하면서 향후 20년 동안의 도시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보편성에 관심을 두면서도 장소와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포용성, 회복력, 안정성을 갖춘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도시지리학 연구가 필수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considers research agenda for urban geographic studies concerning major contents of ‘New Urban Agenda’ from UN HABITAT III, which made impacts on urban studies and urban policy-making on the global scale. The subjects have been extended from adequate housing and provision of basic needs for HABITAT I, to sustainable human settlement and housing right for HABITAT II, and finally to ‘right to the city for all’ for HABITAT III with full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 producing ‘New Urban Agenda’ as a result. New Urban Agenda may influence the various academic fields of urban studies for the next two decades, emphasizing urbanization as a engine of the growth,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as a tool for urban problem-solving, and human right approach to urban issues. In the process to reach the final agreement for HABITAT III, the outcome of issue papers and policy unit for six different urban areas gave strong implication to the future research agenda of urban geography.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urban geographic studies for the inclusive, safe, resilient livable city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both universal features and regional-place uniqueness of urban places at the multiple layers.

      • KCI등재

        한국 축소도시의 지역적 특성과 도시정책의 방향

        최재헌,박판기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This paper attempted to reveal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hrinking cities and to clarify their typologies in Korea, as well as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for urban policies, defining shrinking cities as those that experienced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with deteriorating infrastructure and poor fiscal conditions for 229 city and districts nationwide during 2005-2015. As Korea’s shrinking cities commonly show high aging rates and low fertility rate, factor analysis showed three key factors that can be described as ‘aging and shrinking factors’, ‘new growth factors’, and ‘childbirth factor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shrinking cities share common features such as high aging levels, continued population decline, alienation from growth engines, and low birth rate.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main clusters nationwide so called ‘collapsed type’, ‘stagnant type’, and ‘growth type’. The collapsed type contains mostly rural areas far away from the large metropolitan areas adjacent to inland or coastal areas, with a small population, a very low natural growth rate, and a low birth rate, a high percentage of the elderly and a high age index, and the high ratio of single-family houses, empty houses, and old buildings compared with other cluster types. Accordingly, In the future, Korea’s urba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population reduction and urban shrinkage, away from growth-oriented policie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 in the direction of stabilizing place-oriented, urban regeneration-oriented, regional community-centered, and demand-oriented settlements structure. 본 논문에서는 2005년과 2015년 기간 동안 전국 229개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인구감소, 기반시설 노후와 재정 여건 악화 등을 경험한 도시를 축소도시로 파악하고, 이들의 축소도시로서의 특성을 밝히고 유형화를 시도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시정책 수립에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한국 축소도시는 높은 고령화율과 낮은 출산력을 보이며 인자분석 결과 ‘고령화와 축소인자’, ‘신성장인자’, ‘출산인자’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축소도시의 특징으로는 높은 고령화 수준과 지속적인 인구감소, 성장 동력에서의 소외, 저출산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군집분석의 결과 전국적으로 ‘축소형’, ‘정체형’, ‘성장형’을 확인하였다. 축소형은 대체로 내륙이나 해안 등 대도시권에서 멀리 떨어진 농촌지역으로서 인구수가 적고 자연증가율과 출생자수가 현저히 낮고, 고령인구비율과 고령지수가 높으며 단독주택 비율, 빈집 비율, 노후건축물 비율이 다른 군집에 비해 매우 높다. 향후 한국의도시정책은 성장 위주의 인식에서 벗어나 인구감소와 도시축소화를 전제로 수립되어야 하며, 장소 중심, 도시재생중심, 지역공동체 중심, 주요자 맞춤형 정주 안정화를 꾀하는 방향에서 수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도시재생 연구의 지리적 고찰 및 제언

        전경숙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In the globalized world, urban regener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for the urban growth as a solution on the strengthening of the global competitiveness. Urban regeneration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in Korea, as many nations’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impla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from a geographical point of view and to gain insight into the future directions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for sustainable growth of cities in Korea. Many disciplines have been approaching on th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ield of urban geography, integrated approach and basic researches are carried out,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eas of study. Urban regeneration is not only focused on the declining area but also focused on the integrated view of the whole city. It is expected that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will be greater, when the strength of geographical approach is also considered in social fields and other areas of study. 세계화로 대변되는 오늘날, 도시재생은 도시 성장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국가적 차원의 도시재생 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도시재생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리학계에서 도시재생 분야에 어느 정도의 관심과 전문성을 가지고 연구해 왔는지 주요 흐름을 지리적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도시재생의 향방에 관한 통찰력을 얻고자 한다. 도시재생은 다양한 학문에서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데, 도시지리학 분야에서는 통합적, 기반 연구 중심으로 진행되어 타기관의 연구와는 차별화 된다. 도시재생은 쇠퇴지역 활성화만이 아니라, 도시 전체의 성장이라는 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구되므로, 지리학의 강점을 활용한 연구가 사회 현장, 타 분야와의 연계라는 개방적 관점에서 진행된다면 학문적, 현실적 기여가 보다 클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베트남 호치민으로 진출한 한국기업의 입지 특성 및 유형화

        손승호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This research analyse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panies in Ho Chi Minh City(HCMC),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Vietnam. Korean companies started to make inroads in 1987 when the Doi Moi policy was implemented. The advance of Korean companies is going through a process of initial, stagnant, expansion and decline. In the beginning, many companies entered the CBD and its environs, and in the period of stagnation, companies made inroads into newly developed areas and non-urban areas. During the expansion period, companies actively entered CBD and areas where many foreigners reside. The location of Korean companies was initially expanded from urban center to non-urban areas. Recently, companies are clustering on urban center. Manufacturing is spreading from non-urban area to the whole city, while wholesale and retail are mainly located in city center.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Korean companies, HCMC is divided into service industry concentrated region, employment-generating industry centered region, manufacturing industry centered region, and a region where Korean companies are rare. In sum, the entry type, entry timing, type of business, and the locality of HCMC’s urban space are the main factors that differentiate Korean companies’ locations. 본 연구는 베트남에서 한국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한 도시 호치민을 대상으로 한국기업의 입지적 특성을고찰했다. 한국기업은 베트남에서 도이머이 정책이 실시된 1987년부터 진출했으며, 진출 추이는 초창기, 정체기, 확장기, 침체기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초창기에는 CBD와 그 주변에서 입지가 활발했으며, 정체기에는 신개발지역과도시외곽의 비도시지역에서 입지가 두드러졌다. 확장기에는 외국인 밀집지역과 CBD를 중심으로 기업입지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국기업의 입지는 초기에 도시중심부에서 비도시지역으로 확대되었다가 다시 도시중심부로집중하는 경향으로 보인다. 제조업의 입지는 비도시지역에서 도시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도매 및 소매업은 중심시가지에 주로 입지해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의 진출로 변화하면서, 도시내기업 입지에도 변화가 생겼다. 한국기업의 입지 속성을 토대로, 호치민은 서비스업 집중 진출지, 고용창출형 산업진출지, 제조업 집중 진출지, 한국기업 진출 미약지 등으로 지역구분이 가능하다. 한국기업의 진출 형태, 진출 시기, 업종 및 호치민의 도시공간이 지니는 장소성이 입지 차별화의 주요한 요소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베이징(北京)의 도시공간구조

        김걸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베이징은 중국의 수도이자 국가의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의 중심지이다. 베이징은 허베이 성 및 톈진 직할시와 경계를 이루며, 중국 수도권의 중추이자 국제대도시이기도 하다. 역설적으로 최근의 베이징은 과도한 도시팽창을 억제하는 규제의 상징이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베이징에 대한 도시화 과정, 도시체계, 도시공간구조 및지대별 경관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있다. 베이징의 2017년 도시화율은 86.5%로 종착 단계에 도달하였다. 도시체계는 단핵의 도심, 내부 근교, 외부 근교, 농촌 지역의 4단계로 구분된다. 도시공간구조는 7개의 순환도로와 4축의 방사상 간선도로에 의해 형성된 지대별로 도심으로부터의 접근성에 따라 차별적인 토지이용이 나타나며, 그로 인해도시의 기능과 건축물의 경관도 모자이크 식으로 파편화 되고 있다. 이 연구는 베이징의 독특한 도시공간구조를 이해하는 이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Beijing is the capital and the national center of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ducation of China. It borders Hebei Province and Tianjin Municipality, and becomes the main axis of China capital region and the great international metropolitan city globally. In reverse, it recently became the symbol of regulation on an excessive urban expa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 urbanization process, urban system, urban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by zones of Beijing. The urbanization rate of Beijing in 2017 had entered into the terminal stage of 86.5%. The urban systems are divided into four zones such as mono-centric city, inner suburban, outer suburban, and rural count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ity is characterized as differential land uses made by seven ring roads and four radial axis roads according to the accessibility from the city core. As such results, Beijing has a unique pattern of mosaic in terms of urban function and building landscape. This study will b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unique urban spatial structure of Beijing.

      • KCI등재

        통근통학자료를 이용한 광주전남의 도시계층 및 생활권 분석

        정환영,전경숙,김선아,윤혜연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urban hierarchy and zone of life changes using commuting data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efecture. As a result of studying the structure of urban hierarchy of the reg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2000 and 2015. The commuting nodal flows of Gwangju is expanding to strengthen superiority while regional relationship among Yeosu, Suncheon, and Gwangyang is concrete. Despite Suncheon being smaller city than Yeosu is, it has commuting area that includes more towns. Reviewing the urban tributary areas of Gwangju, Mokpo, Yeosu, Suncheon, and Naju, it tends to grow in common but only Gwangju showed distinct change. According to zone of life analysis based on commuting patter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efecture, it was possible to categorize as 3 areas - Gwangju Metropolitan, South-western, and South-eastern.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지역의 통근·통학자료를 활용하여 도시계층 및 생활권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0년과 2015년 광주·전남지역의 도시계층구조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틀은 변함이 없었다. 수위도시인 광주는통근·통학 결절류가 확대되고 있어, 수위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또한, 전남 동남부에 위치한 여수, 순천, 광양 등은상호간 지역 연계가 매우 강하고, 순천은 여수에 비하여 도시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지역들을 포함하는통근권을 가지고 있다. 광주, 목포, 여수, 순천, 나주 등 상위 5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세력권을 파악한 결과, 전반적으로 도시세력권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으나, 광주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지역(목포·여수·순천·나주)은 그 변화가 미미하였다. 통근·통학 패턴에 근거한 광주·전남지역의 생활권이 명확하게 나타났다. 즉 광주대도시권, 남서부권, 남동부권 등 3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은 2000년과 2015년 사이에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 KCI등재

        도시 건조 환경이 노인 통행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을 사례로

        김규식,권규상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Korea, becoming an aged society, faces various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lderly. Scholars in geography and urban planning have emphasized the mobility of the elderly as means to overcome their social isolation and have argued that dense urban built environments that transit-oriented development pursues are more likely to improve their mobility. Based on this rationa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determinants of the built environments on travel probability and distance of the elder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the public transit system is well developed and land use is mixed. Using the 2010 Household Travel Survey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we analyzed determinants of travel probability and distance via the Heckman 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 As a result, while a dense urban built environment raises travel probability and reduces travel distance of the entire group, the effects of the built environment tend to offset the travel probability and distance of the elderly.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roving a safe pedestrian environment and convenient public transit system in order for the elderly to travel actively and promote travel using public transit. 급격한 고령화를 겪고 있는 한국은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 지리학과 도시계획학 분야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극복하기 위한 노인의 이동성 확보를 강조해왔고, 대중교통 지향 개발이 추구하는 고밀의 도시 건조 환경이 노인의 이동성을 촉진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러한 주장을 토대로 이 연구는대중교통체계가 잘 발달되어 있고 토지이용이 고밀도로 이뤄진 수도권에서 도시 건조 환경이 노인의 통행확률과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0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를 이용하여 Heckman 2단계 표본 선택 모형을 통해 통행확률과 통행거리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고밀의 도시 건조 환경은 전체 집단의 통행 확률을 증가시키고 통행거리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보이나 노인의 통행에는 도시 건조 환경의 영향이 상쇄되는 경향을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노인의 활발한 통행과 대중교통 이용 촉진을 위해 보행환경 개선과 대중교통 이용환경 및 편의성 증진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